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over Page
  2. 사자성어 지존찾기
  3. 成語 백과사전
  4. 삼국지 년표 & 고사성어
  5. 테마별 고사성어
  6. 인물별 고사성어
  7. 주제별 고사성어
  8. 시대별 고사성어

-----readed_count

-----Update_order

오늘 :
20,496 / 233,151
어제 :
20,066 / 256,139
전체 :
21,057,748 / 285,533,099


닷컴고사 Mobile Menu, Mobile Idioms, Cyber World Tour, 숫자로 배우는 사자성어 1(일一, 일壹) 2(이二, 이貳) 3(삼三, 삼參) 4(사四) 5(오五) 6(육六) 7(칠七) 8(팔八) 9(구九) 10(십十) 100(백百) 1,000(천千) 10,000(만萬), 이담속찬(耳談續纂), 중급사자성어2000개, 한국역사부도, 세계역사부도, 역사년표

닷컴고사/알짜배기 故事成語

고사성어 동의어/유사어/반의어 백과사전 테마별 고사성어

번호   제목 닉네임 등록일 조회 추천
Notice QnA 중국어 문장구조, 발음 설명 동영상 파일
cyber
2019-08-08 231943 11
Notice 故事成語 고사성어로 읽는 사기/손자병법/초한지/삼국... 파일
cyber
2018-04-23 253704 12
Notice 實力點檢 고사성어/속담격언 문제풀기[Idioms++ Qui...
cyber
2011-08-27 896957 16
Notice 故事成語 漢子熱風 “하늘天 따地”…선택 아닌 필...
cyber
2004-03-30 308515 573
Notice QnA QNA 게시판(글작성)에 대하여 [4]
cyber
2004-02-21 317610 330
105 가배추석 대악제야 (嘉俳秋夕 碓樂...
大東千字文
cyber
2004-03-30 6416 17
◐ 28. 가배추석 대악제야 (嘉俳秋夕 碓樂除夜) ◑ ▶ 추석에는 가배놀이를 하고, 섣달 그믐날 밤에는 방아타령을 연주했다. 嘉(아름다울 가) 俳(광대 배) 秋(가을 추) 夕(저녁 석) 碓(방아 대) 樂(풍류 악) 除(섬돌 제) 夜(밤 ...
104 형제동태 부부합환 (兄弟同胎 夫婦合歡)
大東千字文
cyber
2004-04-14 5743 12
◐ 04. 형제동태 부부합환 (兄弟同胎 夫婦合歡) ◑ ▶ 형제는 같은 배에서 태어났으며, 남편과 아내는 기쁨을 같이해야 한다. 兄(맏 형) 弟(아우 제) 同(한가지 동) 胎(아이 밸 태) 夫(지아비 부) 婦(며느리 부) 合(합할 합) 歡(기뻐할 환)...
103 흑운소거 창호쾌도 (黑雲掃去 蒼昊快睹)
大東千字文
cyber
2004-04-04 5395 153
◐ 17. 흑운소거 창호쾌도 (黑雲掃去 蒼昊快睹) ◑ ▶ 검은 구름을 쓸어버리니, 푸른 하늘을 시원하게 보게 되었다. 黑(검을 흑) 雲(구름 운) 掃(쓸 소) 去(갈 거) 蒼(푸를 창) 昊(하늘 호) 快(쾌할 쾌) 睹(볼 도)
102 위질위신 사군여친 (委質爲臣 事君如親)
大東千字文
cyber
2004-04-14 5161 13
◐ 05. 위질위신 사군여친 (委質爲臣 事君如親) ◑ ▶ 몸을 바쳐 신하가 되었으니, 임금을 부모와 같이 섬겨야 한다. 委(맡길 위) 質(바탕 질) 爲(할 위) 臣(신하 신) 事(일 사) 君(임금 군) 如(같을 여) 親(친할 친)
101 대동천자문 본문해설 3
大東千字文
cyber
2004-04-16 5064 27
대동천자문 본문해설 3 51. 兎遂換號 蛛切寓慕 토계를 드디어 퇴계로 바꾸고, 거미조차도 간절하게 사모하였다. 52. 佩鈴警輕 植鋒祛悍 방울을 차고 가벼움을 경계하고, 칼날을 세워 사나운 버릇을 없앴다. 53. 亡驗擊瓢 操譬弄卵 마음을 잃...
100 자애의독 효봉필근 (慈愛宜篤 孝奉必勤)
大東千字文
cyber
2004-04-14 5008 12
◐ 03. 자애의독 효봉필근 (慈愛宜篤 孝奉必勤) ◑ ▶ 자애는 돈독해야 하며, 효성스럽게 모시기를 힘써야 한다. 慈(사랑할 자) 愛(사랑 애) 宜(마땅할 의) 篤(도타울 독) 孝(효도 효) 奉(받들 봉) 必(반드시 필) 勤(부지런할 근)
99 인참양간 부건모곤 (人參兩間 父乾母坤)
大東千字文
cyber
2004-04-14 4829 12
◐ 02. 인참양간 부건모곤 (人參兩間 父乾母坤) ◑ ▶ 사람만이 천지사이에 참여하여, 하늘을 아버지로 하고 땅을 어머니로 한다. 人(사람 인) 參(간여할 참) 兩(두 양{량}) 間(閒(틈 한{사이 간})의 俗字) 父(아비 부) 乾(하늘 건) 母(어미 ...
98 구매기상 갈약주상 (苟昧紀常 曷若走翔)
大東千字文
cyber
2004-04-11 4419 15
◐ 07. 구매기상 갈약주상 (苟昧紀常 曷若走翔) ◑ ▶ 만약 벼리가 되는 떳떳한 도리에 어둡다면, 어찌 달리는 짐승과 나는 새만이나 하겠는가? 苟(진실로 구) 昧(새벽 매) 紀(벼리 기) 常(항상 상) 曷(어찌 갈) 若(같을 약) 走(달릴 주) ...
97 황양제묘 적상사고 (黃楊帝廟 赤裳史庫)
大東千字文
cyber
2004-04-04 4377 14
◐ 16. 황양제묘 적상사고 (黃楊帝廟 赤裳史庫) ◑ ▶ 황양동에는 황제의 사당이 있고, 적상산성에는 역사 창고가 있다. 黃(누를 황) 楊(버들 양) 帝(임금 제) 廟(사당 묘) 赤(붉을 적) 裳(치마 상) 史(역사 사) 庫(곳집 고)
96 사기각후 우여보인 (師其覺後 友與輔仁)
大東千字文
cyber
2004-04-11 4317 13
◐ 06. 사기각후 우여보인 (師其覺後 友與輔仁) ◑ ▶ 스승은 후인들을 깨우쳐야 하며, 벗은 함께 어짐을 도와야 한다. 師(스승 사) 其(그 기) 覺(깨달을 각) 後(뒤 후) 友(벗 우) 與(줄 여) 輔(덧방나무 보) 仁(어질 인)
95 청구승경 백두웅거 (靑邱勝境 白頭雄據)
大東千字文
cyber
2004-04-07 4304 29
◐ 15. 청구승경 백두웅거 (靑邱勝境 白頭雄據) ◑ ▶ 청구의 빼어난 곳에, 백두산이 웅장하게 자리잡고 있다. 靑(푸를 청) 邱(땅 이름 구) 勝(이길 승) 境(지경 경) 白(흰 백) 頭(머리 두) 雄(수컷 웅) 據(의거할 거)
94 칠추내부 팔조외박 (七酋內附 八條外薄)
大東千字文
cyber
2004-04-07 4100 12
◐ 11. 칠추내부 팔조외박 (七酋內附 八條外薄) ◑ ▶ (여진의) 일곱 추장이 우리나라에 붙으니, 여덟 조목의 법이 나라 바깥에까지 미치게 되었다. 七(일곱 칠) 酋(두목 추) 內(안 내) 附(붙을 부) 八(여덟 팔) 條(가지 조) 外(밖 외) 薄...
93 일환조선 이성단기 (一丸朝鮮 二聖檀箕)
大東千字文
cyber
2004-04-11 4096 12
◐ 08. 일환조선 이성단기 (一丸朝鮮 二聖檀箕) ◑ ▶ 탄알처럼 조그마한 조선에, 단군과 기자라는 두 성인이 있었다. 一(한 일) 丸(알 환) 朝(아침 조) 鮮(고울 선) 二(두 이) 聖(성스러울 성) 檀(박달나무 단) 箕(키 기)
92 오야탄병 육진광척 (五耶呑幷 六鎭廣拓)
大東千字文
cyber
2004-04-11 4034 13
◐ 10. 오야탄병 육진광척 (五耶呑幷 六鎭廣拓) ◑ ▶ 다섯 가야를 모두 삼키고, 여섯 진영을 개척하여 넓혔다. 五(다섯 오) 耶(어조사 야) 呑(삼킬 탄) 幷(어우를 병) 六(여섯 육{륙}) 鎭(진압할 진) 廣(넓을 광) 拓(주울 척)
91 압록토문 분령건비 (鴨綠土門 分嶺建碑)
大東千字文
cyber
2004-04-04 3954 41
◐ 18. 압록토문 분령건비 (鴨綠土門 分嶺建碑) ◑ ▶ 압록강과 토문강의, 분수령에다 비석을 세웠다. 鴨(오리 압) 綠(초록빛 록{녹}) 土(흙 토) 門(문 문) 分(나눌 분) 嶺(재 령{영}) 建(세울 건) 碑(돌기둥 비)
90 구성정역 십도진병 (九城定城 十圖進屛)
大東千字文
cyber
2004-04-07 3942 15
◐ 12. 구성정역 십도진병 (九城定城 十圖進屛) ◑ ▶ 아홉 성을 설치하야 국경을 정하고, 열 폭의 그림을 병풍에 그려 임금에게 올렸다. 九(아홉 구) 城(성 성) 定(정할 정) 域(지경 역) 十(열 십) 圖(그림 도) 進(나아갈 진) 屛(병풍 병...
89 봉웅흉배 반령각대 (鳳熊胸背 盤領角帶)
大東千字文
cyber
2004-04-04 3826 29
◐ 20. 봉웅흉배 반령각대 (鳳熊胸背 盤領角帶) ◑ ▶ 봉새와 곰의 그림을 가슴과 등에 붙이고, 동정을 달고 각띠를 둘렀다. 鳳(봉새 봉) 熊(곰 웅) 胸(가슴 흉) 背(등 배) 盤(소반 반) 領(옷깃 령{영}) 角(뿔 각) 帶(띠 대)
88 동노근사 현수속록 (東魯近思 賢粹續錄)
大東千字文
cyber
2004-03-20 3661 21
◐ 48. 동노근사 현수속록 (東魯近思 賢粹續錄) ◑ ▶ 우리나라의 근사록은, 어질고 순수한 분들의 말씀이 곧 근사록 속록이다. 東(동녘 동) 魯(노둔할 노{로}) 近(가까울 근) 思(생각할 사) 賢(어질 현) 粹(순수할 수) 續(이을 속) 錄(기록할...
87 독립무구 영예극종 (獨立無懼 永譽克終)
大東千字文
cyber
2004-02-26 3591 13
◐ 125. 독립무구 영예극종 (獨立無懼 永譽克終) ◑ ▶ 홀로서서 두려워하지 않으니(周易 大過卦), 오래도록 명예롭고 끝이 좋으리라.(詩經 周頌) 獨(홀로 독) 立(설 립{입}) 無(없을 무) 懼(두려워할 구) 永(길 영) 譽(기릴 예) 克(이길 극) ...
86 척비정렬 촌지회건 (隻臂呈烈 寸指悔愆)
大東千字文
cyber
2004-03-10 3591 30
◐ 72. 척비정렬 촌지회건 (隻臂呈烈 寸指悔愆) ◑ ▶ (김남주의 처 기씨는) 한쪽 팔로 정조를 드러내고, (맹사성 망우지처는) 한 마디 손가락으로 허물을 뇌우쳤네. 隻(새 한 마리 척) 臂(팔 비) 呈(드릴 정) 烈(세찰 렬{열}) 寸(마디 촌...
85 경술옥사 신산미타 (庚戌屋社 辛酸未妥)
大東千字文
cyber
2004-03-24 3575 23
◐ 41. 경술옥사 신산미타 (庚戌屋社 辛酸未妥) ◑ ▶ 경술년에 왕실이 망하여 집안으로 되었으니, 괴롭고 편안하지 못하였다. 庚(일곱째 천간 경) 戌(개 술) 屋(집 옥) 社(토지의 신 사) 辛(매울 신) 酸(초 산) 未(아닐 미) 妥(온당할 타)...
84 폐양난모 투수면말 (蔽陽煖帽 套袖綿襪)
大東千字文
cyber
2004-04-01 3542 32
◐ 22. 폐양난모 투수면말 (蔽陽煖帽 套袖綿襪) ◑ ▶ 머리에는 폐양(패랭이)과 추위를 막는 난모를 쓰며, 손목에는 투수(토시)를 차고 발에는 솜버선을 신는다. 蔽(덮을 폐) 陽(볕 양) 煖(따뜻할 난) 帽(모자 모) 套(덮개 투) 袖(소매 수) ...
83 백제구려 서벌통균 (百濟句麗 徐伐統均)
大東千字文
cyber
2004-04-07 3522 21
◐ 13. 백제구려 서벌통균 (百濟句麗 徐伐統均) ◑ ▶ 백제와 고구려를, 서라벌이 하나로 통일하였다. 百(일백 백) 濟(건널 제) 句(글귀 구) 麗(고울 려{여}) 徐(천천할 서) 伐(칠 벌) 統(큰 줄기 통) 均(고를 균)
82 초립연영 소학동명 (草笠蓮纓 小學童名)
大東千字文
cyber
2004-04-01 3515 14
◐ 24. 초립연영 소학동명 (草笠蓮纓 小學童名) ◑ ▶ 풀로 엮은 삿갓을 쓰고 연밥을 꿰어 만든 갓끈을 매고, 소학동자로 이름을 삼았다. 草(풀 초) 笠(우리 립{입}) 蓮(연밥 연{련}) 纓(갓끈 영) 小(작을 소) 學(배울 학) 童(아이 동) 名...
81 개경한도 공석교수 (開京漢都 孔釋敎殊)
大東千字文
cyber
2004-04-07 3435 19
◐ 14. 개경한도 공석교수 (開京漢都 孔釋敎殊) ◑ ▶ 개경과 한양은, 공자와 석가를 받들어 종교가 달랐다. 開(열 개) 京(서울 경) 漢(한수 한) 都(도읍 도) 孔(구멍 공) 釋(풀 석) 敎(가르침 교) 殊(죽일 수)
80 석경청향 죽교혈응 (石磬淸響 竹橋血凝)
大東千字文
cyber
2004-03-26 3400 39
◐ 37. 석경청향 죽교혈응 (石磬淸響 竹橋血凝) ◑ ▶ 돌종 소리는 맑게 울리고, 선죽교에는 피가 엉기었네. 石(돌 석) 磬(경쇠 경) 淸(맑을 청) 響(울림 향) 竹(대 죽) 橋(다리 교) 血(피 혈) 凝(엉길 응)
79 회헌창서 포은계촉 (晦軒倡緖 圃隱繼燭)
大東千字文
cyber
2004-03-24 3346 14
◐ 44. 회헌창서 포은계촉 (晦軒倡緖 圃隱繼燭) ◑ ▶ 안유는 실마리를 일으키고, 포은이 촛불을 이었네. 晦(그믐 회) 軒(추녀 헌) 倡(여광대 창) 緖(실마리 서) 圃(밭 포) 隱(숨길 은) 繼(이을 계) 燭(촛불 촉)
78 극기특색 가지감리 (極旗特色 加之坎離)
大東千字文
cyber
2004-04-04 3337 29
◐ 19. 극기특색 가지감리 (極旗特色 加之坎離) ◑ ▶ 감괘와 이괘를 더한 것이다. 極(다할 극) 旗(기 기) 特(수컷 특) 色(빛 색) 加(더할 가) 之(갈 지) 坎(구덩이 감) 離(떼놓을 리{이})
77 해미지식 구혁면목 (蟹尾知識 狗革面目)
大東千字文
cyber
2004-02-29 3321 21
◐ 109. 해미지식 구혁면목 (蟹尾知識 狗革面目) ◑ ▶ 게 꼬리 같은 지식, 개 가죽을 쓴 얼굴. 蟹(게 해) 尾(꼬리 미) 知(알 지) 識(알 식) 狗(개 구) 革(가죽 혁) 面(낯 면) 目(눈 목)
76 해송구죄 신리평반 (亥訟構罪 申理平反)
大東千字文
cyber
2004-03-24 3312 21
◐ 43. 해송구죄 신리평반 (亥訟構罪 申理平反) ◑ ▶ 기해년 예론의 다툼으로 죄를 받았다가, 다시 다스림에 의하여 바르게 되었다. 亥(돼지 해) 訟(송사할 송) 構(얽을 구) 罪(허물 죄) 申(아홉째 지지 신) 理(다스릴 리) 平(평평할 평) ...
75 병인양요 정유재략 (丙寅洋擾 丁酉再掠)
大東千字文
cyber
2004-03-26 3288 47
◐ 39. 병인양요 정유재략 (丙寅洋擾 丁酉再掠) ◑ ▶ 병인년에 서양이 시끄럽게 하고, 정유년에 다시 노략질하였네. 丙(남녁 병) 寅(세째 지지 인) 洋(바다 양) 擾(어지러울 요) 丁(네째천간 정) 酉(닭 유) 再(두 재) 掠(노략질할 략{약})
74 패장연관 안칠석완 (貝粧煙管 案漆席莞)
大東千字文
cyber
2004-02-27 3269 13
◐ 118. 패장연관 안칠석완 (貝粧煙管 案漆席莞) ◑ ▶ (진남 동래)패물과 담뱃대요, (나주) 칠을 칠한 상과 (강화,옥과)왕골자리라. 貝(조개 패) 粧(단장할 장) 煙(연기 연) 管(피리 관) 案(책상 안) 漆(옻 칠) 席(자리 석) 莞(왕골 완)

12간지(生肖成语) : 쥐Rat鼠, 소Ox牛, 호랑이Tiger虎, 토끼Rabbit兎, 용Dragon龍, 룡Dragon龍, 뱀Snake蛇, 말Horse馬, 양Sheep羊, 원숭이Monkey猴, 닭Chicken鶏, 개Dog1狗, 개Dog2犬, 돼지Pig猪, 동물 : 여우fox狐, 코끼리Elephant象, 이리Wolf1狼, 이리Wolf2狼, 곰Bear熊, 고양이Cat猫, 사슴Deer鹿, 물고기Fish魚, 표범Leopard豹, 당나귀Donkey驴, 까마귀Crow烏, 학Crane鶴, 사마귀mantis螳螂, 식물(植物) : 꽃Flower, 풀Grass, 나무Tree1, 나무Tree2, 열매Fruit, 4계절(四季) : 봄Spring, 여름Summer, 가을Autumm, 겨울Winter, 방향(方位) : 북North, 동East, 서West, 남South, An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