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의 한글성경
  2. 오늘의 WEB성경
  3. 성경백과사전
  4. 관련서적들

-----Readed_count

-----Update

오늘 :
9,285 / 35,106
어제 :
20,516 / 315,204
전체 :
21,129,194 / 286,451,282
Mobile Bible, Bible Dictionary, Mobile iWorship, 구글Map 성경66권 사전 : -()-()--()-(,)-(,)-(,)-()--중간-(...)-

성경관련 백과사전 & Morrish Bible Dictionary

+ Blue Letter Bible/KJV + 개역한글 성경구절

성경 백과사전 테마별 (구약OT, 신약NT), 성경만화, 요리문답,
영어성경보기, 개역한글성경보기, NEWS, 어!성경
Morrish성경사전 (최신등록), WB.Study, 성경권별 지명연구(지도포함), 인물탐방 각종테마별 - 무게.길이.화폐, 12보석, 유대월력, 동물, (Birds), 식물, 나무, , Miracles(구약, 신약), 613율법Mitzvot, 이방신, 하나님, Tip: 영문장.절위로 커서를 옮기면 해당 KJV 성경 영문구절이 펼처집니다. (Gen. 1:1; Rev. 22:21;)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추천 등록일
Notice 공지 성경 속 전쟁 연대기 (The War Chronicles in the B... 파일
cyber
38138 2 2019-03-05
Notice 공지 TIDWELL BIBLE 21 연대표
jesus
71658 1 2016-12-14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NT 신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7697 1 2016-02-21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OT 구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7897 1 2016-02-21
Notice 공지 성경백과사전 권별.장별[Chapter] 관련내용보기 파일
jesus
85889 1 2015-05-04
23 나사렛 사람(Nazarene)
인물
jesus
901   2019-05-18
▶ 나사렛 사람 Nazarene. [Naz'arene] A native of Nazareth. Joseph and Mary, when they returned from Egypt, went to reside at Nazareth, "that it might be fulfilled which was spoken by the prophets, He shall be called a Nazarene." These words are not found in the O.T., but the thought conveyed by them is in the prophets generally, that the Messiah would be despised and reproached: cf. Ps. 69; Isa. 53; etc. His disciples suffered the same reproach: Paul had to hear himself called "a ringleader of the sect of the Nazarenes." Matt. 2:23; Acts 24:5. Christians in some parts of Palestine are still called Nazarenes. (시069: 다윗의 시. 주의 인자와 진리로 내게 응답하소서 (사53: 멸시받고 고난받는 하나님의 독생자 (마02:23 나사렛이란 동네에 와서 사니 이는 선지자로 하신 말씀에 나사렛 사람이라 칭하리라 하심을 이루려 함이러라 (행24:5 우리가 보니 이 사람은 염병이라 천하에 퍼진 유대인을 다 소요케 하는 자요 나사렛 이단의 괴수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22 호세아(Hosea)
구약
jesus
1467   2018-08-06
▶ 호세아 Hosea. [Hose'a] Nothing is related of the ancestors of the prophet Hosea. (whose name is identical with Hoshea) except that he was the son of Beeri. He prophesied in the reigns of Uzziah, Jotham, Ahaz, and Hezekiah, kings of Judah, and of Jeroboam king of Israel. He is especially occupied with the moral condition of the people, principally of Israel, and the judgements that would follow. Israel is treated as in rebellion from the commencement. The prophecy divides itself thus: Hosea 1- Hosea 3 give God's purposes respecting Israel; and in Hosea 4 — Hosea 14 the people are addressed: there are minor sub-divisions. Hosea was to act a parable, by taking a 'wife of whoredoms,' which may mean that the woman that he was to take would be unfaithful to him; but grace abounds over sin. Hosea's wife was symbolical of Israel who had been unfaithful to Jehovah. He took Gomer the daughter of Diblaim, who bore him a son, who, by the Lord's direction, was called Jezreel. (a place that had witnessed the judgements of God. 2 Kings 9:30-37). The prophet's wife then bare a daughter, and her name was called Lo-ruhamah, 'not having obtained mercy:' no more mercy was to be shown to Israel. Again Gomer bare a son, and called his name Lo-ammi, 'not my people:' God would not acknowledge them as His. But a future blessing is at once announced to them, and those who had no claim to be God's people should be called 'sons of the living God.' Paul applies this to the Gentiles in Rom. 9:26, as he does in Rom. 9:25 to the Jews (where Hosea, is called OSEE). (왕하09:30-37 이세벨의 죽음 (롬09:25-26 25 호세아 글에도 이르기를 내가 내 백성 아닌 자를 내 백성이라, 사랑치 아니한 자를 사랑한 자라 부르리라 26 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라 한 그 곳에서 저희가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 부름을 얻으리라 함과 같으니라 (호01: 호세아 가정을 통한 하나님의 계시 Hosea 2. This introduces a remnant, the 'brethren' and 'sisters' of the prophet, those acted upon by the Spirit, to whom God's message was Ammi, 'my people;' and Ruhamah, 'received in mercy.' They will plead with their mother — Israel in the mass — and tell her that she was not the wife of Jehovah. She must be dealt with in judgement, but the valley of Achor (where God's anger was turned away, Joshua 7:26) should be a door of hope. She will be able to call Jehovah Ishi, 'husband,' and not Baali, 'master.' Those that had not obtained mercy will obtain mercy; and those that had been declared 'not God's people' would be able to say, 'Thou art my God.' Cf. 1 Peter 2:10. (수07:26 그 위에 돌 무더기를 크게 쌓았더니 오늘날까지 있더라 여호와께서 그 극렬한 분노를 그치시니 그러므로 그곳 이름을 오늘날까지 아골 골짜기라 부르더라 (벧전02:10 너희가 전에는 백성이 아니더니 이제는 하나님의 백성이요 전에는 긍휼을 얻지 못하였더니 이제는 긍휼을 얻은 자니라 (호02: 이스라엘의 죄에 대한 징계 목적 Hosea 3. This deals with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Other details are given of their unfaithfulness and rejection. They should be many days without a king, or a sacrifice, or even an idol (as is the state of Israel in the present day); but they will afterwards return, and seek Jehovah and their king, that is Christ. (호03: 이스라엘을 속량하신 하나님 Hosea 4. This commences the appeal to their consciences. The sins of the people are pointed out. Their prophets had failed, and the people were destroyed for lack of knowledge. The priests also had failed and it became 'like people, like priest.' In Hosea 4:15 Judah is warned not to follow the evil example of Israel. In Hosea 4:17, as elsewhere, Israel is called Ephraim, that being the chief of the ten tribes. (호04:15 이스라엘아 너는 행음하여도 유다는 죄를 범치 말아야 할 것이라 너희는 길갈로 가지 말며 벧아웬으로 올라가지 말며 여호와의 사심을 가리켜 맹세하지 말지어다 (호04:17 에브라임이 우상과 연합하였으니 버려두라 (호04: 이스라엘의 죄악과 멸망 Hosea 5. The priests, the people, and the king are addressed. They had all sinned, and had been rebuked, but had not returned to Jehovah. Ephraim, instead of turning to Jehovah in his sickness, had sought the Assyrian — a king who could not cure them. (호05: 이스라엘의 죄악과 하나님의 심판 Hosea 6, Hosea 7. The prophet touchingly appeals to the people to return to Jehovah: it must be in reality, and not merely in outward forms. They had, like Adam (Hosea 6:7, instead of 'men'), transgressed the covenant: cf. Rom. 5:14. The people encouraged the king and princes in their wickedness: their weakness was manifest, for strangers had devoured them. They would not turn to the Most High. (호06:7 저희는 아담처럼 언약을 어기고 거기서 내게 패역을 행하였느니라 (롬05:14 그러나 아담으로부터 모세까지 아담의 범죄와 같은 죄를 짓지 아니한 자들 위에도 사망이 왕 노릇 하였나니 아담은 오실 자의 표상이라 (호06: 이스라엘에 대한 책망과 회개 촉구 (호07: 이스라엘의 여러 가지 죄악과 징벌 Hosea 8. They are still threatened for their impiety. Israel had 'made many altars to sin,' and had leaned upon Assyria, an arm of flesh. Judah had trusted to her fenced cities: judgement should fall upon both. (호08: 이스라엘의 배도와 징벌 Hosea 9. This reveals a touching mixture of the prophet's affection for the people, and the judgements he is compelled to utter against them. Various illustrations are used to enforce his words. (호09: 이스라엘에 대한 심판 경고 Hosea 10. Israel was an empty vine. They are reproached for their altars and the golden calves: they had sinned from the days of Gibeah. Cf. Judges 19:15-25. (삿19:15-25 기브아 사람의 영접과 죄앙 (호10: 이스라엘의 죄악과 보응 Hosea 11. Israel had been called out of Egypt, but the fulfilment of this call was verified in the history of the Lord. Matt. 2:15. For their sin they should be as Admah and Zeboim: cf. Deut. 29:23. Assyria should be the place of their captivity. Jehovah yearned over them and would not destroy them, for He is God, not man. (마02:15 헤롯이 죽기까지 거기 있었으니 이는 주께서 선지자로 말씀하신 바 애굽에서 내 아들을 불렀다 함을 이루려 하심이니라 (신29:23 그 온 땅이 유황이 되며 소금이 되며 또 불에 타서 심지도 못하며 결실함도 없으며 거기 아무 풀도 나지 아니함이 옛적에 여호와께서 진노와 분한으로 훼멸하신 소돔과 고모라와 아드마와 스보임의 무너짐과 같음을 보고 말할 것이요 (호11: 변치 않는 하나님의 사랑 Hosea 12. The prophet enters into the detail of God's moral relationship with Israel, in order that the force of their being rejected by Him may convict them of their sin. They were to study how God had dealt with Jacob. The prophet in this chapter, as also in Hosea 10:9, refers to the beginning of evil in the history of the people. Jacob's character was reproduced in his descendants. (호10:9 이스라엘아 네가 기브아의 시대로부터 범죄하였거늘 무리가 기브아에 서서 흉악한 족속을 치는 전쟁을 거기서 면하였도다 (호12: 이스라엘에 대한 회개 촉구 Hosea 13. Here again is found the conflict between the prophet's affection for the people, and the punishment God was compelled to inflict. And here again, almost as soon as the punishment is pronounced, God's thoughts of grace are uttered. (호13: 이스라엘의 죄악에 대한 징계와 구원 Hosea 14. This speaks of restoration. Iniquity is acknowledged and forgiveness asked. Assyria shall no more be appealed to, nor the work of their hands be called their God. Abundant blessing is then foretold. Ephraim will say, "What have I to do any more with idols?" God's answer, "I have heard him and observed him." Again Ephraim says, "I am like a green fir tree;" and the answer is, "From me is thy fruit found." The prophecy ends with the declaration that the wise and the prudent will grasp the things revealed; "for the ways of the Lord are right, and the just shall walk in them; but the transgressors shall fall therein." Thus the dealings of God with Israel and Judah are dealt with in Hosea more fully perhaps than in any other of the minor prophets. The learned look upon Hosea as the most difficult of the prophets to translate, its abrupt transitions being numerous and hard to understand, because of its dealing strictly with Jewish circumstances. (호14: 이스라엘의 회복 약속 --- Morrish Bible Dictionary
21 라마(Rama)
지명
jesus
1190   2017-06-03
▶ 라마 Rama. [Ra'ma] The place where Rachel was said to be 'weeping for her children.' The prophecy is in the N.T. applied to the occasion of the massacre of the infants by Herod. Matt. 2:18. The same as RAMAH No. 1. (마02:18 라마에서 슬퍼하며 크게 통곡하는 소리가 들리니 라헬이 그 자식을 위하여 애곡하는 것이라 그가 자식이 없으므로 위로 받기를 거절하였도다 함이 이루어졌느니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20 몰약(Myrrh)
기타
jesus
838   2017-05-18
▶ 몰약 Myrrh. 1. lot. This is judged to be a fragrant resinous gum gathered from the leaves of the cistus, or rock rose. Gen. 37:25; Gen. 43:11. (창37:25 그들이 앉아 음식을 먹다가 눈을 들어 본즉 한 떼 이스마엘 족속 이 길르앗에서 오는데 그 약대들에 향품과 유향과 몰약을 싣고 애굽으로 내려가는지라 (창43:11 그들의 아비 이스라엘이 그들에게 이르되 그러할진대 이렇게 하라 너희는 이 땅의 아름다운 소산을 그릇에 담아가지고 내려가서 그 사람에게 예물을 삼을지니 곧 유향 조금과 꿀 조금과 향품과 몰약과 비자와 파단행이니라 2. mor, Arabic murr. The true myrrh, so called because it distils its gum as tears, which harden into a bitter aromatic gum. It was an ingredient in the holy anointing oil, and was much prized as a perfume. Ex. 30:23; Esther 2:12; Ps. 45:8; Prov. 7:17; Cant. 1:13; Cant. 3:6; Cant. 4:6, 14; Cant. 5:1, 5, 13. It is identified with the balsamodendron myrrha and other allied species. In the N.T. the same is alluded to under the name of σμύρνα. The Magi presented myrrh with frankincense to the Lord at His birth, and it was used at His burial. Mingled with wine it was offered to Him as a stupifying drink before He was crucified, but He refused it. Matt. 2:11; Mark 15:23; John 19:39. (출30:23; 너는 상등 향품을 취하되 액체 몰약 오백 세겔과 그 반수의 향기로운 육계 이백 오십 세겔과 향기로운 창포 이백 오십 세겔과 (에02:12; 처녀마다 차례대로 아하수에로 왕에게 나아가기 전에 여자에 대하여 정한 규례대로 열 두달 동안을 행하되 여섯달은 몰약 기름을 쓰고 여섯 달은 향품과 여자에게 쓰는 다른 물품을 써서 몸을 정결케 하는 기한을 마치며 (시045:8; 왕의 모든 옷은 몰약과 침향과 육계의 향기가 있으며 상아궁에서 나오는 현악은 왕을 즐겁게 하도다 (잠07:17; 몰약과 침향과 계피를 뿌렸노라 (아01:13; 13 나의 사랑하는 자는 내 품 가운데 몰약 향낭이요 (아03:6; 연기 기둥과도 같고 몰약과 유향과 장사의 여러가지 향품으로 향기롭게도 하고 거친 들에서 오는 자가 누구인고 (아04:6, 14; 6 날이 기울고 그림자가 갈 때에 내가 몰약 산과 유향의 작은 산으로 가리라, 14 나도와 번홍화와 창포와 계수와 각종 유향목과 몰약과 침향과 모든 귀한 향품이요 (아05:1, 5, 13. 나의 누이, 나의 신부야 내가 내 동산에 들어와서 나의 몰약과 향 재료를 거두고 나의 꿀송이와 꿀을 먹고 내 포도주와 내 젖을 마셨으니 나의 친구들아 먹으라 나의 사랑하는 사람들아 마시고 많이 마시라, 5 일어나서 나의 사랑하는 자 위하여 문을 열 때 몰약이 내 손에서, 몰약의 즙이 내 손가락에서 문빗장에 듣는구나, 13 뺨은 향기로운 꽃밭 같고 향기로운 풀언덕과도 같고 입술은 백합화 같고 몰약의 즙이 뚝뚝 떨어진다 (마02:11; 집에 들어가 아기와 그 모친 마리아의 함께 있는 것을 보고 엎드려 아기께 경배하고 보배합을 열어 황금과 유향과 몰약을 예물로 드리니라 (막15:23; 몰약을 탄 포도주를 주었으나 예수께서 받지 아니하시니라 (요19:39. 일찍 예수께 밤에 나아왔던 니고데모도 몰약과 침향 섞은 것을 백 근쯤 가지고 온지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19 애굽으로 도피(Flight into Egypt)
기타
jesus
542   2017-03-08
▶ 이집트로의 도피 Flight into Egypt Flight into Egypt is recorded by Matthew (2:13-15). After the birth of Jesus and homage paid to him by shepherds and the Magi, an angel came to Joseph, husband of the Virgin Mary, in a dream and ordered him "to take the young child and his mother, and flee to Egypt, and stay there until I tell you; for Herod is going to search for the child to kill him." So Joseph got up took the baby and his mother by night and departed into Egypt, where they stayed till Herod's death. "This was to fulfill what the Lord had declared through the prophet: 'Out of Egypt I have called my son.' " (Matthew 2:13-15) (마02:13-15 저희가 떠난 후에 주의 사자가 요셉에게 현몽하여 가로되 헤롯이 아기를 찾아 죽이려하니 일어나 아기와 그의 모친을 데리고 애굽으로 피하여 내가 네게 이르기까지 거기 있으라 하시니 요셉이 일어나서 밤에 아기와 그의 모친을 데리고 애굽으로 떠나가 헤롯이 죽기까지 거기 있었으니 이는 주께서 선지자로 말씀하신바 애굽에서 내 아들을 불렀다 함을 이루려 하심이니라 ====Paintings Flight into Egypt Nicolas Poussin. Rest on the Flight to Egypt. 1655-1657. Oil on canvas. The Hermitage, St. Petersburg, Russia More...More... Gallery
18 인용(Quotations.)
기타
jesus
1317   2016-11-24
▶ 인용 Quotations. The quotations from the Old Testament in the New are important as proving incontestably that God is the author of the whole. It is not simply that Moses or David said this or that — though the quotations prove that Moses was the writer of the Pentateuch — but they are introduced by such words as "God commanded," Matt. 15:4; "The Holy Ghost saith," Heb. 3:7; "David himself said by the Holy Ghost," Mark 12:36; "Spake the Holy Ghost by Esaias the prophet," Acts 28:25. Then the whole is spoken of as 'the scriptures,' which are all inspired by God. Whatever therefore is inscribed with 'It is written' has the authority of God Himself. (마15:4 하나님이 이르셨으되 네 부모를 공경하라 하시고 또 아비나 어미를 훼방하는 자는 반드시 죽으리라 하셨거늘 (히03:7 그러므로 성령이 이르신 바와 같이 오늘날 너희가 그의 음성을 듣거든 (막12:36 다윗이 성령에 감동하여 친히 말하되 주께서 내 주께 이르시되 내가 네 원수를 네 발 아래 둘 때까지 내 우편에 앉았으라 하셨도다 하였느니라 (행28:25 서로 맞지 아니하여 흩어질 때에 바울이 한 말로 일러 가로되 성령이 선지자 이사야로 너희 조상들에게 말씀하신 것이 옳도다 The quotations from the prophets are introduced in various ways. 1. "In order ( ἵνα) that it might be fulfilled." Matt. 1:22, etc. The event happens that that prophecy should be fulfilled. (마01:22 이 모든 일의 된 것은 주께서 선지자로 하신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니 가라사대 2. "So that ( ὅπως) it might be fulfilled." Matt. 2:23, etc. Such ev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ophecy, and may also apply at other times. (마02:23 나사렛이란 동네에 와서 사니 이는 선지자로 하신 말씀에 나사렛 사람이라 칭하리라 하심을 이루려 함이러라 3. "Then (τότε) was fulfilled." Matt. 2:17, etc. The prophecy applied to that event, without its being the purpose of the prophecy. (마02:17 이에 선지자 예레미야로 말씀하신바 4. "Was fulfilled." Mark 15:28. "This day is fulfilled." Luke 4:21. The prophecy was then and there fulfilled. (막15:28 이에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여자야 네 믿음이 크도다 네 소원대로 되리라 하시니 그 시로부터 그의 딸이 나으니라 (눅04:21 이에 예수께서 저희에게 말씀하시되 이 글이 오늘날 너희 귀에 응하였느니라 하시니 The citations also illustrate how the scriptures, both the Old and the New Testaments, may be applied, as when the Lord quoted from Deuteronomy in repelling the temptations of Satan. See also the different applications of Hab. 2:4. — In Rom. 1:17, it is a question of righteousness: "the just shall live by faith." In Gal. 3:11, it is in contrast to the law: "the just shall live by faith." And in Heb. 10:38, it is in contrast to drawing back: "the just shall live by faith." (합02:04 보라 그의 마음은 교만하며 그의 속에서 정직하지 못하니라 그러나 의인은 그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롬01:17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 (갈03:11 또 하나님 앞에서 아무나 율법으로 말미암아 의롭게 되지 못할 것이 분명하니 이는 의인이 믿음으로 살리라 하였음이니라 (히10:38 오직 나의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또한 뒤로 물러가면 내 마음이 저를 기뻐하지 아니하리라 하셨느니라 The quotations are from Moses, the Psalms, and the Prophets. In those days the books were not divided into chapters and verses as now, which accounts for various expressions. As in Mark 2:26, a quotation is from '[the section] of Abiathar the high priest.' 1 Sam. 21:1-6. In Luke 20:37, 'Moses showed in [the section on] the bush.' Ex. 3. In Rom. 11:2, 'the scripture says in [the history of] Elias.' 1 Kings 17 - 1 Kings 19. This may also account for Matt. 27:9, 10, where the quotation is said to be from Jeremiah — that prophet being anciently the first in the Book of the Prophets, his name may have been used as a sort of heading. (막02:26 그가 아비아달 대제사장 때에 하나님의 전에 들어가서 제사장 외에는 먹지 못하는 진설병을 먹고 함께한 자들에게도 주지 아니하였느냐 (삼상21:1-6 다윗이 놉에 가서 제사장 아히멜렉에게 이르니 아히멜렉이 떨며 다윗을 영접하며 그에게 이르되 어찌하여 네가 홀로 있고 함께하는 자가 아무도 없느냐 다윗이 제사장 아히멜렉에게 이르되 왕이 내게 일을 명하고 이르시기를 내가 너를 보내는 바와 네게 명한바 일의 아무것이라도 사람에게 알게 하지 말라 하시기로 내가 나의 소년들을 여차 여차한 곳으로 약정하였나이다 이제 당신의 수중에 무엇이 있나이까 떡 다섯 덩이나 무엇이든지 있는대로 내 손에 주소서 제사장이 다윗에게 대답하여 가로되 항용 떡은 내 수중에 없으나 거룩한 떡은 있나니 그 소년들이 부녀를 가까이만 아니하였으면 주리라 다윗이 제사장에게 대답하여 가로되 우리가 참으로 삼일 동안이나 부녀를 가까이 하지 아니하였나이다 나의 떠난 길이 보통 여행이라도 소년들의 그릇이 성결하겠거든 하물며 오늘날 그들의 그릇이 성결치 아니하겠나이까 하매 제사장이 그 거룩한 떡을 주었으니 거기는 진설병 곧 여호와 앞에서 물려낸 떡 밖에 없음이라 이 떡은 더운 떡을 드리는 날에 물려낸 것이더라 (눅20:37 죽은 자의 살아난다는 것은 모세도 가시나무떨기에 관한 글에 보였으되 주를 아브라함의 하나님이요 이삭의 하나님이요 야곱의 하나님이시라 칭하였나니 (출03: 하나님이 모세를 부르시다 (롬11:2 하나님이 그 미리 아신 자기 백성을 버리지 아니하셨나니 너희가 성경이 엘리야를 가리켜 말한 것을 알지 못하느냐 저가 이스라엘을 하나님께 송사하되 (왕상17: 18: 19: 엘리아와 아합 (마27:9-10 이에 선지자 예레미야로 하신 말씀이 이루었나니 일렀으되 저희가 그 정가 된 자 곧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정가한 자의 가격 곧 은 삼십을 가지고 토기장이의 밭 값으로 주었으니 이는 주께서 내게 명하신 바와 같으니라 하였더라 Most of the quotations are from the Septuagint (LXX), doubtless because it was then better known than the Hebrew, in the same way that the A.V. is now constantly quoted, even where it is not an exact translation. Some quotations are not literally from the Hebrew or the LXX, the Holy Spirit in alluding to them gives them a fulness and power beyond the revelation of the Old Testament.* * In "The New Testament Handbook" the quotations as they stand in the Hebrew (shown by the A.V.) and in the LXX (by an English translation) are given in full. (G. Morrish, Paternoster Square.) In Horne's "Introduction" the Hebrew and Greek text are also given. --- Morrish Bible Dictionary
17 제물, 예물(Offering, Offering up.)
기타
jesus
865   2016-03-01
▶ 제물, 예물 Offering, Offering up. There were two distinct actions connected with the sacrifices. Any Israelite could bring an offering, or offer a gift, or a sacrifice; but only the priest could offer up the sacrifice on the altar to God. In the N.T. there are two Greek words translated 'to offer.' One is προσφέρω, 'to bring to,' 'present.' This is used in Matt. 2:11, of the wise men who 'presented' their gifts unto the Lord. So too vinegar was 'offered' to the Lord on the cross. Luke 23:36. The word is referred to the Lord in Heb. 9:14, 25, 28; Heb. 10:12. The other word is ἀναφέρω, 'to bring up,' and hence 'to offer up.' In Matt. 17:1, Jesus, 'bringeth up' Peter, etc.; and in Luke 24:51 the Lord was 'carried up' into heaven. This word is employed in Heb. 7:27, both as to the high priest 'offering up' sacrifices and to Jesus who 'offered up' Himself. It occurs also in Mark 9:2; Heb. 9:28; Heb. 13:15; James 2:21; 1 Peter 2:5, 24. (마02:11 집에 들어가 아기와 그 모친 마리아의 함께 있는 것을 보고 엎드려 아기께 경배하고 보배합을 열어 황금과 유향과 몰약을 예물로 드리니라 (눅23:36 군병들도 희롱하면서 나아와 신 포도주를 주며 (히09:14, 25, 28 14하물며 영원하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흠 없는 자기를 하나님께 드린 그리스도의 피가 어찌 너희 양심으로 죽은 행실에서 깨끗하게 하고 살아계신 하나님을 섬기게 못하겠느뇨, 25대제사장이 해마다 다른 것의 피로써 성소에 들어가는 것 같이 자주 자기를 드리려고 아니하실찌니, 28이와 같이 그리스도도 많은 사람의 죄를 담당하시려고 단번에 드리신바 되셨고 구원에 이르게 하기 위하여 죄와 상관 없이 자기를 바라는 자들에게 두번째 나타나시리라 (히10:12 오직 그리스도는 죄를 위하여 한 영원한 제사를 드리시고 하나님 우편에 앉으사 (마17:1 엿새 후에 예수께서 베드로와 야고보와 그 형제 요한을 데리시고 따로 높은 산에 올라가셨더 (눅24:51 축복하실 때에 저희를 떠나 [하늘로 올리우]시니 (히07:27 저가 저 대제사장들이 먼저 자기 죄를 위하고 다음에 백성의 죄를 위하여 날마다 제사 드리는 것과 같이 할 필요가 없으니 이는 저가 단번에 자기를 드려 이루셨음이니라 (막09:2; 엿새 후에 예수께서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을 데리시고 따로 높은 산에 올라가셨더니 저희 앞에서 변형되사 (히09:28; 이와 같이 그리스도도 많은 사람의 죄를 담당하시려고 단번에 드리신바 되셨고 구원에 이르게 하기 위하여 죄와 상관 없이 자기를 바라는 자들에게 두번째 나타나시리라 (히13:15; 이러므로 우리가 예수로 말미암아 항상 찬미의 제사를 하나님께 드리자 이는 그 이름을 증거하는 입술의 열매니 (약02:21; 우리 조상 아브라함이 그 아들 이삭을 제단에 드릴 때에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은 것이 아니냐 (벧전02:5, 24. 5너희도 산 돌 같이 신령한 집으로 세워지고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이 기쁘게 받으실 신령한 제사를 드릴 거룩한 제사장이 될찌니라, 24친히 나무에 달려 그 몸으로 우리 죄를 담당하셨으니 이는 우리로 죄에 대하여 죽고 의에 대하여 살게 하려 하심이라 저가 채찍에 맞음으로 너희는 나음을 얻었나니 In the LXX the word προσφέρω is mostly a translation of qarab, 'to draw near,' which constantly occurs in Leviticus and Numbers in the laws respecting the offering of sacrifices, and is translated 'to offer.' On the other hand ἀναφέρω is chiefly the rendering adopted for alah, 'to ascend, to make to ascend.' The word alah is frequently translated 'to offer,' but only twice in Leviticus (Lev. 14:20; Lev. 17:8); and four times in Numbers (Num. 23:2, 4, 14, 30), when Balaam and Balak offered up sacrifices. Both Greek words are applied to Christ as to the offering of Himself. Heb. 9:14; Heb. 7:27. They are both also used of Abraham offering Isaac; he gave Isaac, and as a priest virtually offered him up. Heb. 11:17; James 2:21. (레14:20; 제사장은 그 번제와 소제를 단에 드려 그를 위하여 속죄할 것이라 그리하면 그가 정결하리라 (레17:8 너는 또 그들에게 이르라 무릇 이스라엘 집 사람이나 혹시 그들 중에 우거하는 타국인이 번제나 희생을 드리되 (민23:2, 4, 14, 30 2발락이 발람의 말대로 준비한 후에 발락과 발람이 매단에 수송아지 하나와 수양 하나를 드리니라, 4하나님이 발람에게 임하시는지라 발람이 고하되 내가 일곱 단을 베풀고 매단에 수송아지 하나와 수양 하나를 드렸나이다, 30발락이 발람의 말대로 행하여 매단에 수송아지 하나와 수양 하나를 드리니라 (히09:14 하물며 영원하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흠 없는 자기를 하나님께 드린 그리스도의 피가 어찌 너희 양심으로 죽은 행실에서 깨끗하게 하고 살아계신 하나님을 섬기게 못하겠느뇨 (히07:27 저가 저 대제사장들이 먼저 자기 죄를 위하고 다음에 백성의 죄를 위하여 날마다 제사 드리는 것과 같이 할 필요가 없으니 이는 저가 단번에 자기를 드려 이루셨음이니라 (히11:17 아브라함은 시험을 받을 때에 믿음으로 이삭을 드렸으니 저는 약속을 받은 자로되 그 독생자를 드렸느니 (약02:21 우리 조상 아브라함이 그 아들 이삭을 제단에 드릴 때에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은 것이 아니냐 --- Morrish Bible Dictionary
16 동방박사의 경배(Adoration of the Magi) [1]
기타
jesus
1356   2016-02-13
▶ 동방박사의 경배 Adoration of the Magi Adoration of the Magi (also Adoration of the Kings) - The Gospel of St. Matthew (2:1-12) tells how certain Magi (the Wisemen) from the Orient arrived in Jerusalem, asking, 'Where is the newborn king of the Jews? We observed the rising of his star, and we have come to pay him homage.' (Mat. 2:2-3). King Herod and his court were greatly perturbed on hearing this; he asked the magi to report to him after they found the Child, so he too could go and worship him. Guided by the star, the magi discovered the Infant in a house at Bethlehem, worshiped him and presented him with their gifts. A dream warned the magi not to return to Herod’s court and they set off instead for their own country by another route. (마02:1-12) Apocryphal gospels have enriched and embelished Matthew's story. In the 2nd-3rd centuries A.D. the wisemen were also refered to as kings. In, approximately, the 9th they were given names: Caspar, or Jaspar, usually the oldest, Balthazar, and Melchior, usually the youngest. Though Matthew did not reveal the number of the magi, they are traditionally thought of as being three because of the number of symbolic gifts they presented to Christ: gold, frankincense, and myrrh. Later the three magi (or kings) came to personify the three parts of the known world: Asia, Africa, and Europe. ========Paintings More... Adoration of the Magi Adoration of the Magi, by Peter Paul Rubens (1577-1640)
15 사탄(Satan)
기타
jesus
1253   2015-05-04
▶ 사탄.마귀 Satan. [Sa'tan] Heathengod A name by which THE DEVIL, the great enemy of God and man, is designated. The name may be said to be the same in Hebrew, Greek, and English, and signifies 'adversary,' as the word is rendered in several places where other adversaries are alluded to: cf. Num. 22:22; 1 Kings 11:14, 23, 25. It was Satan who at the outset deceived Eve, for it is clear that the dragon, the old serpent, the devil, and Satan all represent the same evil spirit. Rev. 20:2. Satan was the great adversary of God's people in O.T. times, 1 Chr. 21:1; the tempter of the Lord Jesus, who treated him as Satan; and is the tempter and adversary of the saints and of all mankind now. He endeavours to neutralise the effect of the gospel; catches away the good seed sown in the heart (Matt. 13), and blinds the minds of the unbelieving lest the light of the gospel of Christ's glory should shine to them. His efforts are frustrated by God or none would be saved. (민22: (왕상11: (계20: (대상21: (마13: Further, to counteract God's work, Satan has raised up heretics to mingle with the saints and to corrupt them by evil doctrine, as taught in the metaphor of the tares sown among the wheat. He goes about as a roaring lion seeking whom he may devour, but saints are told to resist him, and he will flee from them. The power of death, which Satan had, has been annulled by Christ in His death. Saints are warned against his devices, for he is transformed into an angel of light, a teacher of morality. God has provided complete armour for His saints in order that they may withstand him and all his wiles, and has given them the sword of the Spirit (the word of God), as a weapon of attack. Eph. 6:11-18. (엡06: The origin of Satan is not definitely stated, but if Ezekiel 28:12-19 refer to him, under the appellation of the king of Tyre (as was very early believed in the church, and may be correct), he is described as the anointed cherub that 'covereth;' all the precious stones and gold were also his covering, resplendent by reflected light; he had a place in Eden, the garden of God, and was upon the holy mountain of God. He was perfect in his ways from the day he was created, until iniquity was found in him. Tyre, in its worldly wisdom and beauty, is looked at morally as the creation of the prince and god of this world. He will eventually be cast out as profane and find his portion in the lake of fire. (겔28: In the Epistle of Jude, the act of Michael the archangel in reference to Satan is given as an example of restraint in speaking of dignities: he dared not bring a railing accusation against the devil, but said, "The Lord rebuke thee." This implies that Satan had been set in dignity, which, though he had fallen, was still to be respected — as Saul's life was sacred in David's eyes because he was the anointed of God, though he had then fallen. That Satan had been set in dignity is confirmed by the fact of Christ having on the cross spoiled 'principalities and authorities' (ἐξουσία), not simply 'powers.' Col. 2:15. (골02: The expressions "the prince of this world," "the god of this world," and "the prince of the power of the air," all presumably refer to Satan. When the Lord was tempted in the wilderness, Satan, after showing Him "all the kingdoms of the world," proposed to give to Him all the power and glory of them, if He would worship him, adding "for that is delivered unto me: and to whomsoever I will I give it." Luke 4:5, 6. (눅04: From the Book of Job we learn that Satan has access to God in the heavens; the Christian wrestles with the spiritual powers of wickedness in the heavenlies; and a day is coming when Michael and his angels will fight against Satan and his angels, and the latter will be cast out of heaven. This seems to indicate that Satan has a place in heaven originally given to him by God. During the millennium he will be shut up in the abyss, then loosed for a little season, and finally be cast into the lake of fire, a place prepared for him and his angels. When Jesus was born, Satan attempted to destroy Him. Matt. 2:16; Rev. 12:1-5. At the close of the Lord's course Satan was the great mover in His being put to death. To accomplish this Satan entered into Judas the traitor, whereas, as far as is revealed, in other cases, possession was by a demon, and not by Satan himself. When the Lord was arrested He said to the Jews, "This is your hour and the power of darkness." But Christ was morally the victor: in His death He annulled him that had the power of death, that is, the devil: He led captivity captive. Still Satan works, and will, when cast down to earth, be the spirit of a trinity of evil. He gives his throne and authority to the beast, that is, to the resuscitated Roman Empire, whose power is wielded by the Antichrist. Rev. 13. He will also be the leader of the nations in the last battle against the camp of the saints. Rev. 20:7-9. (마02: (계12: (계13: (계20: It is remarkable that, notwithstanding the malignity of Satan, God uses him in the discipline of His saints, as in the case of Job, but allows the evil one to go only as far as He pleases. Paul used his apostolic power to commit some to Satan for the destruction of the flesh. 1 Cor. 5:5; 1 Tim. 1:20. The thorn in the flesh which Paul himself had was a messenger of Satan to buffet him, lest he should be puffed up because of the marvellous revelations made to him in the third heaven. It is well to remember that Satan is morally a vanquished foe, for he is exposed; and that no Christian can be touched by him except as permitted and controlled by his God and Father in discipline for his good. (고전05: (딤전01: The epithet 'Devil' is from 'to strike through,' and hence figuratively to stab with accusation: so Satan is called "the accuser of the brethren." Rev. 12:10: cf. Zech. 3:1, 2. Satan and the devil being identical, there is but one devil. In the A.V. of the N.T., where 'devils' are spoken of, the word in the original is always 'demons.' (계12: (슥03: --- Morrish Bible Dictionary
14 경배(Adoration)
기타
jesus
1148   2015-05-02
▶ 경배 Adoration. This word does not occur in the Authorised Version, but there are several attitudes described that form part of the outward acts of adoration which may be well considered under this title, leaving inward adoration to the article on WORSHIP. The homage given may be to God, to the Lord Jesus, to an idol, or by one man to another. 1. Bowing, bowing down. "O come, let us worship and bow down." Ps. 95:6. It was forbidden to be paid to images, Ex. 20:5, but was often done. Num. 25:2. Joseph's brethren bowed down before him. Gen. 42:6. (시095:6 오라 우리가 굽혀 경배하며 우리를 지으신 여호와 앞에 무릎을 꿇자 (출20:5 그것들에게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 나 여호와 너의 하나님은 질투하는 하나님인즉 나를 미워하는 자의 죄를 갚되 아비로부터 아들에게로 삼 사대까지 이르게 하거니와 (민25:2 그 여자들이 그 신들에게 제사할 때에 백성을 청하매 백성이 먹고 그들의 신들에게 절하므로 (창42:6 때에 요셉이 나라의 총리로서 그 땅 모든 백성에게 팔더니 요셉의 형들이 와서 그 앞에서 땅에 엎드려 절하매 2. Kneeling, bowing the knee. To God. Isa. 45:23; Eph. 3:14. To the Lord Jesus every knee shall bow, even those under the earth. Phil. 2:10: it was done in mockery, Mark. 15:19; and in sincerity, Matt. 17:14. To Joseph, Gen. 41:43. (사45:23 내가 나를 두고 맹세하기를 나의 입에서 의로운 말이 나갔은즉 돌아오지 아니 하나니 내게 모든 무릎이 꿇겠고 모든 혀가 맹약하리라 하였노라 (엡03:14-15 14 이러하므로 내가 하늘과 땅에 있는 각 족속에게 15 이름을 주신 아버지 앞에 무릎을 꿇고 비노니 (빌02:10 하늘에 있는 자들과 땅에 있는 자들과 땅 아래 있는 자들로 모든 무릎을 예수의 이름에 꿇게 하시고 (막15:19 갈대로 그의 머리를 치며 침을 뱉으며 꿇어 절하더라 (마17:14 저희가 무리에게 이르매 한 사람이 예수께 와서 꿇어 엎드리어 가로되 (창41:43 자기에게 있는 버금 수레에 그를 태우매 무리가 그 앞에서 소리 지르기를 엎드리라 하더라 바로가 그로 애굽 전국을 총리하게 하였더라 3. Falling down before. Demanded by Nebuchadnezzar in honour of his image, Dan. 3:5; requested by Satan, at the temptation of our Lord, Matt. 4:9; paid to the Lord when an infant by the wise men, and often in the Gospels, Matt. 2:11; Mark 5:33; Luke 5:8; John 11:32; and in heaven by the elders to God and the Lord Jesus, Rev. 4:10; Rev. 5:8, 14; Rev. 19:4. (단03:5 너희는 나팔과 피리와 수금과 삼현금과 양금과 생황과 및 모든 악기 소리를 들을 때에 엎드리어 느부갓네살 왕의 세운 금 신상에게 절하라 (마04:9 가로되 만일 내게 엎드려 경배하면 이 모든 것을 네게 주리라 (마02:11 집에 들어가 아기와 그 모친 마리아의 함께 있는 것을 보고 엎드려 아기께 경배하고 보배합을 열어 황금과 유향과 몰약을 예물로 드리니라 (막05:33 여자가 제게 이루어진 일을 알고 두려워하여 떨며 와서 그 앞에 엎드려 모든 사실을 여짜온대 (눅05:8 시몬 베드로가 이를 보고 예수의 무릎 아래 엎드려 가로되 주여 나를 떠나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 하니 (요11:32 마리아가 예수 계신 곳에 와서 보이고 그 발 앞에 엎드리어 가로되 주께서 여기 계셨더면 내 오라비가 죽지 아니하였겠나이다 하더라 (계04:10 이십 사 장로들이 보좌에 앉으신 이 앞에 엎드려 세세토록 사시는 이에게 경배하고 자기의 면류관을 보좌 앞에 던지며 가로되 (계05:8, 14; 8 책을 취하시매 네 생물과 이십 사 장로들이 어린 양 앞에 엎드려 각각 거문고와 향이 가득한 금 대접을 가졌으니 이 향은 성도의 기도들이라 14 네 생물이 가로되 아멘 하고 장로들은 엎드려 경배하더라 (계19:4 또 이십 사 장로와 네 생물이 엎드려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께 경배하여 가로되 아멘 할렐루야 하니 4. Kissing. In idolatry, 1 Kings 19:18; Hosea 13:2. To the sun and moon by kissing the hand, Job 31:26, 27. (Tacitus, Hist. iii. 24, says that in Syria they salute the rising sun; and that this was done by kissing the hand.) All the above actions are portrayed on ancient monuments. The word 'worship' in the Authorised Version of the N.T. often signifies 'homage,' such as one man gives to another in authority, or to one he wishes to honour, rather than 'worship' in the sense which that word now conveys. (왕상19:18 그러나 내가 이스라엘 가운데 칠천인을 남기리니 다 무릎을 바알에게 꿇지 아니하고 다 그 입을 바알에게 맞추지 아니한 자니라 (호13:2 이제도 저희가 더욱 범죄하여 그 은으로 자기를 위하여 우상을 부어 만들되 자기의 공교함을 따라 우상을 만들었으며 그것은 다장색이 만든 것이어늘 저희가 그것에 대하여 말하기를 제사를 드리는 자는 송아지의 입을 맞출 것이라 하도다 (욥31:26, 27 26 언제 태양의 빛남과 달의 명랑하게 운행되는 것을 보고 27 내 마음이 가만히 유혹되어 손에 입맞추었던가 --- Morrish Bible Dictionary
13 라마(Ramah)1
지명
jesus
2419   2011-07-31
▶ 라마(Ramah)1 예루살렘 북쪽 8km 기브아 북쪽 게바서쪽에 위치한 지점. 엘람과 동일시되는 지역 (1) 베냐민 북쪽 성읍(수18:25) (2)라헬이 자식을 위하여 애통한 곳(렘13:15, (마02:18). (3) 예레미야가 바벨론으로 잡혀 가다가 묵시를 받은곳(렘40:1). (수18:25, (수19:8, (삿04:5, (삿19:13, (왕상15:17,21,22, (대하16:1,5,6, (스02:26, (느07:30, (느11:33, (사10:29, (렘31:15, (렘40:1, (호05:8, (마02:18 ▶ 라마 Ramah. [Ra'mah] City of Benjamin. It was on the frontier between Judah and Israel. Baasha, king of Israel, sought to build or fortify the place against Asa, king of Judah, but this was averted by Israel being attacked by the king of Syria at the request of Asa, who sent him a rich present of gold and silver. Joshua 18:25; Judges 4:5; Judges 19:13; 1 Kings 15:17-22; 2 Chr. 16:1-6; Ezra 2:26; Neh. 7:30; Neh. 11:33; Isa. 10:29; Jer. 31:15; Jer. 40:1; Hosea 5:8. Called RAMA in Matt. 2:18. Identified with er Ram. (수18:25; 25 기브온과 라마와 브에롯과 (삿04:05; 그는 에브라임 산지 라마와 벧엘 사이 드보라의 종려나무 아래 거하였고 이스라엘 자손은 그에게 나아가 재판을 받더라 (삿19:13 또 그 종에게 이르되 우리가 기브아나 라마 중 한 곳에 나아가 거기서 유숙하자 하고 (왕상15:17-22; 아사의 유다 통치 (대하16:01-06; 아사의 어리석은 조약 (스02:26 라마와 게바 자손이 육백 이십 일명이요 (느07:30 라마와 게바 사람이 육백 이십 일명이요 (느11:33 하솔과 라마와 깃다임과 (사10:29 영을 넘어 게바에서 유숙하매 라마는 떨고 사울의 기브아 사람은 도망하도다 (렘31:15 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라마에서 슬퍼하며 통곡하는 소리가 들리니 라헬이 그 자식을 위하여 애곡하는 것이라 그가 자식이 없으므로 위로 받기를 거절하는도다 (렘40:1 시위대장 느부사라단이 예루살렘과 유다 포로를 바벨론으로 옮기는 중에 예레미야도 잡혀 사슬로 결박되어 가다가 라마에서 해방된 후에 말씀이 여호와께로서 예레미야에게 임하니라 (호05:8 너희가 기브아에서 나팔을 불며 라마에서 호각을 불며 벧아웬에서 깨우쳐 소리하기를 베냐민아 네 뒤를 쫓는다 할지어다 (마02:18. RAMA 라마에서 슬퍼하며 크게 통곡하는 소리가 들리니 라헬이 그 자식을 위하여 애곡하는 것이라 그가 자식이 없으므로 위로 받기를 거절하였도다 함이 이루어졌느니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1.896378&ln=35.20173
12 유대(Judea/Judah)
지명
jesus
4110 13 2007-01-02
▶ 유대(Judea) 뜻: 찬송 (1) 이 땅은 여호수아가 가나안에 들어가 12지파에게 토지를 분배할 때 유다라 이름하였다. 당시의 경계는 동으로 사해 서는 지중해 남은 시므온땅, 북은 베냐민과 단인데 112성에 7만6천5백명의 인구가 살고 있었다 (수15:, (민26:22). (2) 솔로몬왕이 죽은 후 그 아들 르호보암에 이르러는 국가가 분열되어 북방 의 10지파는 여로보암을 왕으로 추대하고 국호를 이스라엘이라 하였다. (왕상12:20). (3) 남방은 유대 베다민의 양지파가 유다국이라 하여 르호보암이 왕이 되었다(왕상12:20). (4) 20대에 390년을 지나는 동안 아사 여호사밧 요아스 히스기아 요시아등의 명물이 시시로 일어나 여호와의 율법에 의하여 선정을 하였으나 말년에 4대가 여호와를 질로케 하였느므로 마침내 바벨론와 느부갓네살에게 망 하였다. 그 다음에 메대 파사에 속하여 있는 동안 고레스왕 원년에 스룹바 벨의 인도로 유대인 5만명이 예루살렘에 돌아와 성곽과 성전을 개축하였 다(스02:2,64, (스06:15, (느12:27). (5) B.C.332년:마게도냐의 속국. B.C. 200년:수리아 B.C. 163년:마카비 시대 B.C. 63년:로마에 침몰 A.D. 614년:터키 A.D. 636년:회회교도 오말에게 침공 당하여 회회교의 도성이 됨 A.D. 1099년:십자군에 의하여 해 방. A.D. 1187년:애급에 침몰 A.D. 1291년:터키 재차 침공으로 제 1차 세계대전까지 이름. (6) 예수 당시는 로마에 속한 영토로서 로마는 유대 전토를 3도르 나누어 갈릴리 사마리아 유대라 하였으느니 유대도는 옛날 에브라임 단 베냐민 유다 시므온 지방으로 사마리아와 같이 로마국 총독이 관할하고 갈릴리 도는 갓 르우벤지파의 땅을 합하여 헤롯 안디바가 관할 하였다. (7) 유대광야라 한 곳은 예루살렘 동남에 있어 세례요한이 전도하고 예수님이시험받으신 곳인듯 하다(마02:1, (마03:1). 유대광야 : "그때에 예수께서 성령에게 이끌리어 마귀에게 시험을 받으러 광야로 가서 40일을 밤낮으로 금식하신 후에 주리신 지라 시험하는 자가 예수께 나아와서 가로되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어든 명하여 이 돌들이 떡덩이가 되게하라"(마04:13). 이것은 새벽에 촬영한 것으로 명암이 드러나 황량한 분위기를 잘 보여준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사막이나 산에서 위대한 지도자들이 많이 나왔다. (8) 중앙은 산악 지대로 길이 험준하나 직선이므로 예수님이 갈릴리도에 내왕하실 때는 이 길을 택하여 사마리아도를 통과하셨다(요04:3-4). (9) 토지는 암석과 모래가 많아 아주 척박하나 일부 비옥한 땅이 있어 양맥과대소두등을 외국에 수출하고 포도,감람,석류,무화과등은 가장 많이 생산 하는 고장이요 헤브론 포도는 매우 유명하여 모세의 정탐군이 한 송이를 2인이 메고 왔다 하였다 (민13:23). 생업은 목축,농업,상업이 가장 중요 한것이고 그중에 유대인의 상업술은 세계에서 알아준다. (스09:9, (마02:1, (마03:1, (마04:25, (마19:1, (마24:16, (막01:5, (막03:7, (막10:1, (막13:14, (눅01:5, (눅02:4, (눅03:1, (눅04:44, (눅05:17, (눅06:17, (눅07:17, (눅21:21, (눅23:5, (요04:3, (요07:1, (요11:7, (행01:8, (행02:9, (행08:1, (행09:31, (행10:37, (행11:1, (행12:19, (행15:1, (행21:10, (행26:20, (행28:21, (롬15:31, (고후01:16, (갈01:22, (살전02:14 lt=31.7774&ln=35.2349
11 예루살렘(Jerusalem) 파일
지명
jesus
10686 48 2007-01-02
▶ 예루살렘(Jerusalem) 뜻: 평화의 터전 유대와 베냐민 두지파의 경계선상에 있으며 지중해 헤브론 요단강 사마리아로접경을 삼고 있다. 이 명칭은 (수10:1)에 처음 기재되었으나 오래전부터 있어 옛 이름이 살렘 우루살렘이라라 하나 확증이 없고 확실한 것은 여부스이며 (삿19:10-11)별명으로 오홀리바라 하고(겔23:4) 시온산의 이름을 따라 시온성 다윗왕의 도성인고로 다윗성,고라의 자손은 하나님의 성리라 하고 하나님 의 성전이 있는고로 거룩한 성이다라 하였다(삼하05:7,5:9, (눅02:11, (시046:4, (느11:1, (마04:5). 이로부터 유대인들은 이 예루살렘을 극히 존중히 여기고 경모 하였다(시122:6, (시137:5-6, (왕상08:38, (사62:1, 7, (단06:10, (마05:35). 스가랴선지는 많은 백성과 강대한 나라들이 예루살렘으로 와서 만군의 여호와를 찾고 여호와를 구하라고 예언하였고(슥08:22-23).사도들은 한층 더 고상히게 위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성이라 하였다(갈04:26).너희가 이를곳은 시온산과 하나 님의 도성인 하늘의 예루살렘이라 하였고(히12:22)내 하나님으로부터 내려오는 새 예루살렘의 이름과 나의 새 이름이 그의 위에 기록하리라 하고(계03: 12) 또 내가 보매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이 하나님으로부터 내려오니 그 예 비한 것이 신부가 신랑을 위하여 단장한 것 같다고 하였다(계21:2). (1) 역사적 종교적 중요성. 예루살렘은 고대 가나안 사람의 수도였으나 B.C 1,000년경 다윗왕이 점령 령하였다. 아모스와 호세아를 제외한 모든 선지자들의 활동무대였으며 구약 성경 대부분이 여기서 기록되었다. B.C.586년 느부갓네살이 점령하였고 포로 에서 돌라온 후 다시 재건하였으며 파사 희랍 로마시대를 통하여 그의 신성을을 점점 더하였다. 예수의 사역, 죽음, 부활, 승천의 무대였다. A.D.70년 타이러스가 예루살렘을 함락시켰고 136년 하도리안 황제때 재건되었었다가 637년 칼리프 오말에게 점령되었고 회회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1099년 십자군이 점령하였고 1517년 알렌비장군의 연합군이 점령하기까지 터키 사람 의 수중에 있었다. 1920년 국제 연맹의 결의로써 영국의 위임통치로 되었다가 제 2차 대전 이후에 독립하였다. (2) 위치와 기후 고대 문헌을 참고해 볼 때 현재의 예루살렘은 고대 예루살렘의 터위에 건설된 것이 확실하다. 기후는 이탈리아의 북부와 비슷하며 겨울에는 영하2도쯤되며 눈도 내리지만 오래 쌓여있지 않는다. 여름철에는 평균 최고 30도 를 넘지 않는다. (3) 성전의 위치. 솔로몬의 성전은 B.C.586년 느부갓네살의 손에 부서지기까지 존속하였고 포로 기간 중에도 그 위 치를 잊어버리지 않았다(렘41:5, (학 2:3, (스03:12). B.C.516년 스룹바벨이 그 자리에서 다시 지었다(스06:15). 요세퍼스에 의하면 헤롯의 성전은 그런 것을 확장 미화한 데 불과하다고 한다. (4) 지세. 가) 기드론 골짜기:이 골짜기는 예루살렘 동쪽 와디 싯티 마리암일 것이다. (요18:1)과 (막14:26) 을 보면 예수가 감람산에 가실 때 이 골짜기를 건느셨다 나) 힌놈 골짜기: 이 골짜기는 예루살렘 서남쪽을 에워싼 넓은 골짜기 로서 와디엘 라바비일 것이다. 다) 혈 로겔: 골짜기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은 샘과 못이다. (왕상01:)을 보면 아도니아는 엘로겔에서 대관식을 거행 하였으며 솔로몬은 기혼에서 행하였다. 라) 베데스다:38년된 병자가 일어난 곳이다(요05:) 예루살렘 부근에는기혼(처녀의 샘)이 유일한 간혈천이다. 아마 이것이 베데스다 못의 유적일 것이다. 마) 실로암 지금은 아인이라고 부르는데 실상은 샘이 아니라 처녀의 샘 이 아니라 처녀의 샘의 물을 바위를 뚫어서 급수한 것이었다고 한다. (5) 시대적 증거 가) 솔로몬 시대에는 예루살렘 성전,왕궁,바로의 딸의 집이 계속해있으며 주위는 성벽을 쌓았다. 왕궁은 남쪽에 있었으리라 본다. 왜냐하면 다윗궁 보 다는 높고 경전보다는 낮다고 하였다 (왕상06:36, (왕상7:8,12 (사01:26, (왕상08:1, (왕상09:24, (왕상10:5, (왕하11:19, (렘22:1, (렘26:10, (왕상07:8, (왕상09:24, (왕상03:1, (왕상09:15). 나) 히스기야 시대의 예루살렘 히스기야왕은 산헤립의 침입을 예상하여 기혼의 물을 다윗성 서쪽에 끌어들이는 수로의 기록이 있다. (왕하20:20, (대하32:4,30, (대하07:3,(사22:9-11).이것은 바위를 뚫은 굴인데 이 굴 의 안벽에는 옛날 히브 리어의 비문이 조각되어 있다. 이것이 실로암 비문이다. 다) 신약시대의 예루살렘. 신약시대에 있어서는 예수의 예루살렘 방문이 가장 큰 사건이다 예수님이 처음 세번 예루살렘을 방문하신 것은 성전과 관계가 있었다 (눅02:22-39,41-50, (요02:13-22). 네번째는 베데스다 못(요09: ) 다섯번째는 성전(요07:) 여섯번째는 실로암못과 관계가 있었다(요 9:) 일곱번째는 예루살렘에 올라가소 수난주일 동안 일,월,화요일에 성전에서 가르치셨다 (막11:-16:) 목요일에는 다락방에서 만찬을 잡수셨다(막14:15) 이 다락방은 마가의 어머니 마리아의 집이었을 것이다. 이곳은 예수님이 승천하신 후에 초대교회의 집회 장소가 되었다. 전설에 의하면 욥바의 문곁 에 빌라도의 집이 있었다고 하며 헤롯 궁전과 같이 있었을 것이라 한다. 십자가와 무던의 장소인 골고다에는 현재의 성묘교회가 서 있다고 한다 옹기쟁이의 밭 "아겔다마"는 나그네의 매장지였다(행01:18). ▶ 예루살렘 '여호와께서 시온을 택하시고 자기 거처를 삼고자 하여 이르시기를 이는 나의 영원히 쉴 곳이라.' (시132:13) -------------------------------------------------------------------------------- 황금의 도시, 영원한 도시, 평화의 도시인 예루살렘은 3천 년의 역사를 간직한 채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역사의 중심에서 아직도 꿋꿋하게 살아 숨쉬는 이스라엘의 수도이다. 아무런 보잘 것 없은 풍경과 전무한 상태의 부존 자원을 가진 유대 광야의 동편 가장자리에 우뚝 솟아있는 이 도시를 성경은 "산들이 예루살렘을 두름과 같이 여호와께서 그 백성을 지금부터 영원까지 두르시리로다" (시125:2) 하였다. 이런 아무 쓸모없는 땅이 하나님께 선택함을 받았고, '일신교의 보루로서', '세계인의 성도' 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불모의 언덕에서 유명한 철학자들과 선지자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한 설교와 도덕적 계율들, 그리고 한 형제로서의 사랑을 가르치셨고 실수와 우상숭배로 인해서 눈 어두워진 이 땅의 사람들에게 바른 판단의 기준과 신앙적인 확신을 심어준 신앙의 틀을 짠 곳이 바로 이곳이다. "이는 율법이 시온에서부터 나올 것이요 여호와의 말씀이 예루살렘에서부터 나올 것임이라 " (미04:2) 이곳은 전인류의 절반이 종교적인 수도로 믿고 있고, 유대인들에게 있어서는 옛날의 영광이요 미래 희망의 상징이며, 기독교인에게 있어서는 예수님의 마지막 사역이 펼쳐진 곳이며,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생생하게 지켜본 도시이다. 또한 회교도들은 이곳이 선지자 모하마드가 승천한 곳이라 믿고 있다. 예루살렘은 신앙과 평화의 원천이며, 가장 신성한 도시인 동시에 테러와 전쟁의 피가 끊임없이 흘려진 곳이다. 즉, 칼이 오랜 동안의 역사를 거쳐오면서 이들의 자손들을 괴롭혀 왔던 것이다. 지구상의 어떤 도시보다도 많은 전쟁을 거쳐왔고, 사람들의 피로 바다를 이룬 적이 수없이 많았었다. 무려 50차례 이상을 포위 공격 당했으며, 36차례에 걸친 정복과 10차례의 심한 파괴를 당했다. 예루살렘의 시초는 고대사 속에 묻혀 있어 알 길이 없지만, '평화'라는 뜻의 '살렘'(salem) 이라는 이름으로 가나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살렘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 (창14:18), 또 "주 여호와께서 예루살렘에 대하여 말씀하시되 네 근본과 난 땅은 가나안이요, 네 아비는 아모리 사람이요, 네 어미는 헷사람이라" (겔16:3) 하였다. 사실상 예루살렘이 이스라엘의 가장 중요한 곳이 된 것은 주전 10세기에 다윗 왕이 여부스 족으로부터 예루살렘을 정복해서 그의 수도로 삼고 (삼하05:6 ~ 10), 여호와의 언약궤를 이곳으로 옯겨온 (삼하06:1 ~ 23) 이후라고 말할 수 있다. 이후 다윗성(City of David)이라고도 불리웠으며, 자신을 포함한 역대 왕들의 무덤이 되기도 하였다. (사진: 다윗의 망대) BC 965 ~ 922 년에는 예루살렘을 확장 시킨 솔로몬 왕이 성전과 그의 궁전을 짓고 예루살렘을 미화하였다. 본격적으로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종교, 정치, 문화, 사회등 무든 분야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화려하여 "은을 돌같이 흔하게" (왕상10:27) 하던 예루살렘은 남북 분열 이후 쇠퇴하기 시작하였고 BC 586년 바벨론에 의해서 정복 당하였으며 성전이 파괴되고 사람들은 바벨론의 포로가 되었다. "우리가 바벨론의 여러 강변 거기 앉아서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도다. 그 중의 버드나무에 우리가 우리의 수금을 걸었나니, 이는 우리를 사로잡은 자가 거기서 우리에게 노래를 청하며 우리를 황폐케 한 자가 기쁨을 청하고 자기들을 위하여 시온 노래중 하나를 노래하라 함이로다. 우리가 이방에 있어서 어찌 여호와의 노래를 부를꼬" (시137:1 ~ 4) 하며 애곡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그곳에서도 예루살렘을 향하신 하나님의 미래를 결단코 포기하지 않았으며, 그 꿈은 예언자들의 예언대로 70년 만에 예루살렘으로 귀향하여, BC 516 ~ 515 년 예루살렘 성전을 재건하였다. BC 332년 예루살렘은 알렉산더 대왕에 의해서 정복 당했다가, 마카비 전쟁을 통하여 성전을 재탈환하고, 헤스모니아 왕가에 의해서 잠시 동안의 독립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이번에는 다시 로마의 폼페이우스에 의해서 정복되고 말았다. (BC 63년). 로마의 후광을 입어 BC 37년 유대인의 왕으로 임명 된 헤롯 대왕 (Herod the Great)은 위대한 건축가로서 예루살렘을 아름답게 가꾸어 나갔으며, 솔로몬 당시의 성전보다도 더 장대하고 아름다운 성전을 건립하고 성벽을 쌓았다. 이성전은 46년 동안이나 걸려 건축되었고 (요02:20), "헌물과 미석으로 꾸며졌다" (눅21:5). 이 예루살렘이 예수님 당시의 바로 그 예루살렘이다. 그러나 이렇게 화려했던 예루살렘도 예수의 예언 (눅19:41 ~ 44, (눅21:6,20,24)대로 "돌 위에 돌 하나가 남김없이" 무너지고 말았다. 로마의 티투스 (Titus)는 BC 70 년 예루살렘을 불태워 버리고 말았다. 이제 더 이상 예루살렘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삶의 터전이 되지 못하였으며, 세계에 흩어진 그들에게 있어서 이 도시는 다만 과거의 도시일 뿐이었다. AD 132 ~ 135년 바르 코흐바 (Bar Kokhba) 에 의한 제2차 유대 반란 이후 하드리안 황제에 의해서 예루살렘은 로마의 도시로 재건되면서 엘리아 카피톨리나 (Aelia Capitolina) 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불리워지게 됨으로써 그 명성있던 이름마저 빼앗기게 되었다. 유대교와 기독교의 성스러운 장소에는 로마의 제우스 신전이 세워지고 유대인의 출입이 금해지고 만 것이다. AD 332년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기독교를 공인한 이후 예루살렘을 비롯한 예수와 관련된 팔레스틴을 '성지'(Terra Sancta)라 하여 곳곳에 기독교 교회를 세우기 시작하였다. 특히 예루살렘의 골고다에 세워진 성묘교회와 베들레헴에 세워진 예수 탄생교회는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친어머니인 헬레나에 의해 건립되었다. 그러나 614년 페르샤의 침공으로 대부분의 교회가 파괴되었으며, 636년 아랍에게 예루살렘이 점령되어 약 500여년간 아랍의 통치하에 있게 됨으로써 예루살렘은 더 이상 기독교의 전통을 이어가지 못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아랍문화로 채색되어 갔다. 1099년 예루살렘이 십자군의 휘하에 들어감에 따라 약 200년 동안 라틴제국의 도시가 되었다가, 1187년 살라딘 왕이 이끄는 모슬렘에 의해서 재점령 됨으로써 기독교와 모슬렘 사이의 이중구조 속에서 예루살렘은 변모해 갔다. 1517년 오토만 터어키 (Ottoman Turkey)의 지배하에 들어감으로써 400년간의 터키 통치가 시작되었으며, 제1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영국군은 1917년 이후 예루살렘에 총독부를 두어 위임 통치를 실시하기에 이르렀다. 제 2차 세계대전이 종식되면서 신생 이스라엘은 시온주의자들의 노력과 국제기구의 승인에 의하여 1948년 5월 14일, 2천년 동안의 유랑생활을 청산하고 새로운 국가로 탄생하게 되었으며, 예루살렘은 다시 이스라엘의 수도가 되어 옛날의 영화를 되찾게 되었다. (사진 :오토만 터키군을 물리치고 예루살렘에 입성하는 알렌비 장군과 영국군) 현재 예루살렘의 신시가지 (New City)는 불과 150여년 전부터 발전되기 시작하였다. 구도시 (Old City)는 1평방 킬로미터에 불과하여 매우 비좁을 뿐만 아니라 매우 오래된 도시이기 때문에 시설이 좋지 못하고 비위생적이었다. 150여년이 지난 지금은 신도시가 구도시의 약 100배가 넘는 신시가지로 발달하였다. 1967년 6일 전쟁 이후 통합된 구도시는 주로 고적지와 박물관 등을 포함하여 새로운 위생시설을 갖춘 일반 주거지로 사용되고 있으며, 신시가지에는 정부청사 등을 비롯한 행정수도로서 그 면모를 현대화해 나가고 있어 옛것과 새 것의 환상적인 조화가 이루어져 있다. 특히 연한 노란 빛을 띄고 있는 석회암에서 반사되는 아름다움은 이 도시를 '황금의 도시' (The Golden City)라 부르게 한다. ▶ Jerusalem's - (사62:1 ▶ (수10:1, (수12:10, (수15:8, (수18:28, (삿01:7, (삼상17:54, (삼하05:5, (삼하08:7, (삼하09:13, (삼하10:14, (삼하11:1, (삼하12:31, (삼하14:23, (삼하15:8, (삼하16:3, (삼하17:20, (삼하19:19, (삼하20:2, (삼하24:8, (왕상02:11, (왕상03:1, (왕상08:1, (왕상09:15, (왕상10:2, (왕상11:7, (왕상12:18, (왕상14:21, (왕상15:2, (왕상22:42, (왕하08:17, (왕하09:28, (왕하12:1, (왕하14:2, (왕하15:2, (왕하16:2, (왕하18:2, (왕하19:10, (왕하21:1, (왕하22:1, (왕하23:1, (왕하24:4, (왕하25:1, (대상03:4, (대상06:10, (대상08:28, (대상09:3, (대상11:4, (대상14:3, (대상15:3, (대상18:7, (대상19:15, (대상20:1, (대상21:4, (대상23:25, (대상28:1, (대상29:27, (대하01:4, (대하02:7, (대하03:1, (대하05:2, (대하06:6, (대하08:6, (대하09:1, (대하10:18, (대하11:1, (대하12:2, (대하13:2, (대하14:15, (대하15:10, (대하17:13, (대하19:1, (대하20:5, (대하21:5, (대하22:1, (대하23:2, (대하24:1, (대하25:1, (대하26:3, (대하27:1, (대하28:1, (대하29:1, (대하30:1, (대하32:19, (대하33:1, (대하34:1, (대하35:1, (대하36:1, (스01:2, (스02:1, (스03:1, (스04:6, (스05:1, (스06:3, (스07:7, (스08:29, (스09:9, (스10:7, (느01:2, (느02:11, (느03:8, (느04:7, (느06:7, (느07:2, (느08:15, (느11:1, (느12:27, (느13:6, (에02:6, (시051:18, (시068:29, (시079:1, (시102:21, (시116:19, (시122:2, (시125:2, (시128:5, (시135:21, (시137:5, (시147:2, (전01:1, (전02:7, (아01:5, (아02:7, (아03:5, (아05:8, (아06:4, (아08:4, (사01:1, (사02:1, (사03:1, (사04:3, (사05:3, (사07:1, (사08:14, (사10:10, (사22:10, (사24:23, (사27:13, (사28:14, (사30:19, (사31:5, (사33:20, (사36:2, (사37:10, (사40:2, (사41:27, (사44:26, (사51:17, (사52:1, (사62:6, (사64:10, (사65:18, (사66:10, (렘01:3, (렘02:2, (렘03:17, (렘04:3, (렘05:1, (렘06:1, (렘07:17, (렘08:1, (렘09:11, (렘11:2, (렘13:9, (렘14:2, (렘15:4, (렘17:19, (렘18:11, (렘19:3, (렘22:19, (렘23:14, (렘24:1, (렘25:2, (렘26:18, (렘27:3, (렘29:1, (렘32:2, (렘33:10, (렘34:1, (렘35:11, (렘36:9, (렘37:5, (렘38:28, (렘39:1, (렘40:1, (렘42:18, (렘44:2, (렘51:35, (렘52:1, (애01:7, (애02:10, (애04:12, (겔04:1, (겔05:5, (겔08:3, (겔09:4, (겔11:15, (겔12:10, (겔13:16, (겔14:21, (겔15:6, (겔16:2, (겔17:12, (겔21:2, (겔22:19, (겔23:4, (겔24:2, (겔26:2, (겔33:21, (겔36:38, (단01:1, (단05:2, (단06:10, (단09:2, (욜02:32, (욜03:1, (암01:2, (암02:5, (옵01:11, (미01:1, (미03:10, (미04:2, (습01:4, (습03:14, (슥01:12, (슥02:2, (슥03:2, (슥07:7, (슥08:3, (슥09:9, (슥12:2, (슥13:1, (슥14:2, (말02:11, (말03:4, (마02:1, (마03:5, (마04:25, (마05:35, (마15:1, (마16:21, (마20:17, (마21:1, (마23:37, (막01:5, (막03:8, (막07:1, (막10:32, (막11:1, (막15:41, (눅02:22, (눅04:9, (눅05:17, (눅06:17, (눅09:31, (눅10:30, (눅13:4, (눅17:11, (눅18:31, (눅19:11, (눅21:20, (눅23:7, (눅24:13, (요01:19, (요02:13, (요04:20, (요05:1, (요07:25, (요10:22, (요11:18, (요12:12, (행01:4, (행02:5, (행04:5, (행05:16, (행06:7, (행08:1, (행09:2, (행10:39, (행11:2, (행12:25, (행13:13, (행15:2, (행16:4, (행19:21, (행20:16, (행21:4, (행22:5, (행23:11, (행24:11, (행25:1, (행26:4, (행28:17, (롬15:19, (고전16:3, (갈01:17, (갈02:1, (갈04:25, (히12:22, (계03:12, (계21:2, lt=31.777&ln=35.234
10 애굽(Egypt)
지명
jesus
4844 6 2007-01-02
▶ 애굽(Egypt) 뜻:검은 땅 나일강 유역, 특히 하류의 삼각주에 번영한 세계 최고의 문명 발상지 희랍 어로는 아이굽트스에서 왔고 그 아람 어로는 킵트, 히브리 사람들은 미스라 임(창 10:6). 이라고 했는데 동쪽이라는 뜻이다. 동은 홍해, 서는 아라비아 사막, 북은 지중해, 남은 협곡으로 비교적 고립된지역이다. (1) 아브라함이 기근이 들자 곡식이 풍부한 애굽으로 갔었다(창12:10). (2) 또 그의 아내의 시중을 든 하갈은 애굽의 여인 이었다(창16:1). (3) 주전 18세기경 애굽을 정복한 힉소스의 수령 가운데 히브리 사람의 이름이 나와있고 히브리인의 거주가 나와있다(창37-(창50:). (창38: (창39: (창40: (창41: (창42: (창43: (창44: (창45: (창46: (창47: (창48: (창49: (4) (출01:8에 요셉(Joseph)을 알지 못하는 왕이란 바로 아모시스왕이다. (5) 출애굽의 기록이 애굽측 역사에는 나와있지 않으나 이스라엘이 여호와 의 백성이라는 것과 구원한 하나님에 대한 감사는 구약의 최고의 신앙 고백으로 알려져있다. (6) (신26:5-10은 예언지의 발언가운데 반영되어있다(렘02:1-3, (호02:14-16, (암02:10-16). (7) 이스라엘 백성들이 여호와가 간구할 때 여호와가 모세와 아론을 바로에 게 보내어 이스라엘을 해방하여 줄 ㅐ을 교섭하였으나 듣지 아니함으로 10재앙을 내리시니 그때에야 허락하여 60만 백성을 인솔하고 430년간의 노예생활에서 해방되어 출애굽하였다 (출07:20-(출13:30, (출12:40). (8) 솔로몬왕은 바로왕의 딸을 아내로 취하였다(왕상03:1). (9) 르호보암왕 때에는 예루살렘을 쳐서 조공을 받아갔다(왕상14:25-26). (10) 예수님이 헤롯의 독수에게 피하여 애굽으로 내려 갔다가 오셨다 (마02:14-15,19-24). * 세계적 명물인 "피라밑"돌무덤이 있는데 높이 746척 면적이 15,800평이다. ▶ Egypt's - On : (사19:6, (사30:7, (겔30:9 ▶ Egypt - On : (창12:10,11,14, (창13:1,10, (창15:18, (창21:21, (창25:18, (창26:2, (창37:25,28,36, (창39:1, (창40:1,5, (창41:8-57, (창42:1,-3, (창43:2,15, (창45:4,-26, (창46:3,-27, (창47:6,-30, (창48:5, (창50:7, -26, (출01:1-18, (출02:23, (출03:7,-20, (출04:18,-21, (출05:4,12, (출06:11,-29, (출07:3,-22, (출08:5,-24, (출09:4,-25, (출10:7-22, (출11:1,-9, (출12:1,-51, (출13:3-18, (출14:5-20, (출16:1-32, (출17:3, (출18:1, (출19:1, (출20:2, (출22:21, (출23:9,15, (출29:46, (출32:1,-23, (출33:1, (출34:18, (레11:45, (레18:3, (레19:34,36, (레22:33,43,(레25:38,42,55, (레26:13,45, (민01:1, (민03:13, (민08:17, (민09:1, (민11:5,20, (민13:22, (민14:2,-22, (민15:41, (민20:5-16, (민21:5, (민22:5,11, (민23:22, (민24:8, (민26:4,59, (민32:11, (민33:1,38, (신01:27,30, (신04:20,34,37,45,46, (신05:6,15, (신06:21,22, (신07:8,15,18, (신08:14, (신09:7,12,26, (신10:19,22, (신11:3,4,10, (신13:5,10, (신15:15, (신16:1,3,6,12, (신17:16, (신20:1, (신23:4, (신24:9,18,22, (신25:17, (신26:5,8, (신28:27, (신28:60, (신28:68, (신29:2, (신29:16, (신29:25, (신34:11, (수02:10, (수05:4, (수09:9, (수13:3, (수24:4, (삿02:1, (삿06:8, (삿06:13, (삿11:13, (삿11:16, (삿19:30, (삼상02:27, (삼상08:8, (삼상10:18, (삼상12:6, (삼상12:8, (삼상15:2, (삼상15:6, (삼상15:7, (삼상27:8, (삼상30:13, (삼하07:6, (삼하07:23, (왕상03:1, (왕상04:21, (왕상04:30, (왕상06:1, (왕상08:9,-65, (왕상09:9,16, (왕상10:28, (왕상10:29, (왕상11:17,-40, (왕상12:2, (왕상12:28, (왕상14:25, (왕하07:6, (왕하17:4,-36, (왕하18:21, (왕하18:24, (왕하19:24, (왕하21:15, (왕하23:29, (왕하23:34, (왕하24:7, (왕하25:26, (대상13:5, (대상17:21, (대하01:16, (대하01:17, (대하05:10, (대하06:5, (대하07:22, (대하09:26, (대하09:28, (대하10:2, (대하12:2, (대하12:3, (대하12:9, (대하20:10, (대하26:8, (대하35:20, (대하36:3, (대하36:4, (느09:9, (느09:17, (느09:18, (시068:31, (시078:12, (시078:43, (시078:51, (시080:8, (시081:5, (시081:10, (시105:23, (시105:38, (시106:7, (시106:21, (시114:1, (시135:8, (시135:9, (시136:10, (사07:18, (사10:26, (사11:11, (사11:16, (사19:1, (사19:12, (사19:13, (사19:14, (사19:15, (사19:18, (사19:19, (사19:20, (사19:22, (사19:23, (사19:24, (사19:25, (사20:3, (사20:4, (사20:5, (사23:5, (사27:13, (사30:2, (사30:3, (사31:1, (사36:6, (사36:9, (사37:25, (사43:3, (사45:14, (사52:4, (렘02:6, (렘07:22, (렘07:25, (렘09:26, (렘11:4, (렘11:7, (렘16:14, (렘23:7, (렘24:8, (렘25:19, (렘26:21, (렘26:22, (렘26:23, (렘31:32, (렘32:20, (렘32:21, (렘34:13, (렘37:5, (렘37:7, (렘41:17, (렘42:14, (렘42:15, (렘42:16, (렘42:17, (렘42:18, (렘42:19, (렘43:2, (렘43:7, (렘43:11, (렘43:12, (렘43:13, (렘44:1, (렘44:8, (렘44:12, (렘44:13, (렘44:14, (렘44:15, (렘44:24, (렘44:26, (렘44:27, (렘44:28, (렘44:30, (렘46:2, (렘46:8, (렘46:11, (렘46:13, (렘46:14, (렘46:17, (렘46:19, (렘46:20, (렘46:24, (렘46:25, (렘46:26, (애05:6, (겔17:15, (겔19:4, (겔20:5, (겔20:6, (겔20:7, (겔20:8, (겔20:9, (겔20:10, (겔20:36, (겔23:3, (겔23:8, (겔23:19, (겔23:27, (겔27:7, (겔29:2, (겔29:3, (겔29:6, (겔29:9, (겔29:10, (겔29:12, (겔29:14, (겔29:19, (겔29:20, (겔30:4, (겔30:6, (겔30:8, (겔30:10, (겔30:11, (겔30:13, (겔30:15, (겔30:16, (겔30:18, (겔30:19, (겔30:21, (겔30:22, (겔30:25, (겔31:2, (겔32:2, (겔32:12, (겔32:15, (겔32:16, (겔32:18, (겔32:20, (단09:15, (단11:8, (단11:42, (단11:43, (호02:15, (호07:11, (호07:16, (호08:13, (호09:3, (호09:6, (호11:1, (호11:5, (호11:11, (호12:1, (호12:9, (호12:13, (호13:4, (욜03:19, (암02:10, (암03:1, (암03:9, (암04:10, (암08:8, (암09:5, (암09:7, (미06:4, (미07:12, (미07:15, (나03:9, (학02:5, (슥10:10, (슥10:11, (슥14:18, (슥14:19, (마02:13, (마02:14, (마02:15, (마02:19, (행02:10, (행07:9,-40, (행13:17, (히03:16, (히08:9, (히11:26, (히11:27, (유01:5, (계11:8 lt=30.108&ln=31.3382
9 서해(Mediterranean) 대해(Great Sea)
지명
jesus
1904 1 2006-12-30
▶ 서해(Mediterranean) 뜻: 지중해 (1) 팔레스틴의 서쪽 바다 곧 지중해를 가르키는 말이다 (신11:24, (욜02:20, (스14:8). (2) 구약에서는 서해 대해 블레셋 바다(Sea of the Philistines)라하여 대개 이스라엘 국경을 삼았다(신11:24, (민34:6, (출23:31). (3) 이 바다 가운데 있는 구브로 섬을 비롯하여 소아시아 마게도냐 로마 서바나 애굽 등에 복음이 전파되었다 (마02:1, (마04:17, (행13:4, (롬15:28). ▶ 대해(Great Sea) (민34:6-7 서쪽 경계는 대해가 경계가 되나니 이는 너희의 서쪽 경계니라 북쪽 경계는 이러하니 대해에서부터 호르 산까지 그어라 (수01:4 곧 광야와 이 레바논에서부터 큰 강 곧 유브라데 강까지 헷 족속의 온 땅과 또 해 지는 쪽 대해까지 너희의 영토가 되리라 (수09:1 이 일 후에 요단 서쪽 산지와 평지와 레바논 앞 대해 연안에 있는 헷 사람과 아모리 사람과 가나안 사람과 브리스 사람과 히위 사람과 여부스 사람의 모든 왕들이 이 일을 듣고 (민34:6-7, (수01:4, (수09:1, (수15:12,47, (수23:4, (겔47:10,15,19,20, (겔48:28 lt=33.24&ln=33.47
8 베들레헴(Bethlehem)
지명
jesus
3121 6 2006-12-30
▶ 베들레헴(Bethlehem) 뜻: 떡집 / 아랍어로는 푸줏간 베들레헴은 집이란 뜻의 "벧트"와 떡이란 뜻의 "레헴"이 합해져 "떡집"이란 뜻을 갖고 있다. 예루살렘 남서쪽 약 10km지점. 베들레헴은 해발 777m의 산악지대에, 동굴이 벌집처럼 많은 석회암 언덕의 비탈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이 지역에는 아랍인들이 살고 있긴 하지만 1967년 6일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점령한 곳이다. 아랍인에 대한 통제가 심한 곳 중의 하나이다. 사사 시대에는 미가의 집 제사장의 고향이 베들레헴이며 에브라임 지방의 한 레위인의 첩의 고향도 이곳이다. 또한 이 곳은 룻기의 나오미와 보아스의 고향이기도 하려니와 보아스의 자손이며 이스라엘의 제2대 왕인 다윗왕의 고향이기도 하다. 역대하에서는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이 견고한 성읍을 건축한 곳이기도 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이곳, 작은 마을 베들레헴에서 아기예수 그리스도가 탄생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베들레헴은 오늘날, 유다땅의 조그마한 마을임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의 기독교인들에게는 빼놓을 수 없는 성지 중의 한 곳이다. [1] 예수의 탄생지. (1) 성경에서는 창세기 35장에 처음 언급되어 있다. "본명은 에브랏으로서 야곱의 식구들이 밧단 아람에서 돌아 올 때 라헬이 벤야민을 낳았고, 라헬이 죽은 뒤에 야곱이 이곳 베들레헴 근처에 라헬을 묻고 비석 하나를 세웠다(창35:19). (2) 사사 시대에는 미가의 집으로 미가서에는 '에브라다(Bethlehem Ephrathah)'라 불렀다(미05:2). (3) 이 이름은 씨족 이름이다(대상02:19, 50). (4) 룻의 시아버지 고향이다(룻01:2-2, 4, 22). (5) 보아스의 고향이다. 라헬이 도망해 다닐때 블레셋 군대가 여기 주둔했다(대상11:17-19). (6) 아사헬이 이곳에 묻혔고 다윗의 용사 엘하난의 출생지이다(삼하23:24). (7) 르호보암이 예루살렘 방어를 위해 이곳을 요새화했다(대하11:6) (8) 그다랴를 죽인자들이 여기 도피했다(렘41:17). (9) 메시야가 날 곳이란 미가의 예언지다(마02:6, (미05:2) (10) 그리스도가 예언대로 나셨다(마02:1-5, (눅02:4, 15). * 6세기 저스틴(A.D 550년경이 예배당을 확장, 역대 군왕들이 정성들여 수리,아름답고 화려한 회당이 섰다. 들어가는 앞문은 4척 밖에 안되는 "겸손의 문"하나뿐이다. 성탄 저녁에는 그 앞뜰이나"목자의 들"에서 성탄 예배를 드린다. 유대인들이 B.C 586년 애굽으로 도망할 때 베들 레헴 근처에서 피난처를 찾았다(렘41:17). [2]나사렛 서북 10km 지점의 베일 람인 (1) 스불론의 베들레헴(수19:15). (2) 사사 입다의 고향 이었던것 같다(사12:8-10). 사사는 거의 다 북쪽에서 났다. [1] 베들레헴의 명칭과 역사적인 개관 베들레헴은 'Enuma-Elish'라는 천지창조 이야기에 나오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식물과 다산의 신인 `Lachma'에서 유래한다. 구약 성경에서 이 지역은 'Ephrata(에브라다)` 라는 이름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이 또한 '다산`을 의미한다. 베들레헴은 히브리어로 성경에서 사용된 이름이다. 오늘날의 주민들은 이 명칭 대신 'Beit Lachem' 이라는 아랍식 이름을 사용한다. `Beth '와 'Beit'는 둘다 `House(집)'을 의미하고, 'Lachem'은 `meat(고기)'를, `Lehem'은 'bread(빵)`을 의미하는데, 따라서 베들레헴이라는 단어의 뜻은 '고기집` 또는 '빵집`이 된다.그러나 'Beit'가 들어가는 대부분의 지명이 어떤 신의 집이라는 종교적인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베들레헴도 원래는 단순한 빵집이라는 뜻이 아니었으리라 생각된다. 베들레헴의 어원에 대해서는 '라흐무(신)의 집`(아카드어에 근거), '전쟁의 집`(가나안어에 근거) 등의 이론이있다. 베들레헴의 역사는 5000여년 전, 이곳이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의 다리 역할을 했던 때로부터 시작된다. 그때는 많은 종류의 동물들이 대륙 사이를 오갔었다. 12세기 농부들이 수로를 만들기 위해 땅을 파 내려 가다가 동물들의 뼈를 발견했는데, 퓨마. 코끼리, 하마,코뿔소, 기린, 영양등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베들레헴은 이 지역에서 높은 곳 중의 하나로, 해발 750m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Beit Sahour'와 /Beit Jala',그리고 동쪽과 남쪽의 유대광야 사이를 구분하는 비옥한 땅으로 일찍이 사람들이 정착한 곳이다. 고고학적인 발굴로서는 `Beit Sahour' 근처에서 5000년 전의 청동기 시대 유적을, 탄생교회의 동쪽 지방을 포함하는 가까운 다른 곳에서는 3000년 전의 철기 시대 유적을 찾아내었다. 몇몇 학자들은 그들이 B.C 14세기의 이집트 'Amarna letter'에서 베들레헴에 대한 언급을 발견했다고 믿었었다. 베들레헴은 아주 오래된 고대 도시로 성서에서 여러 차례 언급되고 있다. 베들레헴 근처에서 라헬이 죽어 묻혔으며 (창35:19; (창48:7),사사기 (삿19:장에 나오는 한 레위인의 첩이 베들레헴 출신이다. 또한 룻기의 배경이 베들레헴이며, 룻의 자손인 다윗이 베들레헴에서 태어나 거기서 사무엘에 의해 기름 부음을 받았다(삼상16:1-13). 한때 이 곳은 블레셋 사람들에게 점령되기도 했는데, 다윗의 용사들 중 세 명이 적진을 뚫고 이 곳의 우물물을 떠서 다윗에게 `고향의 물'을 바쳤다고 기록되어 있다.(삼하23:14-17). 남북 왕국이 분열된 뒤 르호보암에 의해 요새화되기도 했던(대하11:6) 그러나 1000년동안 베들레헴은 예루살렘 근교에 있는 작은 마을로 남아 있었다. B.C. 6세기 말에는 바벨론에서 귀환한 123명의 사람들만이 이곳에 살았다. 이 때 미가 선지자는 이 작은 수의 귀환에도 불구하고 큰 예언을 한다.베들레헴은 다윗의 고향으로 메시야가 태어날 곳으로 기대되었다(미05:2-5 (마02:6 (요07:42). 이 메시야의 탄생에 대한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의 이야기는 신약에서 가장 사랑받는 부분 중 하나로, 그 배경인 베들레헴은 기독교인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장소 중의 하나가 되었다. 이곳 베들레헴에는 일찍이 크리스챤 공동체가 있었음이 확실시 되고 있다. 첫 번째 교황중 한 사람인 Evaristus(100~109)는 베들레헴 출신으로 기독교도 어머니와 유대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표면적으로 베들레헴은 작고 보잘 것 없는 도시로 계속 남아 있었다. 132년부터 135년 까지 있었던 Bar- Kochbar 반란동안 이곳은 로마 군인들에 의혜 황폐화 되었고. 모든 유대인 거주자들은 도시 밖으로 추방 되었다. 4세기에 전통적으로 예수님의 탄생지라고 알려진 장소에 탄생 교회가 세워진 이후로 기독교 순례지 중 가장 잘 알려진 곳이 되자, 이 때부터 많은 기독교인들이 이 곳에 거주하기 시작했다 (비잔틴시대에는 유대인들의 베들레헴 거주가 허락되지 않았다). 현재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는데 6일 전쟁 때(1967년) 이스라엘에 의해 점령당했었다. 베들레헴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의 93년 오슬로 평화 협정후 95년 12월 팔레스타인 자치 지역이 되어 현재는 이스라엘 통치권과는 상관이 없이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영양하에 있으며 주민들은(많은 분들이 베들레헴에 유대인이 살고 있으며 이스라엘 정부에 속한 줄로 알고 있다)팔레스타인으로서 대부분이 모슬렘(약80%) 기독교(대부분이 구교 계통 20%)로 구성이 되어 있다. 베들레헴의 경제와 문화 베들레헴의 경제로는 농업이 어느 정도 주를 이루고 있는데 그중 올리브 수확은 많은 비중을 차지 한다. 올리브나무는 베들레헴의 환경에 적합한 나무로서 많은 토양이나 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태양 빛을 흡수하고 많은 과실을 맺기 위해 풍부한 가늘고 작은 잎들을 가지고 있다. 올리브 수확은 년 중 가장 큰 행사 중 하나이다. 나무에 과실이 맺히기 시작하는 9월에 사람들은 준비물을 만들기 시작하고 과실을 추수할 사람들을 고용한다. 수확은 10월 첫 주간에 이루어 지며 온 가족이 이 일에 동원되고 학생들은 학교로부터 시간을 얻는다. 올리브는 날로 먹거나 소금, 레몬, 식초등에 절여서 먹는다. 그리고 상당수의 올리브는 기름을 추출하는데 쓰인다. 또한 무화과나 그밖의 과일, 땅콩류의 수확은 베들레헴 지역에서 보편화 되어 잇다. 그것은 이것들 역시 거친 기후에 강하고 많은 물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농업 외에 베들레헴과 'Beit Sahour', Beit Jala'는 경제적으로 다양한 공장 공업에 의존하고 있다. 이것은 'textile'과 `Beit Sahour'에 있는 국수 공장등의 식료 생산을 포함한다.베들레헴 지역은 성서 시대에 'Judea'의 언덕 마을로 불려던 곳에 위치해 있다. 이 'limestone'언덕은 단지 엷게 깔린 흙과 'vegetation'으로 덮여 있고, 이 돌은 중요한 자연 자원이 되어 왔다. 서북 뚝방의 최대의 채석장은 베들레헴 지역에 있다. `Beit Jala' 에 있는 slaggib 채석장은 장미석의 생산지로 유명하고 이돌은 탄생 교회 내부 기둥의 원석임이 확실하다. 오늘날 베들레헴 지역 채석장의 반 이상이 이스라엘로 수출된다. 다른 아랍 나라들, 특히 걸프만 지역의 나라들은 베들레헴 지역의 돌들을 그들의 건축물을 위해 채택하고 있다. 베들레헴 지역에서 가장 성공적인 산업 중 하나는 자개 만드는 것이다. 물룬 이것은 이 지역 본래의 산업이 아니다. 처음에는 주요 재료를 홍해에서 들여 왔지만 오늘 날에는 뉴질랜드로부터 들여오고 있다. 추측하기는 이런 예술적 기술이 14세기에 이탈리아에서 온 프란시스 수도사들에 의해 소개되었다. 그 당시의 보편적인 것으로는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묵주, 십자가, 보석함 등이 있었다. 자개와 올리브 나무 가공산업은 오늘날 베들레헴을 찾는 수많은 순례객들과 관광업에 의해 발달되었다. 이 산업은 또한 수출의 중요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베들레헴의 성탄절 예수그리스도가 이 땅에 태어난 시기와 날짜에 관해서는 여러 학자들 마다 견해가 다르지만 아무도 예수가 탄생하신 정확한 시기를 알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성서에 그 날짜가 명시되어 있지 않은 탓이다. 사도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보낸 편지에서 "때가 차매" 라고 그 시기를 언급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순례자들에 의해 일년내내 성탄절을 축하하는 것이다. 초대 교회사에서 수많은 날짜들이 예수탄생일로 제시되었고 그것들 대부분은 봄과 가을중에 있었다. 기독교가 콘스탄틴 대제 통치하에 있을 때, 예수의 생애에 대하여 stpqn 사항들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남은 시기에 HELEN은 예수 탄생 교회를 건축하고 있었고, 그 탄신을 기념할 보편적인 날짜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로마시대에 그 날짜는 지금의 12월25일로 결정되었다. 그 이전부터 로마인들은 겨울에 태양이 (낮) 깊어지기 시작하는 이 시기를 일간 축하하였다. 이를 "Sol Invictus" 축제라 한다. 이는 그리스도가 세상의 빛이라고 여겨진데서 비롯된 것이다. 이 첫 번 축제는 338년 로마에서 시작되었다. 이것이 크리스마스의 시작이다. 그러나 동방정교회에서는 1월6일을 보편적인 성탄절로 기념하고 있었고,후에 아르메니아인들은 1월18일을 자신들의 성탄절로 기념하게 되었다. 특별히 이런 문제들은 상호간의 달력의 상이함에서 비롯되었다. 이런 이유로 베들레헴에서는 3차례의 주요 성탄 행사를 거행하게 되었다. (12월25일은 신.구교 교인들을 위해, 1월6일은 ORTHODOX 교회를 위해, 1월18일은 아르메니아인들을 위해) 천주교와 개신교 교회들은 12월24일성탄 이브를 기념하는데 오전11시에 몇몇 고위급 인사들이 예루살렘으로부터 라헬의 묘로 라틴 원로들을 만나러 가는 것으로 시작된다. 긴 행렬과 경찰들이 원로들을 호위해서 구유광장(그리스도의 탄생교회)까지 이동된다. 오후 1시에 프란시스코 수도사들과 예복을 갖춘 신학생들이 몇몇 교회의 지도자들과 함께 동행한다. 그 밤 행사는 구유광장에서 캐롤( 전 세계에서 합창팀들이 참여 한다)과 촛불의식으로 이어진다. 그 밤 행사의 절정은 한 밤 중에 St.Catherine교회에서의 미사이다( 전 세계로 생 중계됨). 하지만 그 밤 내내 탄생동굴에서 작은 미사가 진행된다. ▶ 예수님의 탄생지 베들레헴은 '떡집'이라는 뜻을 지니며, 아랍어로는 '푸줏간'이라는 의미로도 해석이 된다. 그것은 목축업이 활발했던 것과 양을 잡는 날에 행해지던 잔치 (삼상25: )에 그 기원이 있다. 또한 '에브라다'와 함께 병용하여 사용 (미05:2) 되기도 하였고 '에브랏' (창35:16, 19, (창48:7) 으로 언급되기도 하였다. 이곳은 다윗 왕의 고향 (롯01: , (삼상16: )이기도 하며, 사무엘이 다윗에게 기름 부은 곳 (삼상16:1)이며, 다윗의 우물 (삼하23:13 ~ 17)이 있던 곳이다. 에브라임 산지에 살고 있던 미가의 개인 제사장 레위 인의 고향 (사17:7 ~ 13), 사무엘은 왕에게 베들레헴을 하나님께 제사를 올리는 성지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르호보암 왕 때는 이곳에 요새가 쌓아졌고 (대하11:6), 한때 블레셋에 의해 점령되었고 (삼하23:14), 예수님의 탄생지로 예언되었고, 그 예언이 성취된 곳 (미05:2, (눅02:1 ~ 5, (마02:1~18, (요07:41~42) 인 베들레헴은 예루살렘 남쪽 8 Km 떨어진 곳에 있다. 특히 감람나무가 많은 해발 700여 m 높이의 산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예수님탄생교회 (Church of the Nativity) 주후 135년 로마 황제 하드리안은 제2차 유태인 반란을 진압한 후 기독교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예수님 탄생 동굴 위에 아도니스 신전을 만들어 세워 놓는다. 그 후 기독교를 공인한 콘스탄틴 대제는 이 아도니스 신전을 철거하고 이곳에 예수님 탄생 교회를 건립한다. (주후 325년)이 교회는 주후 529년 비잔틴 제국에 반란을 일으켰던 사마리아 인들에 의하여 크게 손상을 입게 되지만 곧 이어 유스티니안 황제에 의해서 복원된다.(주후 565년) 현재의 건물은 십자군 시대의 예배당 모양을 보존하여 수리한 것이다. 탄생의 동굴은 성탄교회 내부 지하에 있다. 예배당의 모양은 십자가 모양의 건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십자군 당시 교회를 보수할 때 입구의 높이를 1.2 m 정도로 낮추고 그 폭도 좁게 만들어 놓았다. 머리를 굽히고서야 교회에 출입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약탈자들이 말이나 마차를 타고 교회에 출입하는 것을 막고자 하는 방어적 성격을 지닌 것이다. 이로 인하여 이곳을 찾는 모든 사람들은 자세를 낮추고 들어가서 아기 예수님이 탄생하신 곳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주후 1100년 성탄절 날 볼드윈 1세는 십자군 시대의 예루살렘 왕으로서 그 즉위식을 이곳에서 가졌다. 주후 386년 제롬은 예수님 탄생교회 바로 옆에 있는 동굴에서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하였다. 이때 번역한 불게이트(Vulgate) 성경이 지금까지 카톨릭교회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성경이다. 라헬의 무덤 이곳은 '라마'로 언급되기도 하는데 (에레미야 (렘31:장 15절), 무슬림, 기독교인, 특히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기념 장소이다. 야곱의 사랑을 받던 라헬의 무덤 (창35:19, (창48:7)은 헤브론 길에서 베들레헴 길로 꺾어지면서 곧바로 보이는 곳에 잘 보존되어 있어서 이곳을 찾는 유대인들을 늘상 보게 된다. 유대인들의 안식일이나 중요한 절기 때 이곳에서 기도하는 유대인들을 볼 수 있다. 그들도 죽은 성인이나 조상들을 숭배하는 풍습이 있다. 이 외부 건물 구조물은 1860년에 새로이 지어진 것이다. 이 무덤에 와서 기도하면 번성과 안전한 출산의 능력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이 이곳에서 기도하기도 한다. 간간이 세파르딤 파에 해당되는 유대인 여성들이 이곳에서 울면서 기도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 그들이 벧엘에서 발행하여 에브랏에 이르기까지 얼마 길을 격한 곳에서 라헬이 임신하여 심히 신고 하더니 (창35:16) ※ 라헬이 죽으매 에브랏 곧 베들레헴 길에 장사되었고 야곱이 라헬의 묘에 비를 세웠더니 지금까지 라헬의 묘비라 일컫더라 (창 35:19 ~ 20) ▶ Bethlehem 1 - (창35:19, (창48:7, (삿12:8, (삿17:7, (삿19:1, (룻01:1, (룻02:4, (룻04:11, (삼상16:4, (삼상17:12, (삼상20:6, (삼하02:32, (삼하23:14, (대상11:16, (대하11:6, (스02:21, (느07:26, (렘41:17, (마02:1,(눅02:4 lt=31.70536&ln=35.21026 ▶ Bethlehem 2 - (수19:15 lt=32.7353&ln=35.1897
7 라마(Ramah) Map 파일
지명
jesus
2983 1 2006-12-30
▶ 라마(Ramah) 뜻: 높은 곳 라마(높은곳)이라는 명칭으로 사용된 곳은 주로 높은 산지에 위치하고 있는 지명이름이다. [1] 예룻살렘 북쪽 8km 기브아 북쪽 게바서쪽에 위치한 지점. 엘람과 동일시되는 지역 (1) 베냐민 북쪽 성읍(수18:25) (2)라헬이 자식을 위하여 애통한 곳(렘13:15, (마02:18). (3) 예레미야가 바벨론으로 잡혀 가다가 묵시를 받은곳(렘40:1). [2] (1) 에브라임 산중의 한 성읍으로 여사사 드보라의 고향(삿04:5). (2) 사무엘의 고향이며 그 무덤이 있는 곳이다(삼상07:17, (삼상25:1). [3] 납달리지파 지역, 사페드(Safed) 서쪽 24km 지점. 엘라메(Rama)인듯 납달리의 요해 도시로 과실 재배로 유명함(수19:36) [4] 두로 근처, 키르벳 벨라트(Kh. Belat)동편 아래 라스 엔 나쿠라(Ras en-Na qursa) 동쪽 약 18km 지점. 두로 부근에 있는 아셀의 성읍(수19:29). [5] 길르앗라못의 성읍으로 이스라엘왕 요람이 아람왕 하사엘과 싸우다가 상한 곳이다(왕하08:29). ---> 상세내용 라마1,2,3,4,5
6 나사렛(Nazareth)
지명
jesus
3688 1 2006-12-29
▶ 나사렛(Nazareth) 뜻:거룩하다 나사렛은 예루살렘에서 사마리아 산간 지방을 거쳐 북으로 약 134Km 지점, 텔아비브에서 동북쪽으로 약 105Km, 하이파에서는 동남쪽으로 약 35Km 되는 지역에 있다. 나사렛은 갈릴리 산간 지방에 속하며 산들이 둘러 서 있는 산간의 분지로 해발 약 375m 이고, 현재는 아랍인이 사는 동네로 기독교인과 회교인들이 섞여 살고 있고, 유대인은 산등성이에 새로이 정착을 하고 있다. 나사렛은 천사 가브리엘이 다윗의 자손 요셉과 정혼한 처녀 마리아에게 아들을 낳을 것을 계시해 준(눅01:26-38) 곳으로 동네 중심에 수태고지 교회가 있습니다. 또한 같은 울타리 안에 성 요셉 교회가 있고, 수태고지 교회에서 동북쪽으로 약 600m지점에 희랍 정교회 소속의 가브리엘 교회가 있으며, 가브리엘 교회 근처에 마리아의 우물이 있다. (1) 예수를 미워서 밀어뜨리려한 45척의 단애가 있다(눅04:29). (2) 30년간 예수님이 사신 고향(마02:13-23). (3) 풍속이 추접하고 악하여 예수를 나사렛인이라 하였다(마 2:23) (막01:24). (4) 오랫동안 복음을 전파했으나 신종치 않고 도리어 2차나 배척하였다(마13 :57), (눅04:29). 나사렛은 예수께서 출생 후 잠시 애굽으로 피난 했던 때를 제외하고는 태아에서 부터 유년기를 거쳐 성년이 되기까지 일생을 보낸 고향이다. 베들레헴 말 구유간에서 태어난 예수님은 헤롯의 박해를 피하여 애굽으로 피난 갔다가, 주의 사자가 이르는 대로 이스라엘 땅에 되돌아와서 정착한 곳이 그 부모의 고향이기도 한 나사렛이다. 예수님이 복음을 전파하실 때는 나사렛을 떠나지만 예수님의 이름 앞에는 항상 나사렛이라는 말이 붙어 다닌다. 크리스챤 이라는 말도 히브리어로는 '노쯔리', 아랍어로는 '낫스라이'라고 불리웠는데, 이는 '나사렛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나사렛은 에스드라엘론 평원 북쪽, 갈릴리의 언덕에 있는 한 마을이다. 티베리아스에서 31 Km, 하이파에서 39 Km 떨어진 해발 375 m 정도의 산으로 둘러 쌓여 있다. 아랍인 그리스도인들이 많은 이 마을 동쪽 산너머에는 새로이 조성되어온 유대인 도시가 있다. 성탄절을 전후한 시기에 성탄절을 느끼게 하는 도시의 하나이다. 성경에서 예수님은 '나사렛 사람' (마02:22 ~ 23, 요19:19)으로 불린다. 이집트에서의 피난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곳 (눅02:39)으로, 예수님은 그의 소년시절 (눅 2:51)을 이곳에서 보내셨다. 초기 그리스도 인들은 '나사렛당' 이라고 불리기도 하였고, 이것은 지금도 아랍어와 히브리어에 그리스도인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의 고고학적 발굴의 결과, 이곳 나사렛에는 오래전에 정착 문화가 형성되었다는 것과, 초기 로마시대 기간에 번성했던 것을 보여준다. 중기 청동기 문명 시대의 해골과 매장터가 도시 상부에서 발굴되었다. 1962년 가이사랴에서 발굴된 한 파편에는 히브리어로 나사렛이라 기록된 기록물이 등장하였고, 탈무드 시대의 기록물들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소년예수의 성장지 나사렛 (천혜의 자연경관…설교·예화 배경) 소년 예수는 나사렛이란 작은 시골동네에서 자라났습니다.그 도시는 갈릴리 지방 남단에 위치했는데 컵처럼 생긴 계곡 언덕위에 있었습니다.예수가 자기 집에서 남쪽으로 내려다 보면 메기도라는 기름진 평야가 눈 앞에 넓게 펼쳐져 있습니다.이 평야는 옛날부터 근동지방의 유명한 전쟁터였습니다. 동북지방의 바빌론 앗시리아 시리아 미도 페르샤와 같은 나라들과 가나안의 연합군 애굽 이스라엘이 허다한 전쟁을 치루어 수 많은 피를 흘린 지역입니다.여기가 말세가 되면 아마겟돈이라는 마지막 세계전쟁이 벌어진다는 곳입니다. 이스라엘의 첫번째 여성지도자였던 데보라가 바락장군과 함께 다볼산에서 뛰쳐 내려와 가나안 군대의 병거들을 섬멸한 곳입니다.기드온이 3백명의 정병으로 미디안 군대를 정복했던 지역이요 사울왕이 엔들무당의 동굴에서 최후의 조반을 들고 블레셋 군대와 싸워 패배하자 자기 칼에 엎드려 자살한 곳입니다. 아합왕이 다마스커스에서 몰려오는 아라멕군대를 무찌른 장소이고 요시야왕이 달려드는 앗시리군대와 싸우다 화살에 맞아 목숨을 잃은 곳입니다.그 평야를 바라보면서 예수는 구약의 역사를 많이 생각해 보았을 것입니다.이 지역은 이스라엘에서 가장 기름지고 아름다운 지역 가운데 한 곳입니다.나사렛 지방의 자연은 그렇게도 아름다운데 경건한 갈릴리 사람들 사이에서 그 동네는 인기가 없었고 아예 무시를 당하는 곳이었습니다. 제자가 된 빌립이 예수를 처음 만나고 너무 기뻐서 자기 친구 나다나엘을 찾아가 말했습니다.『우리가 메시야를 만났소.나사렛 동네에 사는 요셉의 아들 예수라는 분이요』 나다나엘의 첫마디가 『나사렛이라구?나사렛같은 동네에서 무슨 좋은 일이 일어난단 말이요』하며 핀잔을 주었던 적이 있었습니다(요한01:45-46). 나사렛에서 동북쪽으로 조금 가면 해발 500m쯤 되는 곳에 유리같이 맑고 물고기들이 펄떡대는 갈릴리 바다가 있습니다.게네사렛 호수라고도 부르지요.서남쪽 호숫가에는 로마황제가 지은 디베랴라는 신도시가 있었습니다. 거기에는 로마식 목욕탕들과 휴양지들이 있었고 길가에는 멋지게 늘어선 가로수가 있었습니다.디베랴도시에 막달라라는 거리는 유명한 홍등가였습니다.우리 귀에 익숙한 막달라 마리아가 바로 여기서 온 여자였습니다.갈릴리 바다에서 조금만 북쪽으로 가면 헤롯빌립왕의 궁정이 있었던 가이사라 빌립보라는 도시가 있고 그 도시 뒤쪽으로는 꼭대기에 늘 눈이 덮여있는 헐몬산이 버티고 있습니다. 그 곳에서 유명한 신앙고백이 처음 나타났습니다.예수께서 베드로에서 『너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라고 물으시자 『당신은 그리스도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십니다』(마16:16)라는 말을 한곳입니다. 나사렛 서쪽에는 엘리야가 바알선지자들을 무찌른 갈멜산이 있고 조금 더가면 지중해가 나옵니다.이런 지역이 예수께서 어린 시절에 자라온 무대였습니다.이런 지역에서 예수님은 마음껏 자연의 아름다움을 맛보면서 성장했는데 그 분의 설교나 비유나 예화에서 수차 자연을 예들어 말씀하신 배경이 되었습니다. 예수는 요셉의 무릎위에서 토라를 처음 배웠습니다.토라는 모세오경입니다.유대아이들이 제일 먼저 배우는 성경말씀은 『쉐다』라는 구절인데 기독교 아이들이 요한복음 3:16을 배우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오 이스라엘아 들으라 여호와 우리 하나님은 한 분이시니 너희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주 너희 하나님을 사랑하라』(신06:4-5). 데칼로그라고 부르는 십계명이나 토라에서 중요한 구절들을 다른 유대 아이들이 배우듯이 암송하며 배웠습니다.경건한 유대 가정에는 토라를 적어 놓은 두루마리가 하나씩 있었습니다.두루마리를 읽으면서 아이들은 글을 배웠습니다.부모들은 시몬 벤 샤타 때부터(주전 75년경)동네마다 세워놓은 학교에 아이들을 보냈습니다.아이가 좀 더 자라면 혼자 성경을 읽게 했습니다.성경을 열심히 탐구했습니다. 당시 유대에서는 최소한도 네 나라말을 사용했는데 예수도 자라나면서 자연스럽게 배웠습니다.아라멕어가 유대인들의 일상용어였고 희랍어도 널리 쓰여졌습니다.한번은 희랍사람들이 예수님을 만나러 온적이 있었습니다(요한12:20).유대사람들은 대개 희랍어를 알았습니다. 신약성경 전체가 희랍어로 쓰여져 있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토라의 언어인 히브리어도 가르쳤습니다.아라멕과 히브리어는 사촌간이어서 아라멕어를 하는 사람은 쉽게 배울 수 있었습니다.또 라틴어도 알았을 것입니다.당시는 로마가 지배하던 시대여서 곳곳마다 많은 로마군인들과 민간인들이 와 있었는데 그들이 공용어로 사용한 언어였습니다. 예수님의 십자가에도 라틴어로 「유대인의 왕 나사렛 예수」라고 써 붙였던 일이 있었습니다.예수님은 4개국어를 알고 있었습니다.고고학자들이 이스라엘에서 4개국어로 쓰여진 수 많은 예수님 당시 문서들을 발굴해 냈습니다. 예수님은 자라나면서 자연을 즐기고 구약성경을 배웠으며 국제적 문화도 접하였습니다.나사렛을 중심해서 요셉과 함께 여러 곳을 다니며 목수의 일을 하면서 성장했습니다. (김상복목사의 신약이야기 /아신대교수·할렐루야교회목사) 언덕위의 나사렛 마을 갈릴리 여정을 어느 정도 마친 우리 일행은 서쪽 방향으로 나아갔다. 우리가 도착한 곳은 나사렛이었다. 나사렛은 비옥한 이스르엘 평원이 멀리 바라보이는 해발 380미터 정도 언덕위에 세워진 작은 마을이다 현재 아랍 사람들이 약 4 만 명 가량 살고 있으며, 이들은 비록 아랍 사람이기는 하지만, 대부분이 기독교인이다. 나사렛은 요셉과 마리아의 고향이며, 예수님께서 성장하신 곳이다. 예수님은 베들레헴에서 태어나신 후 헤롯을 피해 애굽으로 가셨다. 그후 애굽에서 돌아오신 후에도 헤롯의 아들 아켈라오타 유대의 왕이 된 것을 아시고 나사렛에서 성장하셨다. 그 후 예수님 성호 앞에는 '나사렛'이 언제나 붙어 다녔다. "나사렛 예수!"그 때 이후로 예수를 따르는 사람들은 나사렛 사람들이라고 불리웠고, 지금도 이스라엘에서는 기독교인들을 "노쯔리"(Notzri)라고 부른다. 사람들은 "나사렛에서 무슨 선한 것이 날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면서 예수님을 무시했다.(참고, 요 1:46) 그러나 그 보잘 것 없는 곳이 메시야의 고향이 되었다. 하나님은 언제나 작은 자들을 사용하신다. 작은 마을, 작은 사람들,작은 자라고 느끼는 불쌍한 사람들을 사용하신다. 그러므로 천국은 소자들의 나라이다. 그곳은 대인들은 어울리지 않는다. 주님 안에서 한없이 낮아진 소자들에게 어울리는 나라가 천국이다. 오늘날도 이 땅의 수많은 나사렛에 주님께서 임하신다. 나사렛에서 디베리아로 가는 큰 길의 왼쪽 길가에 있습니다. 가브리엘교회의 샘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이 우물로 연결됩니다. 지금의 건축물은 1862년에 세워진 것입니다." 나사렛에서 눈길을 끄는 것 중의 하나는 성가브리엘 교회 근처에 있는 "마리아의 우물"이다. 아마도 마리아도 이 샘에서 물을 길었을 것이다. 그 물로 음식을 만들고, 그 물로 빨래를 했을 것이다. 그 물은 예수님께서 잡수신 물일 것이다. 생수이신 그 분이 마신 또 하나의 물이었다. 나사렛에서 유명한 것은 수태고지 교회이다. 유명한 콘스탄틴 대제의 어머니 헬레나는 326년경에 나사렛에 첫 번 째 교회를 지었다. 이 교회는 마리아의 집터라고 알려진 곳에 세워졌다. 그러나 이 교회는 그 후 주인이 다섯 번이나 바뀌었다. 모슬렘이 이 지역을 장악했을 때 나사렛은 많은 고통을 받았다. 그 후 1099년 십자군에 의해 일시 해방되었으나, 1187년 사라센이 십자군을 무찌름으로써 다시 모슬렘 화되었다. 그 후1517년 터어키가 통치권을 장악했고, 1630년에는 프란시스코회가 다스리다가, 1918년 영국의 손에 넘어갔다. 1966년 중동 전 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수태오지 기념교회가 완성되었다. 베이지색 건물에 벽돌색 돌을 줄무의로 넣은 이 교회당은 20세기 가장 뛰어난 교회 건축가로 알려진 이탈리아의 무지오가 설계하였고, 정면 폭이 30미터, 길이가 70미터나 된다. 이 교회당 안에서 유명한 것은 아기 예수님을 안고 있는 마리아를 그린 성화들로서 벽면을 가득 채우고 있다. 그 중에 우리 나라에서 보낸 성화도 있다. 나사렛이 우리에게 남겨 준 기억 중의 하나는 예수님을 배척하였다는 사실이다. (참고, (눅04:장) 그들은 예수님의 설교가 귀에 거슬려서 예수님을 언덕으로 끌고가서 떨어뜨리려고 했다. 나사렛의 한 쪽 면은 꽤 가파른 절벽이다. 지금도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선지자가 고향에서 존경을 받을 수 없다는 유명한 말씀이 그 때 인용되었다. 나사렛 사람들은 예수님을 배척하고, 그 복음을 받은 우리 이방인들이 순례자가 되어 나사렛을 찾는 역설적 현상을 경험하게 된 것이다. 나사렛을 떠난 우리는 가나에 도착했다. 가나는 나사렛에서 티베리야로 가는 길 약 6kn 지점에 있다. 현재 가나는 크활가나(Kefar-Kana)라고 불리운다. 가나에는 아람 기독교인들과 러시아에서 온 회교도들이 주로 살고 있다. 가나에는 주후 3세기경에 지어진 교회당이 있다. 이 교회의 바닥 모자이크에는 당시 유대인들이 사용하던 아람어 기록이 있고, 지하실에는 옛 포도주 항아리들이 여러 개 놓여 있었다. 그 항아리의 크기는 예전 우리 어머니들이 사용하던 커다란 간장 항아리 만큼이나 되었다. 가나는 예수님께서 첫 이적을 행하신 곳이다. 예수님께서는 어머니와 함께 혼인 잔치에 참석하셨다. 잔치 도중 포도주가 모자라서 당황하던 중에 예수님은 물로 포도주를 만드셨다. 우리가 교회당 안에 들어갔을 때 서양 사람 부부가 신부 앞에서 특별한 예식을 거행하고 있었다. 알고 보니 그들은 결혼 25주년이라고 했다. 가나의 혼인 잔치를 생각하면서 그들은 남은 결혼 생활을 더 아름답게 하기 위해 기도 중이었다. 교회당 벽에는 조그마한 액자가 걸려 있었는데, 다음과 같은 글귀가 적혀 있었다. "가나는 지금도 예수 그리스도께서 물로 포도주를 만드시는 전능한 주님이심을 선언하고 있다. 그리스도는 지금도 말씀 한 마디로 무엇이든 변화시키시는 분으로 우리 앞에 서 계시다. 지금도 그 분은 슬픔이 변하며 기쁨이 되게 하시고, 가파른 산마루턱이 변하여 곧은 신작로가 되게 하신다. 우리 모두 우리의 문제를 그 분께 가져가지 않겠는가?" 교회당 앞에는 몇 몇 가게가 있는데, 모두 포도주를 팔고 있었다. 술을 가까이 할 수 없는 금기에도 불구하고, 목사님들이 포도주를 몇 병씩 샀다. 그 포도주를 성찬식 때 사용하겠다고들 한다. 점원들은 포도주를 조그마한 잔에 따라주면서 맛을 보라고 성화를 부렸는데, 제법 맛이 괜찮았다. 포도주를 사신 목사님 중 한 분은 후에 가방 안에서 병이 깨지는 바람에 소지품이 포도주로 목욕을 하기도 했다. 방사꾼의 포도주보다 더 값진 것은 성령의 포도주이이라! 주여. 우리에게 성령의 생수를 허락하옵소서. (김운성목사) (마02:23, (마04:13, (마21:11, (마26:71, (막01:9,24, (막10:47, (막16:6, (눅01:26, (눅02:4,39,51, (눅04:16,34, (눅18:37, (눅24:19, (요01:45,46, (요18:5,7, (요19:19, (행02:22, (행03:6, (행04:10, (행06:14, (행10:38, (행22:8, (행26:9 ▶ 나사렛 Nazareth. [Naz'areth] Town where the Lord was 'brought up.' Early in the Lord's ministry He visited Nazareth, and taught in the synagogue. The people wondered at His gracious words, but they said, "Is not this Joseph's son?" When He told them that no prophet is accepted in his own country, and proceeded to speak of the grace of God having gone out to the Gentiles in O.T. times, they were filled with wrath, thrust Him out of the city, and sought to hurl Him over the brow of the hill on which the city was built. But He, passing through the midst of them, went His way. Luke 4:16-30. About twelve months later He visited 'his own country' again and taught in the synagogue. But the inhabitants only regarded Him as 'the carpenter,' and were offended in Him. He did not many mighty works there because of their unbelief. Matt. 13:54-58; Mark 6:1-6. As far as is known the Lord did not visit Nazareth again. (눅04:16-30 예수께서 고향에서 배척 당함 (마13:54-58 54 고향으로 돌아가사 저희 회당에서 가르치시니 저희가 놀라 가로되 이 사람의 이 지혜와 이런 능력이 어디서 났느뇨 55 이는 그 목수의 아들이 아니냐 그 모친은 마리아, 그 형제들은 야고보, 요셉, 시몬, 유다라 하지 않느냐 56 그 누이들은 다 우리와 함께 있지 아니하냐 그런즉 이 사람의 이 모든 것이 어디서 났느뇨 하고 57 예수를 배척한지라 예수께서 저희에게 말씀하시되 선지자가 자기 고향과 자기 집 외에서는 존경을 받지 않음이 없느니라 하시고 58 저희의 믿지 않음을 인하여 거기서 많은 능력을 행치 아니하시니라 (막06:1-6 고향 나사렛에서 배척 It is identified with en Nasirah, in Lower Galilee, 32 42' N, 35 18' E. The town presents a striking appearance, the houses being built of the white limestone of the neighbourhood, which reflects the rays of the sun. There is a steep precipice which is probably the place where the enraged people intended to cast down the Lord. A spring, called the 'fountain of the virgin,' supplies the town with water, where the women may daily be seen with their pitchers, and whence doubtless the mother of the Lord also fetched water for her family. The name of the city often occurs in the gospels in the expression, 'Jesus of Nazareth,' and this designation was also placed on the cross. God has highly exalted the One who humbled Himself, and was in the eyes of the Jews merely 'Jesus of Nazareth.'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2.7067454&ln=35.30152807
5 갈릴리(Galilee) 파일
지명
jesus
3486 3 2006-12-29
▶ 갈릴리(Galilee) 뜻:둥글다 1) 구약 시대에는 요단강 서쪽 팔레스틴의 북부를 보통 갈릴리라 하였다(수20:7, (왕상09:11, (왕하15:29, (대상06:26). 2) 이스라엘 백성이 처음 가나안에 들어왔을 때 스불론(수19:10-16) 아셀 (수19:32-39)자손들이 제비를 뽑아 차지 하였으며 여러번 혈투를 하였지 만 가나안 족속을 완전히 물리치지 못하엿다(삿01:30-33,4,). 3) 예수님이 12 제자중 11제자를 이곳에서 택하였다. ======== Galilee. [Gal'ilee] This was a much smaller district in the O.T. than in the N.T., although its area is not very defined. It seems formerly to have included a portion of Naphtali, and perhaps a portion of Asher. 'Kedesh in Galilee,' one of the cities of refuge was in Naphtali. Joshua 20:7; Joshua 21:32; 1 Chr. 6:76. Solomon gave Hiram twenty cities in Galilee. These are not named, but they would naturally be near to Tyre. When Hiram went to view them he called them the 'land of Cabul,' as if he included them all under the one name of 'Cabul,' worthless. Now there was and is a village of this name on the frontier of Asher, which would seem to indicate that Asher was in the district of Galilee. 1 Kings 9:11-13. About B.C. 740 Tiglath-pileser carried away captive all the inhabitants of Naphtali, etc. 2 Kings 15:29. This was doubtless followed by the district being inhabited by foreigners, who, when the captivity of Israel was completed, would be able to spread themselves southward. Hence the term 'Galilee of the Gentiles,' or nations, which does not occur until Isa. 9:1; the prophecy is quoted in Matt. 4:15. In N.T. times Galilee had become a much larger district, including the portions of Asher, Naphtali, Zebulon, and Issachar. It had over 200 towns and villages, and about three million inhabitants in Josephus' time. It was bounded on the south by Samaria, and embraced the whole of the north part of Palestine. It included the towns of Nain, Nazareth, Cana, Tiberias, Magdala, Dalmanutha, Bethsaida, Chorazin, and Capernaum. It is probable that the Galilaeans had a different manner of pronunciation, or the language spoken in Galilee was not so refined as that spoken at Jerusalem, which led to Peter being detected by his speech. Matt. 26:69, 73; Mark 14:70. But the voice of the same Peter, under the power of God, was mighty on the day of Pentecost, though the hearers said "are not all these which speak Galilaeans?" Acts 2:7. They were surprised to hear such men speak in foreign tongues, the more so because no prophet was ever looked for from thence, nor any good thing from Nazareth. John 1:46; John 7:52. Still in that despised district the Lord spent His youth: thus early was He as One separated from the course of the nation of Israel, a Nazarene; and the principal part of His ministry was among the poor of the flock in that locality; fulfilling thus the will of God and the prophetic word, on which God had caused His people to hope. --- Morrish Bible Dictionary ▶ 신약 시대에 팔레스틴을 3도로 나누어 갈릴리의 경게는 동은 요단강과 갈릴리해, 서는 지중해 남은 사라리아도, 서는 지중해 남은 사마리아도 서북은 베니게로서 남북이 50마일,동서가 25마일 내지 35마일로 북방은 산지가 많고 남쪽은 평원이다. 토지가 비옥하고 경치가 아름다우며 404개의 중소도시 및 촌락이 있다. 갈릴리는 예수님의 복음 선교 활동의 중심지 였다. 제자들도 대부분 이곳에서 부르심을 받았으며 베드로가 살던 집도 이곳 갈릴리 해변의 가버나움 마을이었다. 오병이어의 기적을 행하시던 들판도 바로 갈릴리 호수의 북쪽 연안이었으며 유명한 산상보훈의 설교도 이곳 언덕 위에서 였다. 믿음이 부족했던 베드로가 풍랑 속에 빠진 것도 이 갈릴리 호수에서 였다. 해면보다 그 수면이 200m 나 낮은 갈릴리 호수. 평상시에는 잔잔하고 맑으나 때때로 큰 폭풍으로 성난 파도를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 예수님 당시의 갈릴리 호수 연안은 중요한 교통의 요지 이면서 아름다운 경치와 기름진 옥토를 갖고 있어서 주변 인구가 매우 많았다고 한다. 지금도 이곳은 바나나, 목화, 오렌지, 올리브 등 갖가지 농산물이 풍부하게 재배되고 있으며 갈릴리 호수의 물은 전 이스라엘 땅의 음료수는 물론 농업용수와 공업용수까지 대부분 충당하는 생명선이 되고 있다. 심지어 남쪽으로 360Km나 떨어져 있는 네게브 사막의 세데보케(Ssede Boque)까지 물을 공급해 준다. 호수에서 처음 시작되는 송수관은 큰 자동차가 드나들 정도로 크지만 점차 가늘어 지면서 흡사 사람 몸의 혈관처럼 이리 저리 연결되어 전 국토를 적셔 주는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낮은 갈릴리 호수, 바다의 수면보다 700피트 아래에 위치하며 이스라엘 북부 납달리 지파의 땅에 속한 이 담수호수는, 하프의 모양같이 생겼기에 히브리어로 키노르라 불리었고 이는 게네사렛의 어원이 되었다. 지난 25년 동안이나 주후 1세기의 갈릴리를 연구한 고고학자는, 최근에 와서 예수님 당시에 사용하던 배와 배를 고정시키기 위한 돌들과 파도를 막기 위해 항구에 쌓은 방파제(눅 8:23)들을 갈릴리에서 발견함으로써, 과거 초대교회의 역사를 고스란히 21세기의 문턱에 올려 놓았다. 예수님 당시 갈릴리는 수산업이 크게 번창한 곳으로서, 남방 출신인 가롯유다를 제외한 예수님의 제자 대부분이 어업에 종사했던 것만 보아도 이를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다. 최근 고고학적인 연구에 따르면, 주후 1세기경의 갈릴리 호수내의 항구는 최소 15개나 되는데 그 중에 가버나움, 게네사렛, 막달라, 디베랴, 거라사 등 우리에게 친숙한 지명 모두가 항구에 속한 도시로 밝혀지게 됐다. 당시 갈릴리 호수를 중심으로 퍼져있는 여러개 항구들을 통해 많은 여행객들과 상인들이 배를 이용하여 동서편을 왕래하곤 했던 것이다. 로마시대 때에는 오늘날보다 갈릴리 호수의 수면이 약 4피트 정도가 더 낮았다고 전한다. 특히, 베드로와 안드레가 고기 잡던 곳으로서 가버나움 항과 막달라항 사이에 위치한 타브가 항구는 초대교회의 사적지로 아주 유명한 곳이다. 이 타브가에서 예수님은 '나를 따르라 내가 너희로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고 소명을 주셨고(막 1:17), 또 부활 후 이른 새벽에 이 항구에 나타나 '내 양을 먹이라'고 말씀하셨던 것으로 유명하다. 타브가란 헬라어로 '일곱개의 샘물'이란 뜻으로 이곳에 따뜻한 미네랄 온천이 솟아올랐기에 전통적으로 가버나움 출신의 어부들은 겨울철에 꼭 이곳에 와서 어업을 했다고 전한다. 따라서 이 타브가는 예수님과 그의 제자들이 처음으로 만난 곳이고 부활 후에도 마지막으로 이곳에 와서 제자들과 조반을 먹었던 장소로 확증된다(눅05:1-7; (요21:1-8). 갈릴리의 예수님의 발자취 갈릴리 바다 주변은 온통 예수님의 발자취로 가득하다 . 예수님은 특별히 갈릴리 사람들에게 애착심을 가지셨다. '이방의 갈길리에 먼저 복음이 전해질 것을 암시한 이사야의 예언 (사09:1)을 생각지 않는다고하더라도 공생애 이전의 삼십여 년의 세월을 보내신 갈릴리에 대한 예수님의 애착은 너무도 자연스러운 것이다 . 갈릴리를 답사하는 우리는 발걸음 하나마다 예수님을 생각지 않을 수 없었고 , 숨 한번 들이쉴 때마다 같은 공기를 숨쉬셨을 주님을 묵상하지 않을 수 없었다 . 갈릴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곳은 그 때까지 세상에 존재하던 모든 복의 개념을 뒤집어 엎으시고 , 새로운 복의 나라를 선언하신 팔복산이다 . 이 곳은 산이라기 보다는 갈릴리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야트막한 구릉이다 . 예수님은 여기서 여덟 가지 복을 말씀하셨다 . 구릉 위에는 팔각형으로 된 교회가 있다 . 그리고 교회당 꼭대기에는 작은탑이 서있는데 , 이 교회를 설계한 이탈리아 건축가는 그 탑을 통하여 아홉 번째 복을암시하고자 했다고 한다 . 그가 생각한 아홉 번째 복은 "나를 인하여 너희를 욕하고 핍박하고 거짓으로 너희를 거스러 모든 악한 말을 할 때에는 너희에게 복이 있나니 기뻐하고 즐거워하라 하늘에서 너희의 상이 큼이라 "라는 말씀이었다고 한다 . 그렇게 생각해 보면 팔복의 내용 전체가 아홉 번째 복에 귀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그내용 모두가 고난에 귀결되지 않는가 ? 그리고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는 삶이야 말로 모든 복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다 . 작은탑이 교회 맨 꼭대기를 장식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 여겨졌다 . 그리고 그 고난의 십자가는 하늘을 향해 온 몸을 뻗치고 있는 것이다 . 오늘 우리 신앙의 마지막 표현은 바로 그 아홉 번째 복을 통해 드러난 그모습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팔복 교회의 아름답고 평화로운 정경을 뒤로 한 우리의 발걸음이 닿은 곳은 오병이어 교회였다 . 1930 년대 초에 독일 고고학 발굴팀은 갈릴리 바다의 북서쪽에 있는 다브가 (Tabgha)란 곳에서 매우 소중한 유적을 발굴했다 . 그것은 약 400 년경에 건축된 교회의 유적이었는데 , 그 교회는 아랍인에 의해 파괴되어 1000 년이 넘는 세월을 땅속에 묻혀 있었다 . 특이 이 유적이 의미가 있는 것은 그 교회 바닥에서 모자이크로된 오병이어 모자이크였다 . 그림은 두 마리의 물고기 사이에 둥근 떡들이 그려진 모습 이었다 . 독일 캐톨릭 교회는 발굴된 모자이크를 기념하고 보호하기 위해 그 위에 교회를 지었는데 , 이것이 오병이어 교회인것이다 . 교회당 안에서 우리 마음속에는2천년 전 어느날 예수님 앞에 둘러앉아 있었을 군중들의 모습이 떠올랐다 . 어린아이가 음식을 내놓을 때까지 꼼짝도 하지 않았던 이기적인 사람들 , 그리고 떡과 고기를 받아먹은 후 배신하여 예수님을 떠난사람들, 이런 식으로 우리는 그들을 비난해왔지만 , 그 보다 먼저 은총의 떡을 먹은 그들이 부럽다는 생각이 더 먼저 드는 것은 왜일까 ? 그들은 그래도 예수님을 찾아온 사람들이었다. 그리고 하루 종일 어두워질 때까지 말씀을 들었다. 그 사모함과 인내심만으로도 떡과 고기를 먹을 자격이 충분히 있다. 오늘날 예수님께로 잘 가지도 않고, 사모하지도 않으며, 짧은 한 시간 예배도 인내치 못하는 우리들에 비하면 충분히 자격이 있다. '주여 저희에게도 생명의 양식을 주옵소서'라고 기도한 후, 내려오는 길에 기념품 가게에 들러 모자이크가 그대로 새겨진 잔 두 개를 샀다. 집에 돌아올 때까지 그 잔을 깨지지 않게 보관하기 위해 얼마나 애를 썼는지! 오병이어 교회 근처에 우리를 붙들고 놓아 주지 않는 한 자그마한 교회가 있었다 . 검은색 돌로 지어진 이 작은 예배당은 베드로교회였다 . 교회 안에는 바닥에 넓은 바위가 눈에 들어온다, 안내인은 그 바위 위에서부활하신 예수님과 베드로의 대화가 있었다고 한다. 에수님과 베드로의 대화라기 보다는 예수님과 시몬의 대화였다고 하는 것이 더 옳겠지만, 시몬은 아직 제자답지 못한 불완전한 자연인의 모습을 암시하고, 베드로는 성숙한 예수님의 제자를 암시한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그날 바위 위에 고개를 숙이고 앉아 있었던 사람은 스승을 부인한 부끄러운 시몬이었던 것이다. 그 순간 그는 베드로라고 불리울 수 없었다. 그는 여전히 부족한 죄인 시몬일 따름이었다. 그리고 그 시몬은 오고 오는 모든 시몬들의 대표이다. 그와 예수님의 대화는 우리 모두와 예수님의 대화이다. 시몬이 예수님과 나눈 대화는 곧 우리가 예수님과 나눈 대화이다. 예수님은 영원한 질문을 던지셨다.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이 질문 앞에서 숙연해진다. 사랑하지 않으시고 사랑을 요구하시는 것이 아니라, 죽기까지 먼저 사랑하신 후 던지신 질문이기에 그 누가 이 질문 앞에 숙연하지 않겠는가? 우리 일행은 그 바위 앞에서 모두 2천년 전으로 돌아간 듯 숨죽인 채 깊은 묵상속으로 들어갔다, 과연 나는 그 질문에 진실된 사랑의 고백을 드릴 수 있는지? 그러나 예배당을 뒤로하고 나오면서 우리 마음이 어둡지 만은 않았다. 왜냐하면 우리는 예수님께서 사랑을 묻기 전에 제자들을 숯불가의 만찬으로 초청하셔서 사랑의 떡을 먹이셨음을 알고 있기 때문이었다. (김운성 목사) (수12:23, (수20:7, (수21:32, (왕상09:11, (왕하15:29, (대상06:76, (사09:1, (마02:22, (마03:13, (마04:12,15,23,25, (마17:22, (마19:1, (마21:11, (마26:32, (마27:55, (마28:7,10,16, (막01:9,14,28,39, (막03:7, (막06:21, (막09:30, (막14:28, (막15:41, (막16:7, (눅01:26, (눅02:4,39, (눅03:1, (눅04:14,31, (눅05:17, (눅08:26, (눅17:11, (눅23:5,49,55, (눅24:6, (요01:43, (요02:1,11, (요04:3,43,45,46,47,54, (요07:1,9,41,52, (요12:21, (요21:2, (행01:11, (행09:31, (행10:37, (행13:31 lt=32.7067454&ln=35.301528
4 헤롯 대왕(Herod the Great) 파일
인물
jesus
10200 6 2006-12-28
▶ 헤롯(Herod) 헤롯왕가 뜻: 영웅의 아들 팔레스틴과 그 인접 지역을 B.C 55년경부터 A.D 93년경 까지 통치한 왕조의 왕들 ▶ 헤롯대왕(B.C. 37-4). - 팔레스틴의 통치권을 가졌던 안디바델(B.C. 55-43)의 제2자 (1) 헤롯왕가의 창시자이며 예수 탄생시의 왕(마02:1-18). (2) 25세에 갈릴리의 총독을 역임하고 B.C.40년에 로마황제 아구스도에 의 해 로마 왕으로 임명. (3) 이두메 사마리아 갈릴리 지방을 쳐서 B.C.37년에 예루살렘을 함락시키고 유대 왕으로 군림하였다. (4) 성격이 강인하고 또 현명한 재질을 가졌으나 매우 잔인한 행위도 하였 으 니 곧 예수의 탄생을 듣고 불안을 가져 베들레헴의 아이들을 살해한 것을 대표로 들수 있다(마02:16). (5) 그는 많은 공공 사업을 하고 예루살렘 성전의 재건에 착수 하였다. 그는 10인의 아내를 두고 많은 자녀를 두었다. B.C. 4년에 악질에 걸려 70세로 죽었다. ▶ Herod [Her'od ] the Great. He was the son of Antipater an Idumaean, who was a proselyte to Judaism. His father having aided Caesar in his war with Egypt was rewarded by being made procurator of all Judaea, and he made his son Herod, then only fifteen years of age, governor of Galilee. On the death of Julius Caesar the country was in anarchy; but eventually Herod contrived to ingratiate himself with Antony and Octavian, and was appointed KING OF JUDAEA. He began his reign (B.C. 37) with blood: there were a few left of the Asmonaean house, descendants of the Maccabees; these were put to death and their adherents, and the whole of the Sanhedrim except two. Herod had married Mariamne, daughter of Alexandra, who had a son named Aristobulus, a descendant of the Maccabees. Herod, being afraid of Rome to which Alexandra had appealed, made Aristobulus high priest; but when he witnessed the joy of the people his jealousy was aroused, and he caused the young man to be drowned, while bathing with his comrades, through their pretended rough play. Herod honoured his funeral, but none were deceived, and on Alexandra appealing to Cleopatra and Antony, he was summoned to appear. He left orders with his uncle Joseph that if he were put to death, Mariamne was to be killed. Herod succeeded in satisfying Antony; and indeed he had Coele-syria added to his dominions. On his return, his sister Salome poisoned his mind with suspicions of his wife's infidelity with Joseph, who had unwisely betrayed the orders of Herod. He was however reconciled with his wife, but Joseph was put to death and Alexandra imprisoned. On Octavian becoming emperor, Herod contrived to secure his favour. Herod's domestic life was however greatly embittered by his renewed suspicions against his wife (who had again discovered that during his absence orders had been given to put her to death if he lost his life). He seemed to think her guilty and she was sacrificed to his jealousy; but as soon as his beautiful wife was slain he was filled with the deepest remorse. Her mother also was put to death. [For Herod's other wives, see HEROD, FAMILY OF.] Though Herod was nominally attached to Judaism he tried to introduce into Jerusalem Grecian and Roman games. These things were great eye-sores to the strict Jews, but a great many were won over to these follies. The year B.C. 25 was one of famine in Judaea, and Herod sacrificed his gold and silver plate to purchase corn from Egypt to feed the people, and he gave them seed for the next year, by which he gained popularity. Herod also ingratiated himself with the Jews by his costly enterprise of rebuilding the temple. To allay their suspicions, he procured the material before he demolished any part. The new edifice was a stately one of white marble. New fears destroyed the peace of Herod. On the return of his two sons by Mariamne, now grown to manhood, they were hailed with enthusiasm by the people. He feared they would avenge their mother's death, therefore after trivial charges they were both strangled. This was followed by Antipater, another son, being put to death, who was proved to be guilty of plotting to have his father poisoned. Herod's body was greatly diseased: the increasing torments had even caused him to attempt suicide. He ordered that the heads of the chief families in Judaea should be shut up in the Hippodrome at Jericho, to be put to death as soon as he expired, that there might be mourning at his death! This cruel order was not carried out. His anxieties were heightened by the visit of the Magi to Jerusalem, inquiring for the child who had been born KING OF THE JEWS. Herod cunningly sought to find out what child was to have this honour, that he might at once cut him off. Being thwarted by the Magi he ordered the massacre of all the infants in the district; but God had sent away His Son from his power. Matt. 2:1-22. Herod died B.C. 4. This was the first earthly 'power' that had anything to do with the Lord Jesus. We know from Rev. 12:1-5 that Satan was really the actor through Herod; but he was defeated then and will be again and again until his final doom. (마02:1-22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계12:1-5 (영적 전쟁에 대한 이상) 1 하늘에 큰 이적이 보이니 해를 입은 한 여자가 있는데 그 발 아래는 달이 있고 그 머리에는 열 두 별의 면류관을 썼더라 2 이 여자가 아이를 배어 해산하게 되매 아파서 애써 부르짖더라 3 하늘에 또 다른 이적이 보이니 보라 한 큰 붉은 용이 있어 머리가 일곱이요 뿔이 열이라 그 여러 머리에 일곱 면류관이 있는데 4 그 꼬리가 하늘 별 삼분의 일을 끌어다가 땅에 던지더라 용이 해산하려는 여자 앞에서 그가 해산하면 그 아이를 삼키고자 하더니 5 여자가 아들을 낳으니 이는 장차 철장으로 만국을 다스릴 남자라 그 아이를 하나님 앞과 그 보좌 앞으로 올려가더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 Herod, Family of. No. 1 is mentioned as 'Herod the king' in Matt. 2:1-22; Luke 1:5 (마02:1-22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눅01:5 유대 왕 헤롯 때에 아비야 반열에 제사장 하나가 있으니 이름은 사가랴요 그 아내는 아론의 자손이니 이름은 엘리사벳이라 No. 2. Philip, Matt. 14:3; Mark 6:17; Luke 3:19. (마14:3 전에 헤롯이 그 동생 빌립의 아내 헤로디아의 일로 요한을 잡아 결박하여 옥에 가두었으니 (막06:17; 전에 헤롯이 자기가 동생 빌립의 아내 헤로디아에게 장가 든 고로 이 여자를 위하여 사람을 보내어 요한을 잡아 옥에 가두었으니 (눅03:19 분봉왕 헤롯은 그 동생의 아내 헤로디아의 일과 또 그의 행한 모든 악한 일을 인하여 요한에게 책망을 받고 No. 3. Herod the Tetrarch, Matt. 14:1-6; Luke 3:1-19; Luke 9:7; Acts 13:1; (마14:1-6; 1 그 때에 분봉왕 헤롯이 예수의 소문을 듣고 2 그 신하들에게 이르되 이는 세례 요한이라 저가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났으니 그러므로 이런 권능이 그 속에서 운동하는도다 하더라 3 전에 헤롯이 그 동생 빌립의 아내 헤로디아의 일로 요한을 잡아 결박하여 옥에 가두었으니 4 이는 요한이 헤롯에게 말하되 당신이 그 여자를 취한 것이 옳지 않다 하였음이라 5 헤롯이 요한을 죽이려 하되 민중이 저를 선지자로 여기므로 민중을 두려워하더니 6 마침 헤롯의 생일을 당하여 헤로디아의 딸이 연석 가운데서 춤을 추어 헤롯을 기쁘게 하니 (눅03:1-19; 예수께서 세례를 받으심 (눅09:7 분봉왕 헤롯이 이 모든 일을 듣고 심히 당황하여 하니 이는 혹은 요한이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났다고도 하며 (행13:1 안디옥 교회에 선지자들과 교사들이 있으니 곧 바나바와 니게르라 하는 시므온과 구레네 사람 루기오와 분봉왕 헤롯의 젖동생 마나엔과 및 사울이라 the king, Matt. 14:9; (마14:9 왕이 근심하나 자기의 맹세한 것과 그 함께 앉은 사람들을 인하여 주라 명하고 King Herod, Mark 6:14-22; (막06:14-22 세례 요한을 죽인 헤롯왕 Herod, Luke 13:31; Luke 23:7-15. (눅13:31 곧 그 때에 어떤 바리새인들이 나아와서 이르되 나가서 여기를 떠나소서 헤롯이 당신을 죽이고자 하나이다 (여우) (눅23:7-15 십자가에 못 박히는 예수 No. 4. Archelaus. Matt. 2:22. (마02:22 그러나 아켈라오가 그 부친 헤롯을 이어 유대의 임금 됨을 듣고 거기로 가기를 무서워하더니 꿈에 지시하심을 받아 갈릴리 지방으로 떠나가 No. 5. Philip tetrarch of Ituraea and Trachonitis. Luke 3:1 (눅03:1 디베료 가이사가 위에 있은지 열 다섯해 곧 본디오 빌라도가 유대의 총독으로, 헤롯이 갈릴리의 분봉왕으로, 그 동생 빌립이 이두래와 드라고닛 지방의 분봉왕으로, 루사니아가 아빌레네의 분봉왕으로, No. 6. Herod the king. Acts 12:1-21. (행12:1-21 교회를 핍박하는 헤롯 No. 7. Herodias. Matt. 14:3-6; Mark 6:17-22; Luke 3:19. (마14:3-6; 3 전에 헤롯이 그 동생 빌립의 아내 헤로디아의 일로 요한을 잡아 결박하여 옥에 가두었으니 4 이는 요한이 헤롯에게 말하되 당신이 그 여자를 취한 것이 옳지 않다 하였음이라 5 헤롯이 요한을 죽이려 하되 민중이 저를 선지자로 여기므로 민중을 두려워하더니 6 마침 헤롯의 생일을 당하여 헤로디아의 딸이 연석 가운데서 춤을 추어 헤롯을 기쁘게 하니 (막06:17-22; 세례 요한을 죽인 헤롯왕 (눅03:19 분봉왕 헤롯은 그 동생의 아내 헤로디아의 일과 또 그의 행한 모든 악한 일을 인하여 요한에게 책망을 받고 No. 8. King Agrippa. Acts 25:13; Acts 26:1-32. (행25:13 수일 후에 아그립바 왕과 버니게가 베스도에게 문안하러 가이사랴에 와서 (행26:1-32. 아그립바 앞에서의 바울 No. 9. Berenice. Acts 25:13; Acts 26:30. (행25:13 수일 후에 아그립바 왕과 버니게가 베스도에게 문안하러 가이사랴에 와서 (행26:30 왕과 총독과 버니게와 그 함께 앉은 사람들이 다 일어나서 No. 10. Drusilla. Acts 24:24. (행24:24 수일 후에 벨릭스가 그 아내 유대 여자 드루실라와 함께 와서 바울을 불러 그리스도 예수 믿는 도를 듣거늘
3 예수(Jesus)
인물
jesus
11175 77 2006-12-27
▶ 예수(Jesus) 뜻 : 구세주, 예수(Jesus)는 고대 그리스어: Ίησους 이에수스의 라틴어 표기이며, 이에수스는 다시 여호수아(히브리어: Jehoschua) 혹은 예슈아(히브리어: Jeschua)를 코이네 그리스어로 옮긴 사두람이다. Jehoschua의 어원은 접두어 Je- (히브리어: JHVH/YHWH:Jahveh 야훼, 하느님)와 히브리어: Hoshea(구원, 구세라는 뜻을 가진 호산나)를 덧붙여 이루어진 사람이다. [1] 예수 그리스도 [2] 예수 그리스도 족보중 한 사람 (눅03:29) cf. 예수아 --------------------------------------------------- 예수 그리스도의 칭호 ▶ 예수님의 칭호(Jesus) (1) 주 (마03:3, (막01:3, (눅03:4). (2) 길 (요14:6, (히10:20). (3) 신 (고후03:17-18). (4) 홀 (민24:17, (창49:10). (5) 곶 (애02:1). (6) 예수 (마01:21,25). (7) 감독 (벧전02:25). (8) 구주 (눅02:11, (행13:23, (욥19:25, (사63:8). (9) 인자 (마08:20, (요01:51, (히02:6, (단07:31). (10) 임금 (행05:31). (11) 생명 (요14:6, (요11:25, (골03:4). (12) 말씀 (요01:1, (계19:13). (13) 반석 (고전10:4, (민20:11). (14) 참빛 (요01:9, (요08:12). (15) 부활 (요11:22). (16) 진리 (요14:6). (17) 기묘 (사09:6). (18) 모사 (사09:6). (19) 목자 (벧전02:25). (20) 사도 (히03:1). (21) 실로 (창49:10). (22) 산돌 (벧전02:4). (23) 아멘 (계01:7, (계03:14). (24) 남편 (사54:5). (25) 분수 (슥13:1). (26) 가지 (슥03:8, (슥06:12, (사11:1, (렘23:5). (27) 유대왕 (마02:2, (눅23:3). (28) 돋는 해 (눅01:78). (29) 선지자 (눅24:19, (신18:15,18). (30) 독생자 (요01:14,18). (31) 메시야 (요01:41). (32) 양의 문 (요10:7). (33) 집의 터 (고전03:11). (34) 후 아담 (고전15:45). (35) 중보자 (딤전02:5, (딤전12:24). (36) 재판장 (딤후04:8). (37) 하나님 (히10:37). (38) 이긴 자 (히02:15). (39) 오실자 (히10:37). (40) 산 소망 (벧전01:3). (41) 대언자 (요일02:1). (42) 새벽별 (계22:16, (민24:17, (사42:1). (43) 섭정자 (단09:25). (44) 택한 종 (마12:17, (사42:1). (45) 임마누엘 (마01:23, (갈07:14). (46) 그리스도 (마01:23, (갈07:14). (47) 구원의 문 (요10:9). (48) 선한 목자 (요10:11, (히03:20, (시023:1). (49) 본되신 자 (요13:15, (롬15:5, (벧전2:21-23). (50) 포도나무 (요15:1). (51) 생명의 주 (행03:15). (52) 만유의 주 (행10:36) (53) 영광의 주 (고전02:8). (54) 청결한 자 (히01:3). (55) 대제사장 (히03:1, (히04:14, (히05:1, (히06:20, (히07:24). (56) 만유의 주 (계17:14, (계19:19). (57) 만왕의 왕 (계17:14, (계19:16). (58) 영광의 왕 (시024:7-8). (59) 평강의 왕 (사09:6). (60) 시험한 돌 (사28:16). (61) 우리의 의 (렘23:6). (62) 그 왕 다윗 (렘30:9, (호03:5). (63) 겸손한 왕 (슥09:6). (64) 의로운 해 (말04:2). (65) 다윗의 자손 (마09:27, (마21:9, (마22:42,45). (66) 거룩하신 자 (눅04:34, (행03:14, (요일02:20). (67) 이스라엘 왕 (요01:49). (68) 생명의 양식 (요06:35,38:51). (69) 거룩한 아들 (행04:27). (70) 구언하실 자 (롬11:26, (사59:20). (71) 교회의 머리 (엡04:15, 엡05:23). (72) 크신 하나님 (딛02:13). (73) 승천하신 자 (히04:14). (74) 언약의 보증 (히07:22). (75) 믿음의 주인 (히12:2). (76) 보배로운 돌 (벧전02:4-6). (77) 신실한 증거 (계01:5). (78) 처음과 나중 (계01:17, (계02:8, (계21:6, (계22:13). (79) 진실하신 이 (계03:14). (80) 창조의 근원 (계03:14). (81) 다윗의 뿌리 (계05:5, (계22:16). (82) 여호와의 종 (사42:1,19, (사52:13, (사:12:17). (83) 여호와의 팔 (사53:1) (84) 언약의 사자 (말03:11). (85) 하나님의 아들 (마03:17, (막01:11, (눅03:22. (요01:49). (86) 안식일의 주인 (마12:8). (87) 우리 유월절 양 (고전05:7,출12:). (88) 하나님의 형상 (고후04:4, (히01:3). (89) 장인의 버린돌 (벧전02:7, (시118:2). (90) 알파와 오메가 (계01:17, (계02:18, (계21:6, (계22:13). (91) 만물의 지으신 자 (요01:3, (요22:13). (92) 하나님의 어린양 (요01:29, (계05:6). (93) 미리 알게 하는자 (계05:5). (94) 유대 지파의 사자 (계05:5). (95) 영생하신 아버지 (사09:6). (96) 전능하신 하나님 (사09:6). (97) 지극히 높으신 자 (단07:25). (98) 여호와의 짝된자 (슥13:7). (99) 하늘로써 내려온자 (요03:13). (100) 집 모퉁이 요긴한 돌 (엡02:20). (101) 하나님의 영광 (히01:3). (102) 거룩하게 하시는 자 (히13:12). (103) 죽음에서 먼저 사신자 (계01:5). (104) 이스라엘을 다스릴 자 (미05:2). (105) 여호와의 기뻐하는 자 (사42:1, (마03:17). (106) 다윗의 열쇠를 가지신 이 (계03:7). (107) 아름다운 소식 전하는 자 (사05:27). (108) 세세에 찬양 받으실 하나님 (롬09:5). (109) 좌우에 날 선 예리한 검을 잡은 이 (계02:12). (110) 일곱 신과 일곱 별과 일곱 등대를 가지신 이 (계02:1). (111) 일곱 별과 일곱 등대를 주장하는 이(계02:1). (112) 눈이 불같고 발이 빛난 주석 같으신 이 (계02:28). ▶ 하나님의 아들 하나님의 아들이란 예수의 칭호는 마태복음 (마04:3, 4:6, (마08:29, (마14:33, (마16:16, (마26:63, (마27:54, 마가복음 (막03:11, (막05:7, (막09:7, (막15:39, 누가복음 (눅01:35, (눅04:41, (눅08:28에서 잘 묘사되고 있다. 마태에 있어서 예수는 그가 출생한 이래로 하나님의 아들이다. 그리고 하나님은 예수가 세례를 받을 때, 그를 그렇게 선포하고 있다(마03:17)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직접적인 고백은 마14:33과 27:54과 같이 예수에 대한 직접적인 칭호로서 신앙 고백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의 아들이란 호칭은 메시야와 동일시되어 불려지기도 하였다(마26:63). 마가복음에서는 예수가 세례를 받을 때, 하나님의 아들로서 선포되는 광경을 볼 수 있으며, 귀신들이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부르고 있으며(마3:11, 마5:7) 예수는 자신의 정체를 알리지 말 것을 명령하신다. 누가복음에서는 한 천사가 마리아에게 나타나서 태어날 아기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일컬어 질 것을 말하고 있다(눅1:35). 그리고 광야에서 사십일 동안 성령에게 이끌리시며, 마귀에게 시험을 받을 때에, 마귀는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호칭하고 있다(눅4:3). 킹즈베리는 기독론적인 문서인 마태복음 전체 속에서 ?하나님의 아들? 기독론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들을 발견해 내기 위해 노력하는데 그에게 있어서 마태의 예수는 날 때부터 하나님의 아들이다. 그는 성서 속에서 여러 증거들을 제시하면서 하나님의 아들 기독론을 주장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마태복음 17:1-8에 나오는 예수의 변모에 관하여서 예수의 수세이야기와 비슷한 요소를 가지고 있는 하늘에서 들여오는 음성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즉 마태복음 17:5에서 하나님이 예수를 자기의 유일 무이한 선택된 아들로서 다시 한 번 선포하신다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의 증거로서 포도원 비유에서의 농부의 아들을 자기로 알레고리화 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소작인들에 의해 결국 성밖에서 죽어야 하는 포도원주인의 아들을 알레고리 적으로 비유를 들어 설명하는 부분을 증거로 삼고 있는데, 이것은 비교적 역사적-경제적 사실과 많이 부합하는 문서로 간주되는데, 이러한 비유들은 투쟁, 변호, 방어, 공격, 도전 등 주로 논쟁을 위한 것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성서의 모든 비유를 알레고리 적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 포도원 비유가 나오는 마태복음 21:33-46은 그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짐작하고 비유를 들어 자기를 하나님의 아들로 인식했다는 점에서 그에게 큰 증거로서 삼고 있다. 또한 이 비유는 이사야 5:1-7의 포도밭의 노래를 소재로 하고 있다. 즉 이사야의 이 텍스트로부터 가져왔다는 것이다. 오히려 공관복음서안의 이 포도비유가 수정되며(죽은 포도원 주인 아들의 죽는 장소에 따라 복음서마다 다른 것은 편집…수정하는 과정에서 결국 십자가의 고난에 그리스도가 매달리게 될 장소는 성밖이란 점에서, 그렇게 수정…편집되었다는 것)복음서안으로 흘러 들어온 것 같다. 포도원 소작인의 비유와는 달리 혼인잔치 비유는 맥락상으로 살펴 볼 때 예수의 십자가상의 고난을 넘어선다. 전자가 십자가 처형을 예견한다면, 후자는 마태복음 28:18 이하에서 제자들이 받는 위대한 사명을 염두에 두고 있다. 따라서 마태는 알레고리를 통해 이 비유를 예수에게서 시작해서 마태 자신의 시대에 이르는 구속사에 대한 묘사를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비유 중의 왕은 하나님, 그의 아들은 부활하신 예수, 혼인잔치는 메시아 향연, 초대받은 자들은 이스라엘, 종들은 제자들과 교회의 전도사들, 초대에 대한 무시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복음의 거부, 종들을 때리고 죽이는 것은 교회에 대한 이스라엘의 박해, 군인들의 도시파괴는 예루살렘의 멸망, 나쁜 사람, 좋은 사람 차별 없이 초청해 옴은 이방인의 교회영입을 암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중심은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로 비유되고 있다는 것이다. 왕의 아들인 혼인 잔치는 하나님의 아들인 예수의 메시아 향연인 것이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아들이란 칭호는 주로 고백적인 배경에서 나타난다는 것이다. 예수의 십자가에 돌아가실 때의 백부장의 신앙고백은 곧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었다는 진술이었다. 그렇지 않으면, 유대인들의 예수에 대한, 곧 하나님에 대한 신성모독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한편 베드로의 고백이 나오는 16:16과 대제사장의 질문이 나오는 26:63에서 마태는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칭호와 메시야라는 칭호는 서로 동격임을 보여주고 있다. 한스 콘첼만에 의하면, 메시야 칭호의 유래와는 대조적으로 하나님의 아들의 역사적 출처는 모호한 것이다. 예수가 이미 자신을 그렇게 붙였는가 또는 교회가 비로서 이 칭호를 그에게 부여했는가하는 점은 그 칭호가 어디서 유래했으며 무엇을 의미하는 가하는 물음에서 중요하지 않다. 구약성서에서 하나님의 아들은 이스라엘(출4:22), 그리고 왕으로부터 나타난다. 시편 2:2의 기름 부은자, 7절의 ?너는 내 아들, 내가 오늘 너를 낳았노라.?이것은 동양적 궁중 문학 양식이다. 물론 유대교는 하나님이 몸으로 낳았다거나 하나님이 성육신한 것으로는 생각할 수 없었다. 구약성서의 왕칭호가 예수에게 이전되었으며, 하나님의 아들이란 의미는 메시야의 의미와 동일하다는 가정이 이 시편귀절에 근거하여 자주 제기된다. 그러나 유대교안에서 메시야에 대한 하나님의 아들 칭호들 사용한 것을 찾아볼 수없다는 사실이 그런 가정을 반영해 준다. ▶ 그리스도 그리스도(메시야)란 칭호는 마태복음 1:1, 1:16-18, 마2:4, 마16:16, 11:2, 16:20-21, 마22:42, 마23:10, 마26:63, 26:68, 마27:17, 27:22, 마가복음 8:29, 9:41, 누가복음 2:11, 9:20에 잘 나타나 있다. 마태는 이 ?메시야?라는 칭호를 한 차원에서만 사용하지 않았다. 마1:1에서 이 칭호는 한 사람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예수 메시야).마1:18, 마16:21도 같은 경우로 원문상 논란이 있으나 ?예수 메시야?가 정확한 독법일 것이다. 그러나 ?예수 메시야?라는 칭호가 단순한 이름으로 취급되었다 할지라도 마태복음서에 있어서 이 칭호는 ?예수가 메시야이시다?는 근본적 진리는 늘 함축하여 사용된다. 마태는 기독론적 칭호로서의 메시야란 칭호를 다음과 같이 이해하고 있다. 메시야 그 분은 구약 선지자들에 의해 예언되었고 이스라엘이 고대하던 그 오시는 이이시며, 다윗의 왕위를 계승하시는 왕으로 오신 예수이다. 그는 이스라엘의 역사를 완성시키는 분이며, 하나님의 권위로 사람들에게 구원 또는 심판을 행하시는 분이다. 마태는 그의 복음서를 통해 이 메시야라는 칭호를 더 나아가 유대인의 왕, 그리고 하나님의 아들로도 규정지으려 했다. 만약에 메시야란 칭호의 사용이 결국 하나님의 아들이란 칭호로 결과되게 되는 것이라면, 예수 메시야의 행동이 하나님의 아들 예수로서의 행동이었다는 것과 메시야라는 칭호가 하나님의 아들이란 칭호의 대용어라는 이해가 타당한 것으로 인정하게 된다. 한스 콘첼만에 있어서도 그리스도는 메시야라는 칭호이긴(막 8:29)하지만, 그리스도는 예수그리스도란 결합에서 단순히 이름이 되어 버렸다는 것이다. 바울이 단지 형식적인 관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이 진술은 타당하다. 그런데 그리스도란 의미가 이름으로 사용하게 된 것은 물론 희랍어를 쓰는 세계에서였다. 희랍인들은 메시야 칭호를 이해하지 못했다. 따라서 그들에게는 구원자의 본질을 다른 칭호와 설명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기원 상으로 볼 때 메시야는 민족주의적인 유대교적 종말론에 속한다. 기름부음을 받은 자는 구약성서에서 왕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메시야는 본래 초자연적 존재가 아니라 인간적인 구원자이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구원자에 대한 표상들이 융합되어졌다. 즉 초월적인 존재로 고양되어 졌다는 것이다. 메시야는 묵시문학적 문헌의 대부분에서 나타나고 있지 않다. 묵시문학에서 메시야 개념이 침투되어 있는 부분은 이차적 발전단계에 속한다. ▶ 인자(人子) 인자(사람의 아들)는 마태복음 마08:20, 마09:6, 마10:23, 마11:19, 마12:32, 12:40, 마13:37, 13:41, 마16:13, 16:27-28, 마17:9, 17:12, 17:22, 마19:28, 마20:18, 20:28, 마24:27, 24:30, 24:33, 24:37, 24:39, 24:44, 마25:31, 마26:2, 26:24, 26:45, 26:64, 마가복음 막02:10, 2:28, 막08:31, 8:38, 막09:9, 9:12, 9:31, 막10:33, 10:45, 막13:26, 막14:21, 14:41, 14:62, 누가복음 눅05:24, 눅06:56, 눅07:34, 눅09:22, 9:26, 9:44, 9:58, 눅11:30, 눅12:8, 12:10, 12:40, 눅17:22, 17:24, 17:26, 17:30, 눅18:8, 18:31-32, 눅19:10, 21:27, 21:36, 눅22:22, 22:48, 22:69, 눅24:7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인자라는 칭호는 마태복음서의 기독론적 칭호들 중 매우 중요한 칭호 중의 하나로 널리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 이론은 도전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칭호는 다른 복음서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예수님 자신이 자신을 지칭하는 칭호로 마태복음서도 사용되었다는 점을 무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사실이 그렇게 분명하다 하여도 인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물음들은 아직도 마태복음서 연구가들 사이에 명쾌한 결혼이 나오지 못하고 있다. 마태가 사용한 이 용어의 정확한 용법이 무엇인가? 이 용어는 왜 마태복음 8:20 이전에는 한 번도 나타나지 않는가? 하는 것이다. 이 용어와 하나님의 아들과의 관계는 무엇인가? 이러한 물음들에 대한 답을 추구하는 과정을 통해서 우리는 이 칭호가 성격상 대중적인 경우는 진정한 한 기독론적 칭호로 작용하고 그 외에는 고백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는 하나님의 아들이란 칭호의 보충적 역할을 함을 알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듯이, 인자는 예수의 사역의 세 구별된 국면을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는 그의 공적 사역과 관계된 것이고, 둘째는 그의 수난과 죽음, 그리고 부활과 관련된 것이다, 세째는 그의 재림과 관계된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가만히 보면은 이러한 인자의 기능들은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모습과 상당히 일치되어 나타난다는 데에 있다. 그러나 동시에 하나님의 아들이란 칭호가 예수의 재림과 관련하여 거의 사용되지 않은 것처럼, 인자라는 칭호는 소위 예수님의 현지사역과 관련하여서는 그렇게 중요하게 사용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킹즈베리에 의하면, 이 인자라는 칭호야말로 마가복음에 있어서 예수님에 대한 가장 합당한 칭호이며, 따라서 아무런 수정이 필요 없는 유일한 칭호란 것이다. 그리고 이 칭호의 뛰어난 점은 마가복음에 있어서 이것이 항상 예수님의 입을 통해서만 말씀되어진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에 이것은 예수의 자기이해(self-understanding)의 표현인 것이다. 예수님께 대한 여러 칭호들 중 인자칭호는 가장 규범적인 것이 되며, 예수께 대한 다른 칭호들을 재해석하여 하나님께 예수님에 정하신 신적 운명이 고난과 죽음이란 것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기도 하다. 아무도 예수를 예수 인자라 칭하지 않았으며, 이것은 인자의 기능이 나사렛 사람의 정체를 밝히는 것과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말해준다. 킹즈베리에 의하면, 마가는 예수를 매우 분명하게 다윗적 메시야, 왕, 하나님의 아들로 소개하였다. 그러나 인자는 독자들에게 예수가 누군가를 설명하는데 사용된 흔적이 없다. 그는 인자의 세가지 면을 지상적인 자, 고난받는 자, 묵시적인 자로 이해했다. ▶ 주(主) 주라는 칭호는 마태복음 7:21-22, 마8:2, 8:6, 8:8, 8:25, 마9:28, 마14:28, 14:30, 마15:22, 마16:16, 16:22, 마17:4, 17:15, 17:16, 마18:21, 마19:27, 마20:30, 20:33, 마21:3, 21_19, 마24:42, 마25:11, 25:20, 25:22, 25:24, 25:44, 마26:22, 26:33, 26:35, 마가복음 1:17, 8:29, 막10:28, 막11:3, 막14:31, 누가복음 2:11, 눅5:8, 8:24, 8:45, 눅9:33, 9:49, 9:54, 9:61, 눅10:17, 눅11:1, 눅12:41, 눅13:23, 눅17:37, 눅18:28, 18:41, 눅19:8, 19:25, 눅22:33, 22:38, 22:49에 잘 표현되어 있다. 한스 콘첼만에 의하면, 이 칭호는 원시교단에서 헬레니즘, 그리스도교에로의 이행이 뚜렷이 반영되어 있다. 오늘날까지도 다음 두가지가 격렬히 논의되고 있다. 이 칭호는 어디서 유래했는가? 언제 그리고 어디서 이 칭호가 그리스도교에로 들어왔는가? 이미 원시교단에서인가? 또는 헬레니즘 교회에서인가? 이미 원시교단이 예수를 주라고 불렀을 가능성이 있다. 까닭은 maranatha라는 부름은 순수히 묵시문학적 그리스도론의 표현이다. 교회는 스스로 고대하는 자로 이해한다. 그에 반하여 헬레니즘 세계에서는 오실자를 기대하는 종말론적인 하나님의 백성이 아니라 현재 지배하는 주님을 경배하기 위해 모인 교단이란 윤곽이 들어 났다. 그 부름은 이제 예수는 주이시다. 이것은 간구가 아니라 환호와 선포이다. 하나님의 아들과 주는 교차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각기 뚜렷이라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 즉 아들은 본질이오 주는 아들에게 부여된 지위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그를 부를 때에는 주라고 하는 것이다. 신앙은 이 칭호에서 올리워진 자에 대한 관계성의 현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이 칭호는 성서개념과 친밀히 결합돼 있다. 성령은 주의 역사의 현존이다. 주를 부르는 것 자체가 성령에 의해 역사 되는 행위이다. 킹즈베리에 의하면, 마태복음을 연구하는 몇몇 학자들은 대개 검증되지 않은 근거들 위에서 마태가 사용하는 주요한 기독론적 칭호는 주 혹은 퀴리오스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면밀한 검토에 의해 들어 나는 증거에 따른다면, 이 칭호가 그렇게 두드러진 것이 아님을 알 수 있게 된다. 마태는 퀴리오스라는 용어를 적어도 세 가지 수준에서 사용하고 있다. 즉 하나님의 아들 메시야로서의 능력을 지닌 분, 다윗의 아들로서의 능력을 지닌 주, 인자의 능력을 지닌 주인 것이다. 마태복음 27:63에서 이스라엘의 지도자들이 빌라도를 퀴리오스라고 부를 때 이 말은 순전히 전통적인 용법, 영어의 Sir와 동의로서 사용되고 있다. 신학적으로 볼 때 이 말은 많은 곳에서 하나님을 지칭한다. 물론 이 말은 예수의 칭호로서 나타나기도 한다. 퀴리오스란 말이 예수를 믿으면서 그에게 나오는 사람들의 입을 통해서만 나온다는 의미에서 고백적인 칭호이다. 이러한 것의 유일한 예외는 마지막 심판의 장면에서 저주받는 자들도 예수를 주라고 부르는 것을 묘사하고 있다는 점이다(마7:21-23, 마25:37) 마태복음에서 퀴리오스라는 칭호는 기독론의 중심적인 칭호가 아니라 오히려 보조적인 칭호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 칭호는 그 칭호 자체를 넘어서 보다 명확한 다른 칭호를 암시해 준다고 말할 수 있다. ▶ 다윗의 자손 다윗의 자손은 마태복음 9:27, 마12:23, 마15:22, 마20:30-31, 마21:9, 21:15, 마22:42, 마가복음 10:47-48, 누가복음 18:38-39에 잘 나타나 있다. 이 다윗의 자손이란 칭호를 보면은 귀신들려서 예수께 나아 오는 자의 입에서 자주 들을 수 있다. 이것은 어떤 치유와 관련된 것과 연관이 있는 것 같다. 다윗의 자손에게는 이런 능력이 있다고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예루살렘 입성할 때 호산나하면서, 다윗의 자손이라고 외치는데, 하지만 복음서의 이 구절들을 찾아서 자세히 보면, 그 다음 구절은 다윗의 자손의 영향력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구절들이 나오는데 이를테면, 이는 누구냐에 대한 반문으로 사람들은 이는 나사렛사람이 아니냐는 구절은 다윗의 자손의 칭호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불러일으키는 것이기도 하다. 한스 콘첼만에 의하면, 족보는 역사적인 문제와는 상관이 없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구절들이 남게 되는데 바로, 마가복음 10:48-소경 바디매오의 외침이다. 마가복음 11:1- 의 예수가 예루살렘에 입성할 때, 다윗 왕국의 도래에 관한 환호가 있다. 이것은 현시 전설 적이다. 한편 마가복음 12:35-17에서 메시야가 다윗의 자손일 수 있겠느냐는 의문이 남는다. 그러나 요한복음 첫 구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윗의 자손인 예수그리스도는 태초 전에 하나님과 함께 계신 분이다. 콘첼만에 의하면, 이 구절들은 교회공동체의 두 단계 그리스도론을 표현해 준다고 한다. ▶ 하나님의 사자(使者) 마21:37, 요06:38, 요07:29, 요08:42, 요09:4, 요10:36, 요17:8, 21 ▶ 예수님은 나에게 어떤 분이 되시는가? 나의 하나님이신 예수님(요 1:1) 나의 창조주이신 예수님(요 1:3) 성육신하신 예수님(요 1:14, 20:27) 나의 구주이신 예수님(요 1:36, 요3:1-21) 기적을 베푸시는 예수님(요02:11, 요06장)) 나의 선한 목자이신 예수님(요10:11) 나를 다스리시는 예수님(마02:6) 나의 부활하신 예수님(요11:25, 요20:1-8) 나의 선생이신 예수님(요13:13) 나의 생명이신 예수님(요15:4-5) 나의 친구이신 예수님(요15:14) 나의 대제사장이신 예수님(요17:9) 나의 왕이신 예수님(요17:9, 마02:1-6) 나의 모퉁이 돌이신 예수님(마21:42) 나의 반석이신 예수님(고전10:4) 나의 대언자 이신 예수님(요일02:1) 나를 온전케 하시는 예수님(히12:2) (이영제목사, 한국컴퓨터선교회)
2 헤롯 아켈라오(Herod Archelaus)
인물
jesus
4150 2 2006-12-27
▶ 헤롯 아켈라오(Herod Archelaus) 헤롯왕가 뜻:치민 헤롯 대왕의 아들. 유대 사마리아 이두매 분봉왕(B.C.4-A.D.6). 다른 형제와 마찬가지로 로마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에게는 왕의 칭호가 주어지지않고 분봉왕으로서 처리했으나 악정으로 인하여 유대인의 불평을 초래하여 드디어 로마 정부로부터 파면을 받았다 (마02:22-23). ▶ 아켈라오 Archelaus. [Archela'us] Son of Herod the Great by Malthace, a Samaritan. He succeeded his father as Ethnarch of Idumea, Judaea, Samaria, and the maritime cities of Palestine. From his known oppressive character Joseph feared to bring back the infant Jesus into his territory, and turned aside to Galilee, which was under the jurisdiction of his brother Antipas. Matt. 2:22. He reigned 10 years. Josephus relates that soon after his accession he put to death 3,000 Jews: eventually, for his tyranny to the Jews and the Samaritans he was deposed and banished to Vienne in Gaul. (마02:22 그러나 아켈라오가 그의 아버지 헤롯을 이어 유대의 임금 됨을 듣고 거기로 가기를 무서워하더니 꿈에 지시하심을 받아 갈릴리 지방으로 떠나가 --- Morrish Bible Dictionary
1 라헬(Rachel)
인물
jesus
3988 14 2006-12-26
▶ 라헬(Rachel) 뜻 : 암양 1) 야곱(Jacob)의 애처로 요셉과 베냐민의 모친이다(창29:, (창30:22-25). 2) 가나안으로 여행하는 도중에 여브랏 부근에서 베냐민을 낳고 난산 끝에 죽어서 그곳에 장사 되었다(창35:16-20). ▶ 라헬 Rachel. [Ra'chel] The beautiful daughter of Laban, for whom Jacob served seven years, which seemed to him but a few days, because of his great love for her. When the time was expired Jacob was cheated by Laban, and Leah was given him instead. He served another seven years for Rachel. She was at first childless, and foolishly said to Jacob, "Give me children, or else I die"; for which she was duly rebuked by her husband. Apparently she prayed to God, for we read that He 'hearkened' to her: she bore Joseph and then Benjamin, at whose birth she died. Jacob set up a pillar at her grave. It was Rachel who stole the household gods of her father, and then with cunning concealed them. Otherwise we read nothing of her character: at home she had evidently been in a bad school. Her history is given in Gen. 29 — Gen. 35. In the N.T. she is represented as weeping for her children when Herod slew the young children, Matt. 2:17, 18, a fulfilment of that spoken in Jer. 31:15 (where she is called RAHEL), though the circumstances in the two cases were different. A mother in Israel weeping for the loss of her children applies to both. (창29: (창30: (창31: (창32: (창33: (창34: (창35: (마02:17-18 이에 선지자 예레미야로 말씀하신바 라마에서 슬퍼하며 크게 통곡하는 소리가 들리니 라헬이 그 자식을 위하여 애곡하는 것이라 그가 자식이 없으므로 위로 받기를 거절하였도다 함이 이루어졌느니라 (렘31:15 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라마에서 슬퍼하며 통곡하는 소리가 들리니 라헬이 그 자식을 위하여 애곡하는 것이라 그가 자식이 없으므로 위로 받기를 거절하는도다 --- Morrish Bible Dictionary -------------------------------------------------------------------------------- ◇ 야곱의 둘째아내-- 불신앙으로 슬피우는 어미의 표상 라헬은 라반의 둘째 딸로서 근친혼과 일부다처가 허용되었던 고대 근동지방의 풍속을 따라 야곱의 둘째 아내가 되었다. 소녀시절 어느날 메소포타미아 하란지방 어느 광야에서 아버지의 양떼를 먹이고 있을 때 고종사촌 오라버니인 야곱을 처음 만나게 되었다. 야곱은 외사촌 누이동생인 라헬의 아릿다움에 반하여 무려 14년간 이라는 긴 세월 동안 라반에게 봉사했다. [야곱이 라헬을 위하여 칠년 동안 라반을 봉사하였으나 그를 연애하는 까닭에 칠년을 수일같이 여겼더라](창 29:20)이 글귀를 보아 그 누구보다 야곱의 사랑을 독차지 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우아하고 현명한 라헬이 이스라엘 족장의 아내로서 부족했던 점은 시조모인 사라처럼 하나님의 섭리에 앞서 불신앙적 수단 방법을 자행했다는 것이다. 라헬은 언니 레아가 계속하여 루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를 출산하자 심히 시기하여 어느날 밤 남편을 자신의 여종 빌하의 방에 들여보내어 아들을 낳도록 했다. [라헬이 가로되 나의 여종 빌하에게로 들어가라 그가 아들을 낳아 내 무릎에 두리니 그러면 나도 그를 인하여 자식을 얻겠노라](창30:3). 빌하를 통하여 얻은 아들이 단 납달리이며, 이들은 훗날 레아의 시녀 실바가 낳은 아들 갓 아셀과 함께 북이스라엘의 조상이 되었다. 오랜 세월이 지나서 비로소 라헬의 태에서 예정과 섭리의 아들이 태어났다. [하나님이 라헬을 생각하신지라 하나님이 그를 들으시고 그 태를 여신고로 그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고 가로되 하나님이 나의 부 끄러움을 씻으셨다하고 그 이름을 요셉이라 여호와는 다시 다른 아들 을 내게 더하시기를 원함이었다 하더라](창30:22-24). 여기에 서도 우리는 인위적 잉태와 신앙적 잉태의 차이점이 무엇인가를 분명 히 알 수 있으며, 그리고 하나님께선 신중하게 구원사의 매듭을 풀어 가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하나의 라헬의 결정적 과오는 하란을 떠날 때 그녀의 아버지의 우상 드라빔을 훔친일이다. 이것이 화근이 되어 훗날 라헬의 후손들이 망하고 북방민족의 포로가 되었을 때 그녀는 애곡하는 어머니의 표상이 되었던 것이다(렘31:15-16). -------------------------------------------------------------------------------- 라헬/빼어난 미모만큼 질투심도 강한 야곱의 첩 라헬은 "암양"이라는 뜻입니다. 라반의 둘째 딸이요 레아의 동생이었습니다. 레아도 함께 야곱의 아내였습니다. 라헬은 미모가 드러나게 아름다운 여 자였습니다. 야곱이 하란 근교 우물가에서 외삼촌집으로 피신해 가다가 라헬을 처음 대했을 때 야곱이 그를 사랑할 만큼 그외모가 아름다웠습니다. 그러므로 야곱이 라헬을 위해 7년을 봉사할 때 수일같이 여겼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이는 야곱의 애정을 측정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라헬은 명랑하고 쾌활했고 사교적이었습니다. 반면에 이기적이고 질투심도 많았으며 감정표현을 거침없이 할만큼 대담한 여자이기도 하였습니다. 그런 면에서 야곱이 라헬에게 시달렸으며 다투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남편을 독점하면서도 언니 레아를 불편하게 만든 여자입니다. 라헬이 자기 고향을 떠 날때 친정집에서 드라빔을 훔쳐 자기몸에 숨겨 가지고 나온 것은 대단한 욕심이었습니다(창세기31:19). 드라빔은 데라빔이라고도 하는데 사람모양으로 세워놓은 작은 우상이었습니다. 가정을 지켜주며 아기 가진 여인들의 행운을 빌어준다는 우상이었습니다. 라헬은 이 드라빔을 하체에 숨겨 끝까지 아버지를 속이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이러한 태도에서 라헬의 간교한 모습을 보게 됩니다. 교훈과적용 첫째, 미모와 많은 자질을 갖추었으면서도 후덕하지 못한점이 아쉽습니다. 둘째, 미신적인 드라빔을 도적질해 나온 것은 위험한 혼합신앙이었습니다. 믿음은 순수해야 합니다. <이병돈목사·은평교회>(한국컴퓨터선교회)

.
성경연대표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14.세계선교 관련그림.지도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Ani
1창세기[Genesis] 2출애굽기[Exodus] 3레위기[Leviticus] 4민수기[Numbers] 5신명기[Deuteronomy] 6여호수아[Joshua] 7사사기[Judges] 8룻기[Ruth] 9사무엘상[I Samuel] 10사무엘하[II Samuel] 11열왕기상[I Kings] 12열왕기하[II Kings] 13역대상[I Chronicles] 14역대하[II Chronicles] 15에스라[Ezra] 16느헤미아[Nehemiah] 17에스더[Esther] 18욥기[Job] 19시편[Psalms] 20잠언[Proverbs] 21전도서[Ecclesiastes] 22아가[Song of Solomon] 23이사야[Isaiah] 24예레미야[Jeremiah] 5예레미아애가[Lamentations] 26에스겔[Ezekiel] 27다니엘[Daniel] 28호세아[Hosea] 29요엘[Joel] 30아모스[Amos] 31오바댜[Obadiah] 32요나[Jonah] 33미가[Micah] 34나훔[Nahum] 35하박국[Habakkuk] 36스바냐[Zephaniah] 37학개[Haggai] 38스가랴[Zechariah] 39말라기[Malachi] 40마태복음[Matthew] 41마가복음[Mark] 42누가복음[Luke] 43요한복음[John] 44사도행전[Acts] 45로마서[Romans] 46고린도전서[I Corinthians] 47고린도후서[II Corinthians] 48갈라디아서[Galatians] 49에베소서[Ephesians] 50빌립보서[Philippians] 51골로새서[Colossians] 52데살로니가전서[I Thessalonian] 53데살로니가후서[2 Thessalonian] 54디모데전서[I Timothy] 55디모데후서[II Timothy] 56디도서[Titus] 57빌레몬서[Philemon] 58히브리서[Hebrews] 59야고보서[James] 60베드로전서[I Peter] 61베드로후서[II Peter] 62요한일서[I John] 63요한이서[II John] 64요한삼서[III John] 65유다서[Jude] 66요한계시록[Rev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