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의 한글성경
  2. 오늘의 WEB성경
  3. 성경백과사전
  4. 관련서적들

-----Readed_count

-----Update

오늘 :
20,850 / 255,064
어제 :
20,516 / 260,221
전체 :
21,099,119 / 286,049,380
Mobile Bible, Bible Dictionary, Mobile iWorship, 구글Map 성경66권 사전 : -()-()--()-(,)-(,)-(,)-()--중간-(...)-

성경관련 백과사전 & Morrish Bible Dictionary

+ Blue Letter Bible/KJV + 개역한글 성경구절

성경 백과사전 테마별 (구약OT, 신약NT), 성경만화, 요리문답,
영어성경보기, 개역한글성경보기, NEWS, 어!성경
Morrish성경사전 (최신등록), WB.Study, 성경권별 지명연구(지도포함), 인물탐방 각종테마별 - 무게.길이.화폐, 12보석, 유대월력, 동물, (Birds), 식물, 나무, , Miracles(구약, 신약), 613율법Mitzvot, 이방신, 하나님, Tip: 영문장.절위로 커서를 옮기면 해당 KJV 성경 영문구절이 펼처집니다. (Gen. 1:1; Rev. 22:21;)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추천 등록일
Notice 공지 성경 속 전쟁 연대기 (The War Chronicles in the B... 파일
cyber
38048 2 2019-03-05
Notice 공지 TIDWELL BIBLE 21 연대표
jesus
71536 1 2016-12-14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NT 신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7583 1 2016-02-21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OT 구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7789 1 2016-02-21
Notice 공지 성경백과사전 권별.장별[Chapter] 관련내용보기 파일
jesus
85801 1 2015-05-04
19 단 지파/단 자손(Danites)
인물
jesus
1076   2019-04-04
▶ 단 지파/단 자손 Danites. [Dan'ites] Members of the tribe of Dan. Judges 13:2; Judges 18:1, 11; 1 Chr. 12:35. (삿13:2 소라 땅에 단 지파의 가족중 마노아라 이름하는 자가 있더라 그 아내가 잉태하지 못하므로 생산치 못하더니 (삿18:1, 11; 1 그 때에 이스라엘에 왕이 없었고 단 지파는 이 때에 거할 기업의 땅을 구하는 중이었으니 이는 그들이 이스라엘 지파 중에서 이때까지 기업의 땅 분배함을 얻지 못하였음이라 11 단 지파 가족 중 육백명이 병기를 띠고 소라와 에스다올에서 출발하여 (대상12:35 단 자손 중에서 싸움을 잘하는 자가 이만 팔천 육백명이요 --- Morrish Bible Dictionary
18 에봇 Ephod.
기타
jesus
1591   2015-10-17
▶ 에봇 Ephod. 1. The ephod worn by the high priest. Minute instructions were given as to its construction. It was to be made of gold, blue, purple, scarlet, and fine twined linen, with cunning work. The gold was beaten into thin plates and then cut into wires, which were woven into the fabric. Its GIRDLE was also to be of the same materials with embroidered work. On the shoulders were fastened two stones, engraved with the names of the twelve tribes, six names on each stone; so that whenever Aaron wore the ephod the twelve tribes were represented. We read also of the ROBE OF THE EPHOD, which was all of blue, and along the bottom of which were pomegranates of blue, purple, and scarlet, with bells of gold between them. The robe was doubtless much longer than the ephod, which is supposed not to have reached the knees, and which was worn over the robe, and the BREASTPLATE over the ephod. There was also a broidered coat of fine linen; this was worn under the robe. These with the mitre constituted Aaron's garments 'for glory and for beauty.' Ex. 28:1-39. Apparently the ordinary priestly garments worn by Aaron's sons are also said to be 'for glory and for beauty.' Ex. 28:40. (출28:1-39 에봇 In the various textures of the ephod there are typified divine righteousness, heavenliness, royalty, dignity, and the graces of the Spirit: the virtues that characterised the Lord Jesus. Inseparably attached to the ephod was the breastplate, in which were the Urim and Thummim; thus in wearing the ephod the judgement of the children of Israel was borne before the Lord, according to His lights and perfections. Though not worn on ordinary occasions, it was required when directions were sought from God: cf. 1 Sam. 21:9. Thus receiving answers from God is also associated with the Urim and Thummim, which were placed in the breastplate. Ex. 28:28: cf. Num. 27:21; 1 Sam. 28:6; Ezra 2:63; Neh. 7:65. The word 'Ephod' is the same in the Hebrew, and is from 'to bind round or gird,' so that its meaning does not seem to go beyond 'a priestly garment.' Ex. 29:5; Ex. 35:9, 27; Ex. 39:2-22; Lev. 8:7; 1 Sam. 2:28. (삼상21:9 에봇 (출28:28: (민27:21; (삼상28:6; (스02:63; (느07:65. (출29:5; (출35:9, 27; (출39:2-22; (레08:7; (삼상02:28. 2. Besides the above, which may be called the ephod, there were others which the priests wore, but which are not described. 1 Sam. 14:3; 1 Sam. 22:18; 1 Sam. 23:6, 9; 1 Sam. 30:7; Hosea 3:4. David, on the occasion of bringing up the ark, wore a linen ephod. 2 Sam. 6:14; 1 Chr. 15:27. Samuel also, when only a child, wore a linen ephod. 1 Sam. 2:18. In all the above passages the ephod bears the character of a priestly garment, though David was not of the tribe of Aaron. Type of the kingly Priest of the order of Melchisedec. (삼상14:3; (삼상22:18; (삼상23:6, 9; (삼상30:7; (호03:4. 3. A strange deviation from the above was the ephod which Gideon made of the gold, the ornaments, and the purple raiment taken from the Midianites, after which all Israel went astray, and which became a snare to Gideon and his house. Judges 8:27. Still worse was the case of Micah who, having a house of gods, made an ephod, and consecrated one of his sons to be priest. A Levite coming to the house fell in with the whole arrangement, and pretended to inquire of God by the ephod. When the gods were stolen by the children of Dan, the Levite was glad to accompany the idols and the ephod, and to be a priest to this tribe. Thus was the priestly garment that should have been restricted to the service of Jehovah associated with idolatry. Judges 17:5; Judges 18:14-20. (삿08:27 (삿17:5 (삿18:14-20 --- Morrish Bible Dictionary
17 시돈 사람(Zidonians, Sidonians)
인물
jesus
1669   2015-07-21
▶ 시돈 사람 Zidonians, [Zido'nians] Sidonians. [Sido'nians] 바알과 아스다롯을 섬검 The inhabitants of Zidon and its neighbourhood. At times the term was applied to the Phoenicians generally. They were renowned for cutting timber and as being fishermen and seamen. Deut. 3:9; Joshua 13:4, 6; Judges 3:3; Judges 10:12; Judges 18:7; 1 Kings 5:6; 1 Kings 11:1, 5, 33; 1 Kings 16:31; 2 Kings 23:13; 1 Chr. 22:4; Ezek. 32:30. The Zidonians were idolators: Baal and Ashtoreth were their gods. This is mentioned on the sarcophagus of Ashmanezer, apparently one of their kings. (신03:9 (수13:4, 6 (삿03:3 (삿10:12; (삿18:7 (왕상05:6 (왕상11:1, 5, 33 (왕상16:31 (왕하23:13 (대상22:4 (겔32:30 --- Morrish Bible Dictionary
16 실로(Shiloh)
지명
jesus
2106   2011-08-15
▶ 실로(Shiloh)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이 모여 회막을 세우고, 여호수아가 일곱 지파에게 요단 서편 땅을 제비를 뽑아 분배한 곳으로 언약궤가 실로에 계속 있었으나 블레셋 사람들과 싸울 때 언약궤가 빼앗겼다. (수18:1, (수19:51, (수21:2, (수22:9, (삿18:31, (삿21:12, (삼상01:3, (삼상02:14, (삼상03:21, (삼상04:3, (삼상14:3, (왕상02:27, (왕상14:2, (시078:60, (렘07:12, (렘26:6, (렘41:5 lt=32.0557&ln=35.28952
15 아람(Aram) 파일
지명
jesus
3351   2011-07-26
▶ 아람(Aram) (민23:7 - 발람이 예언을 전하여 말하되 발락이 나를 아람에서, 모압 왕이 동쪽 산에서 데려다가 이르기를 와서 나를 위하여 야곱을 저주하라, 와서 이스라엘을 꾸짖으라 하도다 (삼하08:6 - 다윗이 다메섹 아람에 수비대를 두매 아람 사람이 다윗의 종이 되어 조공을 바치니라 다윗이 어디로 가든지 여호와께서 이기게 하시니라 (삼하15:8 - 당신의 종이 아람 그술에 있을 때에 서원하기를 만일 여호와께서 반드시 나를 예루살렘으로 돌아가게 하시면 내가 여호와를 섬기리이다 하였나이다 (호12:12 - 야곱이 아람의 들로 도망하였으며 이스라엘이 아내를 얻기 위하여 사람을 섬기며 아내를 얻기 위하여 양을 쳤고 ▶ 아람 Aram. [A'ram] Place in the land of Gilead, east of the Jordan, which Jair captured. 1 Chr. 2:23. (대상02:23 그술과 아람이 야일의 성읍들과 그낫과 그 성들 모두 육십을 그들에게서 빼앗았으며 저희는 다 길르앗의 아비 마길의 자손이었더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 아람 Aram. [A'ram] This is the name of a large district lying north of Arabia, north-east of Palestine, east of Phoenicia, south of the Taurus range, and west of the Tigris. It is generally supposed that the name points to the district as the 'Highlands,' though it may be from Aram the son of Shem, as above. The word occurs once untranslated in Num. 23:7, as 'Aram' simply, from whence Balaam was brought, 'out of the mountains of the east;' but it is mostly translated Syria or Syrian. Thus we have - (민23:7 발람이 노래를 지어 가로되 발락이 나를 아람에서, 모압 왕이 동편 산에서 데려다가 이르기를 와서 나를 위하여 야곱을 저주하라, 와서 이스라엘을 꾸짖으라 하도다 1. ARAM-DAMMESEK, 2 Sam. 8:5, translated 'Syrians of Damascus,' embracing the highlands of Damascus including the city. (삼하08:5 다메섹 아람 사람들이 소바 왕 하닷에셀을 도우러 온지라 다윗이 아람 사람 이만 이천을 죽이고 2. ARAM-MAACHAH, 1 Chr. 19:6, translated 'Syria-maachah,' a district on the east of Argob and Bashan. (대상19:6 암몬 자손이 자기가 다윗에게 밉게 한줄 안지라 하눈이 암몬 자손으로 더불어 은 일천 달란트를 아람 나하라임과 아람마아가와 소바에 보내어 병거와 마병을 삯 내되 3. ARAM-BETH-REHOB, 2 Sam. 10:6, translated 'Syrians of Beth-rehob: cf. Judges 18:28, a district in the north, near Dan. (삼하10:6 암몬 자손이 자기가 다윗에게 미움이 된줄 알고 사람을 보내어 벧르홉 아람 사람과 소바 아람 사람의 보병 이만과 마아가 왕과 그 사람 일천과 돕 사람 일만 이천을 고용한지라 (삿18:28 그들을 구원할 자가 없었으니 그 성읍이 베드르홉 가까운 골짜기에 있어서 시돈과 상거가 멀고 상종하는 사람도 없음이었더라 단 자손이 성읍을 중건하고 거기 거하며 4. ARAM-ZOBAH, 2 Sam. 10:6, 8, translated 'Syrians of Zoba,' a district between and Damascus, but not definitely recognised. (삼하10:6,8 6암몬 자손이 자기가 다윗에게 미움이 된줄 알고 사람을 보내어 벧르홉 아람 사람과 소바 아람 사람의 보병 이만과 마아가 왕과 그 사람 일천과 돕 사람 일만 이천을 고용한지라 8암몬 자손은 나와서 성문 어귀에 진을 쳤고 소바와 르홉 아람 사람과 돕과 마아가 사람들은 따로 들에 있더라 5. ARAM-NAHARAIM signifying 'Aram of two rivers,' Gen. 24:10; Deut. 23:4; Judges 3:8; 1 Chr. 19:6, translated 'Mesopotamia.' The two rivers are the Euphrates and the Tigris. The district would be the highlands from whence the rivers issue to the plain, and the district between the two rivers without extending to the far south. (창24:10 이에 종이 그 주인의 약대 중 열 필을 취하고 떠났는데 곧 그 주인의 모든 좋은 것을 가지고 떠나 메소보다미아로 가서 나홀의 성에 이르러 (신23:4; 그들은 너희가 애굽에서 나올 때에 떡과 물로 너희를 길에서 영접하지 아니하고 메소보다미아의 브돌 사람 브올의 아들 발람에게 뇌물을 주어 너희를 저주케 하려 하였으나 (삿03:8;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진노하사 그들을 메소보다미아 왕 구산 리사다임의 손에 파셨으므로 이스라엘 자손이 구산 리사다임을 팔년을 섬겼더니 (대상19:6 암몬 자손이 자기가 다윗에게 밉게 한줄 안지라 하눈이 암몬 자손으로 더불어 은 일천 달란트를 아람 나하라임과 아람마아가와 소바에 보내어 병거와 마병을 삯 내되 --- Morrish Bible Dictionary Num 23:7, 2 Sam 8:6, 2 Sam 15:8, 1 Chr 2:23, Hos 12:12 lt=34.851&ln=39.121
14 에스다올(Eshtaol) 파일
지명
jesus
2216 2 2007-01-02
▶ 에스다올(Eshtaol) 뜻: 계시를 구하는 예루살렘의 서쪽 19km 지점 유다와 단 경계에 있는 마을 (1) 삼손의 고향 마하네단의 근처이다(수15:33, (삿13:25). (2) 삼손을 이곳에 장사하였다(삿13:25). (3) 기업지를 얻지 못한 단 지파의 6백명이 이곳을 떠나 기략 여아림으로 올라가 진을 쳤다(삿18:2,11). (수15:33, (수19:41, (삿13:25, (삿16:31, (삿18:2, (삿18:8, (삿18:11 ======== ▶ Eshtaol. [Eshta'ol] Town in the lowlands of Judah, allotted to Dan. It was near to this town that Samson spent his early life, and there he was buried. Joshua 15:33; Joshua 19:41; Judges 13:25; Judges 16:31; Judges 18:2, 8, 11. Identified with Eshu'a.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1.782429&ln=35.009012
13 야셀(Jazer/Jaazer)
지명
jesus
2208 9 2007-01-02
▶ 야셀(Jazer) 뜻: 그가 도운다 랍바(Rabbah) 서쪽 약 14km 지점 (1) 암몬 경계에 있는 아물인의 성읍인데 이스라엘이 점령하여 갓지파의 땅이되었다(민21:23, (수13:25, (삼하24:5, (대상26:31). (2) 견고한 요새지로 수축하였다(민32:35). (3) 또 목축에 적당한 토지이며 포도주의 산지이다(민32:1-2, (삿18.8-9, (렘48: 32). 그후에 모압인의 소유가 되었는데 헤스본의 북 3.7키로 굴벳살의 폐허가 곧 그것이다. (민21:32, (민32:1,3,35, (수13:25, (수21:39, (삼하24:5, (대상06:81, (대상26:31, (사16:8, (사16:9, (렘48:32 ▶ 야셀 Jaazer, [Ja'azer] Jazer. [Ja'zer] City and district in Gilead: it was taken from the Amorites by Israel, allotted to Gad, and given to the Levites. Num. 21:32; Num. 32:1, 3, 35; Joshua 13:25; Joshua 21:39; 1 Chr. 6:81; Isa. 16:8, 9. In Jer. 48:32 the 'sea of Jazer' is supposed to refer to a lake in the neighbourhood. Identified by some with Beit Zerah, 31 50' N, 35 51' E. (민21:32 모세가 또 보내어 야셀을 정탐케 하고 그 촌락들을 취하고 그곳에 있던 아모리인을 몰아 내었더라 (민32:1, 3, 35; 1 르우벤 자손과 갓 자손은 심히 많은 가축의 떼가 있었더라 그들이 야셀 땅과 길르앗 땅을 본즉 그곳은 가축에 적당한 곳인지라 3 아다롯과 디본과 야셀과 니므라와 헤스본과 엘르알레와 스밤과 느보와 브온 35 아다롯소반과 야셀과 욕브하와 (수13:25 그 지경은 야셀과 길르앗 모든 성읍과 암몬 자손의 땅 절반 곧 랍바 앞의 아로엘까지와 (수21:39 헤스본과 그 들과 야셀과 그 들이니 모두 네 성읍이라 (대상06:81 헤스본과 그 들과 야셀과 그 들을 주었더라 (사16:8, 9. 8 이는 헤스본의 밭과 십마의 포도나무가 말랐음이라 전에는 그 가지가 야셀에 미쳐 광야에 이르고 그 싹이 자라서 바다를 건넜더니 이제 열국 주권자들이 그 좋은 가지를 꺾었도다 9 그러므로 내가 야셀의 울음처럼 십마의 포도나무를 위하여 울리라 헤스본이여, 엘르알레여, 나의 눈물로 너를 적시리니 너의 여름실과, 너의 농작물에 떠드는 소리가 일어남이니라 (렘48:32 십마의 포도나무여 너의 가지가 바다를 넘어 야셀 바다까지 뻗었더니 너의 여름 실과와 포도에 파멸하는 자가 이르렀으니 내가 너를 위하여 곡하기를 야셀의 곡함보다 더하리로다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1.943529&ln=35.72776
12 시돈(Sidon) 파일
지명
jesus
3288 1 2006-12-30
▶ 시돈(Sidon) 뜻: 노략물 두로와 같이 동 지중해 연안에서 제일 큰 항구이다. 현재는 그곳을 사이다라고 한다. 베이루트에서 남쪽으로 41Km에 있는 지중해 연안도시이다. 고대 베니게의 옛 도시로 상업이 번창했다. (1) 통상과 같이 시도의 종교(아스다롯 여신)가 이스라엘 나라에 침투했다 (왕상11:5, 33, (왕하23:13). (2) 또 아합왕은 시돈왕 엣바알의 딸 이세벨과 결혼하여 바알신 숭배를 공인 하고 장려하려 하였다(왕상16:31-33, (왕상18:17-40). (3) 포로 시대가 지난 후 제 2신전을 다시 재건할 때 시돈에서 좋은 백향목을 실어왔다(스03:7). (4) 주전 351년 시돈 사람들은 바사에 반항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게 되자 스스로 이 도시를 불살라 버렸다. 그때 그 비참한 광경은 오래도록 사람들의 기억에 남아 후일담으로 전해 내려왔고 예수님도 이 세상 종말 에 있을 비유를 이 사건을 들어 말씀하셨다(마11:21). (5) 로마 시대에는 두로와 같이 자유 도시가 되었고 예수의 선교와 사도들의 선교 활동에 관계되었던 곳이기도 하다 (막03:8, (막07:31, (눅06:17, (행12:20, (행27:3) 시돈 일대에는 오랜지, 바나나 농원들이 있다. 시돈은 낚시란 의미로 페니키아 시대의 바이블로스, 타이레와 3대도시의 하나로 중요한 해상진출의 요충지였다. 다리우스에서 B.C 6세말엽 까지는 페르시아 5총독의 수도였다. 47일 전쟁으로 십자군에 의해 점령당하기도 하였으나 70년 후 살라딘이 회복한 곳이다. 1228년 십자군이 건설한 바다의 요새, 대사원, 성 루이스 성, 에스마운 신전, 지하묘지 카타콤베, 예루살렘 병원 등 유적이 남아있다. (창10:19, (창49:13, (삿01:31, (삿10:6, (삿18:28, (삼하24:6, (왕상17:9, (사23:2, (렘25:22, (렘27:3, (렘47:4, (겔27:8, (겔28:21, (욜03:4, (슥09:2, (마11:21, (마15:21, (막03:8, (막07:24, (눅04:26, (눅06:17, (눅10:13, (행12:20, (행27:3 lt=33.56316&ln=35.366346
11 소라(Zorah, Zoreah, Zareah) 파일
지명
jesus
1675 1 2006-12-30
▶ 소라(Zorah) 뜻: 분명하지 않으나 천벌, 성가신 예전의 이곳은 베이트 지브린(Beit Jibrin) 북쪽 약 24km 떨어진 굽어보이는 언덕 와디 에스 사랄(Wadi es-Sarar) 북쪽에 위치한 현재의 사라(Sar 'ah)로 알려졌다. (1) 유대의 쉐펠라에 있는 도시로서 단 지파가 북쪽으로 이민하기 전에 여기에 속한 땅이다(삿18:2-11). (2) 삼손의 아버지 마노아의 고향인데 삼손은 소라와 에스다올 중간에 매장되었다(수15:33, 삿13:2,25, (삿16:31). (3) 르호보암이 요새로 견고케 했다(대하11:10). (4) 포로 이후에 다시 식민지로 만들었다(느11:29). * 예루살렘 서쪽 24키로 지점 해발 300미터 산위에 있는데 소렉 계곡을 향해 내려가면 베레시메아가 있다. 해안에서 예후살렘으로 가는 요긴한 길목에 있으며 전략상 중요한 지점이다. (수15:33, (수19:41, (삿13:2, (삿13:25, (삿16:31, (삿18:2, (삿18:8, (삿18:11, (대하11:10, (느11:29 ======== Zorah, [Zo'rah] Zareah, [Za'reah] Zoreah. [Zo'reah] City in the west of Judah, but reckoned to Dan, on the Philistine frontier: it was the birth-place of Samson, and he was buried in its neighbourhood. Joshua 15:33; Joshua 19:41; Judges 13:2, 25; Judges 16:31; Judges 18:2, 8, 11; 2 Chr. 11:10; Neh. 11:29. Identified with Surah.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1.762141&ln=34.969319
10 벧엘(Bethel)
지명
jesus
3742 3 2006-12-30
▶ 벧엘(Bethel) 뜻: 하나님의 집 벧엘은 예루살렘 북편 세겜 쪽으로 19km, 실로 남방 29km 아이 서편 3km 지점의 동산있어 동네에 좋은 물을 공급하여 옛날에는 마을 남쪽에꼭대기에 서 있는 오늘의 베이틴 동네이다. 우물 넷이 반석을 파고 만든 저수지까지 있었다. 벧엘은 라기스보다 먼저 이스라엘에게 점령되었으며 본래 이름은 루스였다. [1] 성경에 예루살렘 다음으로 가장 많이 나오는 곳. 고고학적 발굴로 보면 벧엘에는 그 이웃 아이성이 망한 후 주전 21세기부터 사람이 살아왔다. (1) 야곱이 에서를 피하여 하란으로 가는 길에 하나님의 역사를 꿈에 본 후"하나님의 집"이라고 이름 지었다(창28:19). (2) 야곱이 세겜을 떠나 벧엘에 와서 제단을 쌓고 엘 벧엘일라 하고 돌기 둥을 세웠다(창35:1-7, 14, (창28:18-22). (3) 밧단아람에서 돌아오는 길에 여기서 하나님의 축복의 확증을 얻고 야곱이 그곳을 벧엘이라 했다(창35:9:13, 15). (4) 주전 14세기에 베냐민에게 망했다(삿18:22). (5) 에브라임에게 망함(대상07:28). (6) 아브라함이 여기 천막을 치고 그의 첫 팔레스틴에 제단을 쌓았다(창12:8). (7) 동쪽 언덕에서 여리고 성이 보인다. 롯이 여기소 들을 바라보고 욕심 에 찬 선택을 한듯하다(창13:). (8) 야곱이 하나님한테 충성을 맹세하고 이 제단을 쌓았다(창28:11-22). (9) 길갈에 있던 법궤를 이곳으로 옮겨왔다(삿20:18). (10) 벧엘을 성소에로 삼았다(삼상10:3). (11) 여사사 드보라가 벧엘에 살며 재판했다(삿04:5). (12) 백성들의 정신 문제를 고문해 주기 위하여 늙은 선지자 사무엘이 해 마다 이곳을 순행했다 (삼상07:16). (13) 사울왕은 벧엘 사람으로 군대를 뽑았다(삼상13:2) (14) 다윗은 전리품의 한 부분을 벧엘에 보냈다(삼상30:27). (15) 여로보암(주전922-901)이 예루살렘에 대항하여 이곳에 성소를 지었다 (왕상12:29, 32-33). (16) 금송아지 둘을 만들어 세우니 북쪽에 제일 큰 성소가 되었다(암07:10). (17) 예후의 제도에도 그 금송아지는 건드리지 않았다(왕하10:29). (18) 요시아도 바알 신당만 정리했다(왕하23:15) (19) 엘리야가 그 금 송아지에 대하여 침묵하였다는 사실이 이상하다(왕하02:1-3). (20) 그곳에 선지학교는 흥왕했으나 엘리야가 죽은 후 엘리사가 모욕을당했다(왕하02:23-25). (21) 그러나 아모스 호세아는 무서운 비난을 퍼부었다 (암03:14, (암04:4, (암05:5, (암07:4-17, (호04:15, (호05:8). (22) 앗수르 왕이 이주시킨 제사장들도 벧엘에서 사람을 가르쳤다. 유다왕 아비야가 벧엘을 빼앗고 여로보암의 우상숭배를 끝냈다(대하13:19). (23) 에스라 느헤미야때의 사람들이 포로후 벧엘에 돌아왔으나 발전이 미 약했다(스02:28, (느07:32). * 베스파시안이 예루살렘으로 진군할 때에 함락시킨 산간 동네중 하나였다. [2] 유다의 동네 위치 불명. 브둘 벧엘 브두엘등 여러 이름으로 나타나있다 (수19:4, (삼상30:27, (대상04:30). ▶ Bethel 1 - (창12:8, (창13:3, (창28:19, (창31:13, (창35:1, (수07:2, (수08:9, (수12:9, (수16:1, (수18:13, (삿01:22, (삿04:5, (삿20:18, (삿21:2, (삼상07:16, (삼상10:3, (삼상13:2, (왕상12:29, (왕상13:1, (왕상16:34, (왕하02:2, (왕하10:29, (왕하17:28, (왕하23:4, (대상07:28, (대하13:19, (스02:28, (느07:32, (느11:31, (렘48:13, (호10:15, (호12:4, (암03:14, (암04:4, (암05:5, (암07:10, (암07:13, (슥07:2 lt=31.9305&ln=35.22103 ▶ Bethel 2 - (수12:16, (삼상30:27 lt=32.0499&ln=35.7334
9 베드르홉(Bethrehob, Beth-rehob)
지명
jesus
1451 3 2006-12-30
▶ 베드르홉(Bethrehob, Beth-rehob) 뜻: 거리의 장소 정확한 장소는 알려지지 않았다. (1) 단 지파의 일부가 가나안 북방으로 진출하여 점령한 라이스 근처에 있다 (삿18:28). (2) 암몬인이 그 거민을 이용하여 다윗을 대적하였다(삼하10:6,8). (3) 르홉과 같으며 지금 이름은 후닌이다(민13:21). lt=33.219354&ln=35.544122
8 마하네단(Mahaneh-dan)
지명
jesus
1449 4 2006-12-30
▶ 마하네단(Mahaneh-dan) 뜻:단의 진영 이곳의 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다. (1) 600명의 므낫세 지파 부대가 블레셋인에게 쫓겨서 팔레스틴 북쪽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진지 (삿18:13). (2) 길르앗야림 서쪽에 있었다고 하며 삼손이 감동은 받은 곳(삿13:25). lt=31.758315&ln=34.994252
7 라이스(Laish)
지명
jesus
1566 2 2006-12-30
▶ 라이스(Laish) 뜻:사자 이곳의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다. 단지파가 정복한 이스라엘 북경에 있는 성읍(삿18:7,14,27,29). (수19:47에는 레센(샘)으로 나와 있다. lt=33.24865&ln=35.65248
6 단(Don, Dan)
지명
jesus
1728 1 2006-12-29
▶ 단(Don, Dan) 뜻:심판관 고대 이스라엘 북단에 있던 도시로 헬몬선 남쪽 기슭에 있으며 두로에서 다메섹으로 가는 길중 남북으로 갈라지는 지점으로 텔 단(T. Da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 이스라엘 북쪽 경계지방에 있던 성(삿18:29). (2) 이스라엘이 가나안을 점령할 초기에 단 족의 큰 부대가 점령하였기 때문 에 이 지방 이름까지도 단 이라 하였다(삿17:). ▶ 단(Dan) 석비와 역사적 다윗 브엘세바까지의 이스라엘 전역을 가리킨다. 1993년 7월 21일 이스라엘 북부의 중요한 유적지 텔 단의 한 발굴자는 성문 밖 광장의 나지막한 돌담을 파헤치던 중 잘 다듬어진 새카만 돌 조각 하나를 발견했다. 대부분 구조물들이 냇물에 다듬어진 매끈한 석회암이기 때문에 이 조각은 쉽게 눈에 띄었다. 하지만 이 돌을 들쳐낸 순간 지금까지 아무도 예상치 못했던 일이 벌어졌다. 그 뒷면에는 히브리어와 모양이 비슷한 고대 아람어 기록이 새겨져 있었기 때문이다. 기록문화가 발달했던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발굴에서도 이러한 기념비의 발견은 대단한 일인데 기록물이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이스라엘에서 그것도 석비의 형태이기 때문에 커다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 석비가 발견된 단은 이스라엘의 전통적인 북쪽 경계를 이루는 도시였다. 원래 단 지파는 중부지역을 분배받았는데 해안에 이미 정착해있던 블레셋 사람들 때문에 그곳에 자리잡을 수 없었다. 할수없이 그들은 북쪽으로 올라가서 맑은 물이 흐르고 숲이 우거진 도시 레셈(수 19:47), 또는 라이스(삿 18:29)를 점령하고 자신들의 지파 이름을 따서 이 도시를 단이라 명명했다. 요단강의 이름은 원래 단으로부터 흘러 내려온다는 뜻인데 세 군데의 원류 중에서 단의 샘이 가장 규모가 크기 때문에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길이 32cm 폭 22cm 크기의 석비 조각에는 고대 아람어로 모두 13줄이 기록돼 있었다. 비록 부숴진 조각이기 때문에 전체 내용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여러 가지 정황으로 미루어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아람의 한 왕이 이스라엘의 왕을 죽이고 정복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발굴자들은 곧 아람의 왕 벤하닷이 단을 정복했다는 열왕기상 15:16-22의 사건을 떠 올렸다. 서기전 9세기 초 북 이스라엘과 남 유다는 치열한 세력다툼을 벌이고 있었다. 두 왕국의 끊임없는 전쟁은 유다의 아사왕이 아람 세력을 끌어들임으로서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아사는 자신의 적 북 이스라엘을 징벌해 달라는 청탁과 함께 예루살렘 성전과 왕궁의 금고에 보관된 은과 금을 모두 끌어 모아 다메섹 아람 왕에게 조공으로 바쳤다. 아람의 왕 벤하닷은 아사의 부탁을 받고 단을 비롯해서 이스라엘 북부지역을 유린했고 그 결과가 바로 단에 세운 승전비에 기록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 석비를 더욱 유명하게 만든 것은 아홉번째 줄에 새겨져 있는 ‘베잇트 다비드’, 즉 ‘다윗 왕조’라는 단어 때문이다. 구약성서 외의 기록에서 다윗이 처음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때부터 고대 이스라엘의 역사에 관심 있는 고고학자, 역사학자, 성서학자들 사이에 ‘역사적 다윗’에 관한 논쟁이 오늘날까지 뜨겁게 이어진다. 역사적 다윗 베들레헴에서 여덟 형제의 막내로 태어나 들에서 하프를 켜면서 양떼나 돌보던 보잘 것 없던 한 목동이 블레셋의 거장 골리앗을 돌멩이 하나로 쓰러뜨리고, 마침내 왕이 되었다는 동화같은 다윗 이야기는 구약성서 뿐만 아니라 서양역사를 통털어 가장 드라마틱하게 출세했던 영웅전의 전형으로 손꼽힌다. 다윗은 사울왕의 궁정 악사로 입문했지만 왕의 질투로 죽을 고비를 넘기며 유대광야를 전전했고 그렇게도 미워했던 사울이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죽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고향 헤브론에서 통치자가 되는데 만족해야만 했다. 왜냐면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이 요단 건너편 길르앗 지방의 마하나임에서 왕위를 계승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브온 전투에서 이스보셋의 세력을 물리치고 난공불락의 요새 예루살렘을 지하 통로를 타고 들어가는 .트로이 목마.같은 기발한 전술로 점령한 후 그는 이스라엘 최초의 통일왕국을 형성했다. 그의 위상은 400년 이상 유다왕국이 그의 이름으로 왕조가 이어졌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짐작할만하다. 그런데 이스라엘 역사상 가장 위대했던 다윗의 역사성이 왜 의심을 받게 됐는가? 가장 큰 이유는 다윗의 시대를 입증할만한 고고학적인 증거가 충분치 않다는 것이다. 다윗이 태어난 베들레헴이나 초창기 7년 반을 통치했던 헤브론, 심지어 그가 정복해서 통일 왕국의 수도로 삼았던 예루살렘에서조차 다윗 시대인 서기전 10세기 전반의 고고학적인 흔적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우선 그가 태어났던 베들레헴은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사람들이 건물을 짓고 살아 왔기 때문에 왕정시대의 몇 몇개의 무덤을 제외하고는 구약시대의 주거층을 발굴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상태이다. 헤브론의 경우에도 단편적인 발굴 결과만 있을 뿐 다윗이 통치한 주거흔적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역사적 다윗에 대한 결정적인 부인요소는 예루살렘 발굴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고고학자들은 1950년대와 특히 1980년대 집중적으로 다윗 성이라 불리는 예루살렘의 남쪽 언덕을 발굴했지만 다윗 시대의 건축물을 받치고 있던 경사면의 축대만 발견했을 뿐이다.이런 상황에서 단의 석비는 다윗의 역사성에 무게를 실어줬다. 그것도 외국의 왕이 기록한 기념비를 통해서 밝혀졌기 때문에 그 객관성이 입증된 것이다. 아마도 아람의 왕들은 통일왕국을 건설하고 다메섹까지 진격했던 다윗의 위상과 업적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이스라엘의 요람과 다윗왕조의 아하시아 최초의 석비 조각이 발견된지 1년이 지난 94년 6월 두 개의 작은 비문 조각이 더 발견됐다. 이 비문에는 이스라엘의 왕 요람과 다윗왕조, 즉 유다의 왕 아하시야가 언급돼 있었다. 따라서 1년전의 해석을 변경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런데 문제는 비문의 내용과 성서의 내용이 다르다는 점이다. 성서에서는 쿠데타를 일으킨 예후가 이 두 왕을 차례대로 살해한 것으로 나타나지만(왕하09:21-28), 단의 석비에는 아람의 왕이 이 둘을 죽인 것으로 돼 있다. 과연 어느 기록에 더 역사적 신빙이 있을까? 아마도 실제로는 예후가 죽였겠지만 예후의 쿠데타 자체가 이미 아람 왕의 전폭적인 지원하에 이뤄졌기 때문에 아람 왕 하사엘은 자신이 이스라엘과 유다의 두 왕을 죽였노라고 기념비에서 당당하게 밝힐 수 있었을 것이다. (국민일보 2001.2.16 / 김성교수(협성대·성서고고학) (창14:14, (수19:47, (삿18:29, (삿20:1, (삼상03:20,10, (삼하17:11, (삼하24:2,6,15, (왕상04:25, (왕상12:29,30, (왕상15:20, (왕하10:29, (대상21:2, (대하16:4, (대하30:5, (렘04:15, (렘08:16 ▶ 단 Dan, City of. The portion of land that fell to Dan being found too small, a party of them went far north unto Leshem or Laish, which they took, and destroyed; they built a city there and called it after their father Dan. Joshua 19:47. This is often named as the north border of Palestine; 'from Dan to Beersheba' implying the whole land. It was here that open idolatry was early set up. The city is identified with a few ruins at Tell el Kady, 33 15' N, 35 39' E. The place is visited because one of the sources of the Jordan issues from a spring near by. (수19:47 그런데 단 자손의 지경이 더욱 확장되었으니 이는 단 자손이 올라가서 레센을 쳐서 취하여 칼날로 치고 그것을 얻어 거기 거하였음이라 그 조상 단의 이름을 따라서 레센을 단이라 하였더라 In Ezek. 27:19 occurs in the A.V. 'Dan also and Javan.' This is now judged to be better translated 'Vedan and Javan,' though it is not known what place is alluded to by the name 'Vedan.' (겔27:19 워단과 야완은 길쌈하는 실로 네 물품을 무역하였음이여 백철과 육계와 창포가 네 상품 중에 있었도다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3.24865997&ln=35.652483
5 기럇 여아림(Kiriath-jearim)
지명
jesus
3243 2 2006-12-29
▶ 기럇 여아림(Kiriath-jearim) 뜻: 산림의 성읍 기럇 여아림은 예루살렘 서북 10k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다. (1) 유다 지파에게 준 땅이며 바알레 유다라고도 한다(수09:17, (수15:9). (2) 블레셋인이 돌려보낸 법궤가 20년간 이곳에 있다가 다윗이 예루살렘으로옮겨갔다(삼상06:21,7:1), (대상13:5-10). (수09:17, (수15:9, (수15:60, (수18:14, (수18:15, (수18:28, (삿18:12, (삼상6:21, (삼하07:1, (삼하07:2, (대상13:5, (대상13:6, (대하01:4, (느07:29, (렘26:20 lt=31.771104&ln=34.993812
4 요나단(Jonathan)
인물
jesus
4645 7 2006-12-27
▶ 요나단(Jonathan) 뜻 : 여호와가 주심 [1] 모세의 후예로서 미가의 집 우상의 제사장(삿18:30). [2] 사울왕의 장자. (1) 부왕을 도와 이스라엘을 불레셋 기반에서 해방하였다(삼상13:) (2) 부왕이 죽이려고 하는 다윗이 하나님의 사람인줄알고 여러번 위험에서 건져주었고 가정과 국민에 대한 애정이 넘치는 사람이다.(삼상18:-4, (삼상19:1-7, (삼상20:12-17,42, (삼상23:17-18). (3) 다윗이 왕이 되면 버금이 되겠다고 하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블레셋 전쟁으로 길보아 산에서 부자 형제 같이 전사함(삼상31:1-2). (4) 이 소식을 들은 다윗은 슬픈 노래로 사울과 요나단을 조상하였으니 곧 활 노래인데 야살의 책에까지 기록되었다(삼하01:18-27). (5) 다윗이 왕된 후에 요나단을 생각하고 그 가족을 찾아 내어 그 아들 므비보셋에게 그의 조부모의 재산을 돌려주고 그는 다윗의 상에서 먹게 하였으니 이것은 친구 요나단의 우의를 깊이 생각하고 그와 맺은 맹약을 지킴이다(삼상31:, (삼하04:4,9:) [3] 다윗의 형 시므이의 아들이니 가드의 장수로 키가 장대하고 손발에 6가락씩 가진 자를 죽엿다 (삼하21:21, (대상20:7) [4] 다윗의 숙부인데 모사이며 서기관이다(대상27:32). [5] 압살롬의 반란 때에 다윗의 연락원으로 아히마아스와 같이 중책을 역임했고 아도니야 반란때는 다윗이 솔로몬으로 왕을 삼았다는 소식을 전하여 아도니야로 낙심하여 도망하게 하였다(삼하15:27,36, (삼하17:17,20, (왕상01:42,43 [6] 유대국 시드기야왕 때의 서기관으로 방백들이 예레미야를 때려 그의 집에 가두었다. (렘37:15) [7] 아사헬의 아드로 제사장인데 이방 여자와의 결혼을 금지한 사람이다 (스10:15) [8] 그 밖에 7인이 있다 (삼하23:32, (대상02:32-33, (렘40:8, (스08:6, (스10:15, (느12:14:35). -------------------------------------------------------------------------------- 성경에 요나단이라는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이 무려 13명이나 된다 . ⑴ 모세의 손자 게르손의 아들(삿18:30) ⑵ 사울왕의 장남(삼상14:49) ⑶ 제사장 아비아달의 아들(삼하17:15-22) ⑷ 다윗의 형 삼마의 아들(삼하21:22) ⑸ 여라므엘의 야다의 아 들(대상02:32) ⑹ 하랄 사람 사게의 아들(대상11:34) ⑺ 웃시아의 아들(대상27:25) ⑻ 다윗의 친척(대상27:32) ⑼ 아딘 자손 에벳의 부친(스08:6) ⑽ 아사헬의 아들(스10:1 5) ⑾ 요야김 시대의 제사장(느12:14) ⑿ 아삼 계통의 제사장 (느12:35) ⒀ 시드기야왕의 서기관(렘37:15-20). 요나단이라는 이름의 뜻은 [여호와께서 주심]이다. 여기 소개하는 요나단은 사울왕의 아들이며 다윗의 친구 요나단을 말한다. 사울왕이 군사 일천명을 선발하여 요나단에게 맡긴후 베냐민 기브아에 주둔케하여 블레셋의 침공을 막도록 했다. 요나단은 이스라엘 군대의 용사로 다윗처럼 오직 만군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으로 싸운 신앙의 용장이었다. [요나단이 자기 병기든 소년에게 이르되 우리가 이 할례 없는 자들의 부대에게로 건너가자 여호와께서 우리를 위하여 일하실까 하노라 여호와의 구원은 사람의 많고 적음에 달리지 아니하였느니라](삼상14:6) 어떤날 사울왕은 블레셋과 싸워 승리하기 전에는 아무도 음식을 먹어서 안된다는 금식령을 선포했다. 요나단은 이 선포를 듣지 못하고 지팡이로 꿀을 찍어 입에 넣었다. 이 사실을 보고 받은 사울왕은 맹 세코 요나단을 죽이려 했으나 백성들의 탄원으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삼상 14:27-52). 다윗이 골리앗을 쓰러뜨렸을 때 요나단은 그의 무용과 신앙에 감동되어 그를 영원한 벗으로 받아들이고 생사를 같이할 것을 맹세했다. [요나단이 다윗을 사랑하므로 그로 다시 맹세케 하였으나 이는 자기 생명을 사랑함 같이 그를 사랑함이었더라](삼상 20:17) 다윗은 요나단의 우정으로 인하여 몇차례 위기에서 구원받게 되었으며 이은공의 보답으로 다윗은 요나단이 길보아산에서 전사한 후 그의 절뚝발이 아들 므비보셋에게 극진한 후의를 베풀었다(삼하09:1 -13). 이들의 우정은 창공의 태양같고 황야의 꽃처럼 맑고 아름다운 것으로 참 신앙인들만이 쌓을 수 있는 금자탑과도 같은 것이었다. -------------------------------------------------------------------------------- 사무엘상 14장 요나단은 "여호와께서 주셨다"는 뜻이다. 요나단은 사울왕의 장남이었으며 천명의 군사를 거느리는 장관이었다. 그의 주둔지역은 기브아였으므로 블레셋과 마주대하는 진지이기도 하였다. 한번은 병기 든 소년과 함께 적진을 향했다. 불레셋군의 주둔지역에서 20명을 도륙했다. 그때 블레셋군의 혼전으로 큰 전과를 올려 선민의 권위를 세우게 되었다. 이때에 남긴 말이 "여호와의 구원은 사람의 많고 적음에 달리지 아니하였느니라"하는 것이었다. 요나단은 하나님을 의지하고 두려워할 줄 아는 신앙인이었고 정치에도 하나님을 중심으로 한 영적인 질서를 앞세우는 사람이었다. 그러므로 다윗이 골리앗을 쓰러뜨리자 하나님이 다윗을 들어 크게 사용할것을 알았으며 "여호와께서 다윗의 대적들을 치실지어다" 하고 다윗의 장래를 내다보고 있었다. 요나단은 다윗과 언약을 세워 서로 돕고 협력하는 혈맹관계를 맺었다. 목숨을 대신하는 우정을 나누는 친구요 피와 성은 다르지만 형제간 같이 서로 사랑하는 사이가 되었다. 전쟁터에서 탈선한 아버지로 인해 사망/그의 불구 아들 다윗이 보호, 옛은혜 갚아 요나단과 다윗 사이의 우정은 특수한 관계였다. 한 아버지에게서 태어난 형제간의 우애보다 더 깊었으며 서로가 상대방을 위해 자신을 내어줄만큼 뜨거운 친구사이였다. 이는 언약이나 계약에 의한 우정이 아니라 두 사람 사이에 가진 친교와 대화,상대방을 위한 관심과 서로 베풀었던 후의와 애정으로 결합된 친분이었다. 그러므로 두 사람이 각기 다른 시기에 세상을 떠났으나 자기가 사는 동안 상대방을 위해 최선을 다했었다. 요나단은 탈선한 아버지 때문에 전쟁에 나갔다 길보아산에서 사울과 함께 전사하고 만다. 그 후에 다윗이 왕위에 올라 요나단의 아들 므비보셋이 로드발에 생존해 있다는 말을 듣고 그를 왕궁으로 불러들였으며 요나단의 우정을 기억하게 됐다. 요나단을 생각하여 므비보셋이 궁중에서 살게 하였으며 특별히 우대하여 자기 식탁에서 함께 식사하게 했다. 이것은 요나단에게 받은 사랑의 빚을 보답하는 예우였다. 요나단의 선행은 그의 사후에도 절뚝발이 아들 므비보셋에게 상급이 됐다. 다윗은 사울의 재산을 회수하여 므비보셋에게 돌려주었으며 그를 돕는 자로 시바를 맺어주어 그를 보살피게 하였으며 평생 므비보셋의 신변을 보장했고 그를 편안히 안주하게 했다. 요나단이 위기에 처한 다윗을 끝까지 도운 것이 므비보셋에게 큰 은혜가 됐다. ▷교훈과 적용◁ 첫째, 사욕이 없는 사랑의 봉사는 그 자손에게까지 축복의 조건이 된다. 선한 일에 부요하자. 둘째, 다윗은 은혜를 아는 사람이었다. 그 은혜는 우정에 대한 의리였다. 은혜를 갚아야 한다. -------------------------------------------------------------------------------- [요나단] ("야훼께서 주심"이란 뜻) 은 사울 왕의 장남이다. (삼상14:49). 사울 왕은 이스라엘의 정병 3천을 뽑아 그 중 1천을 요나단에게 주어 베냐민 기브아에 있게 했다. 이 요나단의 군대와 블레셋 주둔군 사이의 충돌로 인하여 전쟁이 일어난 듯하다. 요나단은 그군대로써 게바에 있는 블레셋 사람의 수비대를 격파했다.(삼상13:2,3). 그는 부친 사울 왕과 힘을 합하여 이스라엘을 블레셋의 세력에서 해방시켰다. 그는 병기든 소년에게 [... 야훼의 구원은 사람이 많고적음에 달리지 아니하였느니라]라고 말하고 블레셋 진지를 습격하여먼저 20명을 쳐 죽였다. 그의 신앙적 전투 이념은 살마의 다소에 있지 않고 오직 하나님의 능력에 있다는 것이다. 다윗이 골리앗을 쓰러뜨렸을 때 요나단의 마음은 다윗의 마음과 연락되어 다윗을 자기 생명과 같이 사랑하였다. 이 결합은 신앙적 결합이다. 그는 다윗과 언약을 세워 앞으로 절대 상조와 생명에 대하여 절대 보장하기로 하였으며 자기의 입었던 겉옷과 군복 그리고 칼,활, 띠까지도 다윗에게 주었다. 요나단의 우정은 조금도 변하지 아니하여 사울 왕이 다윗을 해하려할 때도 그는 아버지 사울 왕의 잘못을 눈물로 간하며 다윗을 구하는데 온갖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다윗이 사울에 의해 위험에 처하자, 염려하여 요나단은 다윗과 모의했다. 또한 요나단은 다윗이 왕위에 오르고 자기 집은 망할 줄 알고 미리 그 때에 선대해줄 것을 부탁했따. 요나단은 다윗의 집과 언약 하기를 [야훼께서는 다윗의 대적들을 치실지어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요나단의 영감에 의한 예언이니 그는 사울의 집의 장래를 내다보고 예언한 것이다. 그리고 사흘동안 다윗을 에셀 바위 틈에 숨기게 한 후, 궁중의 동태를 활쏘는 방법에 의하여 암호로 지시하겠다고 약속했다. 다윗은그 암호에 따라 진퇴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월삭 식사 때 다윗이 보이지 않자 사울은 그의 불참 이유를 요나단에게 물을 때에 요나단은 다윗이 고향 베들레헴에 갔다고 거짓말을하였다. 요나단은 다윗을 옹호하다가 부왕의 격노를 사고 핍박을 받았다. 요나단은 암호의 활을 쏘고 다윗과 만나 눈물로 작별을 고했다. 이 때 맺은 언약은 후일 다윗이 그 자손에게 후한 인정을 베푸는 원인이 되었다. 일부에서는 요나단의 행위가 비애국적, 비효행위라고 비난하나, 그것은 하나님을 믿는 신앙과 의를 위하여 핍박을 받는 다윗을 아끼고 동정한 정의감의 행동이었다. (삼상 20장) 그 후 요나단은 다윗을 십 황무지 숲 속에서 만나 그를 위로하고 장차 다윗은 왕이 되고 자기는 그 다음이 되겠다는 약속을 남기고 돌아갔다. 그러나 이 회견이 최후가 되고 말았으니 요나단는 그 후 길보아 산에서 전사했기 때문이다(삼상 23:15-18,31:2). 요나단에게는 므비보셋( 대상 8: 34, 9:40에는 므립바알)이라는 절뚝발이 아들이 있었다. (삼하 4:4) 다윗은 요나단을 위해 그 아이에게 사랑을 표시하고 그를 보호하였다. (삼하 9장 ) 이상에서 요나단은 다윗과의 우애를 끝까지 지킨 것을 알 수 있다. 무엇 보다도 하나님에 대한 정의와 다윗에 대한 신의를 저버리지 않았던 요나단은 우리에게 신앙의 절개가 필요함을 일깨워준다. 아버지였던 불의와 타협할 수 없어 등을 돌린 요나단의 결단은 정의보다는 혈연, 이익관계를 더 선택하는 오늘의 모든 자들에게 경각심을 주는 것이다. 그의 신의와 정의감은 다윗을 감동시켰고 후에 자기 자녀를 다윗에 의해 보호받게 하는 기회가 되게 하였다. -------------------------------------------------------------------------------- 요나단… 왕좌도 포기한 ‘다윗의 신앙동반자’ ● 여인의 사랑보다 승한 우정 ( 자기 왕관을 기꺼이 내준 다윗의 참된 친구 - 요나단 ) 강력한 블레셋이/미약한 이스라엘을 위협하던 시기에/이스라엘에 진정한 용사/사울 왕의 아들/요나단이 있었네 “여호와의 구원은/사람의 많고 적음에 달리지 아니하였다”는 굳센 믿음으로/블레셋의 큰 군대를 향해/홀로 용감히 나아가 그들을 물리친/요나단/그는 이스라엘의 참된 믿음의 용사라 강력한 사울 왕이/미약한 목동 다윗을 위협하던 시기에/이스라엘에 참된 우정/사울 왕의 장남/요나단이 있었네 “요나단의 마음이 다윗의 마음과 연락되어/요나단이 다윗을 자기 생명같이 사랑하였다”는/뜨거운 우정으로/아버지의 불의를 물리치고/친구의 정의의 편에 서서/자기가 계승할 왕권을/친구 다윗에게 기꺼이 물려준 요나단은/이스라엘의 아름다운 우정의 화신(化身)이라 오늘 그대여/강력한 블레셋의 공격을 받고 있는가/요나단을 본받아 믿음으로 물리치거라 오늘 그대여/친구와 우정을 나누고 있는가/요나단을 본받아 참된 우정을 키워라/여인의 사랑보다 승한 사랑으로/생명 걸고 친구를 사랑하여/요나단의 빛나는 우정의 발자취를 따라가라 ● 요나단 ― 이스라엘의 용감한 전사, 다윗의 진정한 친구 이스라엘의 용감한 전사 요나단이 활동하던 시기는 통일왕국 이스라엘의 초창기로,부왕인 사울이 통치하던 때였다. 당시 이스라엘의 최대 위협은 지중해안에 살고 있던 블레셋 족속이었다. 요나단은 자신이 맡은 적은 군사로 게바에 진치고 있던 블레셋 수비대를 물리쳤고 또 한번은 이스라엘을 치려고 수많은 군사들을 동원하여 믹마스에 진치고 있던 블레셋 군대를 자기 병기 든 자를 데리고 홀로 나가 맞서서 그들을 성공적으로 교란시켜 결국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이로 볼 때 요나단은 이스라엘의 용감한 전사로서 군사적인 지략이 뛰어난 인물이었음에 틀림없다. 특히 요나단은 사울 왕이 맹세로써 금지시킨 음식을 먹음으로써 처형당할 위기에 놓이게 되었는데 다른 군사들이 필사적으로 변호해 줌으로써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이것은 요나단이 군대 지휘관으로서 부하들의 신망이 두터운 인물이었음을 보여준다. 다윗의 진정한 친구 다윗에 대한 요나단의 우정은 순수했고 진실했으며 뜨거운 것이었다. 소년 다윗이 블레셋의 거인 장수 골리앗을 쓰러뜨릴 때 요나단의 마음이 다윗의 마음과 결합한 이후로 요나단은 모든 이해관계를 초월하여 순수하고 진실되게 다윗과의 우정을 지켜나갔다. 요나단의 부친 사울 왕은 다윗을 위협적인 정적(政敵)으로 보고 그를 죽이려고 혈안이 되었지만 왕위를 계승할 위치에 있는 요나단은 오히려 아버지 사울 왕의 잘못을 지적하였다. 그러면서 다윗을 변호해 주었고 다윗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다하였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요나단은 하나님의 섭리 아래에서 다윗이 결국 사울을 이어 이스라엘의 왕이 될 것임을 선언함으로써 도피 중에 있던 다윗을 크게 격려해 주었다. 후일 요나단이 죽었을 때 다윗은 요나단의 이런 우정을 잊지 못하여 그 우정이 여인의 사랑보다 승하였다고 회고하였다(삼하 1:26). 요나단을 본받아 블레셋의 큰 군대를 칠 때 요나단이 홀로 보여준 용기는 만용이 아니라 “여호와의 구원은 사람의 많고 적음에 달리지 아니하였다”(삼상 14:6)는 믿음에 근거한 것이었다. 그리고 사울을 피해 도피 중에 있던 다윗을 찾아가 장차 다윗이 이스라엘의 왕이 될 것이라고 말해준 것도 하나님의 경륜에 순복하는 믿음에 근거한 것이었다(삼상 23:17). 이같은 굳건한 믿음의 기초 위에서 요나단은 이스라엘의 전사로서 담대한 용기를 가졌고 다윗의 진정한 친구로서 변치 않는 우정을 보여주었다. 김영진 <성서원 회장>
3 미가(Micah)
인물
jesus
4087 5 2006-12-27
▶ 미가(Micah) 뜻:여호와와 같은이가 누구뇨 [1] 사사시대에 에브라임 산지에 살던 사람. 집안에다 은전 200을 들여 우 상을 만들어 놓고 레위인 나그네 한 사람을 제사장으로 삼았다. 후일 단 지파가 북쪽으로 이주할 때 제사장을 억지로 끌고 갔고 우상도 뺏어갔다(삿17:13). (삿18:) 이것이 단 지파의 성소의 유래가 되기도 한다(삿08:29-34). [2] 르우벤 지파의 한 족장(대상05:5). [3] 므비보셋의 아들(삼하09:12), (대상08:34). (대상09: [4] 웃시엘의 아들 고핫의 제사장(대상23:20). (대상24: [5] 압돈의 아비(왕하22:12), (대하34:20). [6] 이사야와 같은 시대의 예언자로 미가서의 저자. 블레셋 지경의 모라셋 출신(미01:1 (렘26:18 * 북극 이스라엘이 멸망하기 직전부터 예언하여 그의 활동 기간은 주전 725-700경이다. ======== Micah. [Mi'cah] 1. A man of Mount Ephraim, whose history reveals the sad state of private life in Israel, as well as the mixture of idolatry with the name of Jehovah, early in the times of the Judges, Phinehas being still high priest. He had a house of gods, and made an ephod and teraphim, and consecrated one of his sons to act as priest. A wandering son of Levi finding his way to Micah's house was gladly received by him, treated as one of his sons, and became his priest. Then Micah said, "Now know I that the Lord will do me good, seeing I have a Levite to my priest." The Danites however, seeking a larger inheritance, sent spies to the north, who came near Micah's house, and knowing the voice of the Levite, asked him to inquire of God for them. He ventured to reply, "Go in peace: before the Lord is your way wherein ye go." A larger body of Danites afterwards came and carried away the gods of Micah, and the ephod and the teraphim, together with the Levite, and took them to the north, where they established themselves. Micah hastened after them, but could not recover his gods. There was no king in Israel, and every man did that which was right in his own eyes; and God, though nominally owned, was, alas, in reality ignored. Judges 17, Judges 18. 2. Son of Shimei, a descendant of Reuben. 1 Chr. 5:5. 3. Son of Merib-baal, or Mephibosheth, the grandson of Saul. 1 Chr. 8:34, 35; 1 Chr. 9:40, 41. Called MICHA in 2 Sam. 9:12. 4. Son of Zichri, or Zabdi, or Zaccur, a Levite. 1 Chr. 9:15. Apparently called MICHA in Neh. 11:17, 22; and MICHAIAH in Neh. 12:35. (느11: (느12: 5. Son of Uzziel, a Kohathite. 1 Chr. 23:20. Called MICHAH in 1 Chr. 24:24, 25. 6. Father of Abdon. 2 Chr. 34:20. Called MICHAIAH in 2 Kings 22:12. (왕하22: 7. The Morasthite, the prophet. Jer. 26:18; Micah 1:1. ======== Micha. [Mi'cha] 1. Son of Mephibosheth. 2 Sam. 9:12. Called MICAH, 1 Chr. 8:34, 35; 1 Chr. 9:40, 41. 2. A Levite, father of MATTANIAH. Neh. 11:17, 22. Called MICAH in 1 Chr. 9:15. 3. A Levite who sealed the covenant. Neh. 10:11. (느10: --- Morrish Bible Dictionary ------------------------------ ▶ 미가/하나님 섬기며 우상도 숭배 ◎집에 신상 차려놓고 미신적신앙 신봉/분별력 없이 축복만 좇다가 파멸 자초 사사기 17, 18장 미가는 「여호와와 같은 자가 누구냐」는 뜻이다. 미가는 에브라임 산지에 살았던 평번한 백성이었다. 다른 사람보다 조교심이 강하고 축복에 대한 관심이 특별한 사람이었다. 한번은 어머니의 돈 은 천백개를 훔쳤다가 그 어머니가 훔친 자에 대해 저주를 하자 저주가 두려워 어머니에게 내어놓고 자복한 일도 있었다. 그 때에 그 어머니는 그 돈을 하나님께 드렸고 남은 이백으로 아들을 위해 신산을 부어 만들었다. 이것은 축복을 열망하는 미가의 마음을 도와주려는 노력이었으나 우상을 만드는 죄를 범했다. 이와같이 미가는 하나님도 섬기면서 자기집에 신당을 차려놓고 신상과 제사장의 에봇과 드라빔을 안치했다. 자기 아들을 통해 제사직을 대행할 만큼 분별없이 축복을 사모했다. 이는 정당한 신앙이 아니라 미신적인 신앙이었다. 또한 미가는 베들레헴에서 자기 거할 곳을 얻고자 에브라임 산지에 찾아온 레위 소년을 해마다 은 열과 의복 한벌과 식물을 주고 자기아들같이 돌보며 가정 제사장으로 삼기도 하였다. 축복과 은혜를 사모하는 연심은 대단하였으나 미가의 행위는 하나님께 죄를 더하는 큰 실수를 범한 것이다. 그후에 단 지파가 라이스 지역을 정복할 때 미가의 집에서 신상과 우상과 에봇과 드라빔을 탈취했고 레위 소년 제사장까지 납치하여 미가의 미신적인 신앙의 꿈은 다 깨지고 말았다. ▷교훈과 적용◁ 첫째,미가와 같이 열심이나 종교심이 강한 것도 좋지만 잘못된 열심은 죄를 가중시킨다. 둘째,축복을 사모하되 복의 근원이신 하나님과 바른 관계를 맺어야 한다.진정한 축복은 하나님께 있다.<이병돈목사·은평교회> ▶ 미가 2 /자기헌신으로 “충실한 사역” ◎시대요구 부응한 정직한 예언가 성경:미가 1∼7장 (미01: (미02: (미03: (미04: (미05: (미06: (미07: 미가는 「여호와의 같은 자가 누구냐」는 뜻이다. 미가는 소선지자 중의 한 사람이었고 소선지서 미가의 저자이다. 미가는 가드지역의 모레셋 사람으로 농촌출신이었다. 그이 선지 활동은 유다의왕 요담 아하스 히스기야시대를 거치며 사역한 하나님의 종이었다. 따라서 미가는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와 같은 시대의 선지자였다. 이사야는 귀족출신의 선지자인데 반해 미가는 서민출신의 선지자로 대조적인 인물이었다. 그러나 당시 백성들의 죄와 종교적인 타락으로 유다의 멸망과 예루살렘에 대한 심판을 지속적으로 담대하게 선포한 것은 참으로 훌륭한 사역이 아닐 수 없다. 미가는 한 선지자로 시대적인 예언에 대해 목숨버리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그 시대의 죄를 지적하고 백성을 권고하는데 예언자적 사명을 충실히 감당한 하나님의 종이었다. 미가와 같이 선지자로 선택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기 사역에 대한 지식을 정확히 안다는 것은 더 중요하고, 백성의 죄와 교회와 교회지도자들의 죄에 대해 보고 느끼고 깨달아진 실상을 정직하게 지적한다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 미가는 이런 면에서 자신과 하나님앞에 부끄러움이 없는 사람이었다. 미가 선지자의 또 다른 증거는 베들레헴에서 메시야가 탄생할 것에 대한 예언이었다(미5:2). 이 예언은 예수님의 메시야이심에 대한 다른 많은 예언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는 예언중의 예언이다. ▷교훈과 적용◁ 첫째,미가와 같이 자기소명과 자기사명과 자기헌신에 충성되어야 한다.자기일을 찾자. 둘째,미가는 죄를 책망하는데는 목숨을 두려워하지 않았다.이 시대가 요구하는 정직한 예언자가 되자.<이병돈목사·은평교회>
2 단(Dan)
인물
jesus
1999 19 2006-12-26
▶ 단(Dan) 뜻:심판관 1) 라헬의 시녀 빌하가 낳은 야곱(Jacob)의 아들(창30:6). 이스라엘 12지파 - 르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 스불론, 잇사갈, 단, 갓, 아셀, 납달리, 요셉 (에브라임, 므낫세), 베냐민 2) 야곱이 축복시에 단은 길의 뱀이오 첩경의 독사라 하고(창49:17) 3) 시내산에서 계수함을 입 은 자가 6만여명(민01:39) 4) 모세의 축복을 받음(신33:22) 5) 일곱째로 기업을 받았다(수19:40-46). 6) 팔레스틴 남북의 경계를 말할때에 단에서부터 브엘세바까지라고 하였다(수 19:47), (사18:29). 7) 이 족속은 자치적 정신이 강하고 민첩하고 용감하여 항상 칭송을 받았다(창 49:16), (신33:22). 8) 계시록의 명단에는 이 지파의 이름이 빠졌으니 이것은 아마 장차 올적 그리스도가 이 지파에서 날듯하다 (계07:5-8). ▶ 단 Dan. Fifth son of Jacob, and first of Bilhah, Rachel's maid. Gen. 30:6, etc. Little is recorded of him personally: only one son is mentioned in Gen. 46:23. (창30:6 라헬이 가로되 하나님이 내 억울함을 푸시려고 내 소리를 들으사 내게 아들을 주셨다 하고 이로 인하여 그 이름을 단이라 하였으며 (창46:23 단의 아들 후심이요 The tribe of Dan was, however, numerous: at the Exodus there were 62,700 fighting men, exceeding all the tribes except Judah; and at the second numbering they had increased to 64,400. Num. 1:39; Num. 26:42, 43. (민01:39 단 지파의 계수함을 입은 자가 육만 이천 칠백명이었더라 (민26:42-43 42 단 자손은 그 종족대로 이러하니라 수함에게서 수함 가족이 났으니 이는 그들의 종족을 따른 단 가족들이라 43 수함 모든 가족의 계수함을 입은 자가 육만 사천 사백명이었더라 Yet when in the land the Amorites forced the children of Dan into the mountains: for they would not suffer them to come down to the valley. Judges 1:34. This showed great want of faith in the DANITES (as they are called in Judges 13:2; Judges 18:1, 11; 1 Chr. 12:35); and Deborah in her song said, 'Why did Dan remain in ships,' when the Lord's enemies were being destroyed? (삿01:34 아모리 사람이 단 자손을 산지로 쫓아들이고 골짜기에 내려오기를 용납지 아니하고 (삿13:2 소라 땅에 단 지파의 가족중 마노아라 이름하는 자가 있더라 그 아내가 잉태하지 못하므로 생산치 못하더니 (삿18:1, 11 1 그 때에 이스라엘에 왕이 없었고 단 지파는 이 때에 거할 기업의 땅을 구하는 중이었으니 이는 그들이 이스라엘 지파 중에서 이때까지 기업의 땅 분배함을 얻지 못하였음이라 11 단 지파 가족 중 육백명이 병기를 띠고 소라와 에스다올에서 출발하여 (대상12:35 단 자손 중에서 싸움을 잘하는 자가 이만 팔천 육백명이요 Their portion fell on the sea-coast between those of Manasseh and Judah. It was small in comparison with their numbers, which occasioned some going north and building the city of Dan, q.v. Dan was not conspicuous among the tribes, but Aholiab, who helped Bezaleel in the work of the tabernacle, was of the tribe, Ex. 31:6; and Samson also. (출31:6 내가 또 단 지파 아히사막의 아들 오홀리압을 세워 그와 함께 하게 하며 무릇 지혜로운 마음이 있는 자에게 내가 지혜를 주어 그들로 내가 네게 명한 것을 다 만들게 할지니 When Jacob blessed his sons he said, "Dan shall judge his people, as one of the tribes of Israel. Dan shall be a serpent by the way, an adder in the path, that biteth the horse heels, so that his rider shall fall backward." Gen. 49:16, 17. (창49:16-17 16 단은 이스라엘의 한 지파 같이 그 백성을 심판하리로다 17 단은 길의 뱀이요 첩경의 독사리로다 말굽을 물어서 그 탄 자로 뒤로 떨어지게 하리로다 This tribe was guilty of setting up very early in the land the idolatry, which continued until the people were carried into captivity. Judges 18:30, 31. One naturally associates 'the adder that biteth the heels' with the serpent that would bruise the heel of the seed of the woman. Gen. 3:15. It seems to suggest that the Antichrist will arise out of the tribe of Dan, and this indeed has been the judgement of Christians from the earliest times. (삿18:30-31 30 단 자손이 자기를 위하여 그 새긴 신상을 세웠고 모세의 손자 게르손의 아들 요나단과 그 자손은 단 지파의 제사장이 되어 이 백성이 사로잡히는 날까지 이르렀더라 31 하나님의 집이 실로에 있을 동안에 미가의 지은바 새긴 신상이 단 자손에게 있었더라 (창03:15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너의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 하시고 Moses said, "Dan is a lion's whelp: he shall leap from Bashan," Deut. 33:22, which may be a prophecy that Dan would do the work of Satan: cf. Ps. 22:12, 13. This thought is confirmed by Dan's name being absent from 1 Chr. 2 - 8 (the book that records much of grace and blessing), and being omitted also from the list of tribes from each of which twelve thousand will be sealed in a future day. Rev. 7:3-8. (신33:22 단에 대하여는 일렀으되 단은 바산에서 뛰어나오는 사자의 새끼로다 (시022:12-13 12 많은 황소가 나를 에워싸며 바산의 힘센 소들이 나를 둘렀으며 13 내게 그 입을 벌림이 찢고 부르짖는 사자 같으니이다 (대상02: - 08: (계07:3 가로되 우리가 우리 하나님의 종들의 이마에 인치기까지 땅이나 바다나 나무나 해하지 말라 하더라 Still God's promises to the twelve tribes will be kept, and the tribe of Dan will have its portion in the land as prophesied in Ezek. 48:1, 2, 32. (겔48:1, 2, 32 1 모든 지파의 이름대로 이 같을지니라 극북에서부터 헤들론 길로 말미암아 하맛 어귀를 지나서 다메섹 지계에 있는 하살에논까지 곧 북으로 하맛 지계에 미치는 땅 동편에서 서편까지는 단의 분깃이요 2 단 지계 다음으로 동편에서 서편까지는 아셀의 분깃이요 32 동편의 광이 사천 오백척이니 또한 문이 셋이라 하나는 요셉 문이요 하나는 베냐민 문이요 하나는 단 문이며 --- Morrish Bible Dictionary
1 게르솜(Gershom)
인물
jesus
3728 14 2006-12-26
▶ 게르솜(Gershom) 뜻 : 거기 나그네 됨 [1] 모세의 장자 (출02:22, (출18:3). (대상23:15, 16; (대상26:24. [2] 대제사장 요나단의 부친 (삿18:30). [3] 에스라와 바벨론에서 돌아온 비느하스의 가족 족장 (스08:2). - 레위의 아들 (대상06:16-71 (대상15:7 ======== Gershom. [Ger'shom] 1. Eldest son of Moses and Zipporah, born in Midian. Ex. 2:22; Ex. 18:3; Judges 18:30 (see MANASSEH); 1 Chr. 23:15, 16; 1 Chr. 26:24. 2. Eldest son of Levi, 1 Chr. 6:16-71; 1 Chr. 15:7; but elsewhere named GERSHON. 3. A descendant of Phinehas who returned from exile. Ezra 8:2. --- Morrish Bible Dictionary ▶ 게르솜은 「거기 나그네 됨」이라는 뜻이다. 모세와 십보라 사이에서 태어난 장자였다.게르솜은 모세의 아들로서 이스라엘 민족의 출애굽사건을 경험하였으며 기적이 계속되는 광야생활을 목격한 사람이었다.그러나 그 아버지 모세와 같이 훌륭한 신앙의 계승자가 되지는 못하였다. 모세가 밖에 나가 이스라엘 민족을 통치했던 영적인 지도력이나 종교적인 감화가 가정에서도 그대로 전달되지는 못한것 같다.여기에 영적인 어려움이 있게 된다. 모세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사람이었고 십보라는 이방사람이었기 때문에 여호와신앙에 상당한 격차가 있었을 것이다. 게르솜은 이 두 부모사이에서 아버지 모세가 원하는만큼 영적인 사람으로 자리잡지 못한 것 같다.여기서 결혼의 중요성을 발견하게 되고 믿음안에서의 결혼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 아론의 대제사장직은 그 아들 엘르아살에게 물려졌으나 모세의 통치권은 게르솜에게 물려지지 않고 여호수아에게 물려졌다. 이는 게르솜이 나이가 어려서 물려받지 못한 것이 아니고 영적인 지도력이 부족하므로 하나님은 여호수아를 선택하신 것이다.그뿐 아니라 단 자신이 우상을 만들어 하나님 대신 섬길 때에 게르솜의 아들 요나단이 우상전각의 제사장이 된 것을 보면 게르솜의 신앙의 영향력이 그렇게 만족스럽지 못했던 것을 알 수 있다.내 가정을 종교화하자. 교훈과 적용 첫째,아버지의 신앙이 훌륭하다고 자손들의 신앙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둘째,힘든 여건 속에서도 결혼대상에 대한 선택은 신중히 하자.사람보다도 신앙을 앞세우자.<이병돈목사 은평교회>

.
성경연대표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14.세계선교 관련그림.지도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Ani
1창세기[Genesis] 2출애굽기[Exodus] 3레위기[Leviticus] 4민수기[Numbers] 5신명기[Deuteronomy] 6여호수아[Joshua] 7사사기[Judges] 8룻기[Ruth] 9사무엘상[I Samuel] 10사무엘하[II Samuel] 11열왕기상[I Kings] 12열왕기하[II Kings] 13역대상[I Chronicles] 14역대하[II Chronicles] 15에스라[Ezra] 16느헤미아[Nehemiah] 17에스더[Esther] 18욥기[Job] 19시편[Psalms] 20잠언[Proverbs] 21전도서[Ecclesiastes] 22아가[Song of Solomon] 23이사야[Isaiah] 24예레미야[Jeremiah] 5예레미아애가[Lamentations] 26에스겔[Ezekiel] 27다니엘[Daniel] 28호세아[Hosea] 29요엘[Joel] 30아모스[Amos] 31오바댜[Obadiah] 32요나[Jonah] 33미가[Micah] 34나훔[Nahum] 35하박국[Habakkuk] 36스바냐[Zephaniah] 37학개[Haggai] 38스가랴[Zechariah] 39말라기[Malachi] 40마태복음[Matthew] 41마가복음[Mark] 42누가복음[Luke] 43요한복음[John] 44사도행전[Acts] 45로마서[Romans] 46고린도전서[I Corinthians] 47고린도후서[II Corinthians] 48갈라디아서[Galatians] 49에베소서[Ephesians] 50빌립보서[Philippians] 51골로새서[Colossians] 52데살로니가전서[I Thessalonian] 53데살로니가후서[2 Thessalonian] 54디모데전서[I Timothy] 55디모데후서[II Timothy] 56디도서[Titus] 57빌레몬서[Philemon] 58히브리서[Hebrews] 59야고보서[James] 60베드로전서[I Peter] 61베드로후서[II Peter] 62요한일서[I John] 63요한이서[II John] 64요한삼서[III John] 65유다서[Jude] 66요한계시록[Rev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