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이반이(出爾反爾/出尔反尔) ◑ chū ěr fǎn ěr 

▶ 出 날 출 尔 너/말이을 이 反 돌이킬 반 尔 이
 
▶ 상대를 대하는 자세에 따라 그와 같은 대접을 받게 됨을 이르는 말 로 쓰였지만 지금은 '자기가 한 말 혹은 일을 스스로 부인하는 변덕스러운 행위'를 이른다. 이랬다 저랬다 하다. 언행이 앞뒤가 서로 모순되고 신의가 없다. 尔:你;反:同“返”;回。原指你怎样对付人家;人家就会怎样对待你。现多指自己说了或做了后;又自己反悔。比喻言行前后自相矛盾;反复无常。 go back on one's words

出尔反尔和“反复无常”都形容常常变卦。但出尔反尔偏重在说话上;指说话前后不一致或说话不算数;“反复无常”偏重在表现上;强调行为变化无常。
 
▶ 전국시대의 두 약소국이었던 추(鄒)나라와 노(魯)나라가 전쟁을 하게 되었다. 참전한 병사 수로 보나 군사 위력으로 보나 두 나라는 우열을 가릴 수 없었다. 적어도 추나라 목공은 그렇게 생각했다. 
  
그러나 전쟁이 시작되자마자 추나라는 장교 33명을 잃고 나머지 병사들도 모두 뿔뿔이 도망쳤다. 게다가 홀로 적군과 맞서던 장수마저 노군에 의해 처참하게 살해당하면서 결국 참패하고 말았다. 

싸움에서 진 추목공은 몹시 분개했다. 자신의 군수가 살해되는 것을 보고도 목숨을 살리고자 도망간 병사들이 괘씸하기 이를 데 없었다. 

추목공은 학자 맹자를 찾아가 그 이유를 물었다. 

"이번 전쟁은 반드시 승리할 것으로 예상했소. 아니… 설령 패한다고 하더라도 이렇게 빨리 끝날 줄은 꿈에도 생각지 못했지. 그것도 이렇게 참혹하게 말이오. 전사한 장교만도 30여 명, 더욱 유감인 것은 장교들을 위해 죽은 병사가 단 한명도 없다는 것이오. 도망간 자들을 모조리 잡아들여 사형에 처하고 싶지만 그러자니 그 수가 너무 많고 그냥 내버려 두자니 앞으로 또다시 이와같은 사태가 일어날까 두렵소. 이를 어쩌면 좋소? " 

그러자 맹자가 대답했다. 

"공자의 제자인 증자가 말했습니다. '삼가고 또 삼가라. 출호이자(出乎爾者), 반호이자야(反乎爾者也). 너에게서 나온 것은 반드시 너에게로 돌아온다.' 

"선생께서는 지금 과인을 탓하는 것이오?" 추목공이 되물었다. 

"제가 어찌 감히…" 맹자가 말을 이었다. "폐하께서는 추나라에 흉년에 기근이 들었던 그 해를 기억하실는지요. 천정부지로 치솟는 쌀값에 백성은 굶어죽고 노약자의 시신이 황야에 나뒹굴어도 묻어주는 사람조차 없었습니다. 건장한 청년들은 사방으로 흩어져 갈 곳을 잃었는데 그 수가 수천 명이나 되었습니다. 그때 폐하께서는 어디서 뭘하고 계셨습니까? 군주의 곳간에는 곡식이 가득 차고 부고에는 재물이 넘쳤으며 폐하는 그 속에서 호의호식하지 않으셨습니까? 탐관오리들이 입을 닫고 혀를 감추고 있었으니 폐하께서는 천하가 태평하다고만 여겼을 테지요. 백성의 고통에 무심하셨던 폐하께서 이제와서 백성더러 목숨 걸고 나라를 지키기를 바라는 것은 지나친 욕심입니다. 저 백성은 오늘날에야 복수의 기회를 만난 것이니 화살이 폐하를 겨누지 않음을 다행으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들을 탓하지 마십시오. " 

"그렇다면 과인이 어찌해야 한단 말이오?" 

목공이 묻자 맹자가 말했다. "어진 정치를 행하고 백성을 보살피면 그들도 자연히 윗사람을 친애할 것이며 전쟁에서도 기꺼이 목숨을 내놓을 것입니다." 

그제야 깨달은 목공은 그후 어진 정치를 펼쳐 추나라를 점차 강성으로 이끌었다. 

사자성어 "출이반이"는 원래 "상대를 대하는 자세에 따라 그와 같은 대접을 받게 됨"을 이르는 말로 사용되었지만 명나라 말 이후의 백화소설에서 표현되는 의미는 크게 달라졌다. 오늘날에는 "자기가 한 말 혹은 일을 스스로 부인해 나서는 변덕스러운 행위를 이른다. 즉 "변덕을 부리다", "이랬다저랬다 하다"의 뜻으로 자주 쓰인다. 
 
[출전] 맹자(孟子) 양혜왕 하(梁惠王 下)
 
▶ 战国时,有一年邹国与鲁国发生了战争。邹国吃败仗,死伤了不少将士。邹穆公很不高兴,问孟子道:“在这次战争中,我手下的官吏被杀死了三十三个,可是老百姓却没有一个为他们去拼命的,他们眼看长官被杀,而不去营救,可恨得很。要是杀了这些人吧,他们人太多,杀也杀不完;要是不杀吧,却又十分可恨。您说该怎么办才好呢?”

  孟子回答说:“记得有一年闹灾荒,年老体弱的百姓饿死在山沟荒野之中,壮年人外出逃荒的有千人之多,而大王的粮仓还是满满的,国库也很充足,管钱粮的官员并不把这严重的灾情报告给您。他们高高在上,不关心百姓的疾苦,而且残害百姓。”

  孟子在回顾了这辛酸的往事后,接着又说:“您记得孔子的弟子曾子说过的话吗?他说,要警惕呀!你怎样对待别人,别人也如何对待你。如今百姓有了一个报复的机会,就要用同样的手段来对待那些长官了。” 孟子最后告诉邹穆公说:“所以,大王不要去责怪他们、惩罚他们。如果实行仁政,您的百姓就会爱护他们的长官,并且愿意为他们献出生命。”

[출전] 先秦 孟轲《孟子 梁惠王下》:“曾子曰:‘戒之戒之!出乎尔者,反乎尔者也。’”

[동의어] 반복무상(反复无常), 번운부우(翻云覆雨)

[반의어] 설일부이(说一不二), 시종부유(始终不渝), 언행일치(言行一致), 일언위정(一言为定), 일언위중(一言为重)



※) 20200522_youtube.jpg 사자성어 성어TV성어낭독, 성어퀴즈



한국 Korea Tour in Subkorea.com Road, Islands, Mountains, Tour Place, Beach, Festival, University, Golf Course, Stadium, History Place, Natural Monument, Paintings, Pottery, K-jokes, UNESCO Heritage, 중국 Chin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J-Cartoons, 일본 Japan Tour in Subkorea.com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E-jokes, 인도 Indi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UNESCO Heritage, Tour Place,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Pain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