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의 한글성경
  2. 오늘의 WEB성경
  3. 성경백과사전
  4. 관련서적들

-----Readed_count

-----Update

오늘 :
20,225 / 212,465
어제 :
20,066 / 256,139
전체 :
21,057,477 / 285,512,413
Mobile Bible, Bible Dictionary, Mobile iWorship, 구글Map 성경66권 사전 : -()-()--()-(,)-(,)-(,)-()--중간-(...)-

성경관련 백과사전 & Morrish Bible Dictionary

+ Blue Letter Bible/KJV + 개역한글 성경구절

성경 백과사전 테마별 (구약OT, 신약NT), 성경만화, 요리문답,
영어성경보기, 개역한글성경보기, NEWS, 어!성경
Morrish성경사전 (최신등록), WB.Study, 성경권별 지명연구(지도포함), 인물탐방 각종테마별 - 무게.길이.화폐, 12보석, 유대월력, 동물, (Birds), 식물, 나무, , Miracles(구약, 신약), 613율법Mitzvot, 이방신, 하나님, Tip: 영문장.절위로 커서를 옮기면 해당 KJV 성경 영문구절이 펼처집니다. (Gen. 1:1; Rev. 22:21;)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추천 등록일
Notice 공지 성경 속 전쟁 연대기 (The War Chronicles in the B... 파일
cyber
37702 2 2019-03-05
Notice 공지 TIDWELL BIBLE 21 연대표
jesus
71187 1 2016-12-14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NT 신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7188 1 2016-02-21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OT 구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7440 1 2016-02-21
Notice 공지 성경백과사전 권별.장별[Chapter] 관련내용보기 파일
jesus
85426 1 2015-05-04
8 목욕통(Washpot)
기타
jesus
416 1 2018-11-14
▶ 목욕통 Washpot. Twice used by the Psalmist in the sentence, "Moab is my washpot." Ps. 60:8; Ps. 108:9. Moab is to be brought down to the lowest servile subjection. (시060:8 모압은 내 목욕통이라 에돔에는 내 신을 던지리라 블레셋아 나를 인하여 외치라 하셨도다 (시108:9 모압은 내 목욕통이라 에돔에는 내 신을 던질지며 블레셋 위에서 내가 외치리라 하셨도다 --- Morrish Bible Dictionary
7 숙곳 골짜기(Valley of Succoth)
지명
jesus
1829   2011-09-13
▶ 숙곳 골짜기(Valley of Succoth) 하나님이 그의 성소에서 말씀하시되 내가 기뻐하리라 내가 세겜을 나누며 숙곳 골짜기를 측량하리라 (시108:7 lt=32.1999829&ln=35.633313
6 에돔(Edom)
지명
jesus
3694 4 2007-01-02
▶ 에돔(Edom) 뜻: 붉다 이곳 주민은 에서의 자손이었다. 후에 호리 족속이 입주하는 것을 주 전 13세기에 에돔인이 그를 멸하고 그곳에 나라를 세웠다는 사실이 최근에 고고학적 발견으로 밝혀졌다. (1) 이스라엘과는 혈통 관계가 있으나 출애굽시에 그 국내 통과를 불허함 (민20:14-(민21:4). (2) 다윗때에 한번 정복되었다(왕하14:7). (3) 다시 반역할 때 아마샤가 정복하였다(왕하14:7). (4) 예루살렘 멸망시에는 적에게 가담하여 유대의 성읍들을 점령하였다 (애04:21, (겔36:). (5) 선지자들은 그들의 이스라엘에 대한 지독한 복수심을 엄히 책망하고 예언하였다(사34:5-15, (사63:1-6, (렘49:7-12, (겔25:14, (욜03:19, (암01:11-12). 지금의 트란스요단 국이다. (창32:3, (창36:16, (출15:15, (민20:14, (민21:4, (민24:18, (민33:37, (민34:3, (수15:1, (삿05:4, (삿11:17, (삼상14:47, (삼하08:12, (왕상09:26, (왕상11:14, (왕상22:47, (왕하03:8, (왕하08:20, (왕하14:10, (대상01:43, (대상18:11,(대하08:17, (대하20:2, (대하21:8, (대하25:19, (시060:1, (시083:6, (시108:9, (사11:14, (사34:5, (사63:1, (렘09:26, (렘25:21, (렘27:3, (렘40:11, (렘49:7, (애04:21, (겔25:12, (겔32:29, (겔35:15, (겔36:5, (단11:41, (욜03:19, (암01:6, (암02:1, (암09:12, (옵01:1, (말01:4 lt=30.73469&ln=35.6062
5 세겜(Shechem)
지명
jesus
4205 7 2006-12-30
▶ 세겜(Shechem) 뜻 : 언덕 예루살렘 북쪽 약 49km 지점 떨어진 그리심산과 에발산 사이(삿09:7). 아랍인들은 나블루스(Nablus)라고 한다. 세겜의 중앙지대에서 발굴된 돌로 쌓은 제단이다. 아브라함은 이곳에서 하나님으로부터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을 주신다는 약속을 받았다. 오른쪽 위의 제단에 세워진 돌기둥은 여호수아의 유적비다. (1) 아브라함이 하란을 떠나 처음으로 멈춘 곳(창12:6) (2) 야곱이 밧단 아람에서 귀환하던 중 세겜 성 앞에서 장막을 쳤고 단을 샇은곳(창33:18, 19, (창34:2). (3) 도피성 중의 하나였다(수17:7). (4) 북쪽 지파들이 르호보암을 그들의 왕으로 추대하여 분열 왕조를 만든곳(왕상12:1-19, (대하10:장). 세겜에서 일어난 일(1), (창세기 (창34:1-13) 야곱이 고향으로 가는 길이 순탄치 않습니다. 너무 힘들던 문제인 에서의 분노를 잠재우고 나니 이젠 있어서는 안 될 가정의 어려운 사건이 발생합니다. 야곱 일행이 세겜 땅에 머물고 있는 동안, 딸 디나가 세겜에게 성폭행을 당하는 어처구니없는 사건이 벌어집니다. 디나를 좋아하기 때문에 세겜이 청혼을 하지만 그리 단순하게 끝나질 않습니다. 급기야 이 사건은 디나의 오라비들이 세겜 땅을 살육하는 복수극으로 끝납니다. 오늘 본문은 한 사건을 다루고 있지만 전장 말씀을 다 살피기에는 시간이 요하여, 오늘은 앞부분을 중심으로 살피도록 하겠습니다. 왜 이런 일이 있어났는지, 이런 사건을 맞는 야곱의 대응은 어떠한지, 또 일을 어렵게 만든 장본인인 세겜성 사람들은 어떻게 이 사건을 풀려하는지 등을 살피며 주님께서 하시는 메시지를 들으려 합니다. 디나의 실수 왜 이런 불상사가 벌어졌습니까? 두 가지로 그 요인을 말할 수 있습니다. 먼저 디나의 실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디나가 세겜성의 문물이나 유행이 몹시도 궁금했던 모양입니다. (1절)에 "디나가 그 땅 여자를 보러 나갔더니"라고 했습니다. 디나는 요셉의 누이이므로(창30:21) 그녀 나이가 17세쯤으로 추정됩니다. 한참 세상에 관심이 있을 나이입니다. 그러나 그의 호기심이 얼마나 큰 참상이 되었는지 끔찍한 일입니다. 당시 세겜 마을에서는 여자들이 베푼 잔치가 있었습니다. 이런 사교모임에는 여자들이 옷을 잘 입고 나오고, 또한 춤을 추는 등 즐거운 행사들이 있었는데, 디나가 이런데 유혹을 받은 것입니다. 그래서 성경은 '보러 나갔다'고 합니다. 보러만 나간 게 아니라 '보이러 나갔다'고 해도 잘못 됨이 아닐 겁니다. 보러 나갔던 보이러 나갔던 여기서부터 잘못이 시작되었습니다. 다윗이 밧세바를 범하는 것도,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따먹는 것도 보는 것으로 말미암았습니다. 그래서 성경은 (고후04:18) "우리의 돌아보는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니요 보이지 않는 것이니 보이는 것은 잠깐이요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함이니라"고 하고, 또 (고후05:7) "이는 우리가 믿음으로 행하고 보는 것으로 하지 아니함이로라"고 합니다. 보이는 게 다가 아닙니다. 젊은이들이 눈으로 보는 것 때문에 갖는 호기심과 허영심은 예나 지금이나 문젯거리가 아닐 수 없습니다. 또 하나의 요인은 야곱의 행로변경입니다. 비록 세겜성은 야곱의 일행이 장막을 치고 머물고 있지만 그곳은 야곱이 살려고 하는 땅은 아닙니다. 야곱은 브엘세바로 가려고 여정을 떠난 것입니다. 그러나 브엘세바로 가지 않고 에서를 만난 후 행로를 요단 강 쪽으로 틀어 세겜에 이른 것입니다. 히위족속인 하몰이 이 성을 세우고 자신의 아들 이름인 세겜이라 부른 땅입니다. 예루살렘에서 58km쯤 떨어진 에발 산 근처인 지역입니다. 야곱의 예정하지 않은 진로 변경이 이런 엄청난 사건을 초래할 줄 몰랐을 것입니다. 그는 하란에서 서원한 대로 벧엘로 갔다면(창28:19-22) 이런 일은 없었을 것인데, 나중에야 벧엘로 갑니다.(창35:1) 그 때는 이미 어마어마한 사건을 경험한 후였습니다. 우리도 후회하고 나서야 진로를 변경하지 말고 주님 정해주신 진로를 따라 생을 살아야 합니다. 세겜이 청혼 세겜은 디나를 욕보이고는 그녀에게 청혼을 합니다. (3절) "그 마음이 깊이 야곱의 딸 디나에게 연련하며 그 소녀를 사랑하여 그의 마음을 말로 위로하고" 이 구절만 보면 분명히 세겜은 디나를 사랑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그 사랑은 아버지 하몰에게 야곱 집안에 청혼을 넣어달라고 요청합니다. 아무 문제없는 듯 보이지만 잘못된 청혼입니다. 첫째로는 순서가 잘못되었습니다. 청혼이 성사되고 결혼을 한 후에 할 일을 먼저 저질렀습니다. 둘째는 그 정욕이 문제입니다. 물론 순서를 어긴 것이 바로 그 정욕 때문이지만 말입니다. 사랑이 있으면 용서될 상황이 아닙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사랑하면 그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습니다. 어떤 도덕적 가치라도 그 순서와 절차를 무시하면 그 가치를 상실하는 법입니다. 그리고 그 사랑이란 것도 의심의 여지가 있습니다. '연련하며'는 '정신을 다하여, 영혼이 깊이 빠져'란 뜻인데 잠깐 보고 그리 연련한다는 것은 쉽게 붙은 열정일 수밖에 없습니다. 사랑이라기보다는 정욕에 사로잡힌 감정이라고 함이 옳습니다. 정욕에 이끌려 분별 없이 하는 결혼이 행복을 가져다 줄 리가 없습니다. 그러나 이들의 청혼은 정중하였습니다. 하몰은 여러 번 거듭하여 정중한 태도로 청혼을 하였습니다. (8절) "하몰이 그들에게 이르되 내 아들 세겜이 마음으로 너희 딸을 연련하여 하니 원컨대 그를 세겜에게 주어 아내를 삼게 하라" (12절) "이 소녀만 내게 주어 아내가 되게 하라 아무리 큰 빙물과 예물을 청구할지라도 너희가 내게 말한 대로 수응하리라" 이미 엎질러진 물이니 사태를 원만히 수습하자는 것이지요. 자기 아들이 사랑하는 디나만 시집보내 준다면 어떤 큰 요구라도 들어주고 서로 돕고 사는 사이가 되게 할 것이라는 말입니다. 당신 얹혀 사는 야곱에게 이만한 제안이 또 어디 있습니까? 그러나 이 청혼은 야곱의 가족이 받아드릴 수 없는 청혼입니다. 그는 이방인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사람이 이방인과 결혼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그 이유는 혼혈아의 탄생을 두려워해서가 아니고 혼합종교의 탄생을 우려해서입니다. 하나님께서 가장 싫어하시는 게 바로 이방인의 신을 섬기는 것입니다. (신07:3,4) "또 그들과 혼인하지 말지니 네 딸을 그 아들에게 주지 말 것이요 그 딸로 네 며느리를 삼지 말 것은 그가 네 아들을 유혹하여 그로 여호와를 떠나고 다른 신들을 섬기게 하므로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진노하사 갑자기 너희를 멸하실 것임이니라" 아무리 사랑해도 불가능한 일입니다. 야곱의 대처 디나의 사건에 대하여 야곱과 그 아들들의 대처방법이 전혀 다릅니다. 물론 결국 아들들의 대처방법으로 문제가 번져나가게 되었지만, 여기서 우리는 어려움을 당했을 때 어떻게 대처함이 옳은 건지를 배워야 합니다. (5절) "야곱이 그 딸 디나를 그가 더럽혔다 함을 들었으나 자기 아들들이 들에서 목축하므로 그들의 돌아오기까지 잠잠하였고" 이 짧은 구절이 야곱의 대처모습을 잘 보여줍니다. 야곱은 디나가 세겜에게 욕을 보이고 또 감금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러나 즉시 분노의 행동을 취하지 않습니다. 그의 아들들은 좀 다르지요. (7절) "야곱의 아들들은 들에서 이를 듣고 돌아와서 사람 사람이 근심하고 심히 노하였으니 이는 세겜이 야곱의 딸을 강간하여 이스라엘에게 부끄러운 일 곧 행치 못할 일을 행하였음이더라" 같은 사건이지만 똑같이 대처하지 않습니다. 아들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습니다. 그래서 실은 나중에 할례라는 꾀를 내 세겜성을 살육하지 않습니까. 분노는 복수극을 불러옵니다. 분노는 죄가 아니지만 죄로 갈 확률이 높습니다. 야곱은 즉시 그 분노를 표현하지 않습니다. 세상에서 다가오는 어려운 문제와 불행한 일들에 항상 분노하기만 한다면 그 문제는 좀처럼 풀리지 않을 것입니다. 어떤 일에 침착하게 대처하면 그렇지 못하고 서두는 것보다 해결할 확률이 높습니다. (약05:13) "너희 중에 고난 당하는 자가 있느냐 저는 기도할 것이요 즐거워하는 자가 있느냐 저는 찬송할지니라" 맞습니다. 주님의 뜻을 바라며 기도하는 인내가 성도들에게 필요합니다. (김학현 목사) => 도피성 동쪽 : 골란, 길르앗 라못, 베셀 / 서쪽 : 게데스, 세겜, 헤브론 (창12:6, (창33:18, (창35:4, (창37:12, (수17:7, (수20:7, (수21:21, (수24:1, (삿08:31, (삿09:1, (삿21:19, (왕상12:1, (대상06:67, (대상07:28, (대하10:1, (시060:6, (시108:7, (렘41:5, (호06:9, (행07:16 lt=32.2136&ln=35.28179
4 블레셋(Philistines, Philistia, Philistim) 파일
지명
jesus
4944 5 2006-12-30
▶ 블레셋(Philistines, Philistia, Philistim) B.C 1190년 애굽에서 라암셋 3세에게 패배당하여 팔레스틴의 갈멜산 이남의 연안 평원에 정착했다. 영토는 욥바로부터 가사의 남쪽까지 이르는 서남부 팔레스틴의 해안 평야였다. 이지방이 블레셋이라 불리게 되고 또한 가나안 전토가 팔레스틴이라 불리게 된점도 이 블레셋 사람에 의해서 기원한다. 그들의 우상은 마루나(물고기의 신) 혹은 아스다롯 등을 예배한다.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 침입 이래 적대국으로서 여러가지 복잡한 관계를 가졌던 민족. 이 민족은 B.C 1200년경 수아시아의 서남 해안 에에게 바다 여러섬으로부터 지중해 연안을 소란케 하고 애굽까지 그 세력을 뻗힌 해양 민족이다. (1) 그레데(갑돌)섬에서 나왔다고 전한다(신02:23 (암02:7). (2) 이 민족은 비 셈족으로서 할례를 행치 않는다(삼상17:36). (3) 이스라엘 민족이 애굽에서 나올 때는 강한 블레셋 때문에 길을 멀리 돌아서 가기도 했다 (출17:36). (4)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에 들어가 강대한 5대 도시(가사,아스글론,아스돗에그론,갓)와 동맹을 맺어 이스라엘을 위협했다. (5) 한때 지배적인 위치에 있다가 다윗왕 시대에는 이스라엘의 예속적 위치에놓였다(삼하08:1, (삼하21:5). (6) 이스라엘 왕국 분열 때 돌깁을 꾀하였으나 실패하여 공물을 바치게 되었고 고 나증에 앗수르의 사르곤왕에 의하여 정복되었다(사20:1). (7) 블레셋 사람의 종교는 이스라엘 사람과는 달리 가나안의 종교를 혼합하여셈계의 신 다곤을 섬긴다(삿16:23). Philistia - (출15:14, (시060:8, (시083:7, (시087:4, (시108:9, (사14:29, (사14:31, (욜03:4, (슥09:6 ======== Philistines. [Philis'tines] Descendants, with the Caphtorim, of the Pathrusim, and the Casluhim, two clans descended from Ham. Gen. 10:14; Deut. 2:23; Jer. 47:4; Amos 9:7. They were found in the S.W. of Palestine when Abraham went to sojourn at Gerar, Gen. 20; and both Abraham and Isaac had certain contentions with them respecting the wells which they had digged. Gen. 21:25-34; Gen. 26:1-18. They were a warlike people, which was the reason that God did not lead the Israelites near to them when He led them out of Egypt. Ex. 13:17. It is probable that at first they were a sort of colony of Egypt. Their five cities commanded the coast road from Egypt to Syria, and there is proof that Egypt had a strong hold on Palestine before the arrival of Joshua; but it was then declining. As they occupied a part of the promised land, the Israelites should have dispossessed them; but when Joshua was old 'all the borders of the Philistines' were still unoccupied by the Israelites. They represent the pretension and intrusion of man in the flesh into that which belongs to God. Nazariteship in Samson is God's way of deliverance, but the Nazarite utterly failed, and in the days of Eli the Israelites were conquered by them and the ark taken. When Saul was king he was in fear of them, and they were enabled to enter his dominions, and in a battle Saul and his sons lost their lives. It was by David, God's king, that the Philistines were really conquered, and under Solomon we find they were tributary. When the kingdom of Israel was divided, the Philistines regained their independence more or less. God used them at times to punish His guilty people, and at other times gave those that served Him power over them. In the prophets destruction is pronounced upon their land and the remnant of the people. The five fortified cities of the Philistines, with their 'daughters' or dependent villages, were Gaza, Ashkelon, Ashdod, Gath, and Ekron. The Philistines were idolaters and worshipped Dagon, Ashtaroth and Baal-zebub. 1 Sam. 5:2; 1 Sam. 31:10; 2 Kings 1:2; Jer. 57; Ezek. 25:15-17; Amos 1:7, 8; Zeph. 2:5. PHILISTIM in Gen. 10:14 is the same Hebrew word that is elsewhere translated Philistines.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3.56316&ln=35.366346
3 모압(Moab)
지명
jesus
4023 3 2006-12-30
▶ 모압(Moab) 뜻:아버지로 부터 사해 동쪽, 요단 동편에 있는 고원지대 전체를 말한다. 남은 에돔, 동은 아라비아 사막,서는 사해 ,북은 요단 평야로 이루어진 나라였다 차츰 아르논강과 헤스본 강으로 이동 되었다. 사해 수면보다 131미터나 높은 고지대 이다. (1) 롯의 아들 모압의 후손이 산다(창19:37). (2) 이스라엘이 홍해를 건널 당시에는 큰 세력을 가지고 있었다(출15:15). (3) 그들은 암몬 족속과 더불어 요단 동쪽 지역에 있는 한 종족을 멸망 시켰다(신02:10, (신19:21). (4) 이스라엘 백성이 도착하기 조금전 아모리 왕 시혼이 그 땅을 아르논 까지 모조리 배앗겼다 (민21:13-15, (민26:30). (5) 그들은 이스라엘과 친절한 사이였으므로 모세는 모압을 치지 않았다 (신02:9). (6) 그러나 모압 왕 발락은 발람을 이스라엘 진중에 보내어 저주하게 했다(민22: 24:, (수24:9). (7) 이 일로 인해서 모압인은 10대 후손에 이르기까지 여호와의 회중에 드는 것이 금지 되었다 (신23:3-6, (느13:1). (8) 이스라엘 백성이 요단을 건너기 전 마지막 진쳤던 곳이 모압 평지에 있 는 싯딤 이었다(민22:1, (수03:1). (9) 그들은 거기 머물고 있는 동안 모압과 미디안 사람들의 딸들이 이스라엘 을 타락하게 했다 (민25:, (호09:16). (10) 사사 시대에 모압왕 에글론이 침입하여 18년간 다스리다가 왼손잡이 에훗에게 죽임을 당했다(삿03:12-30). (11) 모압여인 룻은 시어머니를 잘 공경한 효부로서 예수의 조상이 되었다 (룻01:22, (룻04:3, 13-17, (마01:1-16). (12) 사울을 피한 다윗은 그 양친을 모압 왕에게 의탁했다(삼상14:47). (13) 다윗이 왕이 되자 모압으로 부터 곡물을 받아 들였다. (14) 엘리사가 죽은 해에 모압인들이 이스라엘 침입을 감행하였다(왕하13:20) (15) 예언자들은 종종 모압 족속을 하나님 나라에 원수의 전형으로서 비난 했다(사15:, (사16:, (사25:10, (렘09:26, (렘25:21, (렘27:3, (렘48:, (겔25:8-11, (암02: 1-2, (습02:8-11). -----> Morrish Bible Dictionary (창36:35, (출15:15, (민21:11, (민22:1, (민23:6, (민24:17, (민25:1, (민26:3, (민31:12, (민33:44, (민35:1, (민36:13, (신01:5, (신02:8, (신29:1, (신32:49, (신34:1, (수13:32, (수24:9, (삿03:12, (삿10:6, (삿11:15, (룻01:1, (룻02:6, (룻04:3, (삼상12:9, (삼상14:47, (삼상22:3, (삼하08:2, (삼하23:20, (왕상11:7, (왕하01:1, (왕하03:4, (왕하23:13, (대상01:46, (대상04:22, (대상08:8, (대상11:22, (대상18:2, (대하20:10, (느13:23, (시060:8, (시083:6, (시108:9, (사11:14, (사15:1, (사16:2, (사25:10, (렘09:26, (렘25:21, (렘27:3, (렘40:11, (렘48:1, (겔25:8, (단11:41, (암02:1, (미06:5, (습02:8 lt=31.49684&ln=35.78284
2 에브라임(Ephraim)
인물
jesus
5491 12 2006-12-27
▶ 에브라임(Ephraim) (1) 애굽에서 출생한 요셉의 차자(창41:51-52). (2) 야곱이 12지파에 참예시키기 위하여 축복할 때 그의 형 므낫세 보다 앞세우려고 오른 손을 에브라임의 머리에 왼손을 므낫세의 머리에 얹고 축복하였다(창48:13). (3) 여호수아 드보라 압돈 사무엘이 모두 에브라임의 후손들이다. - (민13:8, 16, (삿04:5, (삿12:15, (삼상01:1). ----------------------------------------------- 1. 요셉(Joseph)의 둘째 아들. 2. 에브라임의 자손들과 그들의 영토. 관련성구 (창41:52 (창46:20 (창48:1 창 48:5 창 48:13 창 48:14 창 48:17 창 48:20 (창50:23) (민01:32) 이스라엘 12지파 - 르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 스불론, 잇사갈, 단, 갓, 아셀, 납달리, 요셉 (에브라임, 므낫세), 베냐민 ======== ▶ Ephraim. [E'phraim] Second son of Joseph and Asenath. The name is also given to the tribe of which he was the head, and also to the district of Palestine that fell to his lot. When Israel blessed the two sons of Joseph he set Ephraim before his elder brother, saying he should be greater, and his seed should become a multitude (or, 'fatness') of nations. Gen. 48:17-19. Little is recorded of Ephraim personally; and of his descendants, Joshua the son of Nun is the most renowned. The tribe on the second year from the Exodus numbered in fighting men 40,500; but had decreased during the forty years to 32,500. Num. 1:33; Num. 26:37. (민01:33 (민26:37 The territory of the tribe was in the heart of Palestine, having Manasseh on the north, Benjamin on the south, and Dan on the west. It has beautiful valleys and noble mountains with many springs and streams. Its two principal towns were Shiloh and Shechem. Ephraim had the place of the first-born (Jer. 31:9), the birthright being taken from Reuben and given to Joseph. 1 Chr. 5:1, 2. Also the place of the tabernacle was in the tribe of Ephraim, hence we find in the time of the judges this tribe asserting its own importance. They were angry with Gideon for not calling them to the war sooner than he did; but a soft answer appeased their wrath. Judges 7:24; Judges 8:1-3. Again they complained to Jephthah that he had gone without them to fight the Ammonites, though Jephthah declared that he had called them, and they had not responded. They also haughtily said of the Gileadites that they were fugitives of Ephraim, implying that they were not a tribe, but belonged to Ephraim, from whence they had escaped. The conflict was sharp; the Gileadites seized the ford of the Jordan, and then by putting all who wanted to pass to the test of pronouncing Shibboleth (which the Ephraimites could only call Sibboleth) they slew 42,000 of the men of Ephraim. Judges 12:1-6. Thus was this proud and envious tribe punished for molesting their brethren, whereas they had not driven out the heathen inhabitants of the land, as they should have done. Judges 1:29. Type of many in the church who in pride contend with their brethren, but do not fight God's battles against spiritual wickedness. Later on the Lord forsook Shiloh, and chose, not the tribe of Ephraim, but that of Judah both for the place of royalty and for the sanctuary. (렘31:9 (대상05:1,2 (삿07:24; (삿08:1-3 (삿12:1-6 (삿01:29 In the kingdom under David and Solomon we read very little of Ephraim, but it is twice called in the Psalms 'the strength (or defence) of mine head.' Ps. 60:7; Ps. 108:8. At the division of the tribes Ephraim took the most prominent place; Shechem and Samaria being in their territory naturally contributed to this, and accounts for the ten tribes being constantly called 'Ephraim' by the prophets. In the same way the two tribes are called 'Judah.' Hosea 5:3, 5, 13, 14, etc. Isaiah prophesied that in sixty-five years Ephraim should be broken and should not be a people. Isa. 7:8. This was in B.C. 742, and Samaria was taken and Israel carried into captivity in B.C. 721, so that the prophecy doubtless referred to Esarhaddon planting a colony of foreigners in Samaria in B.C. 678, which fulfils the sixty-five years. This also agrees with the prophecy saying 'the head of Ephraim ' is Samaria. (시060:7; (시108:8 (호05:3, 5, 13, 14, (사07:8 In the prophecies also that refer to the future blessing of the twelve tribes Ephraim is regarded as representing the ten tribes. Ezek. 37:16-22, where the twelve tribes are to become one nation in their own land, with one king over them: a prophecy which clearly has never yet been fulfilled, but which will surely be accomplished in God's own time. (겔37:16 --- Morrish Bible Dictionary ------------------------------------ 창세기 (창 48:8∼20) 에브라임은 「풍성하다」는 뜻이다. 요셉의 차자인데 제사장 보디베라의 딸 아스낫의 소생이다. 요셉은 므낫세와 에브라임 두 아들까지 가나안 땅에서 기업을 분배받았기 때문에 다른 지파보다 두배나 기업을 얻게 되었다. 또한 야곱(Jacob)은 므낫세와 에브라임이 손자인데도 아들로 삼아 그들에게도 족장의 이름을 붙였다. 그러나 므낫세보다 에브라임이 더 창대하고 더 큰 축복을 받을 것으로 야곱의 오른손을 에브라임의 머리에 얹어 예언하였다. 요셉은 애굽에서 1백10세를 사는동안 에브라임 자손 3대를 보았다. 에브라임 지파는 세겜에 도피성을 갖게 되었고 사마리아 지역의 비옥한 땅 절반이 이 지파의 소유였다. 예루살렘의 시온산(다윗성)에 성전을 건축하기까지 성막이 실로에 있었는데 이 실로가 에브라임 땅이어서 에브라임 지파가 더 영향력 있는 지파가 되었다. 여호수아와 사사 드보라, 압돈, 제사장 사무엘이 에브라임 지파 사람으로 그 지파의 명예를 높이고 있다. 또 이렇게 훌륭한 많은 인재들이 그 지파 출신이였다는 것은 야곱이 축복한 결과였으리라. 그러나 에브라임 지파에게 병폐와도 같고 오명과 같은 사건이 있었다. 그 하나는 기드온이 미디안과 싸우고 또 입다가 암몬과 싸워 승전했을 때에 동참하지 않고 불평하다 도륙을 당한 사건이다. 또 하나는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이 이 지파 출신으로 죄인의 상징이 되었다. -------------------------------------------------------------------------------- 에브라임… 민족대표된 차남… 후손들 분열 ‘오명’ ◇장자의 축복을 받은 풍성한 자 ( 형보다 높임을 받은 아우-에브라임 ) 애굽 땅에서 총리가 된 요셉이/두 아들을 낳았다/장자의 이름은 므낫세/차자의 이름은 에브라임 야곱의 임종이 가까웠을 때/요셉과 두 아들/족장 야곱을 찾았네/언약의 축복 기도를 받기 위해서라네 그러나 어쩐 일인가/장자 므낫세의 머리 위에 올려질 야곱의 오른손이/차자 에브라임의 머리 위에 올려졌도다/이 광경에/요셉이 놀라고 당황했네 차자이면서 장자의 축복을 받은 자여/하나님의 풍성한 축복을 받았도다/그 이름 그대로/‘풍성함’의 에브라임이라 장자의 축복을 받아 누린 에브라임이여/하나님을 찬양하라/풍성한 축복에 감사하라 그러나/그대의 후손들,에브라임 지파가/언약의 유다 왕국에 대항하여/예루살렘 성전을 멀리 떠나갔도다/북방 땅에 우상의 제단을 만들어 섬겼도다 차자로서 장자의 축복을 받은 자/넘치도록 풍성한 축복을 받은 자/어이하여/하나님을 섬기지 못하고/배반과 불순종의 슬픈 길을 걸었는가/오늘까지 쓰라린 실패의 길을 걷고 있는가 ◇에브라임-복에 복을 더하여 받은 풍성한 인물 그는 누구인가? 에브라임은 요셉의 차남이다. 애굽 땅에 노예로 팔려온 요셉이 오랜 역경 후에 마침내 뜻을 이뤄 애굽의 총리가 되었을 때,요셉은 애굽의 유력한 제사장의 딸인 아스낫과 결혼하게 되는데, 그녀를 통해 장남 므낫세에 이어 두 번째로 낳은 아들이 에브라임이다(창 41:52).에브라임의 이름 뜻은 ‘풍성함’인데, 이것은 요셉이 모든 고생 끝에 애굽 땅에서 풍요로움을 얻었다는 의미에서 지은 이름이다. 이렇게 에브라임은 아버지의 고생으로 일군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난 복된 인물이다. 차자이면서 장자의 축복을 받은 인물 애굽 총리의 풍성한 집안에서 둘째 아들로 복되게 태어난 에브라임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조부(祖父)인 야곱으로부터 형 므낫세를 제치고 장자의 축복까지 받게 된다. 이어서 야곱의 아들들의 반열에까지 오르게 된다(창 48:8-20). 이것은 에브라임이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중 한 지파로서 당당하게 세워졌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더 나아가 후에 에브라임 지파는 정복한 가나안의 넓은 땅을 지파의 기업으로 분배받는다. 이처럼 에브라임은 더 이상 풍성해질 수 없을 정도로 복에 복을 더하여 받은, 이름 뜻 그대로 ‘풍성한’ 인물이 된다. 에브라임의 길, 패망의 길 그렇다면 에브라임은 하나님의 크신 축복에 감사하면서 겸손한 자세로 이웃에게 도움이 되는 삶을 살아야 했다. 받은 바 풍성함을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나눠 쓰는 봉사의 삶을 살아야 했다. 하지만 이후 에브라임 지파의 역사는 그렇지 못했다. 사사 시대에는 이방인의 침략을 받아 도움을 호소하는 다른 지파의 요청을 거절하는 배타성을 보였다. 솔로몬의 죽음 이후 왕국이 분열될 때에는, 왕권의 축복을 받은 유다 지파에 대항하여 유다와 베냐민 지파를 제외한 북쪽 지방의 열 지파를 규합하여 북왕국 이스라엘을 세워 그들의 지도적인 지파가 되었다. 이후로 에브라임 지파 중심의 북왕국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땅에 이방의 제단을 세우고 우상을 섬겼으며, 이방인들과 무분별하게 교류하는 가운데 선민의 거룩한 특성을 상실하는 등 점차적으로 하나님에게서 멀어져 갔다. 그 결과, 마침내 북왕국은 하나님의 진노를 사서 앗수르에 의해 멸망당하고 이방 나라로 뿔뿔이 흩어지는 추방과 패망의 길을 걷고 만다. 하나님이 주신 풍성함의 복을 배타적이고 이기적으로 사용하여 실패한 지파의 슬픈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김영진<성서원 회장> (교훈과 적용)
1 길르앗(Gilead)
인물
jesus
3255   2006-12-26
▶ 길르앗(Gilead) 뜻:강하다 [1] 므낫세의 손자, 길르앗인의 조상 (민26:29), (민27: (민36: (수17:1) (대상02: (대상07: [2] 사사 에훗의 부친 (삿11:1). [3] 갓의 자손 (대상05:14). (창31:21, (창37:25, (민32:1, (신02:36, (신03:10, (신04:43, (신34:1, (수12:2, (수13:11, (수17:1, (수20:8, (수21:38, (수22:9, (삿05:17, (삿10:4, (삿11:5, (삿12:4, (삿20:1, (삼상13:7, (삼하02:9, (삼하17:26, (삼하24:6, (왕상04:13, (왕상17:1, (왕하10:33, (왕하15:25, (대상02:22, (대상05:9, (대상06:80, (대상26:31, (대상27:21, (시060:7, (시108:8, (아04:1, (아06:5, (렘08:22, (렘22:6, (렘46:11, (렘50:19, (겔47:18, (호6:8, (호12:11, (암01:3, (미07:14, (슥10:10 ======== Gilead. [Gil'ead] 1. Son of Machir and grandson of Manasseh. Num. 26:29, 30; Num. 27:1; Num. 36:1; Joshua 17:1, 3; 1 Chr. 2:21, 23; 1 Chr. 7:14, 17. 2. Father of Jephthah. Judges 11:1, 2. 3. Son of Michael of the family of Gad. 1 Chr. 5:14.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2.042523&ln=35.724241

.
성경연대표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14.세계선교 관련그림.지도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Ani
1창세기[Genesis] 2출애굽기[Exodus] 3레위기[Leviticus] 4민수기[Numbers] 5신명기[Deuteronomy] 6여호수아[Joshua] 7사사기[Judges] 8룻기[Ruth] 9사무엘상[I Samuel] 10사무엘하[II Samuel] 11열왕기상[I Kings] 12열왕기하[II Kings] 13역대상[I Chronicles] 14역대하[II Chronicles] 15에스라[Ezra] 16느헤미아[Nehemiah] 17에스더[Esther] 18욥기[Job] 19시편[Psalms] 20잠언[Proverbs] 21전도서[Ecclesiastes] 22아가[Song of Solomon] 23이사야[Isaiah] 24예레미야[Jeremiah] 5예레미아애가[Lamentations] 26에스겔[Ezekiel] 27다니엘[Daniel] 28호세아[Hosea] 29요엘[Joel] 30아모스[Amos] 31오바댜[Obadiah] 32요나[Jonah] 33미가[Micah] 34나훔[Nahum] 35하박국[Habakkuk] 36스바냐[Zephaniah] 37학개[Haggai] 38스가랴[Zechariah] 39말라기[Malachi] 40마태복음[Matthew] 41마가복음[Mark] 42누가복음[Luke] 43요한복음[John] 44사도행전[Acts] 45로마서[Romans] 46고린도전서[I Corinthians] 47고린도후서[II Corinthians] 48갈라디아서[Galatians] 49에베소서[Ephesians] 50빌립보서[Philippians] 51골로새서[Colossians] 52데살로니가전서[I Thessalonian] 53데살로니가후서[2 Thessalonian] 54디모데전서[I Timothy] 55디모데후서[II Timothy] 56디도서[Titus] 57빌레몬서[Philemon] 58히브리서[Hebrews] 59야고보서[James] 60베드로전서[I Peter] 61베드로후서[II Peter] 62요한일서[I John] 63요한이서[II John] 64요한삼서[III John] 65유다서[Jude] 66요한계시록[Rev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