1. Cover Page
  2. 사자성어 지존찾기
  3. 成語 백과사전
  4. 삼국지 년표 & 고사성어
  5. 테마별 고사성어
  6. 인물별 고사성어
  7. 주제별 고사성어
  8. 시대별 고사성어

-----readed_count

-----Update_order

오늘 :
18,940 / 192,164
어제 :
19,133 / 224,783
전체 :
20,997,527 / 284,791,640


닷컴고사 Mobile Menu, Mobile Idioms, Cyber World Tour, 숫자로 배우는 사자성어 1(일一, 일壹) 2(이二, 이貳) 3(삼三, 삼參) 4(사四) 5(오五) 6(육六) 7(칠七) 8(팔八) 9(구九) 10(십十) 100(백百) 1,000(천千) 10,000(만萬), 이담속찬(耳談續纂), 중급사자성어2000개, 한국역사부도, 세계역사부도, 역사년표

닷컴고사/알짜배기 故事成語

고사성어 동의어/유사어/반의어 백과사전 테마별 고사성어

번호   제목 닉네임 등록일 조회 추천
Notice QnA 중국어 문장구조, 발음 설명 동영상 파일
cyber
2019-08-08 228001 11
Notice 故事成語 고사성어로 읽는 사기/손자병법/초한지/삼국... 파일
cyber
2018-04-23 249746 12
Notice 實力點檢 고사성어/속담격언 문제풀기[Idioms++ Qui...
cyber
2011-08-27 893051 16
Notice 故事成語 漢子熱風 “하늘天 따地”…선택 아닌 필...
cyber
2004-03-30 304710 573
Notice QnA QNA 게시판(글작성)에 대하여 [4]
cyber
2004-02-21 313929 330
52 문과즉희(聞過則喜)
故事成語
cyber
2006-06-30 3222 19
◐ 문과즉희(聞過則喜) ◑ ▶ 聞 : 들을 문 過 : 잘못 과 則 : 곧 즉 喜 : 기뻐할 희 ▶ 잘못됐다는 말을 들으면 기쁘한다는 뜻. ▶ '맹자(孟子)' 공손축 (公孫丑)편 선여인동(善與人同) 장(章)에 보면 맹자는 자로(子路 공자의 제자)...
51 생각이 많고 지식이 부족하면 위태롭다는...
QnA
김영종
2006-06-27 7640 85
생각이 많고 지식이 부족하면 위태롭다는 공자의 말을 원문으로 하면 어떻게 됩니까 * 관리자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6-28 00:05)
50 성공자퇴(成功者退)
故事成語
cyber
2006-06-26 2169 13
◐ 성공자퇴(成功者退) ◑ ▶ 成 : 이룰 성 功 : 공 공 者 : 놈 자 退 : 물러날 퇴 ▶ 사람뿐 아니라 모든 사물은 일단 목적을 달성한 뒤에는 다음 오는 것에게 그 자리를 물려주고 가버린다. ▶ 공을 이룬 사람은 물러나야 한...
49 중급.17탄 사자성어50개 요약집 목식이시...
故事成語
cyber
2006-06-26 4410 22
50개의 사자성어 요약 중급17탄 목식이시(目食耳視) 등등 050 ▶ 목식이시 (目食耳視) 실속보다 겉치장을 함을 말함. ▶ 목왕지절(木旺之節) 오행 중 목기기 가장 성할 때, 봄철. ▶ 목인석심 (木人石心) 의지가 굳어 어떤 유혹에도 마음이 ...
48 승당입실(升堂入室)
故事成語
cyber
2006-06-25 2782 22
◐ 승당입실(升堂入室) ◑ ▶ 升 : 되 승 堂 : 집 당 入 : 들 입 室 : 집 실 ▶ 마루방에 올라간다. 곧 학문의 경지가 점점 깊어짐을 이른다. ▶ 공자에게 자로(子路)라는 제자가 있었다. 용맹 과감하고 무(武)를 좋아하는 호쾌한 ...
47 탄위관지(嘆爲觀之)
故事成語
cyber
2006-06-24 3059 32
◐ 탄위관지(嘆爲觀之) ◑ ▶ 嘆 : 탄식할 탄 爲 : 할 위 觀 : 볼 관 之 : 갈 지 ▶ 감탄해 마지 않음 또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음을 뜻함 ▶ 기원전 544년, 오(吳)나라의 공자 계찰(季札)이 노(魯)나라에 와서 노나라와 세세대대로 ...
46 중급.24탄 사자성어50개 요약집 삼고초려...
故事成語
cyber
2006-06-09 5523 16
50개의 사자성어 요약 중급24탄 삼고초려(三顧草廬) 등등 050 ▶ 삼고초려(三顧草廬) 유비가 제갈공명을 세 번이나 찾아가 군사로 초빙한 데서 유래한 말. 임금의 두터운 사랑을 입다. ▶ 삼순구식(三旬九食) 한달에 아홉 끼를 먹을 정도로 ...
45 작법자폐(作灋自斃/作法自斃/作法自毙)
故事成語
cyber
2006-05-22 5890 12
◐ 작법자폐(作灋自斃/作法自斃/作法自毙) ◑ zuò fǎ zì bì ▶ 作 지을 작 法 법 법 自 몸 자 毙 넘어질 폐 ▶ 자기가 만든 법에 자기가 죽다. 제가 놓은 덫에 제가 치인다는 속담과 비슷한 말이다. 자업자득. 毙:倒下;死去。自己立...
44 해시지와(亥豕之訛)
故事成語
cyber
2005-10-21 2879 16
◐ 해시지와(亥豕之訛) ◑ ▶ 亥 돼지 해, 豕 돼지 시, 之 갈 지, 訛 그릇될 와 ▶ 한자(漢字)의 '亥'자와 '豕'자는 자체(字體)가 비슷하여 혼동하기가 쉽다는 뜻으로, 서적을 베끼거나 책을 간행할 때 비슷한 글자는 잘못 쓰기 쉽다는...
43 철환천하(轍環天下)
故事成語
cyber
2005-10-09 3759 15
◐ 철환천하(轍環天下) ◑ ▶ 轍 수레바퀴자국 철, 環 고리 환, 天 하늘 천, 下 아래 하 ▶ 수레(轍)를 타고 온 세상(天下)을 돌아다님(環) -교화(敎化)를 위하여 온 세상을 돌아다님. ▶ 공자(孔子)는 춘추시대의 혼한스러움을 바로잡기 위...
42 지난이퇴(知難而退)
故事成語
cyber
2005-10-09 3332 13
◐ 지난이퇴(知難而退/知难而退) ◑ zhī nán ér tuì ▶ 知 알 지, 難 어려울 난, 而 말 이을 이, 退 물러날 퇴 ▶ 형세가 불리한 것을 알면 마땅히 물러서야 함. 곤란한 것을 알고 물러서다. 자기의 역량을 알고 물러서다. 知道困...
41 역책(易책)
故事成語
cyber
2005-08-05 2940 16
◐ 역책(易책) ◑ ▶ 易 바꿀 역, 대자리 책. ▶ 침상을 바꾼다는 말로, 학덕이 높은 사람이 죽는다는 뜻. ▶ 공자(孔子)의 제자 증삼(曾參)이 병으로 자리에 누워 임종하려고 할 때의 일이다. 악정자춘(樂正子春)은 침상 밑에 앉아 있고...
40 난신적자(亂臣賊子)
故事成語
cyber
2005-06-04 3549 22
◐ 난신적자(亂臣賊子) ◑ ▶ 亂(어지럽힐 란) 臣(신하 신) 賊(해칠 적) 子(아들 자) ▶ 임금을 죽이는 신하와 어버이를 죽이는 아들 또는 나라를 어지럽히는 무리나 역적을 이름. ▶ 맹자(孟子) 등문공(文公)하편에는 맹자의 제자인 공도자가...
39 도행역시(倒行逆施)
故事成語
cyber
2005-05-10 4454 12
◐ 도행역시(倒行逆施) ◑ dào xíng nì shī ▶ 倒 넘어질 도 / 行 갈 행 / 逆 거스를 역 / 施 베풀 시 ▶ 거꾸로 행하고 거슬러 시행함. 곧 도리(道理)에 순종하지 않고 일을 행하며 상도(常道)를 벗어나서 일을 억지로 함을 ...
38 퇴피삼사(退避三捨/退避三舍)
故事成語
cyber
2005-03-20 7759 25
◐ 퇴피삼사(退避三捨/退避三舍) ◑ tuì bì sān shè ▶ 退 물러날 퇴. 避 피할 피. 三 석 삼. 舍 집 사 ▶ 삼사(90리)를 물러나다. 남에게 양보하고 다투지 않다. 회피하고 싸우지 않다. 능동적인 후퇴를 말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공...
37 침윤지참(浸潤之讒)
故事成語
cyber
2005-02-11 2666 13
◐ 침윤지참(浸潤之讒) ◑ ▶ 물이 차츰 스며듦과 같이 깊이 믿도록 서서히 하는 참소의 말. ▶ 浸 : 담글 침, 潤 : 젖을 윤, 之 : 의 지, 讒 : 참소할 참 ▶ 물이 수건에 스며들듯 점차적으로 효과가 나타나는 참언으로, 아주 ...
36 탐어여악(耽於女樂)
故事成語
cyber
2005-02-08 2452 12
◐ 탐어여악(耽於女樂) ◑ ▶ 여악을 탐한다는 뜻으로 여악에 빠져 정사를 소홀히 하다. ▶ 耽 : 즐길 탐, 於 : 어조사 어, 女 : 계집 녀, 樂 : 풍류 악 ▶ 원 나라 증선지(曾先之)의 <사략(史略)>과 <한비자(韓非子)>의 '십과편(十過篇...
35 자로부미(子路負米)
故事成語
cyber
2005-02-08 2977 13
◐ 자로부미(子路負米) ◑ ▶ 백리나 떨어진 먼 곳으로 쌀을 진다 → 가난하게 살면서도 효성이 지극하여 갖은 고생을 하며 부모의 봉양을 잘함. ▶ 子 : 아들 자 / 路 : 길 로 / 負 : 짐질 부 / 米 : 쌀 미 ▶ 춘추시대(春秋時...
34 위군난위신불이(爲君難爲臣不易)
故事成語
cyber
2005-02-03 1718 12
◐ 위군난위신불이(爲君難爲臣不易) ◑ ▶ 임금 노릇하기도 신하 노릇하기도 어렵다. ▶ 爲 : 할 위 / 君 : 임금 군 / 難 : 어려울 난 / 臣 : 신하 신 / 不 : 아닐 불 / 易 : 쉬울 이 ▶ 노(魯) 나라의 정공(定公)과 공자와의 ...
33 애석폐고(哀惜弊袴)
故事成語
cyber
2005-01-28 3363 20
◐ 애석폐고(哀惜弊袴) ◑ ▶ 헤진 헌바지도 남에게 그냥 주기를 아까워함. ▶ 哀 : 슬플 애 / 惜 : 아낄 석 / 弊 : 헤질 폐 / 袴 : 바지 고 ▶ 한 나라 소후의 명에 따라 궁인이 고리짝에 소후의 헤진 바지를 담고 있었다. 이...
32 무위이치(無爲而治)
故事成語
cyber
2004-11-21 3660 26
◐ 무위이치(無爲而治) ◑ ▶ 無 : 없을 무 / 爲 : 할 위 / 而 : 말이을 이 / 治 : 다스릴 치 ▶ 하는 것 없이 다스려 짐, 인위적으로 뭔가를 하려고 꾀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잘 다스려 짐을 뜻한다. ▶ 공자가 말하되, "아무 ...
31 매독환주(買櫝還珠/买椟还珠)
故事成語
cyber
2004-10-28 4225 13
◐ 매독환주(買櫝還珠/买椟还珠) ◑ mǎi dú huán zhū ▶ 买 살 매 椟 함 독 还 돌아올 환 珠 구슬 주 ▶ 옥을 포장하기 위해 만든 나무상자를 사고 그 속의 옥은 돌려준다. 즉, 꾸밈에 현혹되어 정말 중요한 것을 잃는다. 구슬 상...
30 남존여비(男尊女卑/男尊女卑)
故事成語
cyber
2004-09-22 2655 14
◐ 남존여비(男尊女卑/男尊女卑) ◑ nán zūn nǚ bēi ▶ 男 : 사내 남 / 尊 : 높을 존 / 女 : 계집 녀 / 卑 : 낮을 비 ▶ 남자는 높고 여자는 낮다. 즉 남성을 존중하고 여성을 비하, 경시하는 일. 尊:尊贵;卑:卑下。男的尊贵...
29 역자이식(易子而食)
故事成語
cyber
2004-09-11 2966 12
◐ 역자이식(易子而食) ◑ ▶ 식량이 없어 자식을 바꾸어 먹다. 극심한 기근을 뜻함. ▶ 易 : 바꿀 역 / 子 : 아들 자 / 而 : 접속사 이 / 食 : 먹을 식 ▶ 사기(史記)의 기록에 의하면 송 나라가 초 나라에게 포위를 당해 다섯...
28 진선진미(盡善盡美/儘善儘美/尽善尽美)
故事成語
cyber
2004-08-05 6259 47
◐ 진선진미/진미진선(盡善盡美/儘善儘美/尽善尽美) ◑ jìn shàn jìn měi ▶ 盡 : 다할 진 善 : 착할 선 盡 : 다할 진 美 : 아름다울 미 ▶ 선을 다하고 아름다움을 다하였다는 뜻. 더할 수 없이 훌륭하다. 尽:极;善:好。内容和形式...
27 은거방언(隱居放言)
故事成語
cyber
2004-06-25 3028 13
◐ 은거방언(隱居放言) ◑ ▶ 세상을 등지고 숨어 살면서 할 말은 기탄없이 한다는 뜻. ▶ <논어(論語)> '미자편(微子篇)'에서 이렇게 말하였다. "우중과 이일을 일컬어,'숨어 살며 기탄없이 말했지만 몸가짐이 깨끗하였고 세상을 버리는 것이...
26 등태소천(登泰小天)
故事成語
cyber
2004-06-03 3625 28
◐ 등태소천(登泰小天) ◑ ▶ 登 : 오를 등 / 泰 : 클 태 / 小 : 작을 소 / 天 : 하늘 천 ▶ 태산에 오르면 천하가 작게 보인다는 말로, 큰 도리를 익힌 사람은 사물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뜻. ▶ 공자(孔子)께서 노(魯)나라 동쪽...
25 구설수(口舌數)
故事成語
cyber
2004-05-26 2862 13
◐ 구설수(口舌數) ◑ ▶ 말을 잘못해 곤욕에 빠짐 ▶ 중국(지나) 사람들만큼 말을 중시했던 민족도 드물다. 불후(不朽)의 방법 중에 '말을 세우는 것'(立言)이 있을 정도다. 그래서 성인들은 누구나 '입언(立言)'을 위해 노력했다. <논어(論...
24 관맹상제(寬猛相濟)
故事成語
cyber
2004-05-21 3018 13
◐ 관맹상제(寬猛相濟) ◑ ▶ 너그러움과 엄격함의 조화를 이루다. → 정치에 통용되는 용어다. 다시 말하면 정치란 너그러움을 먼저 베풀고, 다음 엄격함을 뒤따르도록 해야 효과가 높다는 경험론이다. ▶ 춘추시대 정(鄭) 나라의 재상 공...
23 시자조슬(視子蚤蝨)
故事成語
cyber
2004-05-18 2780 15
◐ 시자조슬(視子蚤蝨) ◑ ▶ 큰 인물을 본 후 작은 인물을 보면 벼룩이나 이처럼 작게 보인다. → 개인의 영달을 위해 훌륭한 인물을 초야에 묻히게 한다. ▶ 송 대부 자어가 공자와 송나라 태재를 만나도록 주선했다. 공자가 태재를...
22 과기(瓜期)
故事成語
cyber
2004-05-13 2934 15
◐ 과기(瓜期) ◑ ▶ 일정한 기간을 마치고 고향으로나 중앙으로 돌아오게 되다. ▶ 참외가 익을 시기란 뜻인데 어떤 직책을 띠고 멀리 객지로 나가 있는 벼슬아치들이, 일정한 기간을 마치고 고향으로나 중앙으로 돌아오게 되는 것을 가...
21 곡굉지락(曲肱之樂)
故事成語
cyber
2004-05-11 3282 14
◐ 곡굉지락(曲肱之樂) ◑ ▶ 팔을 베개 삼아 잠을 자는 속에 있는 즐거움 → 가난에 만족하여 그 속에서 즐거움을 찾는 간소한 생활. 가난하지만 정도를 걷는 삶. ▶ 논어(論語)에 보면, 공자(孔子)가 '부자가 될 수 있다면 마부노릇도...

12간지(生肖成语) : 쥐Rat鼠, 소Ox牛, 호랑이Tiger虎, 토끼Rabbit兎, 용Dragon龍, 룡Dragon龍, 뱀Snake蛇, 말Horse馬, 양Sheep羊, 원숭이Monkey猴, 닭Chicken鶏, 개Dog1狗, 개Dog2犬, 돼지Pig猪, 동물 : 여우fox狐, 코끼리Elephant象, 이리Wolf1狼, 이리Wolf2狼, 곰Bear熊, 고양이Cat猫, 사슴Deer鹿, 물고기Fish魚, 표범Leopard豹, 당나귀Donkey驴, 까마귀Crow烏, 학Crane鶴, 사마귀mantis螳螂, 식물(植物) : 꽃Flower, 풀Grass, 나무Tree1, 나무Tree2, 열매Fruit, 4계절(四季) : 봄Spring, 여름Summer, 가을Autumm, 겨울Winter, 방향(方位) : 북North, 동East, 서West, 남South, An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