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창설안(螢窓雪案/萤窗雪案) ◑ yíng chuāng xuě àn

▶ 螢 : 반딧불 형 窓 : 창 창 雪 : 눈 설 案 : 책상 안

▶ 반딧불이 비치는 창과 눈(雪)이 비치는 책상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가운데서도 학문에 힘씀을 비유한 말. 갖은 고생을 하며 학문을 닦다. 为勤学苦读的典实。

▶ 중국(中國) 역사상 12열국 중 하나인 동진(東晋)은 귀족 문화가 어느 나라 보다도 개화한 나라였다. 시(詩)에서는 유명한 도잠(陶潛-陶淵明), 회화(繪畵)에는 고개지(顧愷之), 서(書)에는 왕희지(王羲之) 등이 활약하여 훌륭한 문화 업적을 남긴 나라이다.

이 동진(東晋)에 차윤(車胤)이라는 선비가 있었다. 字(자)가 武子(무자)라 했는데, 그는 어려서부터 태도가 공손하고 부지런하여 온갖 책을 많이 읽었다. 그러나 집안이 가난하여 독서할 때 밝힐 등불의 기름을 구하지 못하는 형편이었다.

그래서 車胤은 여름이 되면 깨끗한 비단 주머니를 만들어 그 속에다 수십 마리의 개똥 벌레(螢)를 잡아 넣고 밤이 되면 이것으로 책을 비추어 가며 읽기를 계속했다 그리하여 螢窓(형창)이란 말이 나왔으며, 그 결과 후에 벼슬이 尙書郞(상서랑:皇帝의 측근에서 조서를 맡음)에 이르렀다.

또 같은 시대에 손강(孫康)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젊어서부터 性情(성정)이 말고 깨끗하여 세상 사람들과 어울림에 잡스런 데가 없었다. 그러나 집안 형편이 어려워 등불을 밝힐 기름이 없었다. 할 수 없이 겨울이면 눈(雪)에 비추어서 책을 부지런히 읽었다. 그 결과 뒤에 벼슬이 御史大夫(어사대부:대사헌)에 이르렀다. 현재 책상을 雪案(설안)이라 함은 여기에서 유래한다.

[출전] 진서(晉書) 車胤·孫康傳

▶ [출전] 《晋书 车胤传》: “胤恭勤不倦, 博学多通。家贫不常得油,夏月则练囊盛数十萤火以照书,以夜继日焉。” 《初学记》卷二引《宋齐语》: “孙康家贫,常映雪读书。”

[예문] 暗想小生萤窗雪案,刮垢磨光,学成满腹文章,尚在湖海飘零。元 王实甫 《西厢记》 第一本第一折.

[동의어] 형설지공(萤雪之功), 영설낭형(映雪囊萤), 형등설옥(萤灯雪屋)

[반의어] 부학무술(不学无术), 무소사사(无所事事)



※) 20200522_youtube.jpg 사자성어 성어TV성어낭독, 성어퀴즈



한국 Korea Tour in Subkorea.com Road, Islands, Mountains, Tour Place, Beach, Festival, University, Golf Course, Stadium, History Place, Natural Monument, Paintings, Pottery, K-jokes, UNESCO Heritage, 중국 Chin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J-Cartoons, 일본 Japan Tour in Subkorea.com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E-jokes, 인도 Indi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UNESCO Heritage, Tour Place,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Pain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