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의 한글성경
  2. 오늘의 WEB성경
  3. 성경백과사전
  4. 관련서적들

-----Readed_count

-----Update

오늘 :
18,051 / 101,122
어제 :
20,264 / 222,944
전체 :
20,855,428 / 283,446,830
Mobile Bible, Bible Dictionary, Mobile iWorship, 구글Map 성경66권 사전 : -()-()--()-(,)-(,)-(,)-()--중간-(...)-

성경관련 백과사전 & Morrish Bible Dictionary

+ Blue Letter Bible/KJV + 개역한글 성경구절

성경 백과사전 테마별 (구약OT, 신약NT), 성경만화, 요리문답,
영어성경보기, 개역한글성경보기, NEWS, 어!성경
Morrish성경사전 (최신등록), WB.Study, 성경권별 지명연구(지도포함), 인물탐방 각종테마별 - 무게.길이.화폐, 12보석, 유대월력, 동물, (Birds), 식물, 나무, , Miracles(구약, 신약), 613율법Mitzvot, 이방신, 하나님, Tip: 영문장.절위로 커서를 옮기면 해당 KJV 성경 영문구절이 펼처집니다. (Gen. 1:1; Rev. 22:21;)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추천 등록일
Notice 공지 성경 속 전쟁 연대기 (The War Chronicles in the B... 파일
cyber
36383 2 2019-03-05
Notice 공지 TIDWELL BIBLE 21 연대표
jesus
69824 1 2016-12-14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NT 신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5769 1 2016-02-21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OT 구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6109 1 2016-02-21
Notice 공지 성경백과사전 권별.장별[Chapter] 관련내용보기 파일
jesus
83985 1 2015-05-04
32 다윗성/다윗의 동네(David, City of)
지명
jesus
939   2019-06-12
▶ 다윗성/다윗의 동네 David, [Da'vid] City of. 1. 2 Sam. 5:7: same as ZION, q.v. (삼하05:7 다윗이 시온 산성을 빼앗았으니 이는 다윗성이더라 2. BETHLEHEM, Luke 2:11: so called because David was born there. (눅02:11 오늘날 다윗의 동네에 너희를 위하여 구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 주시니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31 다윗(David) - Eng
인물
jesus
1100   2019-05-30
▶ 다윗 David. [Da'vid] korean The name signifies 'well-beloved.' David was the son of Jesse, a descendant of Boaz and Ruth, a Jew and a Gentile: both Jews and Gentiles are to be blessed in the Christ whom David typified. David was anointed when in humility, 'keeping the sheep.' His seven brothers had passed before Samuel, but the one to be anointed must be one after God's own heart, one that would care for and feed God's people. The spirit of Jehovah came upon him from that day. Christ was the true Messiah, whom David prefigured, being anointed at His baptism by the Holy Spirit before entering on His service toward Israel. David's spirit was stirred within him when he heard the boasting of Goliath against the God of Israel, and he then told how in secret he had protected the sheep and had slain the lion and the bear: in the name of God the giant would also be overcome. His faith was in Israel's God, and the giant was slain. The women's song in praise of David raised the jealousy of Saul, who had more sense of his own importance than care for the Lord's people. He gave his daughter Michal to be David's wife, and thought thus to entrap him; but his wife became his deliverer. This called forth Ps. 59. He had faith that God would laugh at his enemies: God was his defence and the God of his mercy. Though the Psalms show the experiences of David's inner man, it must not be forgotten that they are prophetic, and his language is often that of the remnant of Israel in the future, and sometimes that of Christ. Ps. 59: speaks of the heathen who will oppose Christ. (시059: 다윗의 믹담시. 나를 원수에게서 건지소서 The love of Jonathan and David is beautiful, but Jonathan could not protect David from the hatred of Saul, and David resorted to the priest, who gave him the hallowed bread. The sovereign grace of God rises above the ordinances that are connected with blessing when that blessing is rejected. God's anointed one was rejected and the showbread was considered common. He received the sword of Goliath, and fled to the Philistines. Apparently he was seized by them (cf. the heading of Ps. 56); he cried for mercy, for man sought to swallow him up. "Put thou my tears into thy bottle: are they not in thy book?" he said; yet he knew he should escape, for God was for him. He changed his behaviour before the Philistines and assumed madness: connected with this is Psalm 34. David would bless the Lord at all times: he cried, and the Lord heard him; but the psalm is manifestly prophetic of Christ: see Ps. 34:20 and others. David escaped to the cave of Adullam, and his brethren and his father's house went to him, also those in distress, and those in debt, and the discontented; the prophet Gad was with him, and soon afterwards Abiathar the priest. But the enemy was not inactive, Doeg the Edomite informed Saul of how Ahimelech the priest had helped David, which led Saul to employ even Doeg to slay the family of Ahimelech. This drew forth Ps. 52: God would destroy the wicked, and the man who had not made God his strength. It must be remembered that the circumstances through which David passed are used by the prophetic Spirit to develop the experiences in the conflict between good and evil, which are to culminate in final deliverance and glory. (시056: 다윗이 가드에서 블레셋인에게 잡힌 때에 믹담시. (시034: 여호와를 찾는 자는 모든 좋은 것에 부족함이 없다 (시034:20 그 모든 뼈를 보호하심이여 그 중에 하나도 꺾이지 아니하도다 (시052: 에돔인 도엑이 사울에게 밀고할때 When the Philistines attacked and robbed the Israelites, David inquired of the Lord, and smote them with great slaughter. It is beautiful to see how David could inquire of God and receive an immediate answer. Even the city Keilah which he had relieved was against him, the king anointed of God to feed them. He was obliged to wander elsewhere, but Jonathan met him in a wood and encouraged him, assuring David that he knew he would surely be king; and there they made a covenant together: cf. Ps. 63. (시063: 다윗의 시. 주의 인자가 생명보다 나으며 When Nabal had repulsed David's messengers Abigail brought a present, and rehearsed what God would do for David, and appeased his wrath. God smote Nabal, and Abigail became David's wife. Now the Ziphites or Ziphim engaged to aid Saul to capture David. This called forth Ps. 54, in which David cries earnestly to be saved: strangers had risen up against him; but his faith could say that God had delivered him out of all trouble. (시054: 다윗의 노래. 주께서 나를 건지시고 David must wander hither and thither, sometimes in the wilderness, sometimes in the mountains, and sometimes in the caves: cf. Psalms 57 and 142. He twice saved Saul's life, for he would not allow his followers to slay the Lord's anointed. He could wait God's time for deliverance, yet, alas, his faith failed him, and at length he said in his heart, "I shall now perish one day by the hand of Saul," 1 Sam. 27:1, and he fled to the Philistines: strange place for David! The Philistines prepared for war with Israel, and apparently David would have joined them, but he was prevented by some of the lords of the Philistines objecting to him, and he was sent back. In this the providential hand of God was seen. But chastisement from the Lord had fallen upon him, for the Amalekites had smitten Ziklag and carried off his family and those of his followers. Recourse was had to God, who never forsook David, and He graciously answered, and told him to pursue. All was recovered, and David was able to send presents of the spoil to his friends. Both Saul and Jonathan were slain in the contest that followed. (시057: 굴에 있던 때의 다윗의 믹담시. (시142: 다윗이 굴에 있을 때에 지은 마스길 곧 기도. (삼상27:1 다윗이 그 마음에 생각하기를 내가 후일에는 사울의 손에 망하리니 블레셋 사람의 땅으로 피하여 들어가는 것이 상책이로다 사울이 이스라엘 온 경내에서 나를 수색하다가 절망하리니 내가 그 손에서 벗어나리라 하고 David now went up with his followers to Hebron, and the throne being vacant, the men of Judah came and anointed him king over their tribe. Ish-bosheth, son of Saul, was afterwards chosen king by the other tribes. For a time there was continual war between the two houses, but David grew stronger and stronger, and Ish-bosheth weaker and weaker. After David had reigned seven years and six months at Hebron, Abner revolted from Ish-bosheth, who was soon after slain by two of his officers, and David was anointed king over all Israel. All was now changed for David; but, alas, the first thing recorded after getting possession of Zion is "David took more concubines and wives out of Jerusalem, after he had come from Hebron." 2 Sam. 5:13. Hiram king of Tyre sent messengers to David with timber and workmen, and a house was built for David. Ps. 30 would appear to have been indited on its dedication. It was God who had brought up his soul from the grave, had lifted him up and healed him. (삼하05:13 다윗이 헤브론에서 올라온 후에 예루살렘에서 처첩들을 더 취하였으므로 아들과 딸들이 또 다윗에게서 나니 (시030: 다윗의 시. 성전 낙성가. 주를 찬송하고 영원히 Again and again David fought with the Philistines. He burned their idols, and smote them from Geba, to Gazer. He followed on to smite Moab; then extended his border to the river Euphrates, and put garrisons in Syria of Damascus; he smote of the Syrians in the valley of Salt 18,000. All they of Edom became David's servants: cf. Ps. 60: written after one of these victories, when apparently it had been a hard time for them: but it is also prophetic of the future. (시060: 소금 골짜기에서 쳐서 만 이천명을 죽인 때에 다윗시 David's great thought, when established in the kingdom, was to find a resting place for the ark, to bring God into the midst of His people. He attempted to bring up the ark, but at first not in God's way, and Uzzah was smitten, which displeased David and made him afraid; but he learned better, and the ark was carried up on the shoulders of the Levites, with sacrifices and much rejoicing. David, girded with a linen ephod, danced before the ark, and as the anointed of God he blessed the people and distributed his good things. Nature in Michal thought it shameful; but David was ready to be 'more vile' and 'base' in his own eyes. David thought to build a house to Jehovah, for the ark was only within curtains; but God's message by Nathan was that God would build David a house: his kingdom should be established for ever. David's son should build God a house: cf. Ps. 132, and David's prayer in 2 Sam. 7:18-29. David's heart went forth in thanksgiving, as he sat before the Lord. David showed grace to Mephibosheth, a descendant of Saul, and brought him to his table; typical of the grace that will in the future be shown to the remnant that own their Messiah. His kindness to the Gentile king of Ammon was refused and his messengers were insulted, which brought punishment upon the Ammonites and their allies. (시132: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 다윗을 축복하신 하나님 (삼하07:18-29 다윗의 기도 David, now at his ease instead of fighting the Lord's battles, falls into great sin respecting Bath-sheba and Uriah. He had to hear that the sword should not depart from his house, and evil should rise against him in his own family. David confessed his sin, and was told at once that it had been put away; but God's government must be fulfilled, and the child should surely die. David, knowing how gracious God was, remained prostrate while the child lived, but the child died; and Absalom's rebellion followed: cf. Ps. 51: for the exercises of David respecting his sin. (시051: 다윗이 밧세바와 동침한 후 선지자 나단이 왔을 때 Sin followed in David's house: the defilement of Tamar, the murder of Amnon, and the flight of Absalom. On Absalom's return he ingratiated himself with the people and rebelled against his father. David fled from Jerusalem and toiled up Mount Olivet. Ps. 3 tells out his heart. He did not lose confidence in God: Jehovah was his shield: he lay down and slept, and awaked, for Jehovah sustained him. God was taking care of him, though he had to drink the cup of sorrow. The counsel of Ahithophel was disregarded, and David was saved. He bore the curses of Shimei, saying in his piety, "The Lord hath bidden him." David was deeply grieved at the death of Absalom, and had to be reasoned into submitting to what was seemly. He returned to Jerusalem and pardoned Shimei. The revolt of Sheba followed, and David feared it might be worse than that of Absalom; but by the wisdom of a woman Sheba alone was destroyed. There were still wars with the Philistines, in one of which David nearly lost his life: four giants were slain, and a song of thanksgiving was rendered to God. 2 Sam. 22; Ps. 18. (시003편 다윗이 그 아들 압살롬을 피할 때에 지은 시. (삼하22: 다윗이 승전가를 지어 여호와를 노래하다 (시018: 다윗의 노래. 하나님은 그에게 피하는 자들의 방패 In the last words of David he confessed that his house was not as it should be with God. He had signally failed in punishing sin in his family, especially in the case of Amnon and Absalom; yet he counted on the everlasting covenant that God had made with him, ordered in all things and sure. And he looked forward to that morning without clouds. The 'sure mercies of David' will reach Israel through Christ risen. Isa. 55:3: cf. Acts 13:34. (사55:3 너희는 귀를 기울이고 내게 나아와 들으라 그리하면 너희 영혼이 살리라 내가 너희에게 영원한 언약을 세우리니 곧 다윗에게 허락한 확실한 은혜니라 (행13:34 또 하나님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저를 일으키사 다시 썩음을 당하지 않게 하실 것을 가르쳐 가라사대 내가 다윗의 거룩하고 미쁜 은사를 너희에게 주리라 하셨으니 David was tempted by Satan to number Israel: it was allowed of God, for his anger was kindled against Israel, though we are not told what was the occasion of it. The number was no sooner told to David than his heart smote him, and he confessed that he had sinned greatly. A choice of three punishments was offered to him, and he piously chose to be dealt with by God, for he knew His tender mercies were great, rather than to fall into the hands of his enemies. The pestilence broke forth, and 70,000 men fell, and as the angel was about to smite Jerusalem, Jehovah stayed his hand; and David erected an altar on the spot, and offered burnt offerings and peace offerings. The Lord was entreated for the land and the plague was stayed. Though David was not allowed to build the temple, he made great preparations for it, with patterns or plans of the various parts, which he had by the Spirit, and he stored up abundance of silver, gold, and other materials. He also charged the princes to aid Solomon in the great work. David also arranged the details of the service, the priests, Levites, singers, etc. He established Solomon as his successor, and his work was done. Only a few Psalms have been alluded to, those in which the circumstances of David are mentioned in the headings. The Psalms which bear his name were written by him, but only as an instrument; for it was by the Holy Spirit that they were indited: and thus are eminently prophetic. See PSALMS. Ps. 72 ends thus: "Blessed be the Lord God, the God of Israel, who only doeth wondrous things. And blessed be his glorious name for ever: and let the whole earth be filled with his glory. Amen and Amen. The prayers of David the son of Jesse are ended." (시72: 솔로몬의 시. 하나님의 판단력과 공의를 주십시요 David is a remarkable type of Christ: when he was hunted by Saul, he foreshadowed Christ in His rejection; and when on the throne he was a type of Christ as a man of war, putting down His enemies previous to His peaceful reign in the millennium, typified in Solomon. The Lord Jesus is often called the Son of David, and yet He is David's Lord, about which fact He Himself asked the Jews. Luke 20:41-44. In like manner He is called the root and the offspring of David, Rev. 22:16: being God as well as man He could be both. He also has the key of David. Rev. 3:7; cf. Isa. 22:22-24. He has the disposal of all things for the church, for the future kingdom on earth, and for the nations generally. (눅20:41-44 그리스도는 다윗의 자손인가 (계22:16 나 예수는 교회들을 위하여 내 사자를 보내어 이것들을 너희에게 증거하게 하였노라 나는 다윗의 뿌리요 자손이니 곧 광명한 새벽 별이라 하시더라 (계03:7 빌라델비아 교회의 사자에게 편지하기를 거룩하고 진실하사 다윗의 열쇠를 가지신 이 곧 열면 닫을 사람이 없고 닫으면 열 사람이 없는 그이가 가라사대 (사22:22-24 22 내가 또 다윗 집의 열쇠를 그의 어깨에 두리니 그가 열면 닫을 자가 없겠고 닫으면 열 자가 없으리라 23 못이 단단한 곳에 박힘 같이 그를 견고케 하리니 그가 그 아비 집에 영광의 보좌가 될 것이요 24 그 아비 집의 모든 영광이 그 위에 걸리리니 그 후손과 족속 되는 각 작은 그릇 곧 종지로부터 항아리까지리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30 뽕나무(Mulberry Tree)
기타
jesus
642   2017-05-17
▶ 뽕나무 Mulberry Tree. -plantsbible The word baka is supposed to be from a root signifying 'weeping,' and to refer to some tree that distils an odoriferous gum; but what tree is alluded to is unknown. David was to wait for some secret sign from God in the mulberry trees before attacking the enemy. 2 Sam. 5:23, 24; 1 Chr. 14:14, 15; Ps. 84:6 margin. The true mulberry is supposed to be the tree called in the A.V. SYCAMINE, q.v. -plantsbible (삼하05:23-24; 23 다윗이 여호와께 묻자온대 가라사대 올라가지 말고 저희 뒤로 돌아서 뽕나무 수풀 맞은편에서 저희를 엄습하되 24 뽕나무 꼭대기에서 걸음 걷는 소리가 들리거든 곧 동작하라 그 때에 여호와가 네 앞서 나아가서 블레셋 군대를 치리라 하신지라 (대상14:14-15; 14 다윗이 또 하나님께 묻자온대 하나님이 이르시되 마주 올라가지 말고 저희 뒤로 돌아 뽕나무 수풀 맞은편에서 저희를 엄습하되 15 뽕나무 꼭대기에서 걸음 걷는 소리가 들리거든 곧 나가서 싸우라 하나님이 네 앞서 나아가서 블레셋 사람의 군대를 치리라 하신지라 (시084:6 저희는 눈물 골짜기로 통행할 때에 그곳으로 많은 샘의 곳이 되게 하며 이른 비도 은택을 입히나이다 6 [Who] passing through the valley of Baca make it a well; the rain also filleth the pools. --- Morrish Bible Dictionary
29 르바임 골짜기(Valley of Rephaim)
지명
jesus
4247   2011-09-13
▶ 르바임 골짜기(Valley of Rephaim) 1) 유다 자손과 베냐민 자손 기업의 경계 (수15:8, (수18:16 2) 이스라엘이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으로 삼았다 함을 블레셋 사람들이 듣고 블레셋 사람들이 다윗을 찾으러 올라와 르바임 골짜기에 진을 쳤다. (삼하05:18, (삼하05:22 3) 또 삼십 두목 중 세 사람이 곡식 벨 때에 아둘람 굴에 내려가 다윗에게 나아갔는데 때에 블레셋 사람의 한 무리가 르바임 골짜기에 진 쳤더라 (삼하23:13, (대상11:15, (대상14:9 4) 다메섹에 관한 경고에서 - 마치 추수하는 자가 곡식을 거두어 가지고 그의 손으로 이삭을 벤 것 같고 르바임 골짜기에서 이삭을 주운 것 같으리라 (사17:5 ======== Rephaim, [Repha'im] Valley of. A valley on the south of Jerusalem, in which the Philistines gathered themselves against Israel, and where David twice signally defeated them. 2 Sam. 5:18, 22; 2 Sam. 23:13; 1 Chr. 11:15; 1 Chr. 14:9-17; Isa. 17:5. In the A.V. it is twice called the 'VALLEY OF THE GIANTS.' Joshua 15:8; Joshua 18:16. Identified with el Bukeia, 31 45' N, 35 13' E.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1.756332&ln=35.223059
28 게바(Geba) 파일
지명
jesus
2805   2011-08-12
▶ 게바(Geba) 1) 베냐민 자손의 기업 중 하나로 레위인도 살았다. (수18:24 2) 블레셋 사람의 수비대가 있던 곳으로 사울과 요나단이 공격하였다. (삼상13:3 3) 다윗이 블레셋을 쳐서 이기다 (삼하05:25 ▶ Geba 1 (수18:24, (수21:17, (삼상13:3, (삼상13:16, (삼상14:5, (왕상15:22, (왕하23:8, (대상06:60, (대상08:6, (대하16:6, (스02:26, (느07:30, (느11:31, (느12:29, (사10:29, (슥14:10 ======== Geba. [Ge'ba] Levitical city in Benjamin. Joshua 21:17; 2 Sam. 5:25; 2 Kings 23:8; 1 Chr. 6:60; 1 Chr. 8:6; Neh. 11:31; Neh. 12:29; Isa. 10:29; Zech. 14:10. Apparently while Saul was king the Philistines had a garrison there, which Jonathan smote. 1 Sam. 13:3. The city was built or rebuilt long afterwards by Asa. 1 Kings 15:22; 2 Chr. 16:6. It is called GABA in Joshua 18:24; Ezra 2:26; Neh. 7:30; and GIBEAH in 1 Sam. 13:2-16; 1 Sam. 14:2-16. In 2 Sam. 5:25 Geba should probably be read Gibeon: cf. 1 Chr. 14:16. Identified with Jeba, 31 52' N, 35 15' E.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1.85787&ln=35.25975 ▶ Geba 2 (Gibeon) (삼하05:25 lt=31.846847&ln=35.18491
27 헤브론(B)(Hebron) Map 파일
지명
jesus
6203 22 2007-01-02
▶ 헤브론(B)(Hebron) 뜻: 연합 [1] 예루살렘 서남 30km 지점에 있는 고도. (1) 세계에서 제일 먼저 건설한 도시중의 하나이며 애굽의 유명한 소안 보다도 7년이나 먼저 건설되었고 당시의 주민은 아낙 자손이었다 (민13:22). (2) 6 도피성중의 하나요 유대인의 거룩한 성중의 하나이며 예이름은 기럇아르바여요 현재는 엘칼릴(친구)이다(수20:7, (수15:13, (삿01:10). (3) 이곳에 있는 막벨라 굴은 사라 아브라함 이삭 리브가 레아 야곱등을 장사한 곳이다. (4) 족장사에 보면 이삭에게는 브엘세바,아브라함은 헤브론이 관계가 깊다 (창13, (창18:1). (5) 여호수아가 이 성을 취하여 일부는 갈렙에게 일부는 레위 지파의 아들 아론에게 주었다(수10:36, (수15:54, (수21:10-12). (6) 다윗은 즉위하여 이곳을 수도로 정하고 통치하였다(삼하02:11). (7) 압살롬은 이 성에서 반역의 봉화를 들었다(삼하15:7). (8) 르호보암은 이곳에서 15요새중의 하나로 건축하였다(대하11:10). (9) 모세가 보낸 정탐군이 이 헤브론에 있는 에스골 골짜기에서 굉장한 포도 한송이를 따서 2인이 메고 돌아왔다(민13:23). (10) 해발 1,013미터의 고지대로서 포도의 특산지이며 바벨론 포로 이후에 다시 옛이름으로 건축하였다. [2] 아셀지파 경내에 있는 성인데 압돈이라고도 부른다(수19:28, (수21:30). ▶ 헤브론 Hebron. [Heb'ron] 1. City and district in which Abraham, Isaac, and Jacob dwelt, about twenty-two miles south of Jerusalem. There also Sarah died, and was buried in the cave of Machpelah, as were also Abraham, Isaac, Jacob, Rebekah, and Leah. Gen. 49:31. The city was built seven years before 'Zoan in Egypt' and had been formerly called KIRJATH-ARBA It was thus one of the most ancient cities known in the world. It was possessed by the Canaanites, until conquered by Joshua, and the city given to Caleb, in the portion of Judah. It afterwards became a city of refuge. David reigned in Hebron seven and a half years. Gen. 13:18; Gen. 23:2, 19; Num. 13:22; Joshua 10:36; Joshua 20:7; Judges 1:10, 20; 2 Sam. 2:11, etc. There is still a large town on the spot, with some 18,000 inhabitants, called el Khulil. Also a mosque, said to be built over the cave of Machpelah. This is strictly guarded, very few being allowed to see the tomb. (창49:31. 아브라함과 그 아내 사라가 거기 장사되었고 이삭과 그 아내 리브가도 거기 장사되었으며 나도 레아를 그곳에 장사하였노라 (창13:18; 이에 아브람이 장막을 옮겨 헤브론에 있는 마므레 상수리 수풀에 이르러 거하며 거기서 여호와를 위하여 단을 쌓았더라 (창23:2, 19; 2사라가 가나안 땅 헤브론 곧 기럇아르바에서 죽으매 아브라함이 들어가서 사라를 위하여 슬퍼하며 애통하다가 19그 후에 아브라함이 그 아내 사라를 가나안 땅 마므레 앞 막벨라 밭 굴에 장사하였더라 (마므레는 곧 헤브론이라) (민13:22; 또 남방으로 올라가서 헤브론에 이르렀으니 헤브론은 애굽 소안보다 칠년 전에 세운 곳이라 그곳에 아낙 자손 아히만과 세새와 달매가 있었더라 (수10:36; 여호수아가 또 온 이스라엘로 더불어 에글론에서 헤브론으로 올라가서 싸워 (수20:7; 무리가 납달리의 산지 갈릴리 게데스와 에브라임 산지의 세겜과 유다 산지의 기럇 아르바 곧 헤브론을 구별하였고 (삿01:10, 20; 10유다가 또 가서 헤브론에 거한 가나안 사람을 쳐서 세새와 아히만과 달매를 죽였더라 헤브론의 본 이름은 기럇 아르바이었더라 20무리가 모세의 명한대로 헤브론을 갈렙에게 주었더니 그가 거기서 아낙의 세 아들을 쫓아내었고 (삼하02:11, 다윗이 헤브론에서 유다 족속의 왕이 된 날 수는 일곱해 여섯달이더라 2. City in Asher. Joshua 19:28. Not identified. (수19:28 에브론과 르홉과 함몬과 가나를 지나 큰 시돈까지 이르고 --- Morrish Bible Dictionary (창13:18, (창23:2, (창35:27, (민13:22, (수10:3, (수11:21, (수12:10, (수14:13, (수15:13, (수20:7, (수21:11, (삿01:10, (삿16:3, (삼상30:31, (삼하02:1, (삼하03:2, (삼하04:1, (삼하05:1, (삼하15:7, (왕상02:11, (대상03:1, (대상06:55, (대상11:1, (대상12:23, (대상29:27, (대하11:10 lt=31.5357&ln=35.09401
26 예루살렘(Jerusalem) 파일
지명
jesus
10640 48 2007-01-02
▶ 예루살렘(Jerusalem) 뜻: 평화의 터전 유대와 베냐민 두지파의 경계선상에 있으며 지중해 헤브론 요단강 사마리아로접경을 삼고 있다. 이 명칭은 (수10:1)에 처음 기재되었으나 오래전부터 있어 옛 이름이 살렘 우루살렘이라라 하나 확증이 없고 확실한 것은 여부스이며 (삿19:10-11)별명으로 오홀리바라 하고(겔23:4) 시온산의 이름을 따라 시온성 다윗왕의 도성인고로 다윗성,고라의 자손은 하나님의 성리라 하고 하나님 의 성전이 있는고로 거룩한 성이다라 하였다(삼하05:7,5:9, (눅02:11, (시046:4, (느11:1, (마04:5). 이로부터 유대인들은 이 예루살렘을 극히 존중히 여기고 경모 하였다(시122:6, (시137:5-6, (왕상08:38, (사62:1, 7, (단06:10, (마05:35). 스가랴선지는 많은 백성과 강대한 나라들이 예루살렘으로 와서 만군의 여호와를 찾고 여호와를 구하라고 예언하였고(슥08:22-23).사도들은 한층 더 고상히게 위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성이라 하였다(갈04:26).너희가 이를곳은 시온산과 하나 님의 도성인 하늘의 예루살렘이라 하였고(히12:22)내 하나님으로부터 내려오는 새 예루살렘의 이름과 나의 새 이름이 그의 위에 기록하리라 하고(계03: 12) 또 내가 보매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이 하나님으로부터 내려오니 그 예 비한 것이 신부가 신랑을 위하여 단장한 것 같다고 하였다(계21:2). (1) 역사적 종교적 중요성. 예루살렘은 고대 가나안 사람의 수도였으나 B.C 1,000년경 다윗왕이 점령 령하였다. 아모스와 호세아를 제외한 모든 선지자들의 활동무대였으며 구약 성경 대부분이 여기서 기록되었다. B.C.586년 느부갓네살이 점령하였고 포로 에서 돌라온 후 다시 재건하였으며 파사 희랍 로마시대를 통하여 그의 신성을을 점점 더하였다. 예수의 사역, 죽음, 부활, 승천의 무대였다. A.D.70년 타이러스가 예루살렘을 함락시켰고 136년 하도리안 황제때 재건되었었다가 637년 칼리프 오말에게 점령되었고 회회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1099년 십자군이 점령하였고 1517년 알렌비장군의 연합군이 점령하기까지 터키 사람 의 수중에 있었다. 1920년 국제 연맹의 결의로써 영국의 위임통치로 되었다가 제 2차 대전 이후에 독립하였다. (2) 위치와 기후 고대 문헌을 참고해 볼 때 현재의 예루살렘은 고대 예루살렘의 터위에 건설된 것이 확실하다. 기후는 이탈리아의 북부와 비슷하며 겨울에는 영하2도쯤되며 눈도 내리지만 오래 쌓여있지 않는다. 여름철에는 평균 최고 30도 를 넘지 않는다. (3) 성전의 위치. 솔로몬의 성전은 B.C.586년 느부갓네살의 손에 부서지기까지 존속하였고 포로 기간 중에도 그 위 치를 잊어버리지 않았다(렘41:5, (학 2:3, (스03:12). B.C.516년 스룹바벨이 그 자리에서 다시 지었다(스06:15). 요세퍼스에 의하면 헤롯의 성전은 그런 것을 확장 미화한 데 불과하다고 한다. (4) 지세. 가) 기드론 골짜기:이 골짜기는 예루살렘 동쪽 와디 싯티 마리암일 것이다. (요18:1)과 (막14:26) 을 보면 예수가 감람산에 가실 때 이 골짜기를 건느셨다 나) 힌놈 골짜기: 이 골짜기는 예루살렘 서남쪽을 에워싼 넓은 골짜기 로서 와디엘 라바비일 것이다. 다) 혈 로겔: 골짜기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은 샘과 못이다. (왕상01:)을 보면 아도니아는 엘로겔에서 대관식을 거행 하였으며 솔로몬은 기혼에서 행하였다. 라) 베데스다:38년된 병자가 일어난 곳이다(요05:) 예루살렘 부근에는기혼(처녀의 샘)이 유일한 간혈천이다. 아마 이것이 베데스다 못의 유적일 것이다. 마) 실로암 지금은 아인이라고 부르는데 실상은 샘이 아니라 처녀의 샘 이 아니라 처녀의 샘의 물을 바위를 뚫어서 급수한 것이었다고 한다. (5) 시대적 증거 가) 솔로몬 시대에는 예루살렘 성전,왕궁,바로의 딸의 집이 계속해있으며 주위는 성벽을 쌓았다. 왕궁은 남쪽에 있었으리라 본다. 왜냐하면 다윗궁 보 다는 높고 경전보다는 낮다고 하였다 (왕상06:36, (왕상7:8,12 (사01:26, (왕상08:1, (왕상09:24, (왕상10:5, (왕하11:19, (렘22:1, (렘26:10, (왕상07:8, (왕상09:24, (왕상03:1, (왕상09:15). 나) 히스기야 시대의 예루살렘 히스기야왕은 산헤립의 침입을 예상하여 기혼의 물을 다윗성 서쪽에 끌어들이는 수로의 기록이 있다. (왕하20:20, (대하32:4,30, (대하07:3,(사22:9-11).이것은 바위를 뚫은 굴인데 이 굴 의 안벽에는 옛날 히브 리어의 비문이 조각되어 있다. 이것이 실로암 비문이다. 다) 신약시대의 예루살렘. 신약시대에 있어서는 예수의 예루살렘 방문이 가장 큰 사건이다 예수님이 처음 세번 예루살렘을 방문하신 것은 성전과 관계가 있었다 (눅02:22-39,41-50, (요02:13-22). 네번째는 베데스다 못(요09: ) 다섯번째는 성전(요07:) 여섯번째는 실로암못과 관계가 있었다(요 9:) 일곱번째는 예루살렘에 올라가소 수난주일 동안 일,월,화요일에 성전에서 가르치셨다 (막11:-16:) 목요일에는 다락방에서 만찬을 잡수셨다(막14:15) 이 다락방은 마가의 어머니 마리아의 집이었을 것이다. 이곳은 예수님이 승천하신 후에 초대교회의 집회 장소가 되었다. 전설에 의하면 욥바의 문곁 에 빌라도의 집이 있었다고 하며 헤롯 궁전과 같이 있었을 것이라 한다. 십자가와 무던의 장소인 골고다에는 현재의 성묘교회가 서 있다고 한다 옹기쟁이의 밭 "아겔다마"는 나그네의 매장지였다(행01:18). ▶ 예루살렘 '여호와께서 시온을 택하시고 자기 거처를 삼고자 하여 이르시기를 이는 나의 영원히 쉴 곳이라.' (시132:13) -------------------------------------------------------------------------------- 황금의 도시, 영원한 도시, 평화의 도시인 예루살렘은 3천 년의 역사를 간직한 채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역사의 중심에서 아직도 꿋꿋하게 살아 숨쉬는 이스라엘의 수도이다. 아무런 보잘 것 없은 풍경과 전무한 상태의 부존 자원을 가진 유대 광야의 동편 가장자리에 우뚝 솟아있는 이 도시를 성경은 "산들이 예루살렘을 두름과 같이 여호와께서 그 백성을 지금부터 영원까지 두르시리로다" (시125:2) 하였다. 이런 아무 쓸모없는 땅이 하나님께 선택함을 받았고, '일신교의 보루로서', '세계인의 성도' 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불모의 언덕에서 유명한 철학자들과 선지자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한 설교와 도덕적 계율들, 그리고 한 형제로서의 사랑을 가르치셨고 실수와 우상숭배로 인해서 눈 어두워진 이 땅의 사람들에게 바른 판단의 기준과 신앙적인 확신을 심어준 신앙의 틀을 짠 곳이 바로 이곳이다. "이는 율법이 시온에서부터 나올 것이요 여호와의 말씀이 예루살렘에서부터 나올 것임이라 " (미04:2) 이곳은 전인류의 절반이 종교적인 수도로 믿고 있고, 유대인들에게 있어서는 옛날의 영광이요 미래 희망의 상징이며, 기독교인에게 있어서는 예수님의 마지막 사역이 펼쳐진 곳이며,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생생하게 지켜본 도시이다. 또한 회교도들은 이곳이 선지자 모하마드가 승천한 곳이라 믿고 있다. 예루살렘은 신앙과 평화의 원천이며, 가장 신성한 도시인 동시에 테러와 전쟁의 피가 끊임없이 흘려진 곳이다. 즉, 칼이 오랜 동안의 역사를 거쳐오면서 이들의 자손들을 괴롭혀 왔던 것이다. 지구상의 어떤 도시보다도 많은 전쟁을 거쳐왔고, 사람들의 피로 바다를 이룬 적이 수없이 많았었다. 무려 50차례 이상을 포위 공격 당했으며, 36차례에 걸친 정복과 10차례의 심한 파괴를 당했다. 예루살렘의 시초는 고대사 속에 묻혀 있어 알 길이 없지만, '평화'라는 뜻의 '살렘'(salem) 이라는 이름으로 가나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살렘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 (창14:18), 또 "주 여호와께서 예루살렘에 대하여 말씀하시되 네 근본과 난 땅은 가나안이요, 네 아비는 아모리 사람이요, 네 어미는 헷사람이라" (겔16:3) 하였다. 사실상 예루살렘이 이스라엘의 가장 중요한 곳이 된 것은 주전 10세기에 다윗 왕이 여부스 족으로부터 예루살렘을 정복해서 그의 수도로 삼고 (삼하05:6 ~ 10), 여호와의 언약궤를 이곳으로 옯겨온 (삼하06:1 ~ 23) 이후라고 말할 수 있다. 이후 다윗성(City of David)이라고도 불리웠으며, 자신을 포함한 역대 왕들의 무덤이 되기도 하였다. (사진: 다윗의 망대) BC 965 ~ 922 년에는 예루살렘을 확장 시킨 솔로몬 왕이 성전과 그의 궁전을 짓고 예루살렘을 미화하였다. 본격적으로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종교, 정치, 문화, 사회등 무든 분야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화려하여 "은을 돌같이 흔하게" (왕상10:27) 하던 예루살렘은 남북 분열 이후 쇠퇴하기 시작하였고 BC 586년 바벨론에 의해서 정복 당하였으며 성전이 파괴되고 사람들은 바벨론의 포로가 되었다. "우리가 바벨론의 여러 강변 거기 앉아서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도다. 그 중의 버드나무에 우리가 우리의 수금을 걸었나니, 이는 우리를 사로잡은 자가 거기서 우리에게 노래를 청하며 우리를 황폐케 한 자가 기쁨을 청하고 자기들을 위하여 시온 노래중 하나를 노래하라 함이로다. 우리가 이방에 있어서 어찌 여호와의 노래를 부를꼬" (시137:1 ~ 4) 하며 애곡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그곳에서도 예루살렘을 향하신 하나님의 미래를 결단코 포기하지 않았으며, 그 꿈은 예언자들의 예언대로 70년 만에 예루살렘으로 귀향하여, BC 516 ~ 515 년 예루살렘 성전을 재건하였다. BC 332년 예루살렘은 알렉산더 대왕에 의해서 정복 당했다가, 마카비 전쟁을 통하여 성전을 재탈환하고, 헤스모니아 왕가에 의해서 잠시 동안의 독립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이번에는 다시 로마의 폼페이우스에 의해서 정복되고 말았다. (BC 63년). 로마의 후광을 입어 BC 37년 유대인의 왕으로 임명 된 헤롯 대왕 (Herod the Great)은 위대한 건축가로서 예루살렘을 아름답게 가꾸어 나갔으며, 솔로몬 당시의 성전보다도 더 장대하고 아름다운 성전을 건립하고 성벽을 쌓았다. 이성전은 46년 동안이나 걸려 건축되었고 (요02:20), "헌물과 미석으로 꾸며졌다" (눅21:5). 이 예루살렘이 예수님 당시의 바로 그 예루살렘이다. 그러나 이렇게 화려했던 예루살렘도 예수의 예언 (눅19:41 ~ 44, (눅21:6,20,24)대로 "돌 위에 돌 하나가 남김없이" 무너지고 말았다. 로마의 티투스 (Titus)는 BC 70 년 예루살렘을 불태워 버리고 말았다. 이제 더 이상 예루살렘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삶의 터전이 되지 못하였으며, 세계에 흩어진 그들에게 있어서 이 도시는 다만 과거의 도시일 뿐이었다. AD 132 ~ 135년 바르 코흐바 (Bar Kokhba) 에 의한 제2차 유대 반란 이후 하드리안 황제에 의해서 예루살렘은 로마의 도시로 재건되면서 엘리아 카피톨리나 (Aelia Capitolina) 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불리워지게 됨으로써 그 명성있던 이름마저 빼앗기게 되었다. 유대교와 기독교의 성스러운 장소에는 로마의 제우스 신전이 세워지고 유대인의 출입이 금해지고 만 것이다. AD 332년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기독교를 공인한 이후 예루살렘을 비롯한 예수와 관련된 팔레스틴을 '성지'(Terra Sancta)라 하여 곳곳에 기독교 교회를 세우기 시작하였다. 특히 예루살렘의 골고다에 세워진 성묘교회와 베들레헴에 세워진 예수 탄생교회는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친어머니인 헬레나에 의해 건립되었다. 그러나 614년 페르샤의 침공으로 대부분의 교회가 파괴되었으며, 636년 아랍에게 예루살렘이 점령되어 약 500여년간 아랍의 통치하에 있게 됨으로써 예루살렘은 더 이상 기독교의 전통을 이어가지 못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아랍문화로 채색되어 갔다. 1099년 예루살렘이 십자군의 휘하에 들어감에 따라 약 200년 동안 라틴제국의 도시가 되었다가, 1187년 살라딘 왕이 이끄는 모슬렘에 의해서 재점령 됨으로써 기독교와 모슬렘 사이의 이중구조 속에서 예루살렘은 변모해 갔다. 1517년 오토만 터어키 (Ottoman Turkey)의 지배하에 들어감으로써 400년간의 터키 통치가 시작되었으며, 제1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영국군은 1917년 이후 예루살렘에 총독부를 두어 위임 통치를 실시하기에 이르렀다. 제 2차 세계대전이 종식되면서 신생 이스라엘은 시온주의자들의 노력과 국제기구의 승인에 의하여 1948년 5월 14일, 2천년 동안의 유랑생활을 청산하고 새로운 국가로 탄생하게 되었으며, 예루살렘은 다시 이스라엘의 수도가 되어 옛날의 영화를 되찾게 되었다. (사진 :오토만 터키군을 물리치고 예루살렘에 입성하는 알렌비 장군과 영국군) 현재 예루살렘의 신시가지 (New City)는 불과 150여년 전부터 발전되기 시작하였다. 구도시 (Old City)는 1평방 킬로미터에 불과하여 매우 비좁을 뿐만 아니라 매우 오래된 도시이기 때문에 시설이 좋지 못하고 비위생적이었다. 150여년이 지난 지금은 신도시가 구도시의 약 100배가 넘는 신시가지로 발달하였다. 1967년 6일 전쟁 이후 통합된 구도시는 주로 고적지와 박물관 등을 포함하여 새로운 위생시설을 갖춘 일반 주거지로 사용되고 있으며, 신시가지에는 정부청사 등을 비롯한 행정수도로서 그 면모를 현대화해 나가고 있어 옛것과 새 것의 환상적인 조화가 이루어져 있다. 특히 연한 노란 빛을 띄고 있는 석회암에서 반사되는 아름다움은 이 도시를 '황금의 도시' (The Golden City)라 부르게 한다. ▶ Jerusalem's - (사62:1 ▶ (수10:1, (수12:10, (수15:8, (수18:28, (삿01:7, (삼상17:54, (삼하05:5, (삼하08:7, (삼하09:13, (삼하10:14, (삼하11:1, (삼하12:31, (삼하14:23, (삼하15:8, (삼하16:3, (삼하17:20, (삼하19:19, (삼하20:2, (삼하24:8, (왕상02:11, (왕상03:1, (왕상08:1, (왕상09:15, (왕상10:2, (왕상11:7, (왕상12:18, (왕상14:21, (왕상15:2, (왕상22:42, (왕하08:17, (왕하09:28, (왕하12:1, (왕하14:2, (왕하15:2, (왕하16:2, (왕하18:2, (왕하19:10, (왕하21:1, (왕하22:1, (왕하23:1, (왕하24:4, (왕하25:1, (대상03:4, (대상06:10, (대상08:28, (대상09:3, (대상11:4, (대상14:3, (대상15:3, (대상18:7, (대상19:15, (대상20:1, (대상21:4, (대상23:25, (대상28:1, (대상29:27, (대하01:4, (대하02:7, (대하03:1, (대하05:2, (대하06:6, (대하08:6, (대하09:1, (대하10:18, (대하11:1, (대하12:2, (대하13:2, (대하14:15, (대하15:10, (대하17:13, (대하19:1, (대하20:5, (대하21:5, (대하22:1, (대하23:2, (대하24:1, (대하25:1, (대하26:3, (대하27:1, (대하28:1, (대하29:1, (대하30:1, (대하32:19, (대하33:1, (대하34:1, (대하35:1, (대하36:1, (스01:2, (스02:1, (스03:1, (스04:6, (스05:1, (스06:3, (스07:7, (스08:29, (스09:9, (스10:7, (느01:2, (느02:11, (느03:8, (느04:7, (느06:7, (느07:2, (느08:15, (느11:1, (느12:27, (느13:6, (에02:6, (시051:18, (시068:29, (시079:1, (시102:21, (시116:19, (시122:2, (시125:2, (시128:5, (시135:21, (시137:5, (시147:2, (전01:1, (전02:7, (아01:5, (아02:7, (아03:5, (아05:8, (아06:4, (아08:4, (사01:1, (사02:1, (사03:1, (사04:3, (사05:3, (사07:1, (사08:14, (사10:10, (사22:10, (사24:23, (사27:13, (사28:14, (사30:19, (사31:5, (사33:20, (사36:2, (사37:10, (사40:2, (사41:27, (사44:26, (사51:17, (사52:1, (사62:6, (사64:10, (사65:18, (사66:10, (렘01:3, (렘02:2, (렘03:17, (렘04:3, (렘05:1, (렘06:1, (렘07:17, (렘08:1, (렘09:11, (렘11:2, (렘13:9, (렘14:2, (렘15:4, (렘17:19, (렘18:11, (렘19:3, (렘22:19, (렘23:14, (렘24:1, (렘25:2, (렘26:18, (렘27:3, (렘29:1, (렘32:2, (렘33:10, (렘34:1, (렘35:11, (렘36:9, (렘37:5, (렘38:28, (렘39:1, (렘40:1, (렘42:18, (렘44:2, (렘51:35, (렘52:1, (애01:7, (애02:10, (애04:12, (겔04:1, (겔05:5, (겔08:3, (겔09:4, (겔11:15, (겔12:10, (겔13:16, (겔14:21, (겔15:6, (겔16:2, (겔17:12, (겔21:2, (겔22:19, (겔23:4, (겔24:2, (겔26:2, (겔33:21, (겔36:38, (단01:1, (단05:2, (단06:10, (단09:2, (욜02:32, (욜03:1, (암01:2, (암02:5, (옵01:11, (미01:1, (미03:10, (미04:2, (습01:4, (습03:14, (슥01:12, (슥02:2, (슥03:2, (슥07:7, (슥08:3, (슥09:9, (슥12:2, (슥13:1, (슥14:2, (말02:11, (말03:4, (마02:1, (마03:5, (마04:25, (마05:35, (마15:1, (마16:21, (마20:17, (마21:1, (마23:37, (막01:5, (막03:8, (막07:1, (막10:32, (막11:1, (막15:41, (눅02:22, (눅04:9, (눅05:17, (눅06:17, (눅09:31, (눅10:30, (눅13:4, (눅17:11, (눅18:31, (눅19:11, (눅21:20, (눅23:7, (눅24:13, (요01:19, (요02:13, (요04:20, (요05:1, (요07:25, (요10:22, (요11:18, (요12:12, (행01:4, (행02:5, (행04:5, (행05:16, (행06:7, (행08:1, (행09:2, (행10:39, (행11:2, (행12:25, (행13:13, (행15:2, (행16:4, (행19:21, (행20:16, (행21:4, (행22:5, (행23:11, (행24:11, (행25:1, (행26:4, (행28:17, (롬15:19, (고전16:3, (갈01:17, (갈02:1, (갈04:25, (히12:22, (계03:12, (계21:2, lt=31.777&ln=35.234
25 시온, 시온산(Zion, Sion, Mount Zion) 파일
지명
jesus
3818 28 2006-12-30
▶ 시온, 시온산(Zion, Mount Zion) 뜻:봉오리 나사렛 동쪽 다볼산 남동쪽 약 25km 지점, 또는 아윤 에쉬 샤인(Ayun esh-Shain), 혹은 시린(Sirin)으로 추정한다. 예루살렘 남서쪽 해발 765m 의 언덕을 가리킨다. 시온은 처음에 기드론-두로베온 골짜기 사이에 솟은 절벽으로 된 남쪽 봉우리 였다. 후에는 예루살렘 동쪽 능선 전부를 시온이라 부르다 그 후에는 예루살렘 전부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1) 본래 예루살렘의 기드론과 두로뵈온 두 골짜기 사이에 솟은 절벽으로 된 남쪽 봉우리이다. 그 후에는 동쪽 등성이를 시온이라 불렀고 예루살렘을 찬칭하여 시온 성이라 불렀다(시126:1, (사01:26, (사10:24). (2) 옛날 다윗이 이곳을 쳐서 수도로 삼고 정치적 중심지를 만들었다(삼하05: 6-9, (왕상08:1, (대상11:5, (대하05:2). (3) 그리고 법궤를 이곳으로 옮겨 종교적 중심지를 삼았다(삼하06:12-18). (4) 다윗은 산등성이에 있는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을 사서 제단을 쌓았고, 후일에 솔로몬이 그곳에 성전을 세웠다(삼하24:18, (왕상08:1). (5) 시온은 "거룩한 산" "여호와의 산으로 불렀고" 시적인 표현으로 흔히 사용하였다. (시002:6, (시009:11, (시024:3, (시132:13, (시048:2, (시069:35, (시076:2, (시087:2, (시133:3, (사02:3, (사03:16, (사04:3, (사52:1, (사60:14). (6) "시온의 딸이란 말은 예루살렘 주민의 시적인 표현이다(시009:14, (사01:8, (사37:32, (아03:11, (슥02:10). (7) 신약 성서에는 하늘에 있는 하나님의 도성의 상징작인 용어로도 사용되었다(히12:22, (계14:1). (8) Zion's 로 표현되어 있음. (사33:6, (사62:1 ▶ 시온산 (Mt. Zion) 예루살렘 남서쪽 해발 765 m 의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시온산은 사방 어디에서 보아도 잘 보이고 있는 아름다운 곳이다. 히브리어 'Zion'의 어원에 관하여는 우리가 잘 알지 못한다. 다만 유사 파생어로 '바위'(rock), '산성' (stronghold, Zaion), 혹은 '건조한 곳'(dry place) 등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처음 사용되는 곳은 예루살렘의 가나안 원주민이었던 여브스족이 머물던 "시온산성을 다윗이 빼앗았으니 이는 '다윗성'이라 " (City of David, 삼하 5:7, 왕상 8:1) 일컬어졌다. 지형적인 의미에서 '시온'과 예루살렘, 그리고 성전의 산이 각각 구별되기도 하였다 (미03:12) 그러나 시온은 넓은 의미에서 예루살렘 전체를 지칭하기도 하였으며 (사02:3, (사33:14, (요엘03:5), '시온의 딸' (사01:8, (사30:16, (아01:5), '시온에 거한 나의 백성' (사10:24, (사51:11), '유대백성' (사51:16, (사59:20), '성전산','시온에 거하는 하나님' (요04:17, 시20:3) 등 많은 파생어를 낳고 있다. 그런 점에서 '시온산'은 이스라엘의 신앙의 상징이라 말할 수 있다. 이스라엘 역사에서의 이룩된 대전환점은 다윗왕 때로써 왕권의 형성과 성전의 건축으로 인한 종교제도의 확립을 통해서 이룩한 변화를 지적할 수 있다. 이때 계약의 내용으로 허락한 것이 땅과 집이다. 이 계약이 행해진 곳이 곧 예루살렘, 시온성이었다. 다윗의 무덤과 역대 왕들의 무덤이 바로 이곳에 묻혀 있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왕상02:10, (느03:16, (행02:29) 제1차 성전이 멸망한 이후 바벨론 포로기 때에 'Zion' 은 넓은 의미로 그들이 잃어 버린 조국의 땅 전체를 의미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이 된 그 거룩한 땅 (The Holy Land) 에로의 귀향을 의미하는 가장 강력한 표현은 바로 '시온'이라는 말이 된 것이다. '우리가 바벨론의 여러 강변 거기 앉아서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도다"(시137:1) ======== Zion, Sion, Mount Zion. This was in reality a part of Jerusalem, being one of the mountains on which Jerusalem was built. Zion is often called 'the city of David,' it was where he dwelt. 2 Sam. 5:7; 1 Chr. 11:5; Micah 3:10, 12. Which part of Jerusalem was thus designated is now a disputed point: some few contend for the north-west; but most believe it to have been on the south-west, and to have extended farther south than the present wall of the city. It would in this case have been in proximity to the temple on the south-east, which could have been reached by a bridge over the Tyropoeon valley. 2 Chr. 5:2. In Ps. 48:2, occur the words "the joy of the whole earth is mount Zion, on the sides of the north, the city of the great King." This has been thought to mean that mount Zion was in the north of the city; but may it not signify that on the north side of Zion is the city of the great King, that is, Jerusalem? The psalm is clearly millennial. Zion, having failed as a part of Jerusalem, was to be ploughed as a field. Micah 3:12. The term Zion has constantly in scripture a metaphorical sense. It represents the intervention of sovereign grace in the person of God's elect king, when Israel were utterly helpless, and the ark had been given into the hands of the enemy. The ark was brought by David to the city of David, and this may have led to Zion being regarded as the centre of blessing, and as a source from whence blessing proceeded, as it often is in the Psalms. Ps. 87:2; Ps. 149:2; etc. The favoured people of God are often spoken of as DAUGHTERS OF ZION, Israel are constantly thus addressed in the Prophets, whether to be blamed for their waywardness and punished; or to be cheered with the prospect of future prosperity. And in these prophecies of their coming exaltation, Zion is referred to as the seat of the Messiah's royal power on earth, as in Isa. 52:1-8; Isa. 60:14; Heb. 12:22. In scripture Zion never means the church: it always signifies blessing on earth, and is specially in connection with Israel, when the ultimate blessing of the nations will be through Israel; nevertheless Christians now enter into its spiritual import as being under the reign of grace while here on earth. --- Morrish Bible Dictionary (삼하05:7, (왕상08:1, (왕하19:21, 대상(11:5, 대하(05:2, (시002:6, (시009:11,14, (시014:7, (시020:2, (시048:12, (시050:2, (시051:18, (시053:6, (시065:1, (시069:35, (시074:2, (시076:2, (시78:68, (시084:5,7, (시087:2,5, (시097:8, (시099:2, (시102:13,16,21, (시110:2, (시125:1, (시126:1, (시128:5, (시129:5, (시132:13, (시133:3, (시134:3, (시135:21, (시137:1,3, (시146:10, (시147:12, (시149:2, (아03:11, (사01:8, (사02:3, (사03:16, (사04:3, (사08:18, (사10:24, (사12:6, (사14:32, (사16:1, (사18:7, (사24:23, (사28:16, (사29:8, (사30:19, (사31:9, (사33:5, (사34:8, (사35:10, (사37:22, (사40:9, (사41:27, (사46:13, (사49:14, (사51:3, (사52:2, (사59:20, (사60:14, (사61:3, (사62:11, (사64:10, (사66:8, (렘03:14, (렘04:6, (렘06:2, (렘08:19, (렘09:19, (렘14:19, (렘26:18, (렘30:17, (렘31:6, (렘50:5, (렘51:10, (애01:4, (애02:1, (애04:2, (애05:11, (욜02:1,15,23, (욜03:16,17,21, (옵01:17, (옵01:21, (암01:2, (암06:1, (미01:13, (미03:10, (미04:2, (습03:14, (슥01:14, (슥02:7, (슥08:2, (슥09:9, (마21:5, (요12:15, (롬09:33, (롬11:26, (벧전02:6, (히12:22, (계14:1 lt=31.7774&ln=35.2349
24 페니키아(Phoenicia)
지명
jesus
1287   2006-12-30
▶ 페니키아(Phoenicia) 뜻:종려 시돈 지중해 동북 연안에 있는 오늘의 레바논, 갈멜산 북쪽 약200km 사방 30km 의 지역 평야가 적고 토양이 박하여 농사에는 부적당. 두로,시돈,비부로스 등 좋은 항구를 가지고 있고 레바논 산맥이 목재로 배를 만들어 지중해 흑해를 중심한 해상 무역과 식민지 활동에 종사한다. (1) 대서양까지 열국의 시장이 되었다(사23:3). (2) 이 지역의 엣바알의 딸 이세벨이 이스라엘왕 아합의 악한 아내였다(왕하16:31). (3) 솔로몬 시대에 성전 건축의 목재 석재 기술자를 파견(삼하05:11, 왕상05:9, 17, 18). (4) 베니게의 종교가 흘러가 들어가 압도적인 세력을 확보, 엘리야 선지의 출현을 촉진하는 큰 원인이 되었다(왕상16:29). lt=33.16054&ln=35.304515
23 바알브라심(Baal-perazim)
지명
jesus
2154 6 2006-12-30
▶ 바알브라심(Baal-perazim) 다윗이 이스라엘 왕이 된후 맨 처음 블레셋군을 이곳에서 파하고 말하기를 여호와가 내 대적을 물을 흩음같이 흩으셨다 하여 지은 이름이다 (삼하05:20-21, (대상14:11). ▶ 바알브라심/바알부라심 Baalperazim. [Ba'al-pera'zim] Name given by David to a place in Judah near the valley of Rephaim, where he defeated an army of the Philistines. It signifies 'place of breaches,' margin. 2 Sam. 5:20; 1 Chr. 14:11. (삼하05:20 다윗이 바알브라심에 이르러 거기서 저희를 치고 가로되 여호와께서 물을 흩음 같이 내 앞에서 내 대적을 흩으셨다 하므로 그곳 이름을 바알브라심이라 칭하니라 (대상14:11 이에 무리가 바알부라심으로 올라 갔더니 다윗이 거기서 저희를 치고 가로되 하나님이 물을 흩음 같이 내 손으로 내 대적을 흩으셨다 함으로 그곳 이름을 바알브라심이라 칭하니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2 Sam 5:20, 1 Chr 14:11 lt=31.756&ln=35.223
22 밀로(Millo) 파일
지명
jesus
2182 7 2006-12-30
▶ 밀로(Millo) 뜻:토성 [1] 예루살렘 경내로 보나 정확한 위치는 확인되지 않았다. (1) 원래 예루살렘 동쪽 언덕에 있는 시온의 여부스인의 성터의 일부였다고 추측(삼하05:9, (대상11:8). (2) 솔로몬과 히스기야가 이 성을 수축하였다(왕상09:15, (왕상11:27, (대하32:5). [2] 세겜 근처, 그리심산 동쪽 기슭 밀로의 집이라 한 것은 세겜에 있는 보루였었다(삿09:6, 20, 47). ======== 1. 'House of Millo,' in connection with Shechem, apparently a family or clan. Judges 9:6, 20. (삿09: 2. A part of ancient Jerusalem, though afterwards said to be 'built' by Solomon; it was repaired by Hezekiah. The name always has the article, 'the Millo.' Various sites have been suggested for it, but its locality and its form are unknown. 2 Sam. 5:9; 1 Kings 9:15, 24; 1 Kings 11:27; 1 Chr. 11:8; 2 Chr. 32:5. In 2 Kings 12:20 Joash was slain in the 'house of Millo, which goeth down to Silla:' this may be another place, though apparently it was in Jerusalem. (삼하05:9; (왕상09:15, 24; (왕상11:27; (대상11:8; (대하32:5. (왕하12:20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1.777444&ln=35.234935
21 마므레(Mamre)
지명
jesus
1765 9 2006-12-30
▶ 마므레(Mamre) 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헤브론이나 또는 그 근처인 것은 틀림없다. 아브라함(Abraham)이 세 천사를 영접한 곳이기도 하며 소돔과 고모라를 구원하기 위해서 기도한 장소이기도 하다. (1) 아브라함이 마므리 상수리나무 곁에 장막을 치고 살았던 곳(창13:18, (창14:13, (창18:1). (2) 이곳은 헤브론과 같은 곳이라 생각된다(창23:19, (창35:27) 예루살렘에서 남쪽으로 베들레헴을 지나 35킬로미터쯤 가면 전형적인 아랍인 도시 헤브론이 있다. 헤브론은 기원전 1000년경 다윗이 이스라엘 왕권을 쟁취할 때 발판으로 삼았던 도읍이기도 하다. 베냐민 부족 출신인 사올 왕이 갈리아에서 전사했다는 소식을 듣고 유다부족 출신인 다윗은 브엘세바 근처 시글락에서 유다 부족 거주지인 헤브론으로 급히 자리를 옮긴다. 거기서 그는 유다 부족의 임금으로 추대된다.(삼하02:1-4) 다윗은 무려 7년반 가까이 헤브론에서 단지 유다 부족의 임금으로 행세하는 동안 온갖 계략과 술책을 써서 결국 온 이스라엘의 왕으로 추대된다.(삼하05:1-3) 헤브론을 떠나 북쪽 예루살렘 방향으로 4킬로미터 달리다 보면 아랍인들이 '라맛 열 칼릴(친구의 고지)'이라 부르는 페허가 나온다. 그곳이 마므레 성지이다. 아브라함이 마므레 참나무 아래 천막을 치고 제단을 설치했다고 한다.(창13:18) 또한 여기서 신비스런 길손 세분을 잘 대접한 덕분으로 아브라함과 사라가 1년 안에 이사악을 낳으리라는 약속을 받은곳이다.(창18, 1-15) 길손들이 소둠을 멸하려는 계획을 알려 주자 아브라함이 소둠을 구하려고 흥정을 벌인 곳이기도 한다(창 18:16-33). 헤로데 대왕의 헤브론 족장 묘소에 한 것처럼 마므레에도 돌담을 쳤으나 완성하지는 못했다. 130년 하드리아누스 로마 황제가 팔레스티나를 방문하여 마므레에 시장을 건설케 하였다. 그후 황제는 제2차 유다 독립전쟁(132-135년)을 진압하고 나서 바로 마므레 시장에서 무수한 유다인들을 노예상등에게 헐값으로 팔아 넘겼다. 시장 돌담의 규모는 길이 약 65미터, 너비 약 49미터, 325년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장모 에우트로피아가 건설한 자그마한 성당 잔해가 남아있다. 헤브론의 아브라함 사원 제관계 문헌인 창세기 23장에 의하면, 아브라함은 자기 아내 사라가 헤브론에서 숨을 거두자 에브론이란 사람에게서 막벨라 동굴을 구입해서 거기에 사라를 묻었다. 또다른 제관계 문헌에 의하면 여기에는 사라뿐 아니라. 아브라함과 사라, 이사악과 리브가, 야곱과 레아, 이렇게 족장 부부가 묻혀있다고 한다. (창25:7-10, (창35:27-29, (창49:29-32, (창50:12-13) 그러므로 헤브론의 막벨라 동굴은 유다인들에게는 예루살렘 다음가는 성지이다. 헤로데 대왕(기원전 37-4년 재위)은 이스라엘 3대 조상 묘소 둘레에다 엄청난 돌담을 치고 묘소 위의 공간에는 널찍한 돌들을 깔았다. 헤로데의 돌담과 돌바닥은 지금도 거의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헤로데의 무수한 건축물 가운데서 가장 잘 보존된 이 웅대한 족장 영묘(아브라함 사원)야말로 보는 이의 감탄을 저절로 자아내게 한다. 헤로데가 친장방형 돌담의 규모는 길이 59미터, 너비 34미터, 높이 18-20미터, 두께 2.65미터, 그리고 담을 쌓을 때 사용한 돌등 중 가장 큰 것은 길이 7.50미터, 높이 1.40미터. 아브라함 사원 돌담에서 횡선 아래 큰 부분은 헤로데가 쌓은 것이고, 횡선 위의 작은 부분은 기원후 13세기에 바이바르스 회교 술탄이 한층 올려 쌓은 것이다. 동.서양쪽 귀퉁이의 회교 종탑(미나렛) 두 개는 후대에 덧붙인 것이다. 회교도들 역시 아브라함을 무척 존경하는 까닭에, 사우디 아라비아의 메카와 메디나 사원, 그리고 예루살렘의 오마르 사원 다음으로 헤브론의 이스라엘 족장 영묘를 일컬어 "하람 엘 칼릴"이라 하는데 "친구의 성지"라는 뜻이다. 아브라함을 하느님의 친구로 보고 붙인 명칭이다. (창23:17,19, (창25:9, (창35:27, (창49:30, (창50:13 lt=31.549098&ln=35.09356
20 르바임 골짜기(Valey of Rephaim)
지명
jesus
2028 3 2006-12-30
▶ 르바임 골짜기(Valey of Rephaim) 뜻:거인의 골짜기 베들레헴 근처에 있으며 현재는 '바카' 골짜기로 부르고 있다. 북쪽으로는 힌놈 골짜기와 '디엘 엘 무살라베' 골짜기가 있다. (1) 예루살렘 남쪽에서 베들레헴 방향으로 있는 넓고 기름진 고지 평원(수15:8, (수18:16). (2) 다윗이 블레셋인을 격파한 곳(삼하05:18, (삼하23:13, (대상11:15, (대상14:9).
19 라기스(Lachish)
지명
jesus
2499   2006-12-30
▶ 라기스(Lachish) Map 마레사 서남쪽 6Km 지점에 있는 고대 유다 지방의 중요 도시로, 유다 왕국의 역사와 관련이 깊은데, 이중 성벽과 삼중문으로 구축된 요새이며 남방 방어선의 요충지였다. 그러나, BC 701년 히스기야왕 때 앗수르의 왕 산헤립에 의해 멸망되었으며, 1932년 이래 발굴이 계속되어 이때 전사한 것으로 보이는 사람의 뼈가 커다란 동굴에서 1,500,구 이상 발견되었고, 히브리어가 새겨진 예레미야 시대의 토기도 출토되었다. 성은 남서쪽 비탈이 가장 낮은 지역이었는데 이는 남서쪽 모서리에만 지형학적인 안부가 있었기 때문이다. 남서쪽에 있는 언덕과 함께 그 성은 지어진 것이다. 남서쪽 모서리에 있는 성벽 맞은편의 언덕은 해발 260-265m 였다. 이러한 지형학적 조건은 외부인이 공격해 올때 공격의 지점을 어디서부터 해야 할 것인가를 쉽게 결정하도록 만들어준다. 이처럼 라기스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으므로 주전 701년 앗수르의 산헤립에 의해 멸망되기 전까지 라기스는 남부 유다에서 예루살렘 다음으로 중요한 도시였다. (1) 가나안의 한 성읍으로 여호수아가 점령하여 유다지파에게 주었다(수10:3, (수15:39). (2) 르호보암은 이 곳을 견고한 요새로 지켰다(대하14:9). (3) 아마샤가 피살된 곳(왕하11:19). (4) 앗수르왕 산헤립이 포위하여 히스기야에게 조공 받을 것을 조약하고 (왕하18:13, 14) (5) 느부갓네살이 점령하여 불 살랐다(렘34:7). (6) 바벨론에서 귀환후 다시 입주한듯하나 자세하지 않다(느11:3). 라기스에서 발굴된 것들 중에는 [라기스 서한]이 특히 유명하다. 텔 라기스 라기스에 관한 고고학적 연구는 1932년에 시작이 되어 오늘날까지 계속되어왔다. 라기스에 관한 수많은 고고학적 자료들, 유적, 유물들은 성경의 기록과 어느정도 부합되고 있는가? 성경에는 라기스에 관하여 10차례 이상 언급을 해주고 있다. 이러한 성경의 라기스에 관한 기록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것인가 아니면 단순한 이야기, 혹은 문학작품에 해당되는 것인가? 텔 라기스의 정확한 위치는 어디인가? 이것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는 2 가지로 분류된다. 먼저 1878년 Conder 라는 학자는 고대의 라기스가 텔 el-Hesi 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라기스에서 보내진 텔 아마르나 시대의 쐐기 문자를 발굴함으로 지지되었다. 텔 라기스의 위치에 대한 두번째 견해는 1929년 Albright 에 의해서 제안되었는데 그는 고대의 라기스가 텔 el-Deweir 라고 주장했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유세비우스의 언급에 근거한 것이다. 유세비우스는 라기스가 Eleutheropolis(벧 구브린)에서 가사를 향하는 도로 7마일 지점에 있었다고 언급하였다. 텔 라기스를 발굴한 모든 고고학 자료는 Albright의 제안을 지지하며 오늘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라기스는 성경에 언급된 쉐펠라의 중심도시이다. 쉐펠라에는 중요한 골짜기가 다섯개 존해하고 있다. 북쪽에서부터 아얄론 골짜기, 소렉 골짜기, 엘라 골짜기, 구브린 골짜기, 라기스 골짜기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라기스는 쉐펠라 중에서도 하부 쉐펠라에 해당이 된다. 서쪽으로는 해안평야 - 특히 블레셋 평야 - 가 있으며, 동쪽에는 중앙 산악 지역 중에서 유다 산지, 특히 그중에서도 헤브론 산지가 있다. 북쪽에는 앞에 언급한 쉐펠라의 중요한 골짜기들이 있으며 남쪽에는 네게브 산지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므로 라기스는 해안평야 지역에서 헤브론 산지로 향하는 중요한 길목에 위치해 있다. 라기스 성의 크기는 약 72 두남이었으며 그 성의 북동쪽에는 우물이 있어서 사람들에게 물을 제공할 수 있었다. 라기스 성을 중심으로 한 지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 성 자체는 깊은 골짜기들로 둘러쌓여 있었다. 남서쪽의 성벽은 높이가 23m 였으며 북동쪽은 비탈에서 36m, 남동쪽은 40m, 북서쪽은 약 42m 였다. 즉, 그 성은 남서쪽 비탈이 가장 낮은 지역이었는데 이는 남서쪽 모서리에만 지형학적인 안부가 있었기 때문이다. 남서쪽에 있는 언덕과 함께 그 성은 지어진 것이다. 남서쪽 모서리에 있는 성벽 맞은편의 언덕은 해발 260-265m 였다. 이러한 지형학적 조건은 외부인이 공격해 올때 공격의 지점을 어디서부터 해야 할 것인가를 쉽게 결정하도록 만들어준다. 이처럼 라기스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으므로 주전 701년 앗수르의 산헤립에 의해 멸망되기 전까지 라기스는 남부 유다에서 예루살렘 다음으로 중요한 도시였다고 한다. (1) 유다 지파의 성읍 (수15:1-62) 여호수아 15장에는 유다 지파에게 분배된 땅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유다 지파는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남쪽에 분배가 되었는데 쉐펠라 지역과 유다 산지 그리고 사해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을 분배받았다. 라기스는 쉐펠라에 분배된 14 성읍 중 하나였다(수 15:39). 그러나 예루살렘은 유다 자손이 쫓아내지 못하였으므로 여부스 사람이 유다 자손과 함께 예루살렘에 거하였다. 여부스 족속이 거하던 예루살렘은 후에 다윗 시대에 이르러 다윗에 의해 점령되어 다윗성이라 명명하였다(삼하05:7). (2) 기브온을 치기 위한 동맹에 가담함 (수10:3-5)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백성들과 요단강을 건넌 후, 여리고와 아이를 점령하였으며 기브온 백성과 화친을 하였는데 이 때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백성, 및 기브온을 치기 위한 5 동맹국이 형성되는데 라기스는 그 중 하나였다. 이 다섯 동맹국을 형성한 사람은 예루살렘 왕 아도니 세덱이었는데 이로 보건대 당시 예루살렘은 세력이 강했으며 라기스도 예루살렘에 못지 않는 강한 성읍이었음을 보여준다. (3) 여호수아가 진멸함 (수10:6-33, (수12:11) 예루살렘 왕 아도니 세덱과 연합하여 이스라엘 백성을 치려했던 라기스 왕은 후에 막게다 굴에 숨었다가 여호수아에 의해서 죽임을 당하고 나무에 달렸다. 그 후 여호수아의 군대는 라기스 성읍을 취하고 칼날로 그것과 그 중의 모든 사람을 쳐서 멸하였다. 때에 게셀 왕 호람이 라기스를 도우려고 올라왔으나 그는 라기스 백성과 함께 그곳에서 죽임을 당하였다. (4) 르호보암에 의해 견고한 성읍으로 건축됨 (대하11:5,9) 여호수아에 의해 멸망한 라기스 성은 르호보암(주전 928-911)이 그곳을 요새로 만들기까지 폐허로 남아있었다. 르호보암은 유다 왕국의 서쪽 지역을 방어하기 위하여 이곳에 튼튼한 요새를 구축하였다. " 르호보암이 이 모든 성읍을 더욱 견고케 하고 장관을 그 가운데 두고 양식과 기름과 포도주를 저축하고 각 성읍에 방패와 창을 두어 심히 강하게 하니라(수11: 11-12)" (5) 죄의 도성 (미01:13) 선지자 미가는 라기스 거민의 죄를 꾸짖는데 라기스는 딸 시온의 죄의 근본이며 이스라엘의 허물이 보였다고 언급하고 있다. 특히 '준마에 병거를 메울지어다'라는 표현은 이미 라기스 성에 병거가 있었음을 시사해 주며 이는 고고학적 으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6) 아마샤가 살해당한 곳 (왕하14:19, 대하25:27) 유다 왕 아마샤(주전 798-769)가 반역자들에게 피하여 예루살렘에서 라기스로 도망갔을때 그곳에서 반역자들에 의해 살해되었다. 이것은 당시 라기스가 예루살렘 다음으로 중요한 도시였음을 시사해주는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7) 히스기야 왕때 산헤립이 취한 곳 (왕하18:13-17, (대하32:9, (사36:1-3, 사37:8) 히스기야 왕 십 사년에 앗수르 왕 산헤립이 유다의 모든 견고한 성읍들을 쳐서 취하였는데 라기스도 그 중 하나이다. 산헤립이 유다를 공격하였을때 라기스를 포위하여 히스기야에게 랍사게를 보내어 항복하도록 위협을 했다. 산헤립은 후에 니느웨에 있는그의 궁전에 있는 한 왕실에 공격장면을 포함하는 벽화를 그림으로 그의 라기스 정복을 기념하였다. (8) 느부갓네살의 공격을 받음 (렘34:1,7)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을 점령하기 전 유다의 모든 성읍을 쳤는데 유다의 견고한 성읍 중에 마지막 까지 남아 있었던 성읍은 라기스와 아세가였다. (9) 바벨론 유수 후의 유다 사람의 거주지 (느11:30) 느헤미야의 기록에 의하면 바벨론에서 유다인들이 돌아온 후 여러 지역에 정착하였는데 라기스는 특히 멸망 전과 마찬가지로 유다인의 거주지였다. 고고학적 접근 Starkey 의 발굴은 Starkey 감독, L. Harding 과 O. Tufnell 의 협조로영국 원정단에 의해 1932년 시작되어 Starkey 가 산적에게 살해됨으로 1938년에 끝이 났다. 이 발굴은 주로 북서쪽 모서리에서 실행되었으며 그곳에서 성문들과 외부 지탱벽, 주거지 및 태양 신전, 거대한 수갱, 유다 궁전 요새, 그리고 북서쪽 바닥에서 발견된 해자 신전 등은 중요한 유적들이다. 특히 1935년 성문에서 발견된 '라기스 편지'는 그의 발견물 증 가장 중요한 것이었다. 외부에서는 청동기 시대의 것을 포함한 여러 시대의 수많은 무덤들이 발견되었다. 그의 발굴은 고고학자들의 인정을 받을만큼 뛰어난 것이었다고 평가가 된다. 1966-1968년에 태양 신전에서 아하로니에 의해서 발굴이 되었다. 그 당시 아하로니는 아라드를 발굴하고 있었는데 아라드에서 발견된 유다 신전의 기본 구조가 라기스의 태양 신전과 흡사한 것으로 믿고 이러한 목적으로 라기스를 발굴한 것이다. 1973년 우시쉬킨 감독으로 조직적이고도 장기적인 연구를 위한 발굴이 Starkey의 발굴지 부근에서 시도 되었다. 이 발굴은 이갈 야딘과 함께 진행되었는데 그는 발굴 처음부터 앗수르에 의한 공격의 가능성을 생각했다. 이 발굴에서 발견된 것은 유다 궁전 요새 및 청동기 시대의 기념 건물, 유다 성문, 앗수르 군대가 주전 701년 그 성으로 접근하려고 만들었던 참호 등이다. 1983 -1985년에 계속된 발굴(남서쪽)은 R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나눔' 98. 8월호 에서) (수10:3,5,23,31-35, (수12:11, (수15:39, (왕하14:19, (왕하18:14,17, (왕하19:8, (대하11:9, (대하25:27, (대하32:9, (느11:30, (사36:2, (사37:8, (렘34:7, (미01:13 lt=31.56485&ln=34.846725
18 두로(Tyres) Map 파일
지명
jesus
3154 1 2006-12-30
▶ 두로(Tyres) 뜻:바위 시돈항구에서 약 40km지점 레바논과 이스라엘에서 약 24km북쪽에 위치해 있다. (1) 지중해 동해안에 있는 베니게의 유명한 성(겔27:3). (2) 아셀지파에게 여호수아가 나누어 주었으나 방비가 견고함으로 쳐서 취하지 못함(수19:29, (삿01:31-32). (3) 공업과 학술이 발달된 곳으로 다윗과 솔로몬 궁을 지을때 건축 재료와 기술자를 여기서 구하였다(삼하05:11, (왕상05:7). (4) 아합왕이 그 왕녀 이세벨을 취하고 바알까지 취하여 섬기다가 여호와의 징벌을 받았다(왕상21:23-26). (5) 조개 종류에서 취하는 고귀한 자색 염료를 생산하여 여러나라와 무역이 성행되고(겔27:16-25). (6) 주전 331년에는 알렉산더 대왕이 포위하고 석로를 쌓고 처들어가 함락하 고 백성 주민을 여러 나라에 노예로 팔고 시가는 불탔다. 후에 로마 국이 점령하고 재건 하였다. (7) 예수님이 그 성에 가셨을 때 가나안 여인의 독실한 신앙을 보시고 그 딸에게 들린 악령을 쫓아 주셨다(마15:21-28). (8) 바울이 7일간 유하며 전도하는 중에 이곳 주민들이 성령의 감동을 받아 예루살렘으로 가지 말라고 권고 하였으나 작별하고 예루살렘으로 향하였 다(행21:2-7). (수19:29, (삼하05:11, (삼하24:7, (왕상05:1, (왕상07:13, (왕상07:14, (왕상09:11, (왕상09:12, (대상14:1, (대하02:3, (대하02:11, (대하02:14, (시045:12, (시083:7, (시087:4, (사23:1, (사23:5, (사23:8, (사23:15, (사23:17, (렘25:22, (렘27:3, (렘47:4, (겔26:2, (겔26:3, (겔26:4, (겔26:7, (겔26:15, (겔27:2, (겔27:3, (겔27:8, (겔27:32, (겔28:2, (겔28:12, (겔29:18, (욜03:4, (암01:9, (암01:10, (슥09:2, (슥09:3, (마11:21, (마11:22, (마15:21, (막03:8, (막07:24, (막07:31, (눅06:17, (눅10:13, (눅10:14, (행12:20, (행21:3, (행21:7 lt=33.275827&ln=35.1925745
17 기드론(Girdron, Kidron)
지명
jesus
1867 2 2006-12-29
▶ 기드론(Girdron, Kidron) 예루살렘성벽과 감람산 사이에 있는 이 골짜기는 약 5km에 걸쳐있다. (1) 다윗이 압살롬의 난을 피하여 이 시내를 건넘(삼하15:23). (2) 아사와 히스기야는 우상을 이 시내에서 불살랐다(왕상15:13), (왕하23:6). (3) 예수님이 겟세마네와 베다니를 다니시느라고 자주 이 시내를 건넜다 (요18:1). 요한복음 18:1 예수께서 이 말씀을 하시고 제자들과 함께 기드론 시내 저편으로 나가시니 거기 동산이 있는데 제자들과 함께 들어가시다. 1. 기드론 시내 저편으로 … 거기 동산이 있는데(1절): 기드론 시내는 예루살렘 동편에 위치하여 감람산과 성전산 중간을 흘러서 사해로 들어간다. 기드론의 뜻은 ‘암흑’, ‘백향목의 시내’로서 골짜기의 무성한 나무 때문에 붙여진 이름일 것이다. 동산은 겟세마네 동산을 가리키는데, ‘겟세마네’는 기름 짠다는 뜻이다. 이곳에는 감람 나무가 많아 그 열매의 기름을 짰을 것이다. '여호사밧의 골짜기' 라고도 하는 기드론 골짜기는 성경에 12번 정도 나오는데, 시내, 골짜기, 와디 등으로 소개된다. 오늘날의 지형은 과거보다 3 ~ 12 m 정도 높아져 있다. 기드론 골짜기는 천연 요새와 같은 지형이다. '여호사밧 골짜기', '브라가 골짜기', '판결의 골짜기' 등과 어우러 지기도 하는데 마지막 심판의 장소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예루살렘 북서쪽의 전망산에서 시작하여 예루살렘성과 감람산을 가로지른다. 성 동문을 지나 성전에 들어갈 때에나 겟세마네 동산이나 감람산으로 올라 기도할 때에나, 또 베다니 나사로의 집으로 갈 때에도 매번 이 계곡을 건너셨다. 훗날 부활을 위한 최후의 심판이 이곳에서 열린다고 해서인지 사후에 이곳에 묻히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예루살렘 통곡의 벽에서 걸어서 10분정도 거리면 힌놈의 골짜기와 맞닿는 기드론 골짜기에 이른다. 오늘날은 아랍인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부터 감람산까지 이동하면 걸어서 10 ~ 15분 정도이다. 압살롬의 무덤 기드론 골짜기로부터 감람산 100여 m 까지의 남쪽 산기슭에는 넓은 지역의 유대인 공동묘지가 조성되어 있다. 여호사밧의 무덤 (대하21:1) '여호사밧이 그 열조와 함께 자매 그 열조와 함께 다윗성에 장사되고 그 아들 여호람이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과 압살롬의 기념비 (삼하18:8)" 압살롬이 살았을 때에 자기를 위하여 한 비석을 세웠으니 이는 저가 자기 이름을 전할 아들이 없음을 한탄함이다 그러므로 자기 이름으로 그 비석을 이름하였으며 그 비석이 왕의 골짜기에 있고 이제까지 압살롬의 기념비라 일컫더라") , 해실의 아들 무덤 (대상24:15) "열일곱째는 해실이요 열여덟째는 합비세스요"), 스가랴의 무덤 (대하24:20)"이에 하나님의 신이 제사장 여호야다의 아들 스가랴를 감동시키시매 저가 백성 앞에 높이 서서 저희에게 이르되 여호와께서 말씀 하시기를 너희가 어찌하여 여호화의 명령을 거역하여 스스로 형통치 못하게 하느냐 하셨나니 너희가 여호와를 버린고로 여호와 께서도 너희를 버리셨느니라 하나") 이 있다. 물론 이들 유적들은 그리스 통치 시기 이후의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그 시기를 헬레니즘 시기로 추정 하기도 한다. 또한 기드론 골짜기 왼쪽 언덕은 다윗성 (삼하05:7) "다윗이 시온 산성을 빼앗았으니 이는 다윗성이더라") 이 자리했던 곳으로 지금도 그 유적지가 발굴되고 있다. 예루살렘의 주요 물 공급원 이었전 기혼샘 (왕상01:33 ~ 38, (왕하20:20) " 히스기야의 남은 사적과 그 모든 권력과 못과 수도를 만들어 물을 성중으로 인도하여 들인 일은 유다와 역대 지략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과 예수님의 이적이 행해졌던 실로암 연못등이 있다. (삼하15:23, (왕상02:37, (왕상15:13, (왕하23:4, (왕하23:6, (왕하23:12, (대하15:16, (대하29:16, (렘31:40 lt=31.772134&ln=35.236596
16 게셀(Gezzr, Gezer) 파일
지명
jesus
4557 6 2006-12-29
▶ 게셀(Gezzr, Gezer) Gazer. [Ga'zer] 뜻: 분깃 아얄론 골짜기와 소렉 골짜기 사이 가나안인의 중요 도시. 고대 게셀른 스블라의 북서쪽 변방에 위치하였다. 그곳은 평지로서 동부 지중해 연한의 여러 나라를 남북으로 잇는 주요한 통로였다(느06:2). (1) 여호수아가 진멸함(수10:33). (2) 다윗이 이곳까지 블레셋인을 쫓아갔다(삼하05:25 (대상20:4). (3) 애굽왕 바로가 솔로몬왕에게 준 후 솔로몬이 건축(왕상09:15-17). (4) 일명 벨호론(수16:3). 1, 게셀의 위치 확인 성경에서 말하는 게셀은 Tell Jezer(또는 Tell el-Jazari)로 확인되었다. 이곳은 라믈레(Ramleh)로부터 남쪽으로 남동쪽 8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현 위치가 게셀일 것이라는 생각을 처음으로 가졌던 사람은 C. Clermont-Ganneau 이다. 이때가 1871년 이었고, 2년후에 유명한 "게셀 경계" 문구가 적힌 돌판을 발견하였다. 이 석판은 "게셀의 경계는..."이라고 적혀있는데, 헤롯 대왕 시기의 글자체와 비슷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발견으로 게셀의 위치에 대한 논란을 종결지었다. 2, 게셀의 지정학적인 위치와 역사 게셀은 유다 "평지"(히; 쉐펠라=낮은구릉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평지 지역의 북쪽 끝부분에 해당하며 해발 225 미터 지점에 위치하고 있지만 주변이 탁 트인 돌출 지역이어서 360도 전 지역을 내려다 볼 수 있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게셀은 해안을 따라 지나가던 국제 도로를 지키는 역할을 하였던 곳 일뿐만 아니라 아얄론 골짜기로 접근하는 길목을 관할할 수 있던 곳이다. 이러한 전략적 중요성과 더불어 주변에는 아주 비옥한 아얄론 평야가 있어서 농지가 풍부하였고 게셀이 위치했던 산언덕 아래 쪽으로 아주 풍성한 샘물들이 있는 곳이다. 게셀이 가장 먼저 언급된 문서는 이집트왕 투트모세 III 세(c. 1490-1436 BCE)의 원정 기록이다. 카르낙에 있는 아몬 신전의 벽화에 남아있다. 이 벽화에 묘사된 것에 의하면 투트모세의 첫 번째 아시아 원정(c. 1468 BCE)에서 게셀이 정복된 도시들 가운데 하나로 포함되어 있다. 투트모세 IV세(c. 1410-1402 BCE)가 테베에다 만들었던 자신의 신전 벽화에 보면 후리족을 어떤 도시에서 사로잡아온 내용을 적어놓았는데 도시 이름이 손상되어있기는 하지만 게셀이었던 것으로 판독하고 있다. 14세기 무렵의 엘 아마르나 시대에는 게셀이 가나안 도시였으며 이집트의 영향력이 미치는 곳으로 나타난다. 386개의 아마르나 문서 가운데 10개가 게셀에서 보내진 편지였으며 각각 다른 세명의 게셀 왕들이 확인된다.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이 성서 밖의 자료에서는 최초로 언급된 메르넵타 석비에도 게셀이 언급되어있다. "이스라엘을 격퇴하였고 게셀을 정복하였다"라는 내용을 읽을 수 있다. 앗수르 왕 티글랏 빌레셋 III 세의 원정 기록에보면 Ga-az-ru 라는 도시를 정복한 것이 있는데, 게셀이 정복된 것임이 분명하며 아마도 734-733 BCE 무렵 블레셋 원정 시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여호수아 10장에서 게셀 왕 호람이 라기스 왕을 도와주려고 왔다가 여호수아의 군대에게 패배하고 호람과 그의 군대를 죽인일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다. 여기서 게셀 성을 정복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언급이 없다. 다만, 여호수아 12장에서 게셀 왕이 이스라엘이 멸한 31개의 가나안 왕들 가운데 포함되어 있다. 나중에 요셉 지파, 특히 에브라임 지파의 영역으로 할당 되어진 것으로 묘사하고 있는데(수16:5-10; (삿01:29; (대상06:67; (대상07:28), "게셀에 거한 가나안 사람을 쫓아내지 못하매 가나안 사람이 게셀에서 그들 중에 거하였더라"라는 첨가 설명으로 미루어보아 게셀을 소유하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여호수아 (수21:21에서도 레위 사람들의 도시 가운데 하나로 언급되어 있기는 하지만, 실제적으로 이스라엘 사람들이 정착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윗 시대의 게셀이 누구의 영역이었는지도 역시 모호하다. 다윗은 블레셋 사람과의 전쟁에서 불레셋 사람들을 게셀까지 쳐부수었다고 기록되어 있고(삼하05:25, (대상14:16), 블레셋과 게셀에서 전쟁을 하였던 모습을 기록하고 있다(대하20:4). 이러한 기록들에서 게셀은 블레셋과 이스라엘 사이의 완충지역이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적으로는 블레셋 사람들의 최전방 지역이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왕상09:15-17) 기록에서 게셀이 솔로몬의 영역으로 "바로의 딸과 결혼하는 선물"형태로 넘어오게 되는데, 이곳을 솔로몬이 요새화 하였다는 기록은 역사적으로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솔로몬은 하솔과 므깃도와 더불어 게셀을 요새화하였던 것이다. 게셀은 마카비 전쟁 당시에 다시 한 번 중요한 역할을 하게되는데, 셀류커드 왕조의 장군 바키데우스가 게셀을 요새화 하였으며(마카베오 상 9:52), 142 BCE에 시므온이 이곳을 점령하였고 다시 성벽을 재건하여 자신을 위한 왕궁을 지었다(마카베오 상 13:43-48). 그의 아들이었던 존 히르카누스는 유대 군대의 장군으로 임명된 다음에 게셀을 자신의 헤드쿼터로 만들었다(마카베오 상 13:53). 3, 게셀의 고고학적 발굴 결과에 대하여 첫 번째 고고학 발굴은 1902년과 1909년 사이에 R.A.S. Macalister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발굴 결과는 1912년에 출판되었다. 이 때의 발굴은 동쪽 끝 지역을 중심으로 여러개의 트랜취를 파들어갔으며, 거의 바닦까지 발굴이 이루어졌다(어떤 곳은 깊이가 13 미터 내려간 곳도 있다). 한 트랜취 발굴이 끝나면 다음 트랜취 발굴 지역에서 나오는 흙들을 이미 파놓은 곳에다 들어붓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비록 발굴 기술이 원초적인 단계이기는 했지만 아홉 층의 시대 구분이 확인 되었다. 두 번째 발굴은 1934년 A. Rowe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때의 발굴은 서쪽 지역에서 이루어졌는데 본래 회교인들의 공동묘지 지역이어서 전 발굴 기간 동안에 발굴이 되지 않았던 곳이었다. 그러나 발굴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아서 바닦층이 드러났기 때문에 발굴은 지속되지 않았고, EB 시대의 무덤과 MB 시대의 망대가 발굴 유적들로 알려져 있다. 1964년 이래로 G.E. Wright를 시작으로 지속되어온 발굴은 1964-65년은 Wright가, 1966-71년은 W.G. Dever가, 1972-74년은 J.D. Seger와 H.D. Lance 가 각각 발굴을 이끌었고 Glueck가 1964-71까지 조언자로 활동하였으며, Dever가 마지막 발굴 기간인 1984-1990년까지의 발굴을 이끌었다. 시대별로 살펴본 고고학 발굴 결과는 최종적인 발굴 결과를 근거로하여 26 층의 시대적 구분이 이루어졌다. 이것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① 금속병용기 시대; 바닦층의 갈라진 바위 틈 사이에서 가술-브엘세바 지역에서 출토된 것과 유사한 세라믹이 출토됨에 따라 가장 먼저 이곳에 사람이 시작했던 시기는 금속병용기 시대로 확인되었다(c. 34 century BCE). ② 초기 가나안 시대 ; 성벽을 갖추지 않은 셈족 계열의 초기 주거자들의 흔적이 동굴 주거지와 무덤들에서 확인되었다. EB II 시대에는 일반 가옥 구조들의 모습도 살펴 볼수 있으며, EB IIIA 시대에 마을이 버려진 것으로 보인다. ③ 중기 가나안 시대; 게셀 도시가 가장 번성하였던 때이다. A, 성벽; MB IIIB-C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성벽이 확인되었다. 400 미터 가량이 발굴되었으며 사각 망대가 함께 건설되었던 흔적이 남아있다. 8개가 1902-1909년 발굴에서 확인 되었으며, 1934년에 1개가 추가 되었다. 전체 성벽의 규모로 보아 대략 25개 이상의 망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쪽에서 성문이 발견되었다. B, 신전; 10개의 돌기둥이 나란히 늘어선 신전이 발견되었는데, 어떤 것의 돌기둥의 3 미터 이상이나 되는 것도 있다. 바닦은 포장되어 있었으며 벽면은 넓적한 돌들로 덧입혀서 건설되었던 형태로 밝혀졌다. ④ 후기 가나안 시대; LB IA시대(15세기 초엽)의 잔해가 드물게 발견되는 것으로보아 투트모세 III 세의 원정 이후에 도시가 부분적으로 방치되어진 것처럼 보이며, LB IB시대의 흔적은 아주 희박하다. 따라서 이 무렵은 생활 환경이 아주 어려웠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사이프러스와 이집트 토기들 그리고 상아 제품들이 발련되는 것으로 보아 국제적 교류는 계속되었었고 단지 성벽이 재건되지 않은 형태의 허술한 마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투트모세 IV세의 원정은 이 무렵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A, 외벽; LB IIA시대(14세기)에 도시의 변화가 이루어진다. 이 시기는 엘 아마르나 시기와 일치한다. 성문의 위치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대략 1,100 미터 가량의 성벽이 확인되었다. 성문의 위치는 아마도 솔로몬 시대의 성문 아래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B, 수로 시설; 7 미터 깊이와 45 미터 길이로 내려가는 터널 형태의 수로 시설이 이 시기에 건설된 것으로 알려졌는데, 정확한 시기에 대해서는 단서가 없다. 따라서 어쩌면 하솔과 므깃도, 그리고 기브온 시대의 것과 일치할 가능성도 배제하지는 않는다. LB IIB(13세기)시대에는 게셀이 쇠퇴기를 맞는다. 제 15 지층의 파괴를 지엽적인 파괴와 연루시켜 해석하기도 하는데, 종합적으로 보면 상부 지층에서 발견되는 블레셋 토기의 출토 현상과 연관시켜서 어쩌면 메르넵타(1207 BCE)에 의한 원정이나 블레셋 사람들에 의한 원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⑤ 제 1 철기 시대; 제 8 지층부터 11 지층 까지는 블레셋 사람들과 관련된 곳으로 밝혀졌다. 9-10 지층의 경우는 성경의 기록처럼 이집트 왕이 불살랐다는 기록과 일치하는 시대로 보이며 21왕조의 시아문(Siamun)이 관련자로 보여진다. ⑥ 제 2 철기 시대; 솔로몬 시대에 건축된 성벽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924 BCE에 시삭의 침공에의해 파괴되었다. 그 후에 다시 건설된 성벽은 티글랏 빌레셋 III세(734-33 BCE)에 의해 파괴된 것으로 보이며, 바빌론(587-586 BCE) 침공 무렵에는 크게 파괴되었다. ⑦ 이스라엘 시대가 종결되고 난 이후로는 페르시야, 헬라, 로마, 비쟌틴, 그 이후 아랍시대로 이어진다. 4, 게셀 카렌다 일곱 행으로 적힌 고대 히브리어 비석 조각이 발견되었다. 크기는 가로 7.2cm, 세로 11.1cm 로 아주 작은 것이고, 이것에 적혀있는 고대 히브리어의 글자체를 비교 연구한 결과 10 세기경의 것으로 알려졌다. 이것은 2개월 단위로 묶은 농사 절기와 관련된 내용으로 판독되었다. 첫번째 두달은 열매를 수확하는 절기(????? ??)이며, 특별히 올리브 수확기(티쉬리-헤쉬반)이다. 그 다음 두 달 동안은 곡물 파종기(???;키슬레브-테베트), 다음 두 달은 후기 파종기(???;쉐바트-아다르), 그리고 다음 한 달은 아마(????;삼) 수확기(니산), 다음 한 달은 보리 수확기(???? ???;이야르), 밀 수확기(???;시반), 그 다음 두 달 동안은 포도 가지 치기(???? ?????;타무즈-아브) 그리고 마지막으로 '여름철(???)', 즉 무화과를 따서 말리는 시기(엘룰) 등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다. 왼쪽 귀퉁이에는 '아비...???'라는 글자가 수직으로 적혀있는데 아마도 이 비석 조각의 소유자 이름으로 보인다. 이 비석 조각의 용도가 무엇이었을까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어떤 사람은 서기관이 글자 연습을 위해서 사용하였던 것이라고 생각하였는데, 이유는 글자체가 일정하지 않고 거칠기 때문이다. 반면에, 어떤 사람은 농부들로부터 세금을 거두어 들이기 위한 것으로 만들었던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적혀있는 내용으로 보아 당시에 유행하던 민속 노래의 가사였을 가능성도 있다. 진품은 현재 이스탄불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5, 예루살렘에서 게셀을 가는 방법 예루살렘에서 텔아비브로 내려가는 도로를 따라 30분 정도가면 라투른 갈림길이 나온다. 라투른 갈림길에서 남쪽 르호봇 방향으로 좌회전하여 내려가다가 3Km 정도 더가면 기브츠 나흐숀(Na?shon)이 나온다. 나흐숀 기브츠은 독립전쟁 당시 예루살렘의 포위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던 "나흐숀 작전"이라는 이름에서 유래하였고 1950년에 설립되어 약 400여명 가량이 살고 있는 작은 협동농장이다. 이곳에서 계속해서 3Km 가면 모샤브 베코아(Beqoa)를 지난다. 베코아 모샤브는 역시 독립전쟁 당시에 예루살렘의 포위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작전 수행을 위하여 만들어졌던 '부르마 도로(Burma Road)' 옆에 건설된 곳이다. 이곳은 원래 데이르 무헤이씬(Deir Mu?eisin)이라는 아랍 마을이 있었던 곳인데 독립전쟁 당시에 버려진 이 아랍 마을 위에 1951년에 베코아 모샤브가 건설되었고 대략 500여명 살고 있다.이 지역에는 라투른과 아얄론 골짜기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망대가 있으며 '무싸 에 탈리(Musa et-Tali')라고 불리우는 아랍 사람들의 성역과 아랍 마을의 잔해가 남아있다. 이곳에서 약 1.5Km 더 가면 갈림길이 나온다. 이 갈림길에서 오른쪽으로 꺽어서 다시 약 3Km 정도를 더 가면 카르메이 요셉(Karme Yosef)라는 정착촌이 나온다. 도로 왼쪽 편으로는 미쉬마르 다비드(Mishmar Dawid) 기브츠가 보인다. 카르메이 요셉 마을은 요셉 싸피르라는 정치인의 이름을 따서 마을 이름을 지었으며 이 마을 옆쪽에서 게셀 유적지를 방문할 수 있는 오솔길이 연결된다. 비포장 길을 따라서 500여 미터 정도 올라가면 게셀 발굴 현장에 도착하게 된다. 6, 텔 게셀에 남아있는 유적들은 무엇을 볼 수 있는가? 카르메이 요셉 마을 안으로 들어가면 500여 미터 올라가서 로타리가 나온다. 로타리를 돌아서 서쪽방향으로 좌회전하면 마을 끝에 다다르면서 비포장 도로가 나타나는데, 오른쪽으로는 과수원을 끼고 외쪽으로는 마을을 바라보면서 비포장 도로를 따라 약 1 km 정도 가면 게셀 발굴 현장에 도착한다. 텔 아래 쪽에 가시나무가 한그루 있는데 그곳에다가 승용차를 세워두고 걸어 올라가면 된다. 약 200여 미터 걸어올라가면 엉성한 건물 기초들이 남아있는데, 이곳이 발굴 당시에 발굴 캠프가 세워졌던 곳이다. 발굴 캠프 자리에서 100여 미터 오른쪽(동쪽; 예루살렘 방향)으로 걸어가면 오른쪽으로 조그마한 봉분이 하나 나오는데, 그곳에 올라가서 내려다보면 발굴 IV 지역을 내려다 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중기청동기 시대의 성문의 모습과 성벽, 그리고 후기청동기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수로시설이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시 올라와서 동쪽으로 계속 150여 미터 가면 중기청동기 시대의 신전 자리에 도착한다. 1908년 발굴 당시에 발견된 것으로써 10개 정도의 큰 것의 크기가 3m 이상되는 돌기둥들이 일렬로 나란히 서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곳에서 남쪽으로 50여 미터 내려가면 발굴 III 지역에 이르는데, 그곳에서는 솔로몬 시대의 성문이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성문의 형태가 므깃도와 하솔에서 발견된 것들의 형태와 동일하게 생겼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그외에도 동북쪽 끝까지 갔다가 북쪽 성벽 발굴 지역을 돌아보면서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나눔' 98. 9월 호 에서) 게셀의 신당(주전 1600년 Tel Aviv 인근, 높이 6-11피트) 이 공개된 석주 기념물들은 1902년에 Tel Gezer에서 아일랜드 고고학자 R.A.S. Macalister가 첫 번 발굴 작업하는 기간에 발굴되었다. 그 게셀은 성경에 여호수아 10장 33절, 삿 1장 29절, 열왕기상 9장 15-17절, 역대상 4장 16절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것은 높이가 약 5피트에서 11피트에 달하는 돌기둥들이 그림과 같이 줄지어 있는 것으로 그 돌들은 북에서 남쪽을 가리키고 있으며, 1번에서 10번까지가 거의 55피트를 차지하고 있다. 그 서쪽의 5번과 6번의 석주들은 큰 네모진 돌이 있었는데 돌 벽돌로 만들었다. 그 꼭대기에는 네모지게 파내어져 있었다. 큰 광장에 있는 이 돌들과 통은 낮은 돌담에 둘러 있었고 제한되어 있었다. 마카리스타는 그 설치물 밑에서 두 방처럼 만든 동굴을 발견했는데 어린 아이들의 유골들을 발견했다. 마카리스타는 그 산당이 주전 2500년경에 설치했는데 그 기둥들과 다른 모양들은 후대에 보강했으며 약 주전 14세기에 만든 것으로 감정해 냈다.마카리스타는 믿기를 아마 불완전하지만 공동묘지들도 있었는데 어린 아이들을 제물로 바쳤다가 그 동굴에 넣었다가 공동묘지에 이장한 것으로 보았다. 신탁들은 그리스에 있는 델파이 신전에서처럼 동굴들에서 주어졌는데 제사장들이 가장 큰 기둥꼭대기를 잡았고 또 백성들은 그 돌들에 입맞추기 위하여 왔었다. 마카리스타의 결론은 대부분 의학자들은 인정하지 않지만 산당인 게셀의 그 복합구조는 인정하고 있다. 1968년에 산당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발굴한 William Dever는 중기동기시대(주전 1600년) 말로 감정한 그 완전한 복합건물을 만들었다. 또 후기 동기시대에도 그것이 사용되었음을 밝혀냈다.그 돌들은 언약 또는 약속과도 관계가 있다. 그 증거는 창세기 31장 43-45절에 언급한 바에 의하면 언약의 증거로 돌들을 사용했다. 야곱이 외삼촌 라반과 언약을 맺은 증거로 돌기둥 하나를 세웠다. 또한 여호수아도 여호수아 24장 25-27절에서 자기의 백성과 함께 하나님만 섬길 것을 약속하고 그 증거로 큰 돌을 세웠다. 그런데 그곳의 큰 통의 목적은 분명하지 않은 유물들이다. 어떤 이들은 돌의 어떤 형상을 세우기 위한 받침으로나, 또는 나무 우상을 세운 받침이나 제사나 어떤 의식을 위한 물건으로 보았다.고대세계에서는 정치와 종교가 연합되어 있었다. 고고학자들은 늘 유적지를 발굴하는 가운데 얻은 지식이지만, 알 수 없는 종교적인 작용이 정치나 실생활에 영향을 주었고 그것에 의하여 그 사회가 건전하기도 하고 부패 타락하기도 했는데 이 게셀은 그 사회와 그 정치를 부패 타락하게 했다. (수10:33, (수12:12, (수16:3, (수21:21, (삿01:29, (삼하05:25, (왕상09:15, (대상06:67, (대상07:28, (대상14:16, (대상20:4 ======== Gezer, [Ge'zer] Gezrites. [Gez'rites] Ancient Canaanite city and its inhabitants. It was taken by Joshua, and allotted to Ephraim, and afterwards to the Kohathites, 1 Chr. 6:67; 1 Chr. 7:28; but the ancient inhabitants held possession. It was taken and burnt by Pharaoh as a Canaanitish city, and the site given to his daughter whom Solomon had married. Solomon rebuilt the city. Joshua 10:33; Joshua 12:12; Joshua 16:3, 10; Joshua 21:21; Judges 1:29; 1 Sam. 27:8; 1 Kings 9:15-17. It is called GAZER in 2 Sam. 5:25; 1 Chr. 14:16. Compare 1 Chr. 20:4 with 2 Sam. 21:18, 19, GEZER in the former passage refers to GOB in the latter. Gezer is identified with ruins at Tell Jezar, 31 52' N, 34 55' E. --- Morrish Bible Dictionary lt=123&ln=34.9225
15 히람(Hiram)
인물
jesus
4807 14 2006-12-28
▶ 히람(Hiram) 뜻: 고상한 자의 형제 [1] 두로왕. (1) 다윗과 솔로몬과 가장 친절한 교제를 하였다 (삼하05:11-12, (왕상09:14. (왕상01:22). (2) 다윗이 궁전을 지을때와 솔로몬이 성전을 지을때에 목재와 석재와 기술자를 제공하였으므로 솔로몬은 사례로 갈릴리땅 20을 떼어주고 또 다시스에 선박을 만드는 일에도 많이 협찬하고 해외 통상도 같이 하였다(왕상09:10, 11, (왕상10:22). [2] 두로왕이 성전 건축하기 위하여 솔로몬에게 보낸 금속과 장식의 직공인데 납달리 지파 과부의 아들이요 그 아내는 두로 사람이다 (왕상09:13,40,45, (대하02:13-후람 Huram). 그는 아 바알의 아들로 34년간 재위하고 53세에 별세 하였는데 그의 치세는 베니게 역사상의 황금시대였다. ▶ 히람 Hiram. [Hi'ram] 1. King of Tyre, who loved David and was a friend of Solomon. By his servants he supplied both timber and stone for the temple and the palaces of Solomon. Their navies also united to bring the produce of other lands. Solomon gave to Hiram twenty cities in the land of Galilee, but Hiram was not pleased with them: he called them, in Aramaic CABUL, 'displeasing or dirty;' and the cities were eventually returned to Solomon. 2 Sam. 5:11; 1 Kings 5:1-18; 1 Kings 9:11-27; 1 Kings 10:11, 22; 1 Chr. 14:1, etc. He is called HURAM in 2 Chr. 2:3-12; 2 Chr. 8:2, 18; 2 Chr. 9:10, 21. (삼하05:11 두로 왕 히람이 다윗에게 사자들과 백향목과 목수와 석수를 보내매 저희가 다윗을 위하여 집을 지으니 (왕상05:1-18; 성전 건축을 준비함 (왕상09:11-27; 솔로몬과 하람의 교역과 건축 사업 (왕상10:11, 22; 11 〔오빌에서부터 금을 실어온 히람의 배들이 오빌에서 많은 백단목과 보석을 운반하여 오매 22 왕이 바다에 다시스 배들을 두어 히람의 배와 함께 있게 하고 그다시스 배로 삼년에 일차씩 금과 은과 상아와 잔나비와 공작을 실어 왔음이더라 (대상14:1 두로 왕 히람이 다윗에게 사자들과 백향목과 석수와 목수를 보내어 그 궁궐을 건축하게 하였더라 HURAM (대하02:3-12; 성전 건축을 위한 준비 (대하08:2, 18; 2 후람이 자기에게 준 성읍들을 다시 건축하여 이스라엘 자손으로 거기 거하게 하니라 18 후람이 그 신복에게 부탁하여 배와 바닷길을 아는 종들을 보내매 저희가 솔로몬의 종과 함께 오빌에 이르러 거기서 금 사백 오십 달란트를 얻고 솔로몬 왕에게로 가져왔더라 (대하09:10, 21. 10 (후람의 신복들과 솔로몬의 신복들도 오빌에서 금을 실어 올 때에 백단목과 보석을 가져온지라 21 왕의 배들이 후람의 종들과 함께 다시스로 다니며 그 배가 삼년에 일차씩 금과 은과 상아와 잔나비와 공작을 실어옴이더라 2. A skilful workman of Tyre, filled with wisdom and understanding, who was sent to make things for the temple. His father was a man of Tyre, and he is called "the son of a woman of the daughters of Dan" in 2 Chr. 2:14; but in 1 Kings 7:14 it reads "a widow's son of the tribe of Naphtali," which may mean that her husband was a man of Naphtali. 1 Kings 7:13, 40, 45. He is called HURAM in 2 Chr. 2:13; 2 Chr. 4:11, 16. (대하02:14 이 사람은 단의 여자 중 한 여인의 아들이요 그 아비는 두로 사람이라 능히 금, 은, 동, 철과 돌과 나무와 자색 청색 홍색실과 가는 베로 일을 잘하며 또 모든 아로새기는 일에 익숙하고 모든 기묘한 식양에 능한 자니 당신의 공교한 공장과 당신의 부친 내 주 다윗의 공교한 공장과 함께 일하게 하소서 (왕상07:14 저는 납달리 지파 과부의 아들이요 그 아비는 두로 사람이니 놋 점장이라 이 히람은 모든 놋 일에 지혜와 총명과 재능이 구비한 자더니 솔로몬 왕에게 와서 그 모든 공작을 하니라 (왕상07:13, 40, 45. 13 솔로몬 왕이 보내어 히람을 두로에서 데려오니 40 히람이 또 물두멍과 부삽과 대접들을 만들었더라 이와 같이 히람이 솔로몬 왕을 위하여 여호와의 전의 모든 일을 마쳤으니 45 솥과 부삽과 대접들이라 히람이 솔로몬 왕을 위하여 여호와의 전에 이 모든 그릇을 빛난 놋으로 만드니라 HURAM (대하02:13; 13 내가 이제 공교하고 총명한 사람을 보내오니 전에 내 부친 후람에게 속하였던 자라 (대하04:11, 16. 11 후람이 또 솥과 부삽과 대접을 만들었더라 이와 같이 후람이 솔로몬 왕을 위하여 하나님의 전에서 하는 일을 마쳤으니 16 솥과 부삽과 고기 갈고리와 여호와의 전의 모든 그릇들이라 후람의 아비가 솔로몬 왕을 위하여 빛난 놋으로 만들 때에 --- Morrish Bible Dictionary ----------------------------------------------------------------- 히람… 다윗과 솔로몬의 2대 걸친 협력자 ● 다윗을 위하여, 솔로몬을 위하여 ( 하나님께서 쓰신 이방의 선한 도구 - 히람 ) 누구의 도움으로/다윗의 궁전을 지을 수 있나/누구의 도움으로/솔로몬의 성전을 지을 수 있나 다윗 궁전을 지어야 하는데/솔로몬 성전을 지어야 하는데/이스라엘 땅에는/좋은 건축 자재가 없고/숙달된 건축 기술자가 부족하네 찬양하여라/하나님의 예비하심을/여호와 이레의 축복을/하나님이 보내신 이는/이방의 두로 왕 히람이라 풍부한 건축 물자와/뛰어난 건축 기술을 가진 그는/다윗의 친구로서 다윗을 위하여,/솔로몬의 협력자로서 솔로몬을 위하여/건축 물자를 기꺼이 공급하고/건축 기술자를 즐겨 지원했으니/히람이 있어/다윗 궁전이 우뚝 세워지고/솔로몬 성전이 견고하게 세워졌네 보라,/하나님은 거룩한 당신의 뜻 이루기 위하여/이방인도 선한 도구로 즐겨 쓰심을!/그리하여 하나님은/장차 신약 교회를 건축하실 때에도/이방인들을 기꺼이 참여시켜/그들의 헌신과 예물과 땀으로/주님의 몸 된 교회를 일구어 세웠도다/오늘 히람을 통해 그 신비로움 깨닫게 되네 ● 히람 ― 다윗의 좋은 친구, 솔로몬의 좋은 협력자 히람과 다윗 ‘후람(대하 2:3)’으로 불리기도 하는 ‘히람(Hiram)’은 통일왕국 이스라엘의 두 왕인 다윗과 솔로몬 시대에 베니게 지역의 두로 왕이었다. 두로(티레)는 베니게 지역 최남단에 있던 가장 유명한 고대 항구 도시였다. 당시 두로는 이스라엘에 비해 해상 무역과 건축술 등의 물질 문명이 발달한 반면 농산물이 부족하였다. 두로 왕 히람과 이스라엘 왕 다윗은 서로 호감을 가지고 친밀하게 교류하였는데 처음 둘 사이의 우정은 상호 필요에 의해서 생겨났다. 두로 왕 히람은 이스라엘의 농산물이 필요했고 이스라엘 왕 다윗은 두로의 건축 기술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히람은 다윗에게 목재와 기술자를 보내어 다윗의 궁전 건축을 지원해 주었고 그것에 대한 답례로 다윗은 히람에게 밀과 기름 등을 제공했다. 이렇게 둘 사이에 신실한 무역 교류가 진행되면서 자연스럽게 상대방에 대한 호감과 우정도 탄탄해져 갔던 것이다. 요컨대 히람과 다윗은 가까운 이웃 나라의 왕으로서 서로에게 도움을 주는 좋은 친구 관계를 유지했다. 히람과 솔로몬 두로 왕 히람과 이스라엘 왕 다윗과의 좋은 우정 관계는 다윗이 죽고 다윗의 아들 솔로몬이 이스라엘 왕이 되었을 때에도 계속 이어졌다. 그래서 솔로몬이 왕으로 즉위할 때 두로 왕 히람은 축하 사절단을 솔로몬에게 파견했다(왕상05:1). 그리고 다윗 왕 때와 마찬가지로 솔로몬의 성전 건축을 위해 자재와 목공과 석공 등을 아낌없이 지원해주었다. 뿐만 아니라 두로 왕 히람은 솔로몬의 무역활동을 적극적으로 도와 배와 선원을 지원해주기도 하였다. 그래서 솔로몬은 히람의 협력에 보답하는 마음으로 이스라엘 북쪽 갈릴리 땅의 20개 성읍을 선물로 주었다. 이처럼 두로 왕 히람은 다윗에 이어 솔로몬과도 좋은 협력 관계를 유지하였다. ‘히람’이 주는 성경적인 교훈과 적용 히람은 비록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이방 나라의 왕이었지만 다윗의 좋은 친구요 솔로몬의 좋은 협력자로서 이스라엘의 중요한 건축 사업에 큰 도움을 준 인물이었다. 이같은 사실은 이방인들이 무조건 배척의 대상이 아니라 때때로 상호 협력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성전 건축 사업에 이방의 왕과 그의 기술자들이 적극 참여했다는 사실은 후일 신약시대 교회에 이방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활동할 것임을 시사해주는 대표적인 사건이라고도 볼 수 있다. 김영진<성서원 회장>
14 잇대(Ittai/Ithai)
인물
jesus
2468 3 2006-12-28
▶ 잇대(Ittai) 뜻 : 짝하다 [1] 블레셋인 잇대. 가드로 부터 포로 6백명을 거느리고 이스라엘에 온 블레셋 인으로 후에 다윗에게 충성하였다(삼하05:18-이름이 누락되어 있다). 그는 압살롬 토벌 제 3분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삼하18:2). [2] 다윗의 한 용사(삼하23:29, (대하11:31). ▶ 잇대 Ittai/Ithai. [It'tai] 1. A Philistine of Gath, head of a portion of David's guard. He was faithful to David at the revolt of Absalom, returned with the king, and had a command in his army. 2 Sam. 15:19-22; 2 Sam. 18:2, 5, 12. He illustrates how Gentiles will be associated with the remnant of Israel, both in the sufferings and reign of their Messiah, and serve Him in a future day. (삼하15:19-22 19 그 때에 왕이 가드 사람 잇대에게 이르되 어찌하여 너도 우리와 함께 가느냐 너는 쫓겨난 나그네니 돌아가서 왕과 함께 네 곳에 있으라 20 너는 어제 왔고 나는 정처없이 가니 오늘날 어찌 너로 우리와 함께 유리하게 하리요 너도 돌아가고 네 동포들도 데려가라 은혜와 진리가 너와 함께 있기를 원하노라 21 잇대가 왕께 대답하여 가로되 여호와의 사심과 우리 주 왕의 사심으로 맹세하옵나니 진실로 내 주 왕께서 어느 곳에 계시든지 무론 사생하고 종도 그곳에 있겠나이다 22 다윗이 잇대에게 이르되 앞서 건너가라 하매 가드 사람 잇대와 그 종자들과 그와 함께 한 아이들이 다 건너가고 (삼하18:2, 5, 12 2 그 백성을 내어 보낼새 삼분지 일은 요압의 수하에, 삼분지 일은 스루야의 아들 요압의 동생 아비새의 수하에 붙이고 삼분지 일은 가드 사람 잇대의 수하에 붙이고 백성에게 이르되 나도 반드시 너희와 함께 나가리라 5 왕이 요압과 아비새와 잇대에게 명하여 가로되 나를 위하여 소년 압살롬을 너그러이 대접하라 하니 왕이 압살롬을 위하여 모든 군장에게 명령할 때에 백성들이 다 들으니라 12 그 사람이 요압에게 대답하되 내가 내 손에 은 천개를 받는다 할 지라도 나는 왕의 아들에게 손을 대지 아니하겠나이다 우리가 들었거니와 왕이 당신과 아비새와 잇대에게 명하여 이르시기를 삼가 누구든지 소년 압살롬을 해하지 말라 하셨나이다 2. Son of Ribai a Benjamite, and one of David's mighty men. 2 Sam. 23:29. Called ITHAI in 1 Chr. 11:31. (삼하23:29 느도바 사람 바아나의 아들 헬렙과 베냐민 자손에 속한 기브아사람 리배의 아들 잇대와 (대상11:31 베냐민 자손에 속한 기브아 사람 리배의 아들 이대와 비라돈 사람 브나야와 --- Morrish Bible === 그는 블레셋 지방 가드 사람으로서 블레셋 장정 6백명을 거느리고 다윗이 압살롬의 반란을 피해 예루살렘을 떠나 벧메르학에 머물때 동행한 인물이다(삼하15:13-18). [그 때에 왕이 가드 사람 잇대에게 이르되 어찌하여 너도 우리와 함께 가느냐 너는 쫓겨난 나그네니 돌아가서 왕과 함께 네 곳에 있으라 너는 어제 왔고 나는 정처없이 가니 오늘날 어찌 너로 우리와 함께 유하게 하리오 너도 돌아가고 네 동포들도 데려가라 은혜와 진리가 너와함께 있기를 원하노라](삼하 15:19-20) 이러한 다윗왕의 돌아가라는 권고에 대하여 잇대는 다음과 같은 신앙적 결단을 내린다. [여화와의 사심과 우리 주 왕의 사심으로 맹세하옵나니 진실로 내 주 왕께서 어느 곳에 계시든지 무론 사생하고 종도 그곳에 있겠나이다](삼하 15:21) 하는 수 없이 다윗왕은 동행을 허락했으며, 잇대는 변함없는 충성으로 다윗을 위하여 압살롬의 반란군과 대항했다. [이에 다윗이 그 함께한 백성을 계수하고 천부장과 백부장을 그 위에 세우고 그 백성을 내어 보낼새 삼분지 일은 요압의 수하에, 삼분지 일은 스루야의 아들 요압의 동생 아비새의 수하에 붙히고 삼분지 일은 가드 사람 잇대의 수하에 붙히고 백성에게 이르되 나도 반드시 너희와 함께 있으리라](삼하18:1-2) 우리는 이 역사적 사건을 통하여 우리의 심사숙고를 요하는 특이한 현상 한 가지를 발견하게 된다. 즉 다윗의 아들이요 총애를 받던 압살롬은 권력에 눈이 어두워 반란군의 통수자가 되어 아버지를 공격하고, 반면 이스라엘과는 원수지간이었던 블레셋 사람 잇대는 다윗의 천부장이 되어 압살롬의 반군과 대항하게 되었다는 사실, 이것을 어떻게 해석하면 좋을까. 그러나 이런 현상은 지금도 전개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동족인 유대인들은 하나님의 아들 예수를 죽였으나, 반면 이방인인 우리들 중엔 그리스도를 위하여 순교한 자들이 있으며 그리고 악한 신자가 있는가 하면 선한 불신자도 있다. 물론 다 그런것은 아니지만. (한국컴퓨터선교회) (교훈과 적용)
13 입할(Ibhar)
인물
jesus
1282 1 2006-12-28
▶ 입할(Ibhar) 뜻:여호와 택하셨다 다윗의 아들(삼하05:15, (대상03:6). (대상14:5 ▶ 입할 Ibhar. [Ib'har] Son of David, born at Jerusalem. 2 Sam. 5:15:1 Chr. 3:6; 1 Chr. 14:5. (삼하05:15 입할과 엘리수아와 네벡과 야비아와 (대상03:6 또 입할과 엘리사마와 엘리벨렛과 (대상14:5 입할과 엘리수아와 엘벨렛과 --- Morrish Bible Dictionary
12 요압(Joab)
인물
jesus
4131 23 2006-12-27
▶ 요압(Joab) 뜻:여호와는 아버지 되심 [1] 다윗의 장군. (1) 다윗의 누이 스루야의 아들로서 아비새와 아사헬의 형이다(삼하02:13) (2) 다윗의 가장 유명한 용사중의 한 사람으로 다윗이 유대만 영토로가지 고 있을때 여부스족을 쳐 이기고 총사령관이 되어 군사상에 다대한 공 이 있을뿐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다윗 다음가는 지위에 있었다.(대상11:6) (3) 다윗에게 귀순한 용사 아브넬을 자기 동생 아사헬을 죽인 원한으로 공 의 를 무시하고 살해하였다 (삼하03:27,31) (4) 압살롬이 암논을 죽이고 도망하였을 때 잘 변호하여 부자를 화목케 하 는 데 성공하였다(삼하14:1-20) (5) 압살롬 반역시에 적은 군사로 압살롬의 대군을 격파하고 다윗의 의사 를 거슬려 압살롬을 죽였다. 왕은 자기 종제 아마샤로 군대장관을 삼 으니 불 만을 품고 있다가 아마샤를 죽였다(삼하18:2-15, (삼하19:5-7, (삼하20:4-10). (6) 아도니야 반역에 참가하였다가 솔로몬에게 피살됨(왕상02:28-34) [2] 갈렙의 후손 홀 의 아들 (대상04:14) [3] 그나스의 손자 (대상04:14). [4] 스룹바벨과 같이 귀국한 이스라엘사람(스02:6, (느07:11) [5] 에스라와 같이 귀국한 사람(스08:9). ------------------------------------------------------------------ ▶ 요압은 「여호와는 부친」이라는 뜻이다. 다윗을 끝까지 괴롭힌 역신. 요압은 아비새와 아사헬과 같이 다윗의 생질이었으며 스루야의 아들이었다. 아비새아 요압과 아사헬은 다같이 영웅적인 기질을 가진 용사였으나 그중에 가장 화려한 전력과 전승의 기록을 남긴 사람은 요압이었다. 아브넬이 이스보셋의 국운이 기울어짐을 느끼고 이스보셋을 배반하고 다윗을 찾아와 그를 섬길 것을 청원하고 돌아갈 때 요압과 아비새가 그를 추격하여 암살하였다. 이때에 다윗은 아브넬의 죽음을 크게 애석하게 생각했다. 또한 요압은 다윗성을 함락할 때에 여부스 사람을 대파시킴으로써 진군의 군대장관이 된다(삼하05:8, (대상11:6). 그가 드고아 여인을 다윗에게 보내어 압살롬을 용서하고 환궁시키도록 설득한 여인의 두 아들 비유는 유명한 일화이다(삼하14:1∼24). 이 일로 다윗은 압살롬을 예루살렘으로 불러들였으나 그는 다시 부왕 다윗에게 반역하여 다윗을 치려하자 전투중에 압살롬의 머리가 상수리나무에 걸려 매달리므로 요압이 압살롬을 살해하였다. 그러나 요압도 아브넬과 아마샤를 살해한 죄를 물어 다윗의 유언에 따라 솔로몬에 의해 살해되었다(왕상02:5∼6, 28∼34). ------------------------------------------------------------------ 요압… 공로도 퇴색시킨 ‘자기중심의 순종’ 요압은 수리야의 세 아들 중 둘째였다.아비새 요압 아사헬 3형제는 장군의 기질을 가진 유능한 장사들이었다. 그 중에서도 요압은 더 뛰어난 사람으로 군대장관이 되었다. 그러므로 다윗왕에 의해 선택받아 다윗 왕과 함께 평생을 지낼 만큼 측근에서 일한 사람이다. 요압은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이 세운 나라를 다윗이 세운 나라에 통합하여 다윗왕국을 건설하는데 크게 기여한 사람이었다. 그 후에도 에돔 암몬 수리아 라마 등을 무너뜨리고 정복하는 데에도 크게 공헌했다. 그 외에도 다윗을 도와 그림자처럼 참모로 일한 다윗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였다. 한 마디로 말한다면 요압은 능력을 갖춘 행운아였다. 그러나 요압이 다윗에게 항복하고 귀순하여 돌아오는 아브넬을 죽인 것은 큰 잘못이었다. 아브넬은 사울 왕의 충신이었고 사울 왕이 전사하자 그의 아들 이스보셋을 마하나임에서 왕으로 세운 사람이다. 그러나 아브넬은 이스보셋의 국운이 다윗에게 기울어지고 이스보셋과의 불화가 생기자 다윗 왕에게로 돌아왔다. 그때에 요압이 아브넬을 살해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요압이 아브넬을 정적으로 여기고 또한 위협적인 인물로 생각했기 때문에 살해했다는 해석이 많다. 요압이 그런 이유에서 아브넬을 살해했다고 하면 큰 인물을 역사에서 제거시킨 큰 실수를 범한 것이다. 사람의 욕심이 역사의 흐름을 막아서도 안되고 역사의 방향을 그르쳐서도 안 된다. 우리는 선한 역사를 이루어가는 협력자가 되어야 하고 나라와 민족을 돕고 보호하는 입장에 서야 한다. 개인의 욕심을 위해 역사에 상처를 남겨도 안되고 역사를 부정하게 만들어도 안된다. 사람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되 필요하고 소중한 인물이라면 더욱 보호해야 한다. 요즘 국회의원들의 행태는 참을 수 없을 만큼 불쾌하고 섭섭하기까지 하다. 공작정치는 예사고 거짓말이라도 강하게 밀어붙이고 덮어씌우면 승리한다는,질 나쁜 방법이 국회에서 공공연하게 자행되는 모습을 보면 참으로 한심하다. 텔레비전을 보고 있는 이 나라의 청소년들에게 얼마나 큰 해악을 끼치고 있는 일인가.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마음에 어떤 생각이 싹트겠는가. 이 책임을 생각해봤는지 정말 양심도 없는 사람들이다. 요압과 같이 자기를 위해 남을 죽이는 일은 하지 말자. 이 사건을 통해 요압에게서 더 큰 실수를 찾는다면 다윗 왕이 용서한 아브넬을 요압이 죽였다는 사실이다. 신하가 왕에게 바치는 충성은 자기 중심의 충성이 아니라 왕이 바라는 충성에 최선을 다하는 순종이어야 한다. 요압이 생각하는 충성의 표현과 다윗이 바라는 충성의 기대가 분명 다르다. 요압은 자기 생각대로 다윗을 섬기려는 자기 주장을 앞세우는 사람이었다. 우리가 하나님을 섬기는 헌신이나 봉사도 이와 같다. 내 생각대로,내 판단대로 하나님을 섬겨서는 안된다. 하나님이 요구하고 소망하는 그 뜻에 자신을 잘 적응시켜야 한다. 열심히 일을 많이 한다고 하나님을 사랑하는 방법이 될 수 없다. 어떤 목사의 고백을 들은 적이 있다. 이 목사의 생각으로는 최선을 다해 열심히 주의 일을 하는 것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줄 생각했다. 그러나 “네가 좋아 네 일을 한 것이지 네가 내 일을 한 것이냐?”고 책망하시는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다고 한다. 그 순간 그가 깨달은 메시지는 일을 많이 하는 것보다 하나님은 자기 자신을 더 원하신다는 사실이었다고 한다.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친교가 하나님의 일보다 그 목사에게는 더 필요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정확한 순종은 많은 사역보다 더 유익한 것을 깨닫게 된다. 다윗이 요압에게 인구조사를 명하자 요압은 “여호와께서 그 백성을 지금보다 백배나 더하기를 원하나이다…어찌하여 이스라엘로 죄가 있게 하시나이까”(대상 21:3)라고 하였다. 이 말은 요압이 다윗 왕에게 목숨을 내놓고 권고한 참으로 위대한 사역이었다. 요압이 많은 전쟁에서 큰 전과를 거두어서 나라를 크게 번영시키는데 공헌한 만큼이나 버금가는 귀한 일이었다. 이 일로 인해 하나님은 다윗에게 선지자 갓을 보내어 3년 기근과 3개월 적에게 쫓기는 일과 3일 온역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자 다윗이 3일 온역을 택하여 7만명의 백성을 잃게 되었다. 이 큰 실수에 대한 뜨거운 회개를 통해 다윗은 자기 일생을 통해 영적으로 크게 경성하는 기회를 삼게 되었다. 이때에 하나님의 위엄 다음으로 다윗의 머릿속에 기억되는 사람으로 두고두고 다윗은 요압을 떠올렸을 것이다. 이러한 인연이 요압과 다윗 사이를 평생 조력자로 묶는 큰 조건이 되었을 것이다. 사람의 일생동안 사명은 하나일지 모르지만 사역과 봉사의 방법은 다양하게 마련이다. 그 중에 요압과 같이 사랑하는 사람이나 소중하게 아끼는 사람에 대해 꼭 전해야 할 말을 전달하는 것만큼 소중한 일도 없다. 상대방이 윗사람이요,내가 크게 섬기는 사람이라도 필요한 직언은 반드시 해야 한다. 이것이 사랑의 표현이고 그를 위한 최선의 예우일 수도 있다. 더욱이 하나님의 영감으로 받은 하나님의 음성이라면 충성되고 정직하게 충언해야 한다. 높은 지위에 있을수록 주변에서 이렇게 영감을 통해 돕는 사람이 많아야 한다. 그러나 오히려 지도자의 눈과 귀를 막고 자기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양심을 파는 사람들이 대를 잇는 것 같다. 요압이 압살롬을 환궁시키기 위해 드고아 여인의 두 아들의 비유를 든 것은 잘 알려진 이야기이다. 다윗은 이 일로 인해 압살롬을 데려왔으나 압살롬의 모반으로 다윗 왕은 씻을 수 없는 정치적인 시련을 겪게 되었다. 압살롬의 난으로 전쟁중일 때 압살롬이 상수리나무에 머리가 걸려 움직이지 못하는 것을 보고 요압이 창으로 그를 찔러 죽였다. 이때에 다윗은 또 한번 아들을 잃는 마음의 큰 고통을 경험하게 된다. 결국 요압의 계획대로 압살롬이 돌아왔는데 요압의 손에 압살롬이 죽게 된 결과가 되었다. 요압이 압살롬의 환궁을 계획한 것은 다윗 왕과 왕실을 위한 화해를 이루는 값진 일이었다. 그 일이 성사된 것도 요압의 분명한 공로였다. 물론 요압의 정치적 이익 때문이었은지는 알 수 없으나 다윗 왕실을 위해서 공헌한 사건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압살롬의 생각과 그의 의도는 전혀 달랐던 것을 알아야 하겠다. 여기서 보여준 것처럼 우리의 생각을 앞세우지 말고 하나님 편에서 사람과의 친교도 분별해야 한다. 사람과 사귀는 일까지 하나님의 뜻을 따라야 한다. 생각없이 가까이 했고 영적으로 거르지 않은 채 사람을 사귀었다가 큰 실수와 피해를 입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사람을 가까이 할 때에도 반드시 하나님의 뜻을 분별해야 한다. 내게 접근하는 사람에 대해서도 영적인 분별력을 가져야 하겠다. 요압은 많은 생각을 갖게 한다. <요압을 통해 얻는 교훈과 적용> 요압은 다윗에게 있어서 누가 뭐라고 해도 일등공신임에 틀림이 없다. 또한 그는 좋은 머리를 가졌고 통솔력도 좋았으며 종교적인 영감도 가진 사람이었다. 그러나 한가지 그에게 고쳐야 할 점이 있었다면 자아가 너무 강한 것이 흠이었다. 그러므로 때로는 요압이 다윗의 생각을 앞지르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되었다. 항상 하나님의 영감이나 말씀을 앞세워 따라가는 사람이 되어야 하겠다. 요압이 다윗왕에게 인구조사에 대한 잘못을 권고한 것은 참으로 존경스럽다. 사람은 친분이 두텁고 신임도가 높을수록 그를 사랑하는 마음이 따라야 한다. 나를 위해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과 영혼을 위해 그를 사랑하는 하나님 중심의 사랑을 베풀어야 한다. 꼭 해줘야 할 말이나 권고를 하는 것도 진심으로 그를 사랑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이병돈 <서울 은평성결교회 담임목사>
11 엘리아다(Eliada)
인물
jesus
1378 1 2006-12-27
▶ 엘리아다(Eliada) 뜻:하나님이 그를 보호하심 [1] 다윗이 예루살렘으로 천도후 낳은 아들 (삼하05:16, (대상03:8) [2] 소바인으로 솔 로몬을 대적한 르손의 부친이다(왕상11:23) [3] 여호사밧왕을 호위하기 위하여 자기 지파 20만 명을 거느리고 있는 큰 용사이다 (대하17:17) ======== Eliada. [Elia'da] 1. One of the sons of David born at Jerusalem. 2 Sam. 5:16; 1 Chr. 3:8. He is called BEELIADA in 1 Chr. 14:7. 2. Powerful captain of the tribe of Benjamin in the army of Jehoshaphat. 2 Chr. 17:17. ======== Eliadah. [Elia'dah] Father of Rezon, an adversary of Solomon. 1 Kings 11:23. --- Morrish Bible Dictionary
10 엘리수아(Elishua.)
인물
jesus
1313 1 2006-12-27
▶ 엘리수아 Elishua. (삼하05:15) 입할과 엘리수아와 네벡과 야비아와 (대상14:5) 입할과 엘리수아와 엘벨렛과 ======== Elishua. [Elishu'a] Son of David born in Jerusalem. 2 Sam. 5:15; 1 Chr. 14:5. Called ELISHAMA in 1 Chr. 3:6. (대상03: --- Morrish Bible Dictionary
9 엘리사마(Elishama)
인물
jesus
1431 1 2006-12-27
▶ 엘리사마(Elishama) [1] 이스라엘 백성이 시내 광야에서 첫번 인구를 조사할 때 에브라임지파의 두령이다(민01:10) (민02: (민07: (민10: (대상07: [2] 다윗왕이 예루살렘에서 낳은 아들중의 한 사람이다(삼하05:16 (대상03: (대상14: [3] 유다 지파 헤스론의 자손 (대상02:41) [4] 유대국 아사왕 때에 여호와의 율법책을 가지고 지방을 순행하며 가르친 제사장이다 (대하17:8-9) [5] 이스라엘 백성을 모세의 후임이 되어 가나안에 인도한 여호수아의 조부 (대상09:26-27) [6] 유대국이 망한 후에 바밸론왕 느부갓네살이 총독으로 임명한 그다랴를 쳐죽인 이스마엘의 조부이다(왕하25:25, (렘41:1) ======== Elishama. [Elisha'ma] 1. Son of Ammihud and grandfather of Joshua: he was a chief of Ephraim. Num. 1:10; Num. 2:18; Num. 7:48, 53; Num. 10:22; 1 Chr. 7:26. 2, 3. Two sons of David born at Jerusalem. 2 Sam. 5:16; 1 Chr. 3:6, 8; 1 Chr. 14:7: one of whom is apparently called ELISHUA in 2 Sam. 5:15; 1 Chr. 14:5. 4. Son of Jekamiah, a descendant of Judah. 1 Chr. 2:41. 5. Father of Nethaniah, 'of the seed royal.' 2 Kings 25:25; Jer. 41:1. 6. Priest sent by Jehoshaphat to instruct the people. 2 Chr. 17:8. 7. Scribe or secretary of Jehoiakim. Jer. 36:12, 20, 21. (렘36: --- Morrish Bible Dictionary
8 엘리벨렛(Eliphalet, Eliphelet)
인물
jesus
1151 6 2006-12-27
▶ 엘리벨렛(Eliphelet) 마아가인 아하스배의 아들인데 다윗의 30용사중 한 사람이다(삼하23:34). 외에 한 사람이 있다(삼하05:16). ======== Eliphalet [Elipha'let], Eliphelet. [Eliphe'let] 1. One of David's sons, born in Jerusalem. 2 Sam. 5:16; 1 Chr. 3:8; 1 Chr. 14:7. (삼하05: (대상03: (대상14: 2. Another of David's sons born in Jerusalem. 1 Chr. 3:6. Apparently called ELPALET in 1 Chr. 14:5. 3. Son of Ahasbai: one of David's thirty valiant men. 2 Sam. 23:34. (삼하23: 4. Son of Eshek, a descendant of Jonathan. 1 Chr. 8:39. (대상08: 5. Son of Adonikam: one who returned from exile. Ezra 8:13. (스08: 6. One who had married a strange wife. Ezra 10:33. (스10: --- Morrish Bible Dictionary

.
성경연대표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14.세계선교 관련그림.지도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Ani
1창세기[Genesis] 2출애굽기[Exodus] 3레위기[Leviticus] 4민수기[Numbers] 5신명기[Deuteronomy] 6여호수아[Joshua] 7사사기[Judges] 8룻기[Ruth] 9사무엘상[I Samuel] 10사무엘하[II Samuel] 11열왕기상[I Kings] 12열왕기하[II Kings] 13역대상[I Chronicles] 14역대하[II Chronicles] 15에스라[Ezra] 16느헤미아[Nehemiah] 17에스더[Esther] 18욥기[Job] 19시편[Psalms] 20잠언[Proverbs] 21전도서[Ecclesiastes] 22아가[Song of Solomon] 23이사야[Isaiah] 24예레미야[Jeremiah] 5예레미아애가[Lamentations] 26에스겔[Ezekiel] 27다니엘[Daniel] 28호세아[Hosea] 29요엘[Joel] 30아모스[Amos] 31오바댜[Obadiah] 32요나[Jonah] 33미가[Micah] 34나훔[Nahum] 35하박국[Habakkuk] 36스바냐[Zephaniah] 37학개[Haggai] 38스가랴[Zechariah] 39말라기[Malachi] 40마태복음[Matthew] 41마가복음[Mark] 42누가복음[Luke] 43요한복음[John] 44사도행전[Acts] 45로마서[Romans] 46고린도전서[I Corinthians] 47고린도후서[II Corinthians] 48갈라디아서[Galatians] 49에베소서[Ephesians] 50빌립보서[Philippians] 51골로새서[Colossians] 52데살로니가전서[I Thessalonian] 53데살로니가후서[2 Thessalonian] 54디모데전서[I Timothy] 55디모데후서[II Timothy] 56디도서[Titus] 57빌레몬서[Philemon] 58히브리서[Hebrews] 59야고보서[James] 60베드로전서[I Peter] 61베드로후서[II Peter] 62요한일서[I John] 63요한이서[II John] 64요한삼서[III John] 65유다서[Jude] 66요한계시록[Rev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