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의 한글성경
  2. 오늘의 WEB성경
  3. 성경백과사전
  4. 관련서적들

-----Readed_count

-----Update

오늘 :
17,188 / 86,210
어제 :
20,264 / 222,944
전체 :
20,854,565 / 283,431,918
Mobile Bible, Bible Dictionary, Mobile iWorship, 구글Map 성경66권 사전 : -()-()--()-(,)-(,)-(,)-()--중간-(...)-

성경관련 백과사전 & Morrish Bible Dictionary

+ Blue Letter Bible/KJV + 개역한글 성경구절

성경 백과사전 테마별 (구약OT, 신약NT), 성경만화, 요리문답,
영어성경보기, 개역한글성경보기, NEWS, 어!성경
Morrish성경사전 (최신등록), WB.Study, 성경권별 지명연구(지도포함), 인물탐방 각종테마별 - 무게.길이.화폐, 12보석, 유대월력, 동물, (Birds), 식물, 나무, , Miracles(구약, 신약), 613율법Mitzvot, 이방신, 하나님, Tip: 영문장.절위로 커서를 옮기면 해당 KJV 성경 영문구절이 펼처집니다. (Gen. 1:1; Rev. 22:21;)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추천 등록일
Notice 공지 성경 속 전쟁 연대기 (The War Chronicles in the B... 파일
cyber
36378 2 2019-03-05
Notice 공지 TIDWELL BIBLE 21 연대표
jesus
69818 1 2016-12-14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NT 신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5767 1 2016-02-21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OT 구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6102 1 2016-02-21
Notice 공지 성경백과사전 권별.장별[Chapter] 관련내용보기 파일
jesus
83967 1 2015-05-04
19 건포도(Raisins)
기타
jesus
711   2017-03-27
▶ 건포도 Raisins. Dried grapes, some of which are very fine in Palestine. The raisins are always spoken of as in bunches or clusters. 1 Sam. 25:18; 1 Sam. 30:12; 2 Sam. 16:1; 1 Chr. 12:40. See FLAGON. (삼상25:18; 아비가일이 급히 떡 이백덩이와 포도주 두 가죽부대와 잡아 준비한 양 다섯과 볶은 곡식 다섯 세아와 건포도 백송이와 무화과뭉치 이백을 취하여 나귀들에게 싣고 (삼상30:12; 무화과 뭉치에서 뗀 덩이 하나와 건포도 두 송이를 주었으니 그가 낮 사흘, 밤 사흘을 떡도 먹지 못하였고 물도 마시지 못하였음이라 그가 먹고 정신을 차리매 (삼하16:1; 다윗이 마루턱을 조금 지나니 므비보셋의 사환 시바가 안장 지운 두 나귀에 떡 이백과 건포도 일백송이와 여름 실과 일백과 포도주 한 가죽부대를 싣고 다윗을 맞는지라 (대상12:40. 또 근처에 있는 자로부터 잇사갈과 스불론과 납달리까지도 식물을 나귀와 약대와 노새와 소에 무수히 실어왔으니 곧 과자와 무화과병과 건포도와 포도주와 기름이요 소와 양도 많이 가져왔으니 이스라엘 가운데 희락이 있음이었더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18 무게와 측정(Weights and Measures)
기타
jesus
5693   2015-05-23
▶ 무게와 측정 Weights and Measures. In the O.T. money was weighed. The first recorded transaction in scripture is that of Abraham buying the field of Ephron the Hittite for four hundred shekels of silver, which Abraham 'weighed' to Ephron. Gen. 23:15, 16. The shekel here was a weight. Judas Maccabaeus, about B.C. 141, was the first to coin Jewish money, though there existed doubtless from of old pieces of silver of known value, which passed from hand to hand without being always weighed. Herod the Great coined money with his name on it; and Herod Agrippa had some coins; but after that the coins in Palestine were Roman. The following tables must be taken approximately only: the authorities differ. (창23:15, 16 내 주여 내게 들으소서 땅값은 은 사백 세겔이나 나와 당신 사이에 어찌 교계하리이까 당신의 죽은 자를 장사하소서 아브라함이 에브론의 말을 좇아 에브론이 헷 족속의 듣는데서 말한대로 상고의 통용하는 은 사백 세겔을 달아 에브론에게 주었더니 WEIGHTS. 무게 The principal weights in use were as follows with their approximate equivalents: AVOIRDUPOIS. 상형(파운드 법에 따른 무게 단위) Pounds ozs. drams. Gerah (1/20 of a shekel)…………………….- - 0.439 Bekah (½ of a shekel) ………………………- - 4.390 Shekel ( = 20 게라 = 11.4g)………………… - - 8.780 Maneh or pound (60 shekels).…………. 2 0 14.800 Talent, kikkah (50 maneh).……………..102 14 4.000 Talent of Lead (Zech. 5:7), 'weighty piece,' margin. Talent (Rev. 16:21): if Attic = about 55 lbs. Pound, λίτρα (John 12:3; John 19:39) about 12 oz. avoirdupois. (슥05:7 이 에바 가운데에는 한 여인이 앉았느니라 하는 동시에 둥근 납 한 조각이 들리더라 (계16:21) 또 중수가 한 달란트나 되는 큰 우박이 하늘로부터 사람들에게 내리매 사람들이 그 박재로 인하여 하나님을 훼방하니 그 재앙이 심히 큼이러라 (요12:3 마리아는 지극히 비싼 향유 곧 순전한 나드 한 근을 가져다가 예수의 발에 붓고 자기 머리털로 그의 발을 씻으니 향유 냄새가 집에 가득하더라 (요19:39 일찍 예수께 밤에 나아왔던 니고데모도 몰약과 침향 섞은 것을 백 근쯤 가지고 온지라 It must be noted that there are two shekels mentioned in the Old Testament: one according to 'the king's weight,' probably the standard shekel used for all ordinary business, as in Ex. 38:29; Joshua 7:21; 2 Sam. 14:26; Amos 8:5; and another called the 'shekel of the sanctuary,' of which it is said in Ex. 30:13; Lev. 27:25; Num. 3:47; Num. 18:16, 'the shekel is 20 gerahs,' implying perhaps that the common shekel was different. Michaelis says that the proportion was as 5 to 3, the business shekel being the smaller. (출38:29; 드린 놋은 칠십 달란트와 이천 사백 세겔이라 (수07:21; 내가 노략한 물건 중에 시날산의 아름다운 외투 한벌과 은 이백 세겔과 오십 세겔중의 금덩이 하나를 보고 탐내어 취하였나이다 보소서 이제 그 물건들을 내 장막 가운데 땅속에 감추었는데 은은 그 밑에 있나이다 (삼하14:26; 그 머리털이 무거우므로 년말마다 깎았으며 그 머리털을 깎을 때에 달아 본즉 왕의 저울로 이백 세겔이었더라 (암08:5 너희가 이르기를 월삭이 언제나 지나서 우리로 곡식을 팔게 하며 안식일이 언제나 지나서 우리로 밀을 내게 할꼬 에바를 작게 하여 세겔을 크게 하며 거짓 저울로 속이며 (출30:13; 무릇 계수중에 드는 자마다 성소에 세겔대로 반 세겔을 낼찌니 한 세겔은 이십 게라라 그 반 세겔을 여호와께 드릴찌며 (레27:25; 너의 모든 정가를 성소의 세겔대로 하되 이십 게라를 한 세겔로 할찌니라 (민03:47; 매명에 오 세겔씩 취하되 성소의 세겔대로 취하라 한 세겔은 이십 게라니라 (민18:16, 그 사람을 속할 때에는 난지 일개월 이후에 네가 정한대로 성소의 세겔을 따라 은 다섯 세겔로 속하라 한 세겔은 이십 게라니라 This seems confirmed by the word maneh in the following passages. By comparing 1 Kings 10:17 with 2 Chr. 9:16 it will be seen that a maneh equals 100 shekels (probably, for the word 'shekels' has been added by the translators); whereas in Ezek. 45:12 the maneh equals 60 shekels, because the latter would be shekels of the sanctuary. The passage in Ezekiel is obscure, but the sense appears to be that three weights (20, 25, and 15 shekels) should be their maneh, which makes, as in the above table, a maneh = 60 shekels. Some modern tables give the maneh as equal to 50 shekels, from the supposition that this is what is meant in Ezek. 45:12 in the LXX. The maneh is translated 'pound' in 1 Kings 10:17; Ezra 2:69; Neh. 7:71, 72. (왕상10:17; 또 쳐서 늘인 금으로 작은 방패 삼백을 만들었으니 매 방패에 든 금이 삼 마네라 왕이 이것들을 레바논 나무 궁에 두었더라 (대하09:16 또 쳐서 늘인 금으로 작은 방패 삼백을 만들었으니 매 방패에 든 금이 삼백 세겔이라 왕이 이것들을 레바논나무 궁에 두었더라 (스02:69; 역량대로 역사하는 곳간에 드리니 금이 육만 일천 다릭이요 은이 오천 마네요 제사장의 옷이 일백 벌이었더라 (느07:71, 72. 또 어떤 족장들은 금 이만 다릭과 은 이천 이백 마네를 역사 곳간에 드렸고 그 나머지 백성은 금 이만 다릭과 은 이천 마네와 제사장의 의복 육십 칠 벌을 드렸느니라 (왕상10:17 방패에 든 금이 삼 마네라 (대하09:16 방패 하나에 든 금이 삼백 세겔이라 (겔45:12 세겔은 이십 게라니 이십 세겔과 이십오 세겔과 십오 세겔로 너희 마네가 되게 하라 The word bekah occurs in Ex. 38:26; it signifies 'half,' and is 'half shekel' in Ex. 30:13. (출38:26 조사를 받은 자가 이십세 이상으로 육십만 삼천 오백 오십명인즉 성소의 세겔대로 매인에게 은 한 베가 곧 반 세겔씩이라 (출30:13 무릇 계수중에 드는 자마다 성소에 세겔대로 반 세겔을 낼찌니 한 세겔은 이십 게라라 그 반 세겔을 여호와께 드릴찌며 MONEY. 화폐 If the weights in the foregoing list be approximately correct, and silver be taken at ??? per ounce, and gold at £ ??? per ounce Troy, the money value will be about £ Gerah (1/20 of a shekel)……………. ??? Ex. 30:13. Bekah, beqa (½ of a shekel)……….. ??? Gen. 24:22. Shekel…………………………………………… ??? Gen. 23:15. Dram (daric, a Persian gold coin) about ??? 1 Chr. 29:7. Maneh or pound, 60 shekels………….. ??? Ezek. 45:12. Talent of Silver…………………………….. ??? Ezra 7:22. Talent of Gold……………………………… ??? Ex. 25:39. (출30:13 무릇 계수중에 드는 자마다 성소에 세겔대로 반 세겔을 낼찌니 한 세겔은 이십 게라라 그 반 세겔을 여호와께 드릴찌며 (창24:22 약대가 마시기를 다하매 그가 반 세겔중 금고리 한개와 열 세겔중 금 손목고리 한 쌍을 그에게 주며 (창23:15 내 주여 내게 들으소서 땅값은 은 사백 세겔이나 나와 당신 사이에 어찌 교계하리이까 당신의 죽은 자를 장사하소서 (대상29:7 하나님의 전 역사를 위하여 금 오천 달란트와 금 다릭 일만과 은 일만 달란트와 놋 일만 팔천 달란트와 철 십만 달란트를 드리고 (겔45:12 세겔은 이십 게라니 이십 세겔과 이십 오 세겔과 십 오 세겔로 너희 마네가 되게 하라 (스07:22 은은 일백 달란트까지, 밀은 일백 고르까지, 포도주는 일백 밧까지, 기름도 일백 밧까지 하고 소금은 정수 없이 하라 (출25:39 등대와 이 모든 기구를 정금 한 달란트로 만들되 With respect to 'Piece of money' (Gen. 33:19; Job 42:11) and 'Piece of silver' (Joshua 24:32) qesitah, Gesenius compares Gen. 33:19 with Gen. 23:16 and supposes the weight to equal 4 shekels. (창33:19; 그 장막 친 밭을 세겜의 아비 하몰의 아들들의 손에서 은 일백개로 사고 (욥42:11 이에 그의 모든 형제와 자매와 및 전에 알던 자들이 다 와서 그 집에서 그와 함께 식물을 먹고 여호와께서 그에게 내리신 모든 재앙에 대하여 그를 위하여 슬퍼하며 위로하고 각각 금 한 조각과 금고리 하나씩 주었더라 (수24:32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에서 이끌어 낸 요셉의 뼈를 세겜에 장사하였으니 이곳은 야곱이 세겜의 아비 하몰의 자손에게 금 일백개를 주고 산 땅이라 그것이 요셉 자손의 기업이 되었더라 (창33:19 세겜의 아버지 하몰의 아들들의 손에서 백 크시타에 샀으며 (창23:16 상인이 통용하는 은 사백 세겔을 달아 에브론에게 주었더니 £ Mite, λεπτόν……………………… ??? Mark 12:42. Farthing, κοδράντης ………… ??? Matt. 5:26. Farthing, ἀσσάριον……………… ??? Matt. 10:29. Penny, δηνάριον………………… ??? Matt. 20:2. Piece of silver, δραχμή………… ??? Luke 15:8, 9. Tribute money, δίδραχμον…… ??? Matt. 17:24. Piece of money, στατήρ………… ??? Matt. 17:27. Pound, μνᾶ ...………………………… ??? Luke 19:13-25. Talent (Roman) τάλαντον……… ??? Matt. 18:24. Piece of silver, ἀργύριον …… ??? in Matt. 26:15. Money, ἀργύριον ………………… indefinite Matt. 25:18. (막12:42 한 가난한 과부는 와서 두 렙돈 곧 한 고드란트를 넣는지라 (마05:26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네가 호리라도 남김이 없이 다 갚기 전에는 결단코 거기서 나오지 못하리라 (마10:29 참새 두 마리가 한 앗사리온에 팔리는 것이 아니냐 그러나 너희 아버지께서 허락지 아니하시면 그 하나라도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리라 (마20:2 저가 하루 한 데나리온씩 품군들과 약속하여 포도원에 들여보내고 (눅15:8-9 어느 여자가 열 드라크마가 있는데 하나를 잃으면 등불을 켜고 집을 쓸며 찾도록 부지런히 찾지 아니하겠느냐 또 찾은즉 벗과 이웃을 불러 모으고 말하되 나와 함께 즐기자 잃은 드라크마를 찾았노라 하리라 (마17:24 가버나움에 이르니 반 세겔 받는 자들이 베드로에게 나아와 가로되 너의 선생이 반 세겔을 내지 아니하느냐 (마17:27 그러나 우리가 저희로 오해케 하지 않기 위하여 네가 바다에 가서 낚시를 던져 먼저 오르는 고기를 가져 입을 열면 돈 한 세겔을 얻을 것이니 가져다가 나와 너를 위하여 주라 하시니라 (눅19:13-25 은 열 므나의 비유 (마18:24 회계할 때에 일만 달란트 빚진 자 하나를 데려오매 (마26:15 내가 예수를 너희에게 넘겨주리니 얼마나 주려느냐 하니 그들이 은 삼십을 달아 주거늘 (마25:18 한 1)달란트 받은 자는 가서 땅을 파고 그 주인의 돈을 감추어 두었더니 The Greek word ἀργύριον is the common word for 'silver,' and 'money,' as l'argent in French. 'Piece of silver' in the A.V. is always ἀργύριον except in Luke 15:8, 9, where it is δραχμή. (눅15:8-9 어느 여자가 열 드라크마가 있는데 하나를 잃으면 등불을 켜고 집을 쓸며 찾도록 부지런히 찾지 아니하겠느냐 또 찾은즉 벗과 이웃을 불러 모으고 말하되 나와 함께 즐기자 잃은 드라크마를 찾았노라 하리라 The above gives no idea of the purchasing value of these sums, which often varied. A penny (δηνάριον) was the usual daily wages of a working man: its purchasing value then must have been considerably more than it is now. LIQUID MEASURE. 액량, 액체단위 Caph………………………………… 0.552 pints Log (1.3 caphs)…………………. 0.718 '' Lev. 14:10-24. Cab (4 logs)……………………… 2.872 '' 2 Kings 6:25. Hin (12 logs)……………………. 1.077 gallons Ex. 29:40. Bath, Ephah (72 logs)…………. 6.462 '' 1 Kings 7:26. Cor, Homer (720 logs)…………. 64.620 '' Ezek. 45:14. Pot, ξέστης………………………… 0.96 pints Mark 7:4, 8. Measure, βάτος ……..………… 7.5 gallons Luke 16:6. Firkin, μετρητής………………… 8.625 '' John 2:6. Measure, κόρος………………. 64.133 '' Luke 16:7. (레14:10-24 제 팔일에 그는 흠 없는 어린 수양 둘과 일년 된 흠 없는 어린 암양 하나와 또 고운 가루 에바 십분 삼에 기름 섞은 소제물과 기름 한 록을 취할 것이요 (왕하06:25 아람 사람이 사마리아를 에워싸므로 성중이 크게 주려서 나귀 머리 하나에 은 팔십 세겔이요 합분태 사분 일 갑에 은 다섯 세겔이라 (출29:40 한 어린 양에 고운 밀가루 에바 십분 일과 찧은 기름 힌의 사분 일을 더하고 또 전제로 포도주 힌의 사분 일을 더할찌며 (왕상07:26 바다의 두께는 한 손 넓이만하고 그 가는 백합화의 식양으로 잔 가와 같이 만들었으니 그 바다에는 이천 밧을 담겠더라 (겔45:14 기름은 정한 규례대로 한 고르에서 밧 십분지 일을 드릴찌니 기름의 밧으로 말하면 한 고르는 십 밧 곧 한 호멜이며 (십 밧은 한 호멜이라) (막07:4,8 4 또 시장에서 돌아 와서는 물을 뿌리지 않으면 먹지 아니하며 그 외에도 여러가지를 지키어 오는 것이 있으니 잔과 주발pot과 놋그릇을 씻음이러라) 8너희가 하나님의 계명은 버리고 사람의 유전을 지키느니라 (눅16:6 말하되 기름 백 말이니이다 가로되 여기 네 증서를 가지고 빨리 앉아 오십이라 쓰라 하고 (요02:6 거기 유대인의 결례를 따라 두 세 통 드는 돌항아리 여섯이 놓였는지라 (눅16:7 또 다른이에게 이르되 너는 얼마나 졌느뇨 가로되 밀 백 석이니이다 이르되 여기 네 증서를 가지고 팔십이라 쓰라 하였는지라 DRY MEASURE. 건량(乾量) (건조된 곡물·과실 등의 계량) Log …………………………………… 0.718 pints Cab (4 logs) ………………………. 2.872 '' 2 Kings 6:25. Omer (1.8 cabs) …………………… 5.169 '' Ex. 16:16, 36. Tenth deal (tenth of an Ephah) … 5.169 '' Ex. 29:40. Measure, seah (6 cabs) ………. 2.154 gallons 1 Sam. 25:18 Ephah (18 cabs) …………………… 6.462 " Lev. 5:11. Half Homer, lethek (90 cabs) . 4.040 bushels Hosea 3:2. Homer, chomer (180 cabs) ……. 8.081 '' Lev. 27:16. Measure, χοῖνιξ …………………… 2.000 pints Rev. 6:6. Bushel, μόδιος ……………………… 2.000 gallons Matt. 5:15. Measure, σάτον …………………… 2.875 '' Matt. 13:33. (왕하06:25 아람 사람이 사마리아를 에워싸므로 성중이 크게 주려서 나귀 머리 하나에 은 팔십 세겔이요 합분태 사분 일 갑에 은 다섯 세겔이라 (출16:16,36 16 여호와께서 이같이 명하시기를 너희 각 사람의 식량대로 이것을 거둘지니 곧 너희 인수대로 매명에 한 오멜씩 취하되 각 사람이 그 장막에 있는 자들을 위하여 취할지니라 하셨느니라 36오멜은 에바 십분의 일이더라 (출29:40 한 어린 양에 고운 밀가루 에바 십분 일과 찧은 기름 힌의 사분 일을 더하고 또 전제로 포도주 힌의 사분 일을 더할찌며 (삼상25:18 아비가일이 급히 떡 이백덩이와 포도주 두 가죽부대와 잡아 준비한 양 다섯과 볶은 곡식 다섯 세아와 건포도 백송이와 무화과뭉치 이백을 취하여 나귀들에게 싣고 (레05:11 만일 힘이 산비둘기 둘이나 집비둘기 둘에도 미치지 못하거든 그 범과를 인하여 고운 가루 에바 십분 일을 예물로 가져다가 속죄 제물로 드리되 이는 속죄제인즉 그 위에 기름을 붓지 말며 유향을 놓지 말고 (호03:02 내가 은 열 다섯개와 보리 한 호멜 반으로 나를 위하여 저를 사고 (레27:16 사람이 자기 기업된 밭 얼마를 구별하여 여호와께 드리려면 두락수대로 정가하되 보리 한 호멜지기에는 은 오십 세겔로 계산할찌며 (계06:06 내가 네 생물 사이로서 나는듯하는 음성을 들으니 가로되 한 데나리온에 밀 한되요 한 데나리온에 보리 석되로다 또 감람유와 포도주는 해치 말라 하더라 (마05:15 사람이 등불을 켜서 말 아래 두지 아니하고 등경 위에 두나니 이러므로 집안 모든 사람에게 비취느니라 (마13:33 또 비유로 말씀하시되 천국은 마치 여자가 가루 서말 속에 갖다 넣어 전부 부풀게 한 누룩과 같으니라 LONG MEASURE. 길이 Finger or Digit, etsba ……………. 7584 inches Jer. 52:21. Handbreadth or Palm (4 digits), tephach. 3.0337 '' 1 Kings 7:26. Span, zereth (3 palms) ………………. 9.1012 '' Ex. 28:16. Cubit, ammah, πῆχυς (2 spans) …. 18.2025 '' Gen. 6:15. Fathom, ὀργυιά (4 Cubits) …… 6.0675 feet Acts 27:28. Reed, qaneh, (6 cubits) …………. 9.1012 '' Ezek. 40:3-8. Furlong, στάδιον (400 cubits) …. 606.750 '' Luke 24:13. Sabbath-day's journey (2000 cubits) 3033.75 '' Acts 1:12. Mile, μίλιον (3,200 cubits) ………. 4854.0 '' Matt. 5:41. Acre. As much land as a yoke of oxen would plough in a day. 1 Sam. 14:14. (렘52:21 그 기둥은 한 기둥의 고가 십 팔 규빗이요 그 주위는 십 이 규빗이며 그 속이 비었고 그 두께는 사지놓이며 (왕상07:26 바다의 두께는 한 손 넓이만하고 그 가는 백합화의 식양으로 잔 가와 같이 만들었으니 그 바다에는 이천 밧을 담겠더라 (출28:16 장광이 한뼘씩 두 겹으로 네모 반듯하게 하고 (창06:15 그 방주의 제도는 이러하니 장이 삼백 규빗, 광이 오십 규빗, 고가 삼십 규빗이며 (행27:28 물을 재어보니 이십 길이 되고 조금 가다가 다시 재니 열다섯 길이라 (겔40:3-8 3 나를 데리시고 거기 이르시니 모양이 놋 같이 빛난 사람 하나가 손에 삼줄과 척량하는 장대를 가지고 문에 서서 있더니 (눅24:13 그 날에 저희 중 둘이 예루살렘에서 이십 오리 되는 엠마오라 하는 촌으로 가면서 (행01:12 제자들이 감람원이라 하는 산으로부터 예루살렘에 돌아오니 이 산은 예루살렘에서 가까와 안식일에 가기 알맞은 길이라 (마05:41 또 누구든지 너로 억지로 오리를 가게 하거든 그 사람과 십리를 동행하고 (삼상14:14 요나단과 그 병기 든 자가 반일경 지단 안에서 처음으로 도륙한 자가 이십인 가량이라 The above measures are calculated from the cubit being the same as the Hebrew ammah and the Greek πῆχυς, which latter is found in Matt. 6:27; Luke 12:25; John 21:8; Rev. 21:17. This may be called the short cubit (perhaps not the shortest: See CUBIT). In Ezek. 41:8 is the expression, 'a full reed of six great cubits.' The 'great cubit ' is supposed to be a cubit and a handbreadth. This would make Ezekiel's reed to be about 10.618 feet. By adding a sixth to any of the above measurements they will correspond to the great cubit. There can be no doubt, however, that the 'furlong' and the 'mile' were Greek measures. (마06:27 너희 중에 누가 염려함으로 그 키를 한 자나 더할 수 있느냐 (눅12:25 또 너희 중에 누가 염려함으로 그 키를 한 자나 더할 수 있느냐 (요21:8 다른 제자들은 육지에서 상거가 불과 한 오십 간쯤 되므로 작은 배를 타고 고기든 그물을 끌고 와서 (계21:17 그 성곽을 척량하매 일백 사십 사 규빗이니 사람의 척량 곧 천사의 척량이라 (겔41:8 내가 보니 전 삼면의 지대 곧 모든 골방 밑 지대의 고가 한 장대 곧 큰 자로 육척인데 Though all these reckonings are only approximate, they help to throw light upon many passages of scripture. Thus Isaiah 5:10 shows that there is a curse resting upon the fields of a covetous man. In Revelation 6:6 the quantities prove that the time then spoken of will be one of great scarcity, etc. (사05:10 열흘 갈이 포도원에 겨우 포도주 한 바트가 나겠고 한 호멜의 종자를 뿌려도 간신히 한 에바가 나리라 하시도다 (계06:6 한 데나리온에 밀 한 되요 한 데나리온에 보리 석 되로다 --- Morrish Bible Dictionary
17 라마(Ramah)4
지명
jesus
1420   2011-07-31
▶ 라마(Ramah)4 - 미스바(Mizpah) 사무엘의 고향이며 그 무덤이 있는 곳이다. 사무엘의 주 근거지이며, 다윗이 사울을 피해 사무엘이 있는 이 곳으로 피했다. 사울이 다윗을 잡으러 이 곳까지 왔다가 예언까지 하였다. (삼상01:19, (삼상02:11, (삼상07:17, (삼상08:4, (삼상15:34, (삼상16:13, (삼상19:18,19,22,23, (삼상20:1, (삼상25:1, (삼상28:3 ▶ 라마 Ramah. [Ra'mah] City of Ephraim, where Samuel the prophet dwelt. 1 Sam. 1:19; 1 Sam. 2:11; 1 Sam. 7:17; 1 Sam. 8:4; 1 Sam. 15:34; 1 Sam. 16:13; 1 Sam. 19:18-23; 1 Sam. 20:1; 1 Sam. 22:6; 1 Sam. 25:1; 1 Sam. 28:3. It is called RAMATHAIM-ZOPHIM in 1 Sam. 1:1. Not identified. (삼상01:19 그들이 아침에 일찌기 일어나 여호와 앞에 경배하고 돌아가서 라마의 자기 집에 이르니라 엘가나가 그 아내 한나와 동침하매 여호와께서 그를 생각하신지라 (삼상02:11 엘가나는 라마의 자기 집으로 돌아가고 그 아이는 제사장 엘리 앞에서 여호와를 섬기니라 (삼상07:17 라마로 돌아왔으니 이는 거기 자기 집이 있음이라 거기서도 이스라엘을 다스렸으며 또 거기 여호와를 위하여 단을 쌓았더라 (삼상08:4 이스라엘 모든 장로가 모여 라마에 있는 사무엘에게 나아가서 (삼상15:34 이에 사무엘은 라마로 가고 사울은 사울 기브아 본집으로 올라 가니라 (삼상16:13 사무엘이 기름 뿔을 취하여 그 형제 중에서 그에게 부었더니 이날 이후로 다윗이 여호와의 신에게 크게 감동되니라 사무엘이 떠나서 라마로 가니라 (삼상19:18-23; 다윗이 사무엘에게 보호받음 (삼상20:1 다윗이 라마 나욧에서 도망하여 와서 요나단에게 이르되 내가 무엇을 하였으며 내 죄악이 무엇이며 네 부친 앞에서 나의 죄가 무엇이관대 그가 내 생명을 찾느뇨 (삼상22:6 사울이 다윗과 그와 함께 있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함을 들으니라 때에 사울이 기브아 높은 곳에서 손에 단창을 들고 에셀나무 아래 앉았고 모든 신하들은 그 곁에 섰더니 (삼상25:1 사무엘이 죽으매 온 이스라엘 무리가 모여 그를 애곡하며 라마 그의 집에서 그를 장사한지라 다윗이 일어나 바란 광야로 내려가니라 (삼상28:3 사무엘이 죽었으므로 온 이스라엘이 그를 애곡하며 그의 본성 라마에 장사하였고 사울은 신접한 자와 박수를 그 땅에서 쫓아 내었었더라 (삼상01:1 에브라임 산지 라마다임소빔에 에브라임 사람 엘가나라 하는 자가 있으니 그는 여로함의 아들이요 엘리후의 손자요 도후의 증손이요 숩의 현손이더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1.8327394&ln=35.180162
16 갈림(Gallim) 파일
지명
jesus
1416   2011-07-25
▶ 갈림(Gallim) (삼상25:44 - 사울이 그의 딸 다윗의 아내 미갈을 갈림에 사는 라이스의 아들 발디에게 주었더라 (사10:30 - 딸 갈림아 큰 소리로 외칠지어다 라이사야 자세히 들을지어다 가련하다 너 아나돗이여 ======== Gallim. [Gal'lim] Apparently a city of Benjamin, associated with Laish, Aiath, Migron, etc., also in Benjamin.1 Sam. 25:44; Isa. 10:30.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1.816667&ln=35.250000
15 이스르엘(Jezreel) 파일
지명
jesus
4583 16 2007-01-02
▶ 이스르엘(Jezreel) 뜻: 하나님께서 뿌리신 자 에스드렐론 평야로 알려진 골짜기이며 길보아 산 서북쪽 낭떠러지에 있는 현재의 세린 마을로서 유대의 산지에 있는 도시였다. (1) 다윗의 아내들 중에서 노암이라는 여인이 이곳 출신이다(삼상25:43, (삼상27:3, (삼상30:5, (삼하02:2, (삼하03:2). (2) 잇사갈 지파의 경계선이 있던 길보아산 근처의 도성(수19:18). (3) 이스르엘 도성은 이스르엘 계곡과 요르단 계곡을 내려다 볼 수 있다. 예후는 자기들에거 오는 전령들을 물리치면서 이스엘의 왕궁을 향하여 돌진하였다(왕하09:20). ======== ▶ 이스르엘 Jezreel. [Jez'reel] 1. City of Judah, from whence David married Ahinoam. Joshua 15:56; 1 Sam. 25:43; 1 Sam. 29:1, 11. (수15:56 (삼상25:43 (삼상29:1, 11 2. City in Issachar, the abode of Ahab and Jezebel, and principally connected with their history. It was the scene of Jezebel's tragical end. Joshua 19:18; 2 Sam. 2:9; 2 Sam. 4:4; 1 Kings 18:45, 46; 1 Kings 21:1, 23; 2 Kings 8:29; 2 Kings 9:10-37; 2 Kings 10:1-11. Identified with Zerin. (수19:18; (삼하02:9;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 왕의 근거지 (삼하04:4; (왕상18:45, 46; 엘리야와 아합 (왕상21:1, 23; 나봇의 포도원 (왕하08:29; 요람왕 치료처 (왕하09:10-37; 예후가 요람왕을 죽인 곳 (왕하10:1-11. 3. The extensive valley or plain in which the last-named city was situated, in southern Galilee. It has been called the battle-field of Palestine. It was where Barak triumphed, and where Josiah was defeated, Judges 5:19; 2 Chr. 35:22 — Megiddo being in the same locality. It is also perhaps the place where the great battle of Armageddon will be fought. Rev. 16:16. It is a very fertile plain, and is now well cultivated (cf. Hosea 2:22); Joshua 17:16; Judges 6:33; Hosea 1:5. The name ESDRAELON is given to this valley in the Apocryphal Book of Judith 3:9, etc. Now called Merj Ibn Amir. (삿05:19; (대하35:22 므깃도 골짜기 (계16:16 아마겟돈 (수17:16 (삿06:33 (호01:5. --- Morrish Bible Dictionary ▶ Jezreel - Hebron (수15:56, (삼상25:43, (삼상27:3, (삼상29:1, (삼상29:11, (삼상30:5, (삼하02:2, (삼하03:2 lt=31.53577&ln=35.09409 ▶ Jezreel 2 (수19:18, (삼하02:9, (삼하04:4, (왕상18:45, (왕상18:46, (왕상21:1, (왕하08:29, (왕하09:15, (왕하09:16, (왕하09:17, (왕하09:30, (왕하09:36, (왕하09:37, (왕하10:11, (호01:4, (호01:11, (왕상04:12, (왕상21:23, (왕하09:10, (왕하10:6, (왕하10:7, (대하22:6, (호02:22 lt=32.5559&ln=35.3307
14 베들레헴(Bethlehem)
지명
jesus
3114 6 2006-12-30
▶ 베들레헴(Bethlehem) 뜻: 떡집 / 아랍어로는 푸줏간 베들레헴은 집이란 뜻의 "벧트"와 떡이란 뜻의 "레헴"이 합해져 "떡집"이란 뜻을 갖고 있다. 예루살렘 남서쪽 약 10km지점. 베들레헴은 해발 777m의 산악지대에, 동굴이 벌집처럼 많은 석회암 언덕의 비탈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이 지역에는 아랍인들이 살고 있긴 하지만 1967년 6일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점령한 곳이다. 아랍인에 대한 통제가 심한 곳 중의 하나이다. 사사 시대에는 미가의 집 제사장의 고향이 베들레헴이며 에브라임 지방의 한 레위인의 첩의 고향도 이곳이다. 또한 이 곳은 룻기의 나오미와 보아스의 고향이기도 하려니와 보아스의 자손이며 이스라엘의 제2대 왕인 다윗왕의 고향이기도 하다. 역대하에서는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이 견고한 성읍을 건축한 곳이기도 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이곳, 작은 마을 베들레헴에서 아기예수 그리스도가 탄생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베들레헴은 오늘날, 유다땅의 조그마한 마을임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의 기독교인들에게는 빼놓을 수 없는 성지 중의 한 곳이다. [1] 예수의 탄생지. (1) 성경에서는 창세기 35장에 처음 언급되어 있다. "본명은 에브랏으로서 야곱의 식구들이 밧단 아람에서 돌아 올 때 라헬이 벤야민을 낳았고, 라헬이 죽은 뒤에 야곱이 이곳 베들레헴 근처에 라헬을 묻고 비석 하나를 세웠다(창35:19). (2) 사사 시대에는 미가의 집으로 미가서에는 '에브라다(Bethlehem Ephrathah)'라 불렀다(미05:2). (3) 이 이름은 씨족 이름이다(대상02:19, 50). (4) 룻의 시아버지 고향이다(룻01:2-2, 4, 22). (5) 보아스의 고향이다. 라헬이 도망해 다닐때 블레셋 군대가 여기 주둔했다(대상11:17-19). (6) 아사헬이 이곳에 묻혔고 다윗의 용사 엘하난의 출생지이다(삼하23:24). (7) 르호보암이 예루살렘 방어를 위해 이곳을 요새화했다(대하11:6) (8) 그다랴를 죽인자들이 여기 도피했다(렘41:17). (9) 메시야가 날 곳이란 미가의 예언지다(마02:6, (미05:2) (10) 그리스도가 예언대로 나셨다(마02:1-5, (눅02:4, 15). * 6세기 저스틴(A.D 550년경이 예배당을 확장, 역대 군왕들이 정성들여 수리,아름답고 화려한 회당이 섰다. 들어가는 앞문은 4척 밖에 안되는 "겸손의 문"하나뿐이다. 성탄 저녁에는 그 앞뜰이나"목자의 들"에서 성탄 예배를 드린다. 유대인들이 B.C 586년 애굽으로 도망할 때 베들 레헴 근처에서 피난처를 찾았다(렘41:17). [2]나사렛 서북 10km 지점의 베일 람인 (1) 스불론의 베들레헴(수19:15). (2) 사사 입다의 고향 이었던것 같다(사12:8-10). 사사는 거의 다 북쪽에서 났다. [1] 베들레헴의 명칭과 역사적인 개관 베들레헴은 'Enuma-Elish'라는 천지창조 이야기에 나오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식물과 다산의 신인 `Lachma'에서 유래한다. 구약 성경에서 이 지역은 'Ephrata(에브라다)` 라는 이름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이 또한 '다산`을 의미한다. 베들레헴은 히브리어로 성경에서 사용된 이름이다. 오늘날의 주민들은 이 명칭 대신 'Beit Lachem' 이라는 아랍식 이름을 사용한다. `Beth '와 'Beit'는 둘다 `House(집)'을 의미하고, 'Lachem'은 `meat(고기)'를, `Lehem'은 'bread(빵)`을 의미하는데, 따라서 베들레헴이라는 단어의 뜻은 '고기집` 또는 '빵집`이 된다.그러나 'Beit'가 들어가는 대부분의 지명이 어떤 신의 집이라는 종교적인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베들레헴도 원래는 단순한 빵집이라는 뜻이 아니었으리라 생각된다. 베들레헴의 어원에 대해서는 '라흐무(신)의 집`(아카드어에 근거), '전쟁의 집`(가나안어에 근거) 등의 이론이있다. 베들레헴의 역사는 5000여년 전, 이곳이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의 다리 역할을 했던 때로부터 시작된다. 그때는 많은 종류의 동물들이 대륙 사이를 오갔었다. 12세기 농부들이 수로를 만들기 위해 땅을 파 내려 가다가 동물들의 뼈를 발견했는데, 퓨마. 코끼리, 하마,코뿔소, 기린, 영양등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베들레헴은 이 지역에서 높은 곳 중의 하나로, 해발 750m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Beit Sahour'와 /Beit Jala',그리고 동쪽과 남쪽의 유대광야 사이를 구분하는 비옥한 땅으로 일찍이 사람들이 정착한 곳이다. 고고학적인 발굴로서는 `Beit Sahour' 근처에서 5000년 전의 청동기 시대 유적을, 탄생교회의 동쪽 지방을 포함하는 가까운 다른 곳에서는 3000년 전의 철기 시대 유적을 찾아내었다. 몇몇 학자들은 그들이 B.C 14세기의 이집트 'Amarna letter'에서 베들레헴에 대한 언급을 발견했다고 믿었었다. 베들레헴은 아주 오래된 고대 도시로 성서에서 여러 차례 언급되고 있다. 베들레헴 근처에서 라헬이 죽어 묻혔으며 (창35:19; (창48:7),사사기 (삿19:장에 나오는 한 레위인의 첩이 베들레헴 출신이다. 또한 룻기의 배경이 베들레헴이며, 룻의 자손인 다윗이 베들레헴에서 태어나 거기서 사무엘에 의해 기름 부음을 받았다(삼상16:1-13). 한때 이 곳은 블레셋 사람들에게 점령되기도 했는데, 다윗의 용사들 중 세 명이 적진을 뚫고 이 곳의 우물물을 떠서 다윗에게 `고향의 물'을 바쳤다고 기록되어 있다.(삼하23:14-17). 남북 왕국이 분열된 뒤 르호보암에 의해 요새화되기도 했던(대하11:6) 그러나 1000년동안 베들레헴은 예루살렘 근교에 있는 작은 마을로 남아 있었다. B.C. 6세기 말에는 바벨론에서 귀환한 123명의 사람들만이 이곳에 살았다. 이 때 미가 선지자는 이 작은 수의 귀환에도 불구하고 큰 예언을 한다.베들레헴은 다윗의 고향으로 메시야가 태어날 곳으로 기대되었다(미05:2-5 (마02:6 (요07:42). 이 메시야의 탄생에 대한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의 이야기는 신약에서 가장 사랑받는 부분 중 하나로, 그 배경인 베들레헴은 기독교인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장소 중의 하나가 되었다. 이곳 베들레헴에는 일찍이 크리스챤 공동체가 있었음이 확실시 되고 있다. 첫 번째 교황중 한 사람인 Evaristus(100~109)는 베들레헴 출신으로 기독교도 어머니와 유대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표면적으로 베들레헴은 작고 보잘 것 없는 도시로 계속 남아 있었다. 132년부터 135년 까지 있었던 Bar- Kochbar 반란동안 이곳은 로마 군인들에 의혜 황폐화 되었고. 모든 유대인 거주자들은 도시 밖으로 추방 되었다. 4세기에 전통적으로 예수님의 탄생지라고 알려진 장소에 탄생 교회가 세워진 이후로 기독교 순례지 중 가장 잘 알려진 곳이 되자, 이 때부터 많은 기독교인들이 이 곳에 거주하기 시작했다 (비잔틴시대에는 유대인들의 베들레헴 거주가 허락되지 않았다). 현재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는데 6일 전쟁 때(1967년) 이스라엘에 의해 점령당했었다. 베들레헴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의 93년 오슬로 평화 협정후 95년 12월 팔레스타인 자치 지역이 되어 현재는 이스라엘 통치권과는 상관이 없이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영양하에 있으며 주민들은(많은 분들이 베들레헴에 유대인이 살고 있으며 이스라엘 정부에 속한 줄로 알고 있다)팔레스타인으로서 대부분이 모슬렘(약80%) 기독교(대부분이 구교 계통 20%)로 구성이 되어 있다. 베들레헴의 경제와 문화 베들레헴의 경제로는 농업이 어느 정도 주를 이루고 있는데 그중 올리브 수확은 많은 비중을 차지 한다. 올리브나무는 베들레헴의 환경에 적합한 나무로서 많은 토양이나 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태양 빛을 흡수하고 많은 과실을 맺기 위해 풍부한 가늘고 작은 잎들을 가지고 있다. 올리브 수확은 년 중 가장 큰 행사 중 하나이다. 나무에 과실이 맺히기 시작하는 9월에 사람들은 준비물을 만들기 시작하고 과실을 추수할 사람들을 고용한다. 수확은 10월 첫 주간에 이루어 지며 온 가족이 이 일에 동원되고 학생들은 학교로부터 시간을 얻는다. 올리브는 날로 먹거나 소금, 레몬, 식초등에 절여서 먹는다. 그리고 상당수의 올리브는 기름을 추출하는데 쓰인다. 또한 무화과나 그밖의 과일, 땅콩류의 수확은 베들레헴 지역에서 보편화 되어 잇다. 그것은 이것들 역시 거친 기후에 강하고 많은 물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농업 외에 베들레헴과 'Beit Sahour', Beit Jala'는 경제적으로 다양한 공장 공업에 의존하고 있다. 이것은 'textile'과 `Beit Sahour'에 있는 국수 공장등의 식료 생산을 포함한다.베들레헴 지역은 성서 시대에 'Judea'의 언덕 마을로 불려던 곳에 위치해 있다. 이 'limestone'언덕은 단지 엷게 깔린 흙과 'vegetation'으로 덮여 있고, 이 돌은 중요한 자연 자원이 되어 왔다. 서북 뚝방의 최대의 채석장은 베들레헴 지역에 있다. `Beit Jala' 에 있는 slaggib 채석장은 장미석의 생산지로 유명하고 이돌은 탄생 교회 내부 기둥의 원석임이 확실하다. 오늘날 베들레헴 지역 채석장의 반 이상이 이스라엘로 수출된다. 다른 아랍 나라들, 특히 걸프만 지역의 나라들은 베들레헴 지역의 돌들을 그들의 건축물을 위해 채택하고 있다. 베들레헴 지역에서 가장 성공적인 산업 중 하나는 자개 만드는 것이다. 물룬 이것은 이 지역 본래의 산업이 아니다. 처음에는 주요 재료를 홍해에서 들여 왔지만 오늘 날에는 뉴질랜드로부터 들여오고 있다. 추측하기는 이런 예술적 기술이 14세기에 이탈리아에서 온 프란시스 수도사들에 의해 소개되었다. 그 당시의 보편적인 것으로는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묵주, 십자가, 보석함 등이 있었다. 자개와 올리브 나무 가공산업은 오늘날 베들레헴을 찾는 수많은 순례객들과 관광업에 의해 발달되었다. 이 산업은 또한 수출의 중요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베들레헴의 성탄절 예수그리스도가 이 땅에 태어난 시기와 날짜에 관해서는 여러 학자들 마다 견해가 다르지만 아무도 예수가 탄생하신 정확한 시기를 알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성서에 그 날짜가 명시되어 있지 않은 탓이다. 사도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보낸 편지에서 "때가 차매" 라고 그 시기를 언급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순례자들에 의해 일년내내 성탄절을 축하하는 것이다. 초대 교회사에서 수많은 날짜들이 예수탄생일로 제시되었고 그것들 대부분은 봄과 가을중에 있었다. 기독교가 콘스탄틴 대제 통치하에 있을 때, 예수의 생애에 대하여 stpqn 사항들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남은 시기에 HELEN은 예수 탄생 교회를 건축하고 있었고, 그 탄신을 기념할 보편적인 날짜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로마시대에 그 날짜는 지금의 12월25일로 결정되었다. 그 이전부터 로마인들은 겨울에 태양이 (낮) 깊어지기 시작하는 이 시기를 일간 축하하였다. 이를 "Sol Invictus" 축제라 한다. 이는 그리스도가 세상의 빛이라고 여겨진데서 비롯된 것이다. 이 첫 번 축제는 338년 로마에서 시작되었다. 이것이 크리스마스의 시작이다. 그러나 동방정교회에서는 1월6일을 보편적인 성탄절로 기념하고 있었고,후에 아르메니아인들은 1월18일을 자신들의 성탄절로 기념하게 되었다. 특별히 이런 문제들은 상호간의 달력의 상이함에서 비롯되었다. 이런 이유로 베들레헴에서는 3차례의 주요 성탄 행사를 거행하게 되었다. (12월25일은 신.구교 교인들을 위해, 1월6일은 ORTHODOX 교회를 위해, 1월18일은 아르메니아인들을 위해) 천주교와 개신교 교회들은 12월24일성탄 이브를 기념하는데 오전11시에 몇몇 고위급 인사들이 예루살렘으로부터 라헬의 묘로 라틴 원로들을 만나러 가는 것으로 시작된다. 긴 행렬과 경찰들이 원로들을 호위해서 구유광장(그리스도의 탄생교회)까지 이동된다. 오후 1시에 프란시스코 수도사들과 예복을 갖춘 신학생들이 몇몇 교회의 지도자들과 함께 동행한다. 그 밤 행사는 구유광장에서 캐롤( 전 세계에서 합창팀들이 참여 한다)과 촛불의식으로 이어진다. 그 밤 행사의 절정은 한 밤 중에 St.Catherine교회에서의 미사이다( 전 세계로 생 중계됨). 하지만 그 밤 내내 탄생동굴에서 작은 미사가 진행된다. ▶ 예수님의 탄생지 베들레헴은 '떡집'이라는 뜻을 지니며, 아랍어로는 '푸줏간'이라는 의미로도 해석이 된다. 그것은 목축업이 활발했던 것과 양을 잡는 날에 행해지던 잔치 (삼상25: )에 그 기원이 있다. 또한 '에브라다'와 함께 병용하여 사용 (미05:2) 되기도 하였고 '에브랏' (창35:16, 19, (창48:7) 으로 언급되기도 하였다. 이곳은 다윗 왕의 고향 (롯01: , (삼상16: )이기도 하며, 사무엘이 다윗에게 기름 부은 곳 (삼상16:1)이며, 다윗의 우물 (삼하23:13 ~ 17)이 있던 곳이다. 에브라임 산지에 살고 있던 미가의 개인 제사장 레위 인의 고향 (사17:7 ~ 13), 사무엘은 왕에게 베들레헴을 하나님께 제사를 올리는 성지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르호보암 왕 때는 이곳에 요새가 쌓아졌고 (대하11:6), 한때 블레셋에 의해 점령되었고 (삼하23:14), 예수님의 탄생지로 예언되었고, 그 예언이 성취된 곳 (미05:2, (눅02:1 ~ 5, (마02:1~18, (요07:41~42) 인 베들레헴은 예루살렘 남쪽 8 Km 떨어진 곳에 있다. 특히 감람나무가 많은 해발 700여 m 높이의 산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예수님탄생교회 (Church of the Nativity) 주후 135년 로마 황제 하드리안은 제2차 유태인 반란을 진압한 후 기독교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예수님 탄생 동굴 위에 아도니스 신전을 만들어 세워 놓는다. 그 후 기독교를 공인한 콘스탄틴 대제는 이 아도니스 신전을 철거하고 이곳에 예수님 탄생 교회를 건립한다. (주후 325년)이 교회는 주후 529년 비잔틴 제국에 반란을 일으켰던 사마리아 인들에 의하여 크게 손상을 입게 되지만 곧 이어 유스티니안 황제에 의해서 복원된다.(주후 565년) 현재의 건물은 십자군 시대의 예배당 모양을 보존하여 수리한 것이다. 탄생의 동굴은 성탄교회 내부 지하에 있다. 예배당의 모양은 십자가 모양의 건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십자군 당시 교회를 보수할 때 입구의 높이를 1.2 m 정도로 낮추고 그 폭도 좁게 만들어 놓았다. 머리를 굽히고서야 교회에 출입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약탈자들이 말이나 마차를 타고 교회에 출입하는 것을 막고자 하는 방어적 성격을 지닌 것이다. 이로 인하여 이곳을 찾는 모든 사람들은 자세를 낮추고 들어가서 아기 예수님이 탄생하신 곳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주후 1100년 성탄절 날 볼드윈 1세는 십자군 시대의 예루살렘 왕으로서 그 즉위식을 이곳에서 가졌다. 주후 386년 제롬은 예수님 탄생교회 바로 옆에 있는 동굴에서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하였다. 이때 번역한 불게이트(Vulgate) 성경이 지금까지 카톨릭교회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성경이다. 라헬의 무덤 이곳은 '라마'로 언급되기도 하는데 (에레미야 (렘31:장 15절), 무슬림, 기독교인, 특히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기념 장소이다. 야곱의 사랑을 받던 라헬의 무덤 (창35:19, (창48:7)은 헤브론 길에서 베들레헴 길로 꺾어지면서 곧바로 보이는 곳에 잘 보존되어 있어서 이곳을 찾는 유대인들을 늘상 보게 된다. 유대인들의 안식일이나 중요한 절기 때 이곳에서 기도하는 유대인들을 볼 수 있다. 그들도 죽은 성인이나 조상들을 숭배하는 풍습이 있다. 이 외부 건물 구조물은 1860년에 새로이 지어진 것이다. 이 무덤에 와서 기도하면 번성과 안전한 출산의 능력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이 이곳에서 기도하기도 한다. 간간이 세파르딤 파에 해당되는 유대인 여성들이 이곳에서 울면서 기도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 그들이 벧엘에서 발행하여 에브랏에 이르기까지 얼마 길을 격한 곳에서 라헬이 임신하여 심히 신고 하더니 (창35:16) ※ 라헬이 죽으매 에브랏 곧 베들레헴 길에 장사되었고 야곱이 라헬의 묘에 비를 세웠더니 지금까지 라헬의 묘비라 일컫더라 (창 35:19 ~ 20) ▶ Bethlehem 1 - (창35:19, (창48:7, (삿12:8, (삿17:7, (삿19:1, (룻01:1, (룻02:4, (룻04:11, (삼상16:4, (삼상17:12, (삼상20:6, (삼하02:32, (삼하23:14, (대상11:16, (대하11:6, (스02:21, (느07:26, (렘41:17, (마02:1,(눅02:4 lt=31.70536&ln=35.21026 ▶ Bethlehem 2 - (수19:15 lt=32.7353&ln=35.1897
13 바란(Paran) Map 파일
지명
jesus
1868 5 2006-12-30
▶ 바란(Paran) 뜻:빛나는 땅 (1) 애굽과 미디안 사이에 가데스와 신 평야를 포함하고 있는 들(왕상11:18). (2) 좁은 뜻으로는 신 평야를 제외한 남쪽을 가리킨다(민13:21, (민20:1). (3) 현재의 에디인데 석회것으로 된 높은 지대다 아브라함에게 쫓겨난 이스마엘의 피난처였다(창21:21). (4) 이스라엘 사람의 숙박소(민10:12 (민12:16). (5) 여기에서 탐정을 파견 했다(민13:3, 26). (신01:1, (삼상25:1, (왕상11:18 ======== Paran. [Pa'ran] The wilderness on the south of Canaan and west of Edom. It was here Ishmael dwelt, and in which was Kadesh, where the Israelites encamped when they sent out the twelve spies, and again near the close of their wanderings. David also at one time took shelter in this wilderness. Gen. 21:21; Num. 10:12; Num. 12:16; Num. 13:3, 26; Deut. 1:1; 1 Sam. 25:1; 1 Kings 11:18. In Deut. 33:2; Hab. 3:3 MOUNT PARAN is spoken of, which doubtless refers to some mount in the same district. Paran is now called et Tih, it lies between Kadesh and Sinai. --- Morrish Bible Dictionary lt=29.151667&ln=33.541944
12 마온(Maon)
지명
jesus
1184 2 2006-12-30
▶ 마온(Maon) 뜻:주민 [1] 헤브론에서 남쪽으로 14.4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곳으로 현재의 텔 마인(Tell Ma'in)이다. (1) 가멜/십과 같이 기록되어 온 유대 고을(삼상25:1). (2) 나발의 고향(삼상 25:1). (3) 다윗이 은신 하였던 곳(삼상23:24, 25:1). [2] 이스라엘을 대적한 마논 사람(삿10:12) (수15:55, (삼상23:24, (삼상23:25, (삼상25:2 lt=31.4166666&ln=35.116666
11 라마(Ramah) Map 파일
지명
jesus
2954 1 2006-12-30
▶ 라마(Ramah) 뜻: 높은 곳 라마(높은곳)이라는 명칭으로 사용된 곳은 주로 높은 산지에 위치하고 있는 지명이름이다. [1] 예룻살렘 북쪽 8km 기브아 북쪽 게바서쪽에 위치한 지점. 엘람과 동일시되는 지역 (1) 베냐민 북쪽 성읍(수18:25) (2)라헬이 자식을 위하여 애통한 곳(렘13:15, (마02:18). (3) 예레미야가 바벨론으로 잡혀 가다가 묵시를 받은곳(렘40:1). [2] (1) 에브라임 산중의 한 성읍으로 여사사 드보라의 고향(삿04:5). (2) 사무엘의 고향이며 그 무덤이 있는 곳이다(삼상07:17, (삼상25:1). [3] 납달리지파 지역, 사페드(Safed) 서쪽 24km 지점. 엘라메(Rama)인듯 납달리의 요해 도시로 과실 재배로 유명함(수19:36) [4] 두로 근처, 키르벳 벨라트(Kh. Belat)동편 아래 라스 엔 나쿠라(Ras en-Na qursa) 동쪽 약 18km 지점. 두로 부근에 있는 아셀의 성읍(수19:29). [5] 길르앗라못의 성읍으로 이스라엘왕 요람이 아람왕 하사엘과 싸우다가 상한 곳이다(왕하08:29). ---> 상세내용 라마1,2,3,4,5
10 갈멜산(Garmel/Mount Carmel)
지명
jesus
3754 4 2006-12-29
▶ 갈멜산(Garmel/Mount Carmel) 뜻: 나무가 많다 [1] (1) 높이 540미터 샤론과 에스드리엘론의 두평원 사이에 높은 솟은 산으로 석굴이 많고 수목이 울창하며 산 아래 기손강이 흐르고 있다. 양대 평원과 지중해까지 내려다 볼수있는 아름다운 경치의산(사35:2). (2) 아셀지파의 경내에 있다.(수19:26). (3) 여호수아가 이 산에서 욕느암왕을 격멸(왕상18:20-40). (4) 엘리야가 바알과 아세라의 선지 850명과 대결하여 격멸(왕상18:20-40). (5) 아합의 아들 아하시야왕이 엘리야를 잡으러50부장과 50명을 두번 보낸 것을 천화로써 죽임(왕하01:9-12). (6) 엘리야 승천후 엘리사가 잠시 유함(왕하02:5). (7) 엘리사가 이 산에 있다가 수넴 여인을 만나 같이 그 집에 가서 죽은 아이를 다시 살림(왕하04:25-35). [2] 유다 지파의 산곡에 있는 촌락이름(수15:55). (1) 사울왕이 아말렉을 이기고 승전비를 세움(삼상15:12). (2) 악인 나발의 거주지(삼상25:2-3). (3) 웃시아 왕의 포도원이 이다(대하26:10). ▶ 이 이름이 영문 성경에는 있으나 한글(개역) 성경에는 없다. "머리는 갈멜 같고" (아07:5), "해변의 갈멜같이" (렘46:18, (사33:9), 아름다움을 노래할 때마다 등장하는 해발 482 m의 이 산은 이스라엘의 '거룩한 머리산' (Holy Headland)이라 불리었다. BC 4 세기의 헬라인들은 이 산을 '거룩한 제우스의 산'이라 불렀으며, AD 1 세기 로마의 베스파시안 장군은 이곳에서 제사를 드리기도 하하였다. 로마의 역사가 타키투스 (Tacitus)는 이 산을 가리켜 "동상도 신전도 없이 오직 제단과 예배만 있는 산이 있는 곳" 이라 하였다. 갈멜산은 이스라엘의 3대 도시 가운데 하나인 하이파 (Haifa) 시가 위치하고 있는 지중해 하이파만으로부터 시작되어 이즈르엘 골짜기를 따라 남동쪽으로 길게 뻗은 약 25 Km 가량의 산맥으로, 종교적 의미를 많이 가지고 있었던 산으로 BC 860년 아합왕때의 바알과 아세라 선지자들의 종교적 중심지였다. 850명이나 되는 사제들에 의해 이방의 종교는 꽃을 피우고 있을 때에 이스라엘의 예언자 엘리야는 이들과 맞대결을 통하여 참 하나님이 누구인지를 가름 하였다 (왕상18:1 ~ 40) 예루살렘 성전이 가장 번창하였던 예수 당시의 제사장 숫자가 약 480명 정도였음에 비교한다면 기원전 9세기의 바알 종교가 이스라엘 내에서 얼마나 극성을 부렸었는가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엘리야는 갈멜산에서의 승리를 통하여 이스라엘의 새로운 종교 질서를 세웠으며, 종교적 위기로부터 구출하였다. 영국의 신학자 로울리 (H.H. Rowley)는 "모세 없이 이스라엘의 여호와 종교가 태어나지 못하였더라면, 엘리야 없이 그 종교는 죽고 말았을 것이다" 라고 하였다. 이스라엘의 신앙이 풍전등화처럼 꺼져가고 있을 때, 등잔에 기름을 붓고 심지를 돋아 불꽃을 다시 일으킨 자가 바로 엘리야였던 것이다. 갈멜산 꼭대기에는 1868년에 세워진 '므흐라카' (Muchlaka, 불의제단)라 불리우는 카르멜 수도원이 자리를 잡고 있다. 이곳은 본래 십자군의 성채가 있었던 곳으로 수도원 옥상에 서면 지중해 쪽 (서쪽) 뿐 아니라, (왕상18:43 ~ 44), 이즈르엘 평원 (북동쪽), 사마리아 산지 (남쪽)을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으며 (왕상18:40, (왕상22:39), 입구의 벽면에 있는 갈멜산 사건의 부조는 눈여겨 관찰해 볼 만하다. 교회 뜰에 세워진 칼을 들고 서 있는 엘리야의 석상은 보는 이들에게 신앙을 재무장 하도록 요청하는 듯하다. ▶ Mount Carmel (왕상18:19,20,42, (왕하02:25, (왕하04:25 lt=32.7293501&ln=35.04978957 ▶ Carmel - (수12:22, (수15:55, (수19:26, (삼상15:12, (삼상25:2, (삼상27:3, (삼상30:5, (삼하02:2, (삼하03:3, (삼하23:35, (대상11:37, (아07:5, (사33:9, (사35:2, (렘46:18, (렘50:19, (암01:2, (암09:3, (나01:4 lt=31.4333315&ln=35.13333188
9 갈림(Callim)
지명
jesus
1133 4 2006-12-29
▶ 갈림(Callim) 뜻: 돌무더기 기브아와 아나돗에 인접한 지역, 바후림 근처로 사울왕의 딸 미갈의 남편 말다의 고향이다(삼상25:44).
8 아히노암(Ahinoam)
인물
jesus
7189 2 2006-12-27
▶ 아히노암(Ahinoam) 뜻:내 형제는 아름답다 [1] 이스라엘의 제 1대 왕 사울의 처이며 아히마아스의 딸이다(삼상14:50). [2] 다윗의 처 이스라엘 여자로 암논을 낳았다(삼상25:43, (삼하02:2). (삼하03:2). (대상03:1 다윗이 가드왕 아기스에게 피신할 때 처와 아비가일이 같이 하였다(삼상27:3). (삼상30:5 ======== Ahinoam. [Ahin'oam] 1. Daughter of Ahimaaz and wife of Saul. 1 Sam. 14:50. 2. David's wife a woman of Jezreel: she accompanied David in his flight from Saul; and, while residing at Ziklag, was taken captive when the city was burned by the Amalekites; but was recovered. 1 Sam. 25:43; 1 Sam. 27:3; 1 Sam. 30:5, 18. She was with David when he came to the kingdom, and while at Hebron bare to David, Amnon his first-born. 2 Sam. 2:2; 2 Sam. 3:2.;1 Chr. 3:1. --- Morrish Bible Dictionary
7 아비가일(Abigail)
인물
jesus
3862 1 2006-12-27
▶ 아비가일(Abigail) 뜻:내 부친이 기뻐함 [1] 본래 농부였던 나발의 아내(삼상29:14). 나발은 곧 죽고 아비가일은 다윗의 아내가 되었다(삼상25:39-42). 헤브론에서 아들을 낳았는데 이름은 길르압 이다(삼하03:3). [2] 다윗의 이복누이 아마사의 어머니(삼하19:25), (대상02:16). ======== Abigail [Ab'igail] 1. The Carmelitess who became the wife of David after the death of her churlish husband Nabal. This gracious woman humbled herself, confessed the 'iniquity' of her husband, and appeased David. She showed wonderful faith in recognising the counsels of God as resting upon David, and called him 'lord' whilst in rejection and being hunted by Saul. 1 Sam. 25:14-42. By Abigail David had a son named Chileab 2 Sam. 3:3; but called Daniel in 1 Chr. 3:1. 2. A sister or half sister of David: she was the mother of Amasa by a man named Ithra or Jether, described both as an Israelite and an Ishmeelite. 2 Sam. 17:25; 1 Chr. 2:16, 17. See JETHER --- Morrish Bible Dictionary ======== ▶ 지혜와 미모가 뛰어난 「나발」의 아내: 다윗의 도움요청을 거절한 남편의 미련한 행동에 대해 간곡하게 대신 사죄함으로써 가족 전체의 몰살위기를 모면하게 된다. 사무엘상 25장14∼42절 아비가일은 「내 아버지가 기뻐하신다」는 뜻이다. 마온사람으로 양 3천과 염소 1천마리를 소유한 나발의 아내였다. 나발은 불량하고 미련한 사람인 반면에 아비가일은 지혜롭고 현명한 여자였으며 미모의 여자였다. 다윗이 사울에게 쫓겨 광야에 있을 때 소년들을 보내며 나발의 도움을 구하자 다윗을 비난하고 멸시하는 태도로 단숨에 거절하였다. 이 보고를 들은 다윗은 자기를 추종하는 사람중에 4백명을 뽑아 나발과 그 재산과 가족을 도륙하려 하였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아비가일은 급히 서둘러 떡 2백덩이와 포도주 두 가죽부대와 볶은 곡식 다섯 세아와 건포도 1백송이와 무화과 2백뭉치와 양 다섯마리를 잡아 다윗에게 나아갔다. 이때에 아비가일이 취한 처세에서 그의 뛰어난 구변과 지혜를 배우게 된다. 그는 우선 다윗을 만나자 엎드려 경배했고 얼굴을 땅에 댄 채 죄를 빌었다. 그뿐 아니라 불량하고 미련하고 행사가 악하고 완고한 남편을 용서해줄 것을 간구하였다. 이때에 다윗에게 『내주여』라는 표현을 27회나 사용하였고 다윗에게 피흘려 보수함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말과 왕위에 오를 때에 마음에 걸림이 있어서도 안된다는 감화력있는 표현으로 호소하였다. 이 말을 들은 다윗은 크게 감동되어 즉시 그의 요청을 허락하게 된다. 아비가일의 지기로 가정은 구했으나 나발은 이 충격으로 세상을 떠났다. (교훈과 적용)
6 사울(Saul)
인물
jesus
6185 39 2006-12-27
▶ 사울(Saul) 뜻 : 희망 [1] 이스라엘 통일왕국 시대에 첫째 왕(B.C. 1020-1000). 사울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삼상09:-31:)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베냐민 지파 기스의 아들로서 키가 크고 용모가 준수하고 성격이 어진 청년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스라엘 백성이 사무엘에게 왕을 세워 달라고 요청 하던 어느 날 사울은 자기 부친 기스의 잃어버린 나귀를 찾아 나왔 다가 사무엘을 만나 기름 부음을 받고 왕이 되었다. 이와 같은 절차로 이스라엘 왕국이 건설 되었는데 이 사실에 대한 각각 상위된 두개의 기록이 사무엘 서에 있다. 그 하나는 호의 적인 이름으로 사울은 하나님의 뜻을 따라 왕이 되었다는 것이며(삼상 9:1-10:16) 다른 하나의 비판적인 기록은 백성들이 자기들의 왕을 구하는 것은 하나님에게 반역이라고 말하고 있다(삼상08:4-22, 10:17-27). 왕이된 사울은 수도를 기브아에 정하고 모압 암몬 에돔 블레셋 아멜렉등 이스라엘 나라 접경에 있는 부족과 싸워 승리를 얻고 왕국의 기초를 튼튼히 세웠다. 그러나 얼마 후에는 여호와의 섭리를 망각하고 하나님의 뜻을 어기는 오만불손한 행위를 거듭하게 되어 하나님과 사무엘 선지의 눈에 거슬리게 되었다(삼상 13:8-14,15:). 이때부터 사울의 행동은 정상적인 궤도를 벗어나게 되었다. 충신 다윗에 대한 질투심이 증대하여 다윗의 생명을 노린 것이 그의 신임을 잃은 가장 큰 계기가 되었다(삼상 10:14, 18:10, 19:10, 22:10-18). 인기는 사울에게서 다윗에게로 넘어갔다(삼상 16:). 그는 이스라엘 역사의 과도기를 그린 왕으로서 그의 취후는 비참하였다. 블레셋 사람들과의 전쟁에서 그의 세 아들을 잃고 자신도 큰 상처를 입고 길보아 산에서 자살하였다(삼상 31:). 역대기에는 사울이 하나님의 버림을받은 왕이라 해서 그의 죽음의 기록 외에는 아무것도 기록되지 않았다(대상 10:). (삼상09: (삼상10: (삼상11: (삼상12: (삼상13: (삼상14: (삼상15: (삼상16: (삼상17: (삼상18: (삼상19: (삼상20: (삼상21: (삼상22: (삼상23: (삼상24: (삼상25: (삼상26: (삼상27: (삼상28: (삼상29: (삼상30: (삼상31: [2] 에돔 왕 사울이니 유브라데 르호붓인이다(창30:37). [3] 레위의 자손 중 웃시야의 아들(대상06:42). [4] 야곱의 처자 시므온의 아들로서 가나안 여인의 소생(창46:10). [5] 사도 바울의 믿기 전의 이름(행07:28, (행08:1, (행09:1). [6] 안디옥 교회에 있던 예언자의 이름(행13:1). ======== Saul. Son of Kish, of the tribe of Benjamin, and the first king of Israel. He was anointed by Samuel by God's direction when the Israelites demanded a king. As the king whom they had chosen and desired, 'a new heart' was given him, and he had a fair start in his reign; but he signally failed in obedience to God, by the word of Samuel. He was rejected, and David was anointed, whom for years he malignantly persecuted. Being forsaken of God, without faith or conscience he resorted to one with a familiar spirit, and there heard his doom. (See DIVINATION.) He was conquered by the Philistines, the very people he was to have overcome. Thus royalty, as everything else committed to man by God, at once failed. For details of Saul's life see SAMUEL, FIRST BOOK OF. ======== Saul. One of the ancient kings of Edom. Gen. 36:37, 38. Called SHAUL in 1 Chr. 1:48, 49. --- Morrish Bible Dictionary --------------------------------------------------------------- [사울]("희망"이란 뜻)은 이스라엘의 최초의 왕이다(1030-1010 B.C). 그는 베냐민 지파 기스라하는 유력한 사람의 아들이다(삼상 9:1,10:21). 이스라엘 중에 그보다 더 준수한 자가 없고 키는 모든 백성보다 어깨 위는 더했다(삼상 9:1,10:21). 신정 정치를 거부하고 왕정을 구하는 백성들의 요구에 따라 제1대 왕위에 오른 왕이 사울이다. 사무엘은 이미 사울이야말로 백성이 구하는 왕의 적임자라는 것을 하나님으로부터 지시받았다. 그는 12 지파를 미스바에 소집하여 제비를 뽑아 사울을 선출한 것이다. 사울이 즉위한 뒤암몬사람 나하스의 공격을 받자 사울은 성령에 감동되어 이스라엘 전역에서 의용병을 모집하니 33만이 그를 지지하였다. 민심이 통일되고 사기충천하여 새벽에 적진에 돌입해 정오까지 그들을 치니 적군은 산산패주하고 말았다. 이것은 사울이 왕이 된 후 첫 대승이니 백성들로부터 인정과 존경을 받게 된 것이다. 사울왕은 즉위 후 3천명의 상비군을 편성하여 그 중에서 2천명은 자기와 함께 믹마스와 벧엘산에 있게 하고 1천은 요나단과 함께 베냐민 기브아에 배치하였다. 천부장 요나단은 게바에 있는 블레셋 수비대를 치므로써 양국은 대적 관계에 들어가 이스라엘은 위기에 빠졌다. (삼상13:2-6) 사울의 군대는 믹마스에 진군하여 온 블레셋군의 압박을 받아많은 백성이 사울을 떠났다. 사울은 먼저 하나님의 구원을 약속한 선지자 사무엘(삼상 10:7,8)의 도착을 기다리다 못해 자기가 하나님께 번제를 드리는 중죄를 범했다.(삼상 10:8, 13:8-15). 하나님의 명령을 어긴 불순종의 죄에 대하여 사무엘은 사울의 왕위 폐위를 선언한다. 그뒤 사울은 하나님 앞에 범죄인으로 드러나기 시작한다. 아말렉을 쳐서 그들의 모든 소유를 남기지 말고 진멸하되 남녀노소, 우양, 약대,나귀까지 다 죽이라는 하나님의 명령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울은 아말렉을 친 뒤 명령을 어기고 아각과 우양 중 가장 좋은 것은 죽이지 않고남겨 두었다. 하나님은 이에 대해 사무엘에게 임하시어 사울을 세운 것을 후회하셨다. 사울은 또 갈멜이라는 곳에 자기를 위하여 기념비를 세웠다. 이 모든일련의 범죄 사건이 곧 하나님께 버림받는 계기가 된다. 블레셋은 틈을 타서 이 스라엘을 침입하였다. 사울은 군대를 길보아에 집중시켰으나 블레셋의 대군에 질겁하여 사기가 땅에 떨어졌다. 곤란을당한 사울은 신접한 자나 박수를 그 땅에서 추방하고 한편으로 전비를 갖추면서 전쟁의 승부를 알기 위해 하나님께 물었으나 대답이 없으므로 번민하였다. 그는 죄를 자복하고 기도로써 끝까지 하나님께 직접 구하지 않고 추방한 신접한 여인을 찾아갔다. 그 여인은 죽은 사무엘의 영을 불러내 사울에 대한 저주의 예언을 하게 한다. 블레셋 군대가 수넴에서 추격하여 이스라엘 군의 진지 이스르엘 평화까지 내습하고 사울은 길보아산 전투에서 네 부자가 전사하는 참패를 당했다. 이상 사울은 그의 생애를 비참하게 마쳤다. 야훼의 기름부음받은 자가되어 초대 이스라엘의 왕이 된 것은 그에게는 더없는 영광이었다. 그러나 그는 교만해지고 하나님의 말씀을 업신여겨 결국 그 댓가로 전쟁터에서 자결하고 만 것이다. 죄를 짓더라도 참 회개와 기도가 있었다면 사울은 어느 정도 하나님의 도우심을 받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죄를 가볍게 생각했다. 또한 회개할 줄 모르는 사람이었다. 하나님은 택한 자라도 죄를 지을 경우에는 곧 징계를 내리신다. 사울의 변명과 범죄가 그에게 패망을 가져다 준 것을 생각하면 구원받은 자들은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구원을 지켜야 할 것이다. 하나님의 신이떠난 사울의 모습은 많은 경종을 울린다. -------------------------------------------------------------------------------- 사울 2 ◎암몬과의 전쟁 대승후 「순종심」 망각/「번제」 직접드리는 등 망령된 짓 자행 사무엘상 9∼13장 사울은 「희망」이라는 뜻이다. 사울이 이스라엘의 초대왕으로 선출되기까지는 본인과 그 가문과 주변 사람들의 공인등 자연스럽게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하나님이 사무엘을 통해 사울을 선택한 뜻도 깨달을 수 있다. 사울이 왕으로 기름부음받고 첫번째 세운 업적으로 암몬과의 전쟁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이로써 왕의 권위를 세우게 되었고 백성들의 지지를 받게 되었으며 왕으로서의 기반을 다졌다. 그러나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사무엘 선지자가 더디 오자 사울이 직접 변제를 드림으로 망령된 짓을 행하여 왕의 나라가 길지 못할 것이라는 예언을 받게 된다(삼상 13:8∼14). 그렇지만 믹마스에서의 블레셋과의 전쟁은 블레셋 진영의 땅과 그 지역이 지진과 같이 떨리고 진동하여 블레셋 군대가 두려움으로 흩어지게 되어 자기들끼리 대적함으로 큰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사울은 이때에도 하나님의 관용을 망각하고 자만한 마음으로 금식을 선포하여 백성과 아들 요나단을 범죄케 하였다. 그후에도 모압과 암몬과 에돔과 소바와 블레셋과 아말렉을 쳐 승리하게 하여 사울을 보호하고 이스라엘을 지켜주셨다. 그러나 아말렉과의 전쟁에서 하나님을 대적한 그들을 모든 남녀와 짐승까지 진멸하도록 지시하였는데 왕과 소와 양을 남김으로 하나님이 사울을 왕으로 세운 것을 후회하셨다. -------------------------------------------------------------------------------- 사울 3 ◎백성드러에 인기높은 「다윗」 수차 살해기도/피신도움준 「이히멜렉」 가족 등 85명 몰락 사무엘상 9∼31장 사울은 「희망」이라는 뜻이다. 사울이 반복하여 하나님을 거스르게 될 때 거역은 사슬의 죄와 같고 완고한 것은 우상에게 절하는 죄와 같다는 말씀과 함께 하나님이 사울을 버리고 다윗을 택하게 된다. 사울에게는 악신이 임하고 다윗에게는 하나님의 신이 충만하였다(삼상 15:23, 16:13, 14). 그후 다윗이 블레셋 장군 골리앗을 하나님의 이름을 통해 물매돌로 죽이고 머리를 베어 가져왔으며 그 시체는 공중의 새들이 먹게 하였고 이스라엘은 큰 승리를 거두게 된다. 그 후 다윗은 군대의 장관이 되었고 사울의 신하들까지 크게 환영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인들이 사울이 죽인 자는 천천이요 다윗이 죽인 자는 만만이라고 다윗을 더 칭찬하자 이때부터 자기 사위요 자기 신복인 다윗을 시기함으로써 죽이기로 결심하게 된다. 그 뒤로 다윗을 9번이나 죽이려 하였으나 하나님이 다윗을 지키심으로써 실패하였고 세차례나 청부살인을 시도했으나 역시 실패하게 된다. 한번은 다윗이 놉에 사는 아히멜렉에게 피신하자 아히멜렉이 식물을 제공했고 골리앗의 칼을 전달하게 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사울은 아히멜렉의 온 가족과 그와 함께 한 제사장 85명을 살해하는 끔찍한 죄를 범하게 된다. -------------------------------------------------------------------------------- 사무엘상 9-31장 신접한 여인에 대한 사울의 부탁으로 엔돌의 동굴에 나타난 사무엘 (삼상 28:14-25) 17세기 이탈리아 화가 살바도레 로자 그림(루브르 미술관 소장) 사울은 "희망"이라는 뜻이다. 사울은 베냐민 지파에서 이름이 있고 존경받고 있던 기스의 아들이었다. 그는 모든 사람보다 외모가 뛰어나고 지혜로워 준수한 사람으로 알려졌고 키는 다른 사람보다 어깨위가 더할만큼 장대하였다. 비교적 복된 가정에 태어났으며 유족한 분위기에서 성장한 행운아이기도 하였다. 결국 사무엘의 아들들이 사사가 되었지만 그들에게 실망한 백성의 장로들이 사무엘에게 찾아와 다른 나라와 같이 왕을 세워줄 것을 요청하기에 이르 렀다. 왕을 세우는 일은 하나님도 원하는 일이 아니었고 사무엘도 원하는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백성들의 강력한 요구와 하나님의 허락으로 이스라엘은 하나의 왕국으로 선민의 역사가 바뀌게 되었다. 이때에 초대왕으로 선발된 사람이 사울이다. 사울은 자기 아버지가 잃은 암나귀를 찾아 에브라임 산지,살리사지역,사알림 지역,베냐민 지역,숩 지역을 두루 찾아 다닌 것으로 보아 효성스럽고 충성된 사람인 것을 알 수 있다(삼상9:3-5). 또한 사무엘이 사울에게 왕이 될 것을 고하자 가장 작은 지파와 가장 작은가족임을 고백했고(삼상9:21) 행구 사이에 숨었으며(삼상10:22) 자기를 대적 한 비류들을 용서할만큼 너그러운 사람이기도 하였다(삼상10:27,11:12). 사울이 이스라엘의 초대왕으로 선출되기까지는 본인과 그 가문과 주변 사람들의 공인등 자연스럽게 왕위에오를 수 있었다. 하나님이 사무엘을 통해 사울을 선택한 뜻도 깨달을 수 있다. 사울이 왕으로 기름부음받고 첫번째 세운 업적으로 암몬과의 전쟁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이로써 왕의 권위를 세우게 되었고 백성들의 지지를 받게 되었으며 왕으로서의 기반을 다졌다. 그러나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사무엘 선지자가 더디 오자 사울이 직접 변제를 드림으로 망령된 짓을 행하여 왕의 나라가 길지 못할 것이라는 예언을 받게 된다(삼상 13:8-14). 그렇지만 믹마스에서의 블레셋과의 전쟁은 블레셋 진영의 땅과 그지역이 지진과 같이 떨리고 진동하여 블레셋 군대가 두려움으로 흩어지게 되어 자기들끼리 대적함으로 큰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사울은 이때에도 하나님의 관용을 망각하고 자만한 마음으로 금식을 선포하여 백성과 아들 요나단을 범죄케 하였다. 그후에도 모압과 암몬과 에돔과 소바와 블레셋과 아말렉을쳐 승리하게 하여 사울을 보호하고 이스라엘을 지켜주셨다. 그러나 아말렉과의 전쟁에서 하나님을 대적한 그들을 모든 남녀와 짐승까지 진멸하도록 지시하였는데 왕과 소와 양을 남김으로 하나님이 사울을 왕으로 세운 것을 후회하셨다. 사울이 반복하여 하나님을 거스르게 될 때 거역은 사슬의 죄와 같고 완고한 것은 우상에게 절하는 죄와 같다는 말씀과 함께 하나님이 사울을 버리고 다윗을 택하게 된다. 사울에게는 악신이 임하고 다윗에게는 하나님의 신이 충만하였다(삼상 15:23,16:13,14). 그후 다윗이 블레셋 장군 골리앗을 하나님의 이름을 통해 물매돌로 죽이고 머리를 베어 가져왔으며 그 시체는 공중의 새들이 먹게 하였고 이스라엘은 큰 승리를 거두게 된다. 그 후 다윗은 군대의 장관이 되었고 사울의 신하들 까지 크게 환영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인들이 사울이 죽인 자는 천천이요 다윗이 죽인 자는 만만이라고 다윗을 더 칭찬하자 이때부터 자기 사위요 자기 신복인 다윗을 시기함으로써 죽이기로 결심하게 된다. 그 뒤로 다윗을 9 번이나 죽이려 하였으나 하나님이 다윗을 지키심으로써 실패하였고 세차례나 청부살인을 시도했으나 역시 실패하게 된다. 한번은 다윗이 놉에 사는 아히멜렉에게 피신하자 아히멜렉이 식물을 제공했고 골리앗의 칼을 전달하게 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사울은 아히멜렉의 온 가족과 그와 함께 한 제사장 85명을 살해하는 끔찍한 죄를 범하게 된다. -------------------------------------------------------------------------------- 사울은 베냐민 지파 기스의 아들이며 이스라엘 왕국 제1대 국왕이다. 선지자 사무엘이 장로들의 요청에 의하여 적임자를 찾던중 하나님의 소개를 받아 사울을 만나게 되었다. [사무엘이 사울을 볼 때에 여호와께서 그에게 이르시되 보라 이는 내가 네게 말한 사람이니 이가 내 백성을 통활하리라 하시니라](삼상9:17). 그리고 사무엘이 사울에게 [그대는 이스라엘이 사모하는 자요 백성을 다스릴 왕이 될 것이라]고 했을 때 그는 지극히 겸손한 자세로 사무엘의 요청을 수락한 것으로 보아 신앙의 인물이었음이 틀림없다. [가로되 나는 이스라엘 지파의 가장 작은 지파 베냐민 사람이 아니 오며 나의 가족은 베냐민 지파 모든 가족중에서 가장 미약하지 아니 하니이까 당신은 어찌하여 내게 이같이 말씀하시니이까](삼상9:21 ). 이처럼 겸손한 사울이 즉위한지 얼마 못되어 하나님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백성의 충성과 지지를 얻지 못했다는 것은 실로 놀라운 일이라 아니 할 수 없다. 사울의 개인적 실수와 실정이 무엇인지 요약해 보기로 하자. (1)블레셋과 전쟁을 치르기전에 제사장직을 맡은 사무엘이 제사를 드려야 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서둘러 번제와 화목제를 드린 일, 이것은 신성모독 행위인 동시에 왕권의 남용이다. (2)아말렉을 쳐서 그들의 모든 소유를 남기지 말고 진멸하라고 하나님께서 명령하셨으나 사울은 가축의 좋은 것을 남기고 나쁜것만 죽였으며 뿐만 아니라 노획한 가축을 사유화하기 위하여 자신의 왕궁 우리에 숨겨 둔 일, 이것 역시 왕권의 남용이며 부정축재에 해당된다 (삼상 15:1-16). (3)사울은 자신을 위로하기 위하여 수금을 타는 다윗을 죽이려고 했는가하면 둘째 딸 미갈을 주겠다고 하여 다윗을 전쟁터에 보내어 전사토록 계략을 꾸민 일, 이것 역시 왕권의 남용으로 결혼빙자 살인 음모죄에 해당된다(삼상18:10-27). 그 외에도 목자장 도넥을 시켜 아히멜렉외 85인의 제사장을 죽인 일(삼상 21:7-23). 이 모든 범죄로 인하여 결국 사울은 길보아 전투에 셋 자녀를 잃었으며 자선도 비통함을 못이겨 자결하고 말았다 . [자기 생명을 사랑하는 자는 잃어버릴 것이요 이 세상에서 자기생 명을 미워하는 자는 영생하도록 보존하리라](요12:25). -------------------------------------------------------------------------------- 1.읽을말씀:사무엘상 15:17-23 2.외울말씀:"왕이 여호와의 말씀을 버렸으므로 여호와께서도 왕을 버려 왕이 되지 못하게 하셨나이다"(삼상15:23) 3.참고말씀:삼상 9:15-17,10:1-13 4.목 표:1)사울 왕이 실패한 원인을 알아보고 우리의 신앙을 살펴보자. 2)하나님께서는 다시 한번 회개의 기회를 주심을 알자. 5.공부할 내용: 사무엘은 그의 생애 동안 이스라엘을 잘 다스렸습니다.그러나 사무엘의 두 아들은 아버지 사무엘과 같지 않아서 그들에게 주어진 권리를 남용하여 사리사욕을 채우고 재판을 굽게 함으로써 하나님의 공의를 무시했습니다.이러한 사무엘의 두 아들에 대한 백성들의 불평,불만이 대단했습니다.(삼상8:4-5) 또한 그 당시 이스라엘의 주변에서는 부족국가 형태의 국가들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그래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방 족속들 처럼 왕을 세우고 국가를 형성하고 싶었습니다.(삼상8:6) 이때 뽑힌 사람이 사울입니다.이번 과에서는 이스라엘의 초대왕인 사울왕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1.왕이 된 사울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웃 나라들 처럼 왕을 세우고 자기들이 세운 왕이 그들을 다스려 줄 것을 원했지만 이것은 하나님의 기뻐 하시는 바가 아니었습니다.그들의 이러한 행위는 이제까지 그들을 직접 인도하시고 지도하신 왕되신 하나님을 버리는 것이었습니다.(삼상8:7) 하나님께서 그들의 왕이셨기 때문에 이스라엘을 다스릴 왕이따로 필요치 않았습니다.그들이 하나님의 명령대로 살지 않은것이 문제였지 결코 하나님의 지도력이 잘못된 것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요구가 잘못되었음을 여러 차례 지적해 주셨습니다.(삼상8:10-18)그러나 그들은 그들의 요구를 철회하지 않았습니다.하나님께서는 인간의 왕을 세우는 것이 결코 현명하지 못하다는 것을 아셨지만 왕을 세우는 것을 허락하셨습니다. 이때 세움을 받은 왕이 바로 사울입니다. 사울이란 이름의 뜻은 "큰 자"입니다.그는 그의 이름대로 다른 사람보다 어깨 위가 더 큰 장대한 사람이었고 용감한 용사 였습니다.베냐민 지파의 부자(富者) 농민 기스의 아들인 사울은 아버지가 잃은 암나귀를 찾으러 다니다가 사무엘을 만나게 되었습니다.그리고 기름 부음을 받고 왕이 되었습니다.사울은 순진하고 겸손한 청년이었습니다.심지어는 왕이 되는 것조차 사양할 정도 였습니다.(삼상10:22) 이런 사울을 일부에서는 왕의 자격이 없다고 반대하기 까지 했습니다.(삼상10:27)사울이 왕이 된 것은 무슨 자격에 의한 것이 아니었습니다.오직 겸손할 때 하나님께서 은혜로 그를 왕으로 세우셨습니다.이 점에 대해서 사도 바울은 "하나님께서 세상의 미련한 것들을 택하사 지혜있는 자들을 부끄럽게 하려 하시고..."라고 하였습니다.(고전1:27) 그러므로 우리들은 주님과 사람 앞에서 교만하지 말고 겸손해야 할 것입니다. 2. 사울왕의 실수와 불순종 사울 왕은 즉위한 지 2년 후에 블레셋 대군과 싸움을 하게 되었습니다.블레셋 대군이 침입하자 다급해진 그는 자기의 힘과 지혜로 어떻게 할 수 없어서 사람을 보내어 사무엘 선지자의 도움을 청했습니다.(삼상13:1-8) 그동안 이스라엘 군대는 무서워서 도망치고 적군은 계속 쳐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일주일이 지나도 사무엘 선지자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다급해진 사울왕은 자기가 제물을 가져다 하나님께 제물을 드렸습니다.왕이 제사 드리는 것은 율법으로 금지되어 있었고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는 오직 제사장만이 할 수 있었는데 사울이 제사장의 권한까지 침범해 버리고 만 것입니다. 사울왕이 제사를 막 끝내자 도착한 사무엘이 이 사실을 알고 무섭게 꾸짖었습니다."왕이 망령되이 행하였도다.왕이 왕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왕에게 명하신 명령을 지키지 아니하였도다"(삼상 13:13)사울 왕은 사무엘 선지자로 부터 폐위 되리라는 말을 들었지만 그 즉석에서 폐위 되지는 않았습니다. 그 후 사울왕은 하나님의 명령으로 아말렉과 전쟁을 하게 되었습니다.사울 왕은 아말렉과의 전쟁에서 이겼지만 하나님께 불순 종의 죄를 범했습니다.하나님께서 아말렉 사람과 짐승을 모두 죽 이라고 하셨음에도 불구하고 사울 왕은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하여 아말렉의 왕 아각을 죽이지 않았고 짐승 가운데서 좋은 것은 남겨두고 가치없는 것만 처치했습니다. 이에 대하여 사무엘 선지자의 꾸짖음을 듣자 사울 왕은 회개하지 않고 자신의 죄를 백성에게 전가하고 하나님을 위해서였다고 변명하였습니다.(삼상15:21)그는 실로 교만했습니다.그러자 사무엘은 "순종이 제사보다 낫고 듣는 것이 수양의 기름보다 낫다"고 하면서 그의 죄를 깨우쳐 주었습니다. 3. 버림받은 사울 사울왕은 용서와 회복의 기회를 놓지고 말았습니다.하나님과 사무엘 선지자 앞에서 자신의 잘못을 회개하지 않고 죄를 전가하고 변명하다가 폐위당하고 말았습니다 하나님께서 먼저 사울을 버리신 것이 아니라 사울이 먼저 하나님을 버렸습니다.그래서 그는 결국 하나님께도 버림받고 이스라엘 백성에게도 버림을 받았습니다.성경은 이에 대하여 "사무엘이 죽는 날까지 사울을 다시 가서 보지 아니하였으니 이는 그가 사울을 위하여 슬퍼함이었고 여호와께서는 사울로 이스라엘 왕 삼으신 것을 후회하셨더라"(삼상15:35)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 버림받은 사울에게서 하나님의 신이 떠나자 하나님의 부리신 악신이 그를 번뇌케 했습니다.(삼상16:14)결국 이스라엘 의 초대왕 사울은 하나님 앞에서 실패한 인생으로 끝나고 말았습니다. 사울왕은 처음에는 겸손하여 왕으로 세움을 받았으나 나중에는 불순종하여 교만함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버림받은 인생이되고 말았습니다. 우리가 신앙생활을 할 때 중요한 것은 겸손과 순종입니다. 하나님께서는 겸손한 자에게 은혜를 베푸시고 교만한 자를 대적하십니다.우리는 사울의 일생을 교훈삼아 하늘나라 가는 그날까지 늘 겸손한 태도와 순종하는 마음을 잃지 말아야 겠습니다. -------------------------------------------------------------------------------- 사울… 뿌리약한 신앙 교만에 ‘처참한 최후’ 사울은 베냐민지파 사람으로 기스의 아들이었다. 기스는 성경에 유력한 사람이라고 소개되고 있다. 이 말은 단순한 부자라기보다 그 지역에서 인정받고 존경받는 사람이었음을 짐작케 한다. 그의 말이나 경제력이나 인격과 활동이 사람들에게 호감을 주었을 것이다. 사울은 이러한 위치에 있는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러므로 사울은 세상 사람들이 말하는 좋은 배경과 환경 속에서 태어난 것이다. 경제적으로도 여유 있는 집에서 어려움을 모르고 자랐을 것이다. 그 아버지가 암나귀를 잃었을 때 사울이 사환을 데리고 나귀를 찾아나선 것을 보아도 그 가정의 분위기를 짐작하게 된다. 사울은 유족한 가정에서 고생을 모르고 많은 사람의 보호와 양육 속에 순탄한 소년 시절을 보낸 셈이다. 그의 키는 다른 사람보다 어깨 위가 더했고 준수한 사람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이 말을 보면 사울은 외모로도 흠잡을 데 없는 사람이었다. 이 때는 이스라엘 백성이 사무엘에게 왕을 구하고 있었다. 하나님과 사무엘은 왕정을 원치 않았지만 백성의 요구대로 왕을 세우도록 사무엘에게 하나님이 허락하셨다. 그리고 “내일 이맘때에 내가 베냐민 땅에서 한 사람을 네게 보내리니 너는 그에게 기름을 부어 내 백성 이스라엘의 지도자를 삼으라”(삼상 9:16)고 하셨다. 사울은 이렇게 왕이 되었다. 사울은 가문도 좋았고 성장 과정도 순탄한 사람이었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좋은 가문,좋은 환경을 부러워하고 동경한다. 그러나 이같은 조건이 반드시 행운이 된다는 보장은 없다. 다윗은 13년 이상 큰 시련을 겪고 왕위에 올랐으나 사울은 아무런 연단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왕위에 오른 것이다. 이 두 사람을 비교할 때 우리에게 하나님이 보여주시는 숨겨놓은 은혜를 짚어볼 수 있다. 모든 시련과 고난은 겪을 때는 힘들고 고통스럽지만 지나고 보면 하나같이 유익하고 소중한 은혜로 우리 마음에 자리잡고 있음을 뒤늦게 깨닫게 된다. 고난으로 연단을 받은 사람에게는 그 사람과 하나님 사이에만 갖고 있는 영적인 보화가 있다. 어려움 속에서 겪은 연단의 소중함이나 시련을 겪고 나서 우리에게 허락되는 하나님의 지혜가 그것이다. 사울은 왕이 되었지만 비바람을 거친 들꽃과 같이 든든해 보이지 않고 온실의 꽃처럼 유약해 보이는 부문이 우리에게 전하는 교훈이다. 자녀들을 양육할 때 이러한 내용을 참고했으면 한다. 우리나라 격언에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어느 시대나 적용되는 것 같다. 사무엘은 백성들에게 유력한 집안의 아들로 준수한 사울을 왕으로 공포하기 위하여 왕을 선임하는 종교 행사를 가졌다. 그것은 “이스라엘 모든 지파를 가까이오게 하였더니 베냐민 지파가 뽑혔고 베냐민 지파를 그 가족대로 가까이 오게 하였더니 마드리의 가족이 뽑혔고 그 중에서 기스의 아들 사울이 뽑혔다”(삼상 10:20,21) 그때에 사울을 찾아도 찾을 수가 없었으나 영감을 좇아 행구(짐짝) 사이에 숨어 있는 사울을 찾아내게 된다. 이 때에 사무엘은 백성들 앞에 왕으로 공포하고 사울과 짝할 자가 없다고 하였다.그러자 백성들은 큰 환호성과 함께 “사울왕 만세”를 부르므로 사울은 이스라엘의 첫번째 왕이 되었다. 사울이 왕으로 즉위할 때에는 모든 면에서 왕이 되기에 큰 결함이 없었다. 사무엘의 집에 들렀을 때 기름을 붓고 왕이 될 것을 예언하자 “나는 이스라엘 지파의 가장 작은 지파 베냐민 사람이 아니오며 나의 가족도 베냐민 지파 모든 가족 중에 가장 미약”(삼상 9:21)한 가족이라고 소개하는 정말 겸손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 큰 몸집을 가진 사람이 행구 사이에 숨은 것을 보아도 그의 겸손은 여전했고 순박하기까지 했다. 또한 그가 왕으로 공포되자 일부 비류들이 사울이 왕이 된 것을 비난하며 멸시하고 업신여겼지만 그들을 다 용서하는 관용도 보였다. 이같은 내용을 종합해보면 사울은 너그러운 사람이고 대적을 용서하는 사람이었다. 한마디로 사울은 덕스럽고 훌륭한 인격의 소유자였다.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부분으로 생각이 된다. 사람이 가지고 있는 좋은 자질과 훌륭한 성향과 착한 마음까지도 그 자체로는 그 개인을 유익하게 돕는 데 큰 힘이 되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사람이 가지고 있는 좋은 자질이라도 신앙을 통해 하나님의 영감에 붙들리지 아니하면 큰 도움이 못된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장점은 그 개인의 감정이나 상황이나 사건에 따라 좌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인간의 자질이 신앙을 통해 성령의 다스림을 받으면 감정도 상황도 사건과도 무관하게 선용될 수 있다. 아무리 훌륭한 성정을 가진 사람이라도 하나님의 은혜로만 우리를 유익하게 돕는데 일관성을 갖게 된다. 하나님의 은혜가 얼마나 다양하게 우리를 돕고 있는가를 기억하자. 결국 우리 자신이나 우리의 자질까지도 은혜에 붙들릴 때 온전해진다. 이와 같이 사울은 왕이 되기까지 좋은 인상을 남겼다. 그리고 정치적인 보복도 없었다. 저가 왕위에 오르자 암몬과의 전쟁에서 대승을 거둠으로써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묶기도 하였다. 그러나 왕으로 나라를 다스리게 되자 어딘지 모르게 쫓기는 사람처럼 안정감을 가지고 왕으로서의 왕도를 보여주지는 못했다.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제사장 외에는 할 수 없는 하나님께 드리는 번제를 대신한 것은 너무나 큰 잘못이었다. 그뿐 아니라 아말렉과의 전쟁에서는 모든 백성과 짐승을 진멸하도록 지시하였는데 소와 양의 일부를 하나님의 제물로 드리겠다는 조건으로 끌어왔던 것 역시 하나님 앞에 큰 범죄였다. 이때에 사무엘은 두 차례나 하나님의 뜻을 전하여 왕의 나라가 길지 못하고 왕을 버려 이스라엘 왕이 되지 못하게 하시겠다는 예언을 남긴다. 사울은 블레셋도 이겼고 모압과 암몬과 에돔과 소바와 아말렉을 쳐서 승리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많은 하나님의 은혜를 입고 출발도 좋았는데 사울은 크게 흔들리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사울은 사무엘 선지자 앞에 “내가 여호와의 명령과 당신의 말씀을 어긴 것은 내가 백성을 두려워하여 그 말을 청종하였다”고 고백하고 있다. 한마디로 사울은 하나님보다 사람을 두려워하므로 왕위가 뿌리째 흔들리게 된다. 인격 속에 뿌리내리지 못한 신앙이 얼마나 위태로운지를 볼 수 있다. 신앙을 갖기는 쉬워도 신앙으로 길들여지는 사람이 되는데는 거쳐야 할 영적인 과정이 있다. 사울에게 있어서 큰 아쉬움이 있다면 그가 이러한 신앙의 인물이 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실수를 가진 뒤에는 사무엘이 사울을 외면하고 말았다. 하나님의 큰 종을 잃게 된 사울의 불행한 모습을 생각해보자. 정말 존경스럽고 의지할 수 있는 하나님의 종이 함께 한다는 것은 축복 중의 축복이다. 우리의 신앙을 점검하며 신앙으로 다스림을 받는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자. 결국 사울은 세 아들과 함께 길보아산에서 불행한 최후를 맞고 말았다. 신앙생활은 시작도 좋아야 하지만 끝이 더 좋아야 한다. 끝까지 성공적인 신앙 생활을 가져야 하겠다. ◇사울을 통해 얻는 교훈과 적용 믿는 성도들에게 중요한 것은 좋은 자질을 타고난다고 결코 자만하지 말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좋은 자질까지도 하나님의 은혜에 이끌리지 않으면 아무런 도움이 되질 못한다. 자질보다 중요한 것이 신앙이고 신앙은 성령의 영감이나 하나님의 은혜의 보호를 받을 때 진가를 발휘한다. 겸손한 사람으로 날마다 은혜 위에 은혜를 더해가자. 사울에게 있어서 결정적인 결함은 사람을 두려워하는데 있었다. 체면을 생각하거나 자기 위신 때문에 하나님의 분명한 뜻을 거스르고 하나님의 명령을 외면하는 일은 영적으로 무덤을 파는 것이나 다름없다. 하나님을 경외하고 또 사랑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하나님 앞에 영적으로 경솔한 사람이 되고 자만한 사람이 되면 참으로 불행하다. 하나님 중심으로 사는 사람이 되자. 이병돈<서울 은평성결교회 담임목사>
5 발디엘(Paltiel)
인물
jesus
1343   2006-12-27
▶ 발디엘(Paltiel) 뜻:하나님은 구원하셨다 [1] 잇사갈 지파의 족장이며 잇산의 아들(민34:26) [2] 사울의 딸 미갈의 남편(삼하03:15) 발디(삼상25:44)와 동일인이다.
4 발디(Palti, Phalti)
인물
jesus
1783 5 2006-12-27
▶ 발디(Palti) 뜻 : 구원받은 자 [1] 모세가 바란 광야에서 가나안을 정탐하기 위하여 보낸 12인의 정탐군중 베냐민 지파 대표자(민13:1-9). [2] 갈림 사람. 라이스의 아들. 다윗에게 준 딸 미갈을 뺏어 이 사람에게 주었다(삼상25:44). 다윗이 왕이 된 후에 다시 뺏어왔다(삼하03:15). ▶ 모세가 보낸 12정탐군 ======== Phalti, [Phal'ti] Phaltiel. [Phal'tiel] Son of Laish, of Gallim: Saul gave him Michal, David's wife. When she was restored to David, Phalti followed weeping behind her, till abruptly sent back by Abner. 1 Sam. 25:44; 2 Sam. 3:15. --- Morrish Bible Dictionary
3 미갈(Michal)
인물
jesus
1898 3 2006-12-27
▶ 미갈(Michal) 뜻:누가 하나님 같으랴 사울왕의 작은 딸, 다윗의 아내 (삼상14:49) ======== Michal. [Mich'al] Younger daughter of Saul, and wife of David. She helped David to escape when her father sought his death. When David was being persecuted she was given as wife to Phaltiel(발디엘); but when David came into power he demanded of Abner(아브넬) that she should be restored to him. She did not share David's zeal for the Lord, for when he brought up the ark and danced in joy before it, she not only despised him in her heart but reproached him for it. On this account she was barren the rest of her days. 1 Sam. 18:20-28; 1 Sam. 19:11-17; 1 Sam. 25:44; 2 Sam. 3:13, 14; 2 Sam. 6:16-23. In 2 Sam. 21:8, for 'Michal,' it should probably be read '[the sister of] Michal,' that is, Merab, as in 1 Sam. 18:19. Michal is an instance of how altogether beyond the natural mind are the leadings of the Spirit of God: cf. 1 Cor. 2:14. (삼상18:20-28 (삼상19:11-17 (삼상25:44 (삼하03:13 (삼하06:16-23 (삼하21:8 (삼상18:19 (고전02:14 --- Morrish Bible Dictionary ------------------ ▶ 미갈/다윗의 아내된 사울왕의 둘째딸 ◎남편 목숨 구하는 등 “애정의 결합” 사무엘상14장49절 미갈은 「누가 하나님과 같을꼬」라는 뜻이다. 미갈은 사울왕의 둘째딸로 다윗의 아내가 된 사람이다. 사울은 본래 골리앗을 이기는 자에게 자기 맏딸 메랍을 주기로 약속하였다가 이를 거절하고 므홀랏 사람 아드리엘을 맏사위로 맞아 다윗과의 계약을 어겼다. 이것은 다윗을 사랑하는 민심이 높아지자 이를 시기한데서 비롯된 사건이었다. 때마침 메랍의 동생 미갈이 다윗을 사랑하자 사울은 자기 딸의 애정까지 이용하여 다윗을 해하려 하였다. 그는 정적으로 느껴진 다윗을 죽이기 위해 블레셋 사람의 양피 일백장을 가져와야 미갈을 주겠다고 허락하였다. 이것은 블레셋 사람의 손에 다윗을 죽게 하려는 사울의 악한 계략이었다. 그러나 다윗은 사울왕의 사위가 되는 것을 좋게 여겨 블레셋 사람의 양피 2백장을 바치고 미갈을 아내로 삼았다. 이와같이 다윗과 미갈은 서로 사랑하고 서로를 필요로 하는 순수한 동기로 부부가 되었다. 이들 사이는 결코 정략결혼이 아니었다. 부부간의 애정도 좋은 편이었다. 한번은 사울이 단창을 던져 다윗을 죽이려 하자 그 자리를 피해 집으로 도망하여 피신하였다. 이때에 미갈은 자기 침실에 우상을 뉘여 다윗을 대신했고 그 위기를 모면하게 하는 정겨운 모습도 볼 수 있다. 그러나 법궤앞에서 춤을 춘 다윗을 비웃음으로 인하여 자녀를 못 가진 결함도 있었다. 교훈과 적용 ①잘못된 부모는 순수한 자녀의 애정까지도 정치의 도구로 삼았다.욕심을 버리자. ②미갈은 신앙심과 덕이 모자라 법궤앞에서 다윗을 업신여기는 교만으로 징계되었다.더 겸손하자.<이병돈목사·은평교회>
2 라이스(Laish)
인물
jesus
1495 1 2006-12-26
▶ 라이스(Laish) 뜻:사자 다윗의 아내인 미갈의 두번째 남편이던 발디의 아버지(삼상25:44).
1 나발(Nabal)
인물
jesus
2771   2006-12-26
▶ 나발(Nabal) 뜻:어리석다 1) 유다의 가멜에 살던 인색한 목자 (삼상25:). 2) 그 이름처럼 어리석고 교만하여 다윗의 화를 입게 되었으나 아내 아비가일의 지혜로 구출됨 (삼상25:). 3) 나발이 죽은 후 그 아내 아비가일은 다윗의 아내가 됨 (삼상25:). ▶ 나발 Nabal. [Na'bal] A wealthy man in Maon, husband of Abigail. His shepherds and his flocks had been protected in the wilderness by David and his followers. David, therefore, during the sheep-shearing festivities, sent to greet Nabal and to ask for a share of his abundance — anything he liked to send him. Nabal, however, railed on David's men and refused to give them anything. He had no faith to discern in David the anointed of Jehovah. Abigail hastened to appease David's wrath. David accepted her person and her present, and left Nabal in God's hands. The next morning, when Abigail told him the danger he had escaped, his heart died within him. After about ten days God smote him and he died. Thus did God avenge the insult given to His servant when in rejection, and saved him from avenging himself. 1 Sam. 25:3-39. (삼상25:3-39. 다윗과 나발 그리고 아비가일 --- Morrish Bible Dictionary ▶ ◎다윗 도움구하자 단숨에 거절 “화불러”/물질 의미는 “소유가 아니라 선용” 교훈 사무엘상25장1∼42절 나발은 「어리석다」는 뜻이다. 나발은 갈멜족속이요 마온에 살고 있는 부자였다.농장과 목축업을 겸한 사업가이기도 하였다.양이 3천이요 염소가 1천마리가 된 것을 보면 그의 재산을 짐작할 수 있다. 나발은 돈을 모으는 데는 수완이 있었으나 물질관리에 완고했고 인색한 사람이었으며 사람에게 무정하고 그 행사가 악한 사람이었다. 다윗이 광야에 피신하고 있을 때 갈멜에서 나발이 양털을 깎는다는 소식을 듣고 열명의 소년을 보내며 식생활의 도움을 구하였다. 이때의 다윗의 태도를 보면 나발과 나발의 집에 평강을 빌었고 모든 산업의 평강을 빌었다.다윗은 자신에게 많은 추종자들이 있었으나 나발의 재산에 손을 대지 아니한 일을 말하고 자신을 나발에 대해 「네 아들」이라 낮추어 소개하며 겸손하게 도움을 구했다. 그러나 나발은 요사이 억지로 주인을 떠나는 종이 많다는 비유를 들며 단숨에 거절하고 만다.이것이 그가 가지고 있는 사람을 대하는 태도요 평소 그의 처세방법이었다. 다윗은 자기 이름으로 겸손하게 도움을 요청했는데도 한마디로 거절당하자 나발을 용서할 수 없었다.다윗이 6백명의 일행중에 2백명은 소유물 곁에 남겨두고 4백명을 무장시켜 나발을 치러나섰다. 이때에 나발의 지혜로운 아내 아비가일이 많은 식물을 준비하여 나귀에서 내려 엎드려 용서를 빌므로 위기를 면했으나 나발은 열흘뒤에 죽었다. ▷교훈과 적용◁ 첫째,마음이 닫히고 악하고 완고한 사람은 하나님도 접근할 수 없다.하나님과 사람을 향해 겸손하자. 둘째,물질은 소유하는데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선용에 있다.기회있는대로 봉사하자.<이병돈목사·은평교회>

.
성경연대표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14.세계선교 관련그림.지도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Ani
1창세기[Genesis] 2출애굽기[Exodus] 3레위기[Leviticus] 4민수기[Numbers] 5신명기[Deuteronomy] 6여호수아[Joshua] 7사사기[Judges] 8룻기[Ruth] 9사무엘상[I Samuel] 10사무엘하[II Samuel] 11열왕기상[I Kings] 12열왕기하[II Kings] 13역대상[I Chronicles] 14역대하[II Chronicles] 15에스라[Ezra] 16느헤미아[Nehemiah] 17에스더[Esther] 18욥기[Job] 19시편[Psalms] 20잠언[Proverbs] 21전도서[Ecclesiastes] 22아가[Song of Solomon] 23이사야[Isaiah] 24예레미야[Jeremiah] 5예레미아애가[Lamentations] 26에스겔[Ezekiel] 27다니엘[Daniel] 28호세아[Hosea] 29요엘[Joel] 30아모스[Amos] 31오바댜[Obadiah] 32요나[Jonah] 33미가[Micah] 34나훔[Nahum] 35하박국[Habakkuk] 36스바냐[Zephaniah] 37학개[Haggai] 38스가랴[Zechariah] 39말라기[Malachi] 40마태복음[Matthew] 41마가복음[Mark] 42누가복음[Luke] 43요한복음[John] 44사도행전[Acts] 45로마서[Romans] 46고린도전서[I Corinthians] 47고린도후서[II Corinthians] 48갈라디아서[Galatians] 49에베소서[Ephesians] 50빌립보서[Philippians] 51골로새서[Colossians] 52데살로니가전서[I Thessalonian] 53데살로니가후서[2 Thessalonian] 54디모데전서[I Timothy] 55디모데후서[II Timothy] 56디도서[Titus] 57빌레몬서[Philemon] 58히브리서[Hebrews] 59야고보서[James] 60베드로전서[I Peter] 61베드로후서[II Peter] 62요한일서[I John] 63요한이서[II John] 64요한삼서[III John] 65유다서[Jude] 66요한계시록[Rev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