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의 한글성경
  2. 오늘의 WEB성경
  3. 성경백과사전
  4. 관련서적들

-----Readed_count

-----Update

오늘 :
15,126 / 75,601
어제 :
20,066 / 256,139
전체 :
21,052,378 / 285,375,549
Mobile Bible, Bible Dictionary, Mobile iWorship, 구글Map 성경66권 사전 : -()-()--()-(,)-(,)-(,)-()--중간-(...)-

성경관련 백과사전 & Morrish Bible Dictionary

+ Blue Letter Bible/KJV + 개역한글 성경구절

성경 백과사전 테마별 (구약OT, 신약NT), 성경만화, 요리문답,
영어성경보기, 개역한글성경보기, NEWS, 어!성경
Morrish성경사전 (최신등록), WB.Study, 성경권별 지명연구(지도포함), 인물탐방 각종테마별 - 무게.길이.화폐, 12보석, 유대월력, 동물, (Birds), 식물, 나무, , Miracles(구약, 신약), 613율법Mitzvot, 이방신, 하나님, Tip: 영문장.절위로 커서를 옮기면 해당 KJV 성경 영문구절이 펼처집니다. (Gen. 1:1; Rev. 22:21;)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추천 등록일
Notice 공지 성경 속 전쟁 연대기 (The War Chronicles in the B... 파일
cyber
36941 2 2019-03-05
Notice 공지 TIDWELL BIBLE 21 연대표
jesus
70425 1 2016-12-14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NT 신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6388 1 2016-02-21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OT 구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6721 1 2016-02-21
Notice 공지 성경백과사전 권별.장별[Chapter] 관련내용보기 파일
jesus
84636 1 2015-05-04
97 힐기야(Hilkiah)
인물
jesus
5109 13 2006-12-28
▶ 힐기야(Hilkiah) 뜻: 여호와는 나의 재산 [1] 히스기야의 궁내 대신 엘리야김의 부친(왕하18:18) [2] 제사장 힐기야. (1) 살룸의 아들(대상01:13). (2) 유대왕 요시아 때에 제사장으로 요시아와의 종교의 대개혁 사업과 유월 절을 엄숙하게 지키는 일을 협조하고 또 성전을 수리하다가 모세의 율법책 을 그가 발견하였다(왕하22:4), (대하34:14). [3] 그 밖에 5인이 있다(대상06:45, (대상26:11, (느08:4, (렘01:1, (렘29:3). ▶ 힐기야 Hilkiah. [Hilki'ah] 1. Father of Eliakim, the head of Hezekiah's household. 2 Kings 18:18, 26, 37; Isa. 22:20; Isa. 36:3, 22. (왕하18:18, 26, 37; 18 저희가 왕을 부르매 힐기야의 아들 궁내대신 엘리야김과 서기관 셉나와 아삽의 아들 사관 요아가 저에게 나가니 26 힐기야의 아들 엘리야김과 셉나와 요아가 랍사게에게 이르되 우리가 알아듣겠사오니 청컨대 아람 방언으로 당신의 종들에게 말씀하시고 성 위에 있는 백성의 듣는데 유다 방언으로 우리에게 말씀하지 마옵소서 37 이에 힐기야의 아들 궁내대신 엘리야김과 서기관 셉나와 아삽의 아들 사관 요아가 그 옷을 찢고 히스기야에게 나아가서 랍사게의 말을 고하니라 (사22:20 그 날에 내가 힐기야의 아들 내 종 엘리아김을 불러 (사36:3, 22. 3 힐기야의 아들 궁내 대신 엘리아김과 서기관 셉나와 아삽의 아들 사관 요아가 그에게 나아가니라 22 때에 힐기야의 아들 궁내대신 엘리아김과 서기관 셉나와 아삽의 아들 사관 요아가 그 옷을 찢고 히스기야에게 나아가서 랍사게의 말을 고하니라 ㅡㅇ 2. Son of Shallum, or Meshullam, and high priest in the time of Josiah king of Judah. He found a copy of the law in the temple, which caused great heart-searchings and repentance. 2 Kings 22:4-14; 2 Kings 23:4, 24; 1 Chr. 6:13; 1 Chr. 9:11; 2 Chr. 34:9-22; 2 Chr. 35:8; Ezra 7:1; Neh. 11:11. (왕하22:4-14; 유다 왕 요시야가 율법책을 발견하다 (왕하23:4, 24; 4 왕이 대제사장 힐기야와 모든 버금 제사장들과 문을 지킨 자들에게 명하여 바알과 아세라와 하늘의 일월 성신을 위하여 만든 모든 기명을 여호와의 전에서 내어다가 예루살렘 바깥 기드론 밭에서 불사르고 그 재를 벧엘로 가져가게 하고 24 요시야가 또 유다 땅과 예루살렘에 보이는 신접한 자와 박수와 드라빔과 우상과 모든 가증한 것을 다 제하였으니 이는 대제사장 힐기야가 여호와의 전에서 발견한 책에 기록된 율법 말씀을 이루려 함이라 (대상06:13 살룸은 힐기야를 낳았고 힐기야는 아사랴를 낳았고 (대상09:11 하나님의 전을 맡은 자 아사랴니 저는 힐기야의 아들이요 므술람의 손자요 사독의 증손이요 므라욧의 현손이요 아히둡의 오대손이며 (대하34:9-22; 유다 요시아 왕의 개혁과 율법책의 발견 (대하35:8; 방백들도 즐거이 희생을 드려 백성과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에게 주었고 하나님의 전을 주장하는 자 힐기야와 스가랴와 여히엘은 제사장들에게 양 이천 육백과 수소 삼백을 유월절 제물로 주었고 (스07:1 이 일 후 바사 왕 아닥사스다가 위에 있을 때에 에스라라 하는 자가 있으니라 저는 스라야의 아들이요 아사랴의 손자요 힐기야의 증손이요 (느11:11 또 하나님의 전을 맡은 자 스라야니 저는 힐기야의 아들이요 므술람의 손자요 사독의 증손이요 므라욧의 현손이요 아히둡의 오대손이며 3. Son of Amzi, a Merarite. 1 Chr. 6:45. (대상06:45 말룩은 하사뱌의 아들이요 하사뱌는 아마시야의 아들이요 아마시야는 힐기야의 아들이요 4. Son of Hosah, a Merarite. 1 Chr. 26:11. (대상26:11 둘째는 힐기야요 세째는 드발리야요 네째는 스가랴니 호사의 아들과 형제가 십 삼인이더라 5. One who stood by Ezra when he read the law. Neh. 8:4; probably the priest in Neh. 12:7, 21. (느12:7, 21. 7 살루와 아목과 힐기야와 여다야니 이상은 예수아 때에 제사장과 그 형제의 어른이었느니라 21 힐기야 족속에는 하사뱌요 여다야 족속에는 느다넬이었느니라 6. Priest of Anathoth and father of the prophet Jeremiah. Jer. 1:1. (렘01:1 베냐민 땅 아나돗의 제사장 중 힐기야의 아들 예레미야의 말이라 7. Father of Gemariah. Jer. 29:3. (렘29:3 유다 왕 시드기야가 바벨론으로 보내어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게로 가게 한 사반의 아들 엘라사와 힐기야의 아들 그마랴의 손에 위탁하였더라 일렀으되 --- Morrish Bible Dictionary
96 화덕 망대(Tower of the Ovens)
지명
jesus
1793   2011-09-12
▶ 화덕 망대(Tower of the Ovens) 하림의 아들 말기야와 바핫모압의 아들 핫숩이 중수한 예루살렘 망대로 봉헌식 때 느혜미야가 백성들과 함께 지나갔다. (느03:11, (느12:38 lt=31.777444&ln=35.234935
95 호세야(Hoshaiah)
인물
jesus
1903 10 2006-12-28
▶ 호세야(Hoshaiah) 뜻: "여호와는 구원하신다" 아사랴의 아버지이며 유다 방백(느12:32). (렘42:1에는 "호사야"로 기록되었다. ▶ 호세야 Hoshaiah. [Hosha'iah] Leader of the princes of Judah at the dedication of the wall of Jerusalem. Neh. 12:32. (느12:32 따르는 자는 호세야와 유다 방백의 절반이요 --- Morrish Bible Dictionary
94 헬개(helkai)
인물
jesus
1876 7 2006-12-28
▶ 헬개(helkai) 뜻: "아첨" "힐기야"의 단축형. B.C. 444년경 요야김이 대제사장으로 있을 무렵의 제사장이었다(느12:15). ▶ 헬개 Helkai. [Hel'kai] Priest in the family of Meraioth. Neh. 12:15. (느12:15. [요야김 때에 제사장의 족장 된 자들] 하림 족속에는 아드나요 므라욧 족속에는 헬개요 --- Morrish Bible Dictionary
93 핫두스(Hattush)
인물
jesus
1131 6 2006-12-28
▶ 핫두스(Hattush) 뜻: "경쟁자" [1] 다윗의 자손으로 스마야의 아들(대상03:22). 혹은 스가냐의 아들(스08:2). 그는 B.C. 458년 에스라와 함께 바벨론에서 귀환했다. [2] 하삽느야의 아들로 예루살렘 성벽을 수축했다(느03:10). [3] B.C. 537년 스룹바벨과 함께 바벨론에서 귀환한 제사장(느12:2). 율법 엄수 계약서에 조인한 자(느10:4).
92 함메아 망대(Tower of the Hundred)
지명
jesus
4097   2011-09-12
▶ 함메아 망대(Tower of the Hundred) 대제사장 엘리아십이 그의 형제 제사장들과 함께 성문을 건축하였다. (느03:1 예루살렘 성벽 봉헌식을 할 때 찬송하는 자들과 느헤미야가 지나갔다. (느12:39 lt=31.7774&ln=35.2349
91 하나니(Hanani)
인물
jesus
3521 3 2006-12-28
▶ 하나니(Hanani) 뜻: 여호와는 자비하심 [1] 다윗왕때 3조의 악대중 헤만의 18자녀로 조직된 헤만조의 한사람 곧 헤만 의 한 아들 이다(대상25:4,25). [2] 아사왕이 아람와을 의지하고 하나님은 의지하지 않는 다고 책망한 선견자 (대하16:7-10) [3] 예후의 부친으로 바아사를 질책하고 또 여호사밧을 책망한 선견자이다 (왕상16:1, (대하19:2, (대하20:34). [4] 그 밖의 3인이 있다(스10:20), (느01:2, (느12:36).
90 하나넬 망대(Tower of Hananel)
지명
jesus
4433 8 2007-01-02
▶ 하나넬 망대(Tower of Hananel) 뜻: 하나님은 은혜로우시다 예루살렘 성위 곧 양의 문과 어문 사이에 있는 탑인데 건축사의 이름을 따라 지은 것이다 (느03:1,(느12:39, (렘31:38, (슥14:10). lt=31.7774&ln=35.2349
89 하나냐(Hachilah)
인물
jesus
2300 6 2006-12-28
▶ 하나냐(Hachilah) 뜻: 여호와의 자비하심 [1] 바벨론에 포로된 유다지파의 세 소년중 한 사람으로 느부갓네살을 시종 하기 위하 여 갈대아 학문을 가르치려고 선택된 왕족인데 그 이름을 사드락 이라고 고쳤다(단01:7). [2] 기브온인 아술의 아들로서 거짓 선지자로 시드기야왕 즉위 초에"2년 이내에 바벨론에 포로된 백성과 성전 기명이 돌아오리라"고 예언하매 예레미야가 그것을 반박하여 예언하 기를"70년간 포로지에 거할 것이요" 하였다(렘28:) [3] 그 밖에 12인이 있다(대상03:19, (대상08:24, (대상25:4, (대하26:11, (렘39:12, (렘37:13, (스10:28, (느03:8, 30, (느07:2, (느10:23, (느12:12).
88 페르시아(Persia, Persians) 파일
지명
jesus
1678   2015-05-05
▶ 페르시아 Persia, Persians. The Persians were located between Media and the Persian Gulf, but very little is known of their history until the time of Cyrus, when the kingdoms of Israel and Judah had been brought to an end. 2 Chr. 36:22, 23. Apparently they were a union of tribes, the ancestors of Cyrus being the chiefs of the leading clan. They conquered Elam ('ANSHAM' on the monuments). Media ruled them in early times, but under Cyrus the yoke was shaken off, and, together with the Medes, they formed the second Gentile empire, succeeding that of Babylon. In the great image of Dan. 2 Nebuchadnezzar was represented by the head of gold. The empire that followed was an 'inferior' one, represented by the breast and arms of silver. Dan. 2:31-39. This refers to the Medo-Persian kingdom. It was inferior in that the nobles concurred in the king's laws, and the king could not alter them: the power was depreciated from gold. It is further described as a bear, and it raised up itself on one side, and it had three ribs in its mouth between the teeth, an emblem of its power and rapacity. To it was said, "Arise, devour much flesh. " Dan. 7:5. (대하36:22, 23. (단02: (단07:5. The history in Dan. 5 relates that it was Darius the Mede that 'took the kingdom.' He was the first head of the empire, and his taking the kingdom does not clash with Cyrus taking the city of Babylon, which is implied in Isa. 45:1, 2. See BABYLON. On the death of Darius, Cyrus succeeded and reigned in Babylon, and from thence the Persian element prevailed in the empire. The Persians are mentioned before the Medes in Esther 1:19. This agrees also with the above passage in Dan. 7 which represents the bear as raising itself on one side. (단05: (사45:1, 2. (에01:19 (단07: The Medo-Persian empire is further represented as a ram with two horns, one higher than the other, though it came up last. It pushed westward, northward, and southward, and no beast could stand before it, nor deliver out of its hand. This again exactly corresponds with the above description; the one horn higher than the other representing Persia. The same chapter (Dan. 8:6, 7) speaks of a he-goat that rushed upon the ram and smote it and cast it to the ground and stamped upon it; and none could deliver it. This foretold the destruction of the Persian empire by that of Greece in the person of Alexander the Great. (단08: For the dealings of the Persian kings with Israel, see AHASUERUS, and the names of the other kings mentioned in Ezra, Nehemiah, and Esther. The following table gives the succession of the kings, with approximate dates: Table of Succession of Persian Kings Historical Names. Began to reign about B.C. Scripture Names. 1. Cyaxares, king of Media … … …633 Ahasuerus: Dan. 9:1. 2. Astyages, his son, last king of Media … …593 Probably Darius the Mede. 3. Cyrus, king of Persia … … … …558 Cyrus: 2 Chr. 36:20-23. Babylon taken … … … …538 Cyrus reigns at Babylon … … …536 Cyrus: Ezra 1:1. 4. Cambyses, his son … … … …529 Ahasuerus: Ezra 4:6. 5. Gomates, a Mede, who personified Smerdis …522 Artaxerxes: Ezra 4:7. 6. Darius Hystaspes … … … 521 Darius: Ezra 5:5; Hag. 1:1 etc. 7. Xerxes, his son … … … … …485 Ahasuerus of Esther. 8. Artabanus (seven mouths) … … 475 9. Artaxerxes, Longimanus … …474 Artaxerxes: Ezra 7:1; Neh. 2:1. 10. Xerxes 2. (two months) … …425 11. Sogdianus … … … … …425 12. Darius 2, Ochus or Nothus … … …424 Darius: Neh. 12:22. 13. Artaxerxes 2, Mnemon … … … …405 14. Ochus, or Artaxerxes 3 … … … …359 15. Arses … … … … …338 16. Darius 3. (Codomanus) … … … 336 Defeated by Alexander … … …331 end of the Persian empire. (단09: (대하36:22, 23. (스01:1 (스04:6,7 (스05:5 (학01:1 (스07:1 (느02:1 (느12:22 The above dates are those usually given to the kings of Persia, except Nos. 8 and 9, the common dates of which Usher and Hengstenberg have proved to be incorrect. See SEVENTY WEEKS. The kingdom of Babylon was smaller in extent than that of Persia. This latter included what is now known as Turkey in Asia, Persia, Afghanistan and Baluchistan, as far as the river Indus, with a good portion of Egypt. According to the language of scripture it had 'devoured much flesh.' Esther 1:1 speaks of a hundred and twenty-seven provinces. See DANIEL and ESTHER. --- Morrish Bible Dictionary
87 잇도(Iddo/Jadau)
인물
jesus
3547 4 2006-12-28
▶ 잇도(Iddo) 뜻:사랑스러운 자 [1] 솔로몬,르호보암,아비야의 치세의 역사를 쓴 예언자 (대하09:29, (대하12:15, (대하13:22). [2] 스가랴의 조부(슥01:6,7, (겔05:1, (겔06:14). [3] 가시뱌에 있던 느디님 사람의 수령(스08:17). [4] 그 밖에 3인이 있다(왕상04:14, (대상27:21, (스10:43). ▶ 잇도 Iddo. [Id'do] 1. Father of Ahinadab one of Solomon's commissariat officers. 1 Kings 4:14. (왕상04:14 마하나임에는 잇도의 아들 아히나답이요 2. Son of Joah, a descendant of Gershom. 1 Chr. 6:21. (대상06:21 그 아들은 요아요 그 아들은 잇도요 그 아들은 세라요 그 아들은 여아드래며 3. Son of Zechariah and a ruler of Manasseh in Gilead. 1 Chr. 27:21. (대상27:21 길르앗에 있는 므낫세 반 지파의 관장은 스가랴의 아들 잇도요 베냐민의 관장은 아브넬의 아들 야아시엘이요 4. A seer who had 'visions' against Jeroboam. He wrote of Rehoboam in a book 'concerning genealogies;' and also of Abijah in his 'story' or 'commentary.' 2 Chr. 9:29; 2 Chr. 12:15; 2 Chr. 13:22. (대하09:29 이 외에 솔로몬의 시종 행적은 선지자 나단의 글과 실로 사람 아히야의 예언과 선견자 잇도의 묵시 책 곧 잇도가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에게 대하여 쓴 책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대하12:15 르호보암의 시종 행적은 선지자 스마야와 선견자 잇도의 족보책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르호보암과 여로보암 사이에 항상 전쟁이 있으니라 (대하13:22 아비야의 남은 사적과 그 행위와 그 말은 선지자 잇도의 주석 책에 기록되니라 5. Grandfather of Zechariah the prophet. Ezra 5:1; Ezra 6:14; Zech. 1:1, 7. (스05:1 선지자들 곧 선지자 학개와 잇도의 손자 스가랴가 이스라엘 하나님의 이름을 받들어 유다와 예루살렘에 거하는 유다 사람들에게 예언하였더니 (스06:14 유다 사람의 장로들이 선지자 학개와 잇도의 손자 스가랴의 권면함으로 인하여 전 건축할 일이 형통한지라 이스라엘 하나님의 명령과 바사 왕 고레스와 다리오와 아닥사스다의 조서를 좇아 전을 건축하며 필역하되 (슥01:1, 7. 1 다리오 왕 이년 팔월에 여호와의 말씀이 잇도의 손자 베레갸의 아들 선지자 스가랴에게 임하니라 가라사대 7 다리오 왕 이년 십일월 곧 스밧월 이십 사일에 잇도의 손자 베레갸의 아들 선지자 스가랴에게 여호와의 말씀이 임하여 이르시니라 6. Chief at Casiphia, to whom Ezra sent for Levites. Ezra 8:17. (스08:17 가시뱌 지방으로 보내어 그곳 족장 잇도에게 나아가게 하고 잇도와 그 형제 곧 가시뱌 지방에 거한 느디님 사람들에게 할 말을 일러주고 우리 하나님의 전을 위하여 수종들 자를 데리고 오라 하였더니 7. Priest who returned from exile. Neh. 12:4, 16. (느12:4, 16 4 잇도와 긴느도이와 아비야와 16 잇도 족속에는 스가랴요 긴느돈 족속에는 므술람이요 --- Morrish Bible Dictionary ▶ 잇도 Jadau. [Ja'dau] One who had married a strange wife. Ezra 10:43. (스10:43 느보 자손 중 여이엘과 맛디디야와 사밧과 스비내와 잇도와 요엘과 브나야더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
86 이스라히야(Izrahiah)
인물
jesus
1103 4 2006-12-28
▶ 이스라히야(Izrahiah) 뜻: "여호와께서 궐기하시리라" 잇사갈의 아들인 돌라 가문의 사람으로, 웃시의 아들 (대상07:3). 예스라히야와 동일인(느12:42). ▶ 이스라히야 Izrahiah. [Izrahi'ah] Son of Uzzi of the tribe of Issachar. 1 Chr. 7:3. (대상07:3 웃시의 아들은 이스라히야요 이스라히야의 아들들은 미가엘과 오바댜와 요엘과 잇시야 다섯 사람이 모두 족장이며 3 And the sons of Uzzi; Izrahiah: and the sons of Izrahiah; Michael, and Obadiah, and Joel, Ishiah, five: all of them chief men. --- Morrish Bible Dictionary
85 유대(Judea/Judah)
지명
jesus
4102 13 2007-01-02
▶ 유대(Judea) 뜻: 찬송 (1) 이 땅은 여호수아가 가나안에 들어가 12지파에게 토지를 분배할 때 유다라 이름하였다. 당시의 경계는 동으로 사해 서는 지중해 남은 시므온땅, 북은 베냐민과 단인데 112성에 7만6천5백명의 인구가 살고 있었다 (수15:, (민26:22). (2) 솔로몬왕이 죽은 후 그 아들 르호보암에 이르러는 국가가 분열되어 북방 의 10지파는 여로보암을 왕으로 추대하고 국호를 이스라엘이라 하였다. (왕상12:20). (3) 남방은 유대 베다민의 양지파가 유다국이라 하여 르호보암이 왕이 되었다(왕상12:20). (4) 20대에 390년을 지나는 동안 아사 여호사밧 요아스 히스기아 요시아등의 명물이 시시로 일어나 여호와의 율법에 의하여 선정을 하였으나 말년에 4대가 여호와를 질로케 하였느므로 마침내 바벨론와 느부갓네살에게 망 하였다. 그 다음에 메대 파사에 속하여 있는 동안 고레스왕 원년에 스룹바 벨의 인도로 유대인 5만명이 예루살렘에 돌아와 성곽과 성전을 개축하였 다(스02:2,64, (스06:15, (느12:27). (5) B.C.332년:마게도냐의 속국. B.C. 200년:수리아 B.C. 163년:마카비 시대 B.C. 63년:로마에 침몰 A.D. 614년:터키 A.D. 636년:회회교도 오말에게 침공 당하여 회회교의 도성이 됨 A.D. 1099년:십자군에 의하여 해 방. A.D. 1187년:애급에 침몰 A.D. 1291년:터키 재차 침공으로 제 1차 세계대전까지 이름. (6) 예수 당시는 로마에 속한 영토로서 로마는 유대 전토를 3도르 나누어 갈릴리 사마리아 유대라 하였으느니 유대도는 옛날 에브라임 단 베냐민 유다 시므온 지방으로 사마리아와 같이 로마국 총독이 관할하고 갈릴리 도는 갓 르우벤지파의 땅을 합하여 헤롯 안디바가 관할 하였다. (7) 유대광야라 한 곳은 예루살렘 동남에 있어 세례요한이 전도하고 예수님이시험받으신 곳인듯 하다(마02:1, (마03:1). 유대광야 : "그때에 예수께서 성령에게 이끌리어 마귀에게 시험을 받으러 광야로 가서 40일을 밤낮으로 금식하신 후에 주리신 지라 시험하는 자가 예수께 나아와서 가로되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어든 명하여 이 돌들이 떡덩이가 되게하라"(마04:13). 이것은 새벽에 촬영한 것으로 명암이 드러나 황량한 분위기를 잘 보여준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사막이나 산에서 위대한 지도자들이 많이 나왔다. (8) 중앙은 산악 지대로 길이 험준하나 직선이므로 예수님이 갈릴리도에 내왕하실 때는 이 길을 택하여 사마리아도를 통과하셨다(요04:3-4). (9) 토지는 암석과 모래가 많아 아주 척박하나 일부 비옥한 땅이 있어 양맥과대소두등을 외국에 수출하고 포도,감람,석류,무화과등은 가장 많이 생산 하는 고장이요 헤브론 포도는 매우 유명하여 모세의 정탐군이 한 송이를 2인이 메고 왔다 하였다 (민13:23). 생업은 목축,농업,상업이 가장 중요 한것이고 그중에 유대인의 상업술은 세계에서 알아준다. (스09:9, (마02:1, (마03:1, (마04:25, (마19:1, (마24:16, (막01:5, (막03:7, (막10:1, (막13:14, (눅01:5, (눅02:4, (눅03:1, (눅04:44, (눅05:17, (눅06:17, (눅07:17, (눅21:21, (눅23:5, (요04:3, (요07:1, (요11:7, (행01:8, (행02:9, (행08:1, (행09:31, (행10:37, (행11:1, (행12:19, (행15:1, (행21:10, (행26:20, (행28:21, (롬15:31, (고후01:16, (갈01:22, (살전02:14 lt=31.7774&ln=35.2349
84 운노(Unno)
인물
jesus
819 4 2006-12-28
▶ 운노(Unno) 뜻: "고난받은" 대제사장 예수아와 동시대의 레위인. 스룹바벨과 함께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했다(느12:9).
83 요하난(Johman)
인물
jesus
1468 3 2006-12-27
▶ 요하난(Johman) 뜻: 여호와는 인자하심 [1] 유대국 요시아왕의 장자요 여호야김 시드기야 살룸의 맏형이다(대상03:15) [2] 갓 사람으로 다윗에게 돌아온자인데 산의 사슴같이 빠른 용사중 여덟째 사람이다(대상12:8-12). [3] 느헤미야가 예루살렘성을 수축할 때 방해하던 도비야의 아들이며 므술람 의 사위이 다(느06:14,18). [4] 그 밖의 8인이 있다 (대상03:24, (대상06:9, (대상12:4, (대하28:12, (렘41:11-16, (스08:12 (스10:16, (느12:22).
82 요야다(Joiada)
인물
jesus
1141 3 2006-12-27
▶ 요야다(Joiada) 뜻: "여호와께서 인자하심" [1] 바세아의 아들로, 포로귀환 후 예루살렘성을 중수한 사람(느03:6). [2] 엘리아십의 아들로, 느헤미야와 동시대 제사장(느12:10). 그의 아들들은 이방 여인과 혼인했다가 느헤미야에 의해 축출당했다(느13:28).
81 요야김(Joiakim)
인물
jesus
973 3 2006-12-27
▶ 요야김(Joiakim) 뜻: "여호와께서 세우심" 제 1차 바벨론 포로귀환민(B.C. 537년경)의 지도자로, 대제사장(느12:10-26). 스룹바벨과 협력한 대제사장 예수야의 아들.
80 요아다(Jehoiada)
인물
jesus
869 3 2006-12-27
▶ 요아다(Jehoiada) 뜻: 여호와가 알아주심 [1] 바세아의 아들로서 예루살렘성 중수자 중의 한 사람(느03:6). [2] 엘리아십의 아들로 제사장인데 느헤미야와 동시대 사람이여 그의 아들 하나는 호 론 사람 산발랏의 사위가 되었으므로 느헤미야가 축출하였다. (느12:10,22, (느13:28).
79 요아김(Jojakim)
인물
jesus
980 3 2006-12-27
▶ 요아김(Jojakim) 뜻: 여호와 세우시다 제 1회 귀환민의 지도자.스룹바벨과 협력한 유명한 대제사장 예수아의 아들 이다.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대제사장이 되었다(느12:10-16).
78 요셉(Joseph)
인물
jesus
7147 26 2006-12-27
▶ 요셉(Joseph) 뜻 : 그는 이김 여호가 더하시기를 바란다 [1] 야곱(Jacob)의 12아들중 11째 아들. 어머니는 라헬로 동복형제는 아우 베냐민이 있다. 야곱이 특별한 사랑을 받았고 재질이 뛰어나며 하나님 섬기기를 한결같이 하여 형제중에 가장 뛰어난 인품을 보이었다. 그 때문에 형들로 부터 미움을 받아 애굽노예 상具인에게 팔려갔으나 후에 애굽의 총리 대신이 되어 전국적인 기근에 정사를 잘하였으며 양식을 구하러온 형들을 만나 아버지와 같이 그곳에서 살게 되었다 (창37:45). 이스라엘 12지파 - 르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 스불론, 잇사갈, 단, 갓, 아셀, 납달리, 요셉 (에브라임, 므낫세), 베냐민 [2] 모세가 가나안을 정탐하기위해 보낸 한 사람 잇사갈 지파의 사람(민13:7). [3] 아삽의 아들(대상25:2,9). [4] 외국 여인에게 장가든 버니의 아들(스10:42). [5] 제사장(느12:14). [6] 예수의 선조중의 세 사람(눅03:24, 25, 30). 관련인물 -> [요남] [유다] 관련인물 -> [맛다디아] [얀나] 관련인물 -> [헬리] [예수 그리스도] [7]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의 남편(마01:16, (눅03:23). 마리아가 결혼하기 전에 잉태한 것을 안 요셉은 의로운 사람이었으므로 소문내지 않고 비밀리에 관계를 끊고자 했으나 천사가 그 아들이 성령으로 잉태된것을 알려 주므로 그를 맞았다(마01:18-25). 관련인물 -> [야곱] [예수 그리스도] [8] 예수의 형제중 한 사람(마13:55). [9] 아리마대 출신의 유대인 그는 산헤드린 공회의 의원으로서 하나님의 나라를 대마아고 있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처형 당하신 후 빌라도를 찾아가 시체를 줄것을 요구하여 자기 집안의 새무덤에 장사하였다 (막15:42-43, (마27:57-60, (눅23:50-53, (요19:38). [10] 바사바 또는 유스도로 불리는 그리스도인 예수승천후 사도를 보충할 때 맛디아와 같이 후보자가 되었다(행01:23). [11] 바나바의 개인 이름(행04:36). -------------------------------------------------------------------------------- 요셉이라는 뜻은 "그는 더하실 것"이라는 뜻입니다. 요셉은 라헬의 첫번째 아들이며 야곱의 열한번째 아들입니다. 그는 성품이 온유하고 의로운 사람 이었으며 대단히 총명한 사람이었습니다. 야곱이 사랑하는 아내 라헬을 통해 만득자로 얻은 아들이어서 아버지의 총애를 받게되었습니다. 그뿐 아니라 해와 달과 별들이 자기에게 절하고 열한단의 곡식단이 자기에게 절하는 꿈을 말함으로써 형들의 미움과 시기가 날로 더해갔습니다(창37:3-11). 그 형들이 도단에서 양을 칠 때에 그들의 안부를 알기 위해 형들의 목장을 찾아갔습니다. 이때에 형들이 의논하여 요셉을 죽이기로 결의하였고 르우벤의 제의에 따라 구덩이에 넣게 되었으며 다시 유다의 제의로 미디안 상인들에게 은 20을 받고 팔리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진행되는 모든 과정에 하나님의 놀라운 섭리가 함께 포함되고 있음을 그림을 보듯이 깨닫게 됩니다. 요셉은 애굽의 장관 보디발의 집에 종으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그때에 보디발의 아내가 끈기있게 유혹하였으나 단호하게 거절하자 누명을 쓰고 옥에 갇히게 됩니다. 결국 이렇게 반복되는 고통은 애굽의 총리가 되는 첩경이 되었습니다. 자기가족을 애굽 고센땅에 이주시키는데 성공하였고 자기 아버지의 장례식을 애굽의 국장같이 치렀고 요셉도 1백10세에 세상을 떠났으나 모세가 그 유골을 들고 나와 세겜에 안장되었습니다(여24:32). ▷교훈과 적용◁ 첫째, 거듭되는 고난속에서도 충성되게 끝까지 하나님을 신뢰함으로써 받은 축복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둘째, 힘든 유혹을 물리쳤을 때에 주시는 하나님의 상급이 있습니다 -------------------------------------------------------------------------------- ⊙시기와 증오의 형들이 노예로 팔아 / 예수수난 계시한 “섭리”야곱이 헤브론에 있을때 그의 열 아들은 북방 1백㎞ 지점의 세겜에서 양을 치고 있었다. 야곱은 요셉을 멀리 떨어져 있는 아들들의 근황을 알아보기 위해서 보냈다. 요셉이 세겜에 이르렀으나 형들은 세겜 북쪽 30㎞ 지점인 도단으로 이동한 후여서 고생끝에 그곳에 도착했다. 고고학자들에 의하면 이곳에는 당시 인근에서 가장 넓고 좋은 목초지가 있었다고 하며 오늘날의 지명도 여전히 도단(Dothan)으로 불려진다. 요셉의 형들이 멀리서 요셉을 보고 죽여 버리기로 모의한다. 그러나 장자인 르우벤이 생명을 해하지는 말자고 제의하여 광야의 한 구덩이에 던졌다. 또한 유다의 제의에 따라 미디안 상인에게 동생 요셉을은 20세겔에 팔았다. 당시 성인 노예는 은 30세겔에 판매되었으나 요셉은 17세의 소년이므로 20 세겔에 팔았다. 예수님이 은 30세겔에 팔린 사실을 연상하며 미움받고 조롱 받으심이 연상되어 요셉의 수난은 장차 이루어질 예수의 수난을 이해케 하시려는 하나님의 구속사적 섭리의 사건이 분명하다. 요셉의 형들은 그의 채색옷에 숫염소의 피를 묻혀 아비 야곱에게 보냈다. 야곱은 자기 옷을 찢고 심히 애통해하였다. 야곱의 슬픔이 얼마나 컸던지 성경은 그가 『슬퍼하여 음부에 내려』 울었다고 했다. 음부(쉐올)란 육체에서 분리된 자들이 머무르는 지하 어둠의 장소로,한번 들어가면 누구도 되돌아올 수 없는 출구없는 처소이다. 아들의 피묻은 채색옷을 보고 야곱은 그 절망이 음부에 내려앉은 것 같았던 것이다. 자식들에게 속아 슬피우는 야곱의 모습은 30여년전 야곱에게 속아 장자의 축복을 빼앗긴 채 방성대곡하던 에서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결국 야곱은 자신이 형을 속인 만큼의 고통을 자식들에 의하여 경험했으니,속이고 속는 험악한 세월의 주인공이 되었다. 요셉이 애굽에 단신으로 들어갔을 때엔 눈물과 애원이 소용없는 고난만이 있었다. 요셉의 형들은 요셉의 꿈을 무산시키기 위하여 잔인한 계획을 수행했다. 그러나 그들의 음모와 가해는 오히려 요셉의 꿈을 더 빨리 실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와 같이 하나님은 인간의 악한 계획을 종종 선하신 섭리의 방편으로 이용하신다. 뿐만 아니라 약 4백30년후 이스라엘 민족의 출애굽이라는 대반전의 드라마를 연출하셨다. -------------------------------------------------------------------------------- 요셉이 비록 감옥에 갇힌 몸이 되었지마는 그런 중에도 하나님의 은총을 입어 그에게 임한 모든 환난이 오히려 그에게 유익하게 되었던 것이다. 여기서는 창41장을 중심으로 해서 이제부터 그의 앞 길이 어떻게 형통했으며 그가 어떻게 애굽의 큰 주권자인 재상이 되엇는가를 말하고자 한다. 창40-41장에 보면 거기에 꿈 이야기 두개가 있다. 하나는 옥중에 갇힌 애굽의 두 관원장이 본 꿈이요, 다른 하나는 그후 애굽의 바로 왕이 꾼 꿈이다. 먼저 옥중에서 되어진 일이다. 어떤 아침 감옥에 갇히 두 장관이 근심하며 수심에 잠겨 있었다. "당신들이 어찌하여 근심 빛이 있나이까?" 요셉이 물었다. "우리가 꿈을 꾸었으나 이를 해석할 자 없도다." 요셉이 그들에게 이르되 "해석은 하나님께 있지 아니하나이까, 청컨대 내게 고하소서" 성경 본문에 자세히 기록된대로 요셉은 그 꿈을 해석해 주었고 그 꿈 그대로 떡 맡은 관원장은 죽었고 술 맡은 관원장은 해방되어 다시 복직하게 되었다. 창 41장에 보면, 그로부터 만 2년 후 바로 왕이 또 한 꿈을 꾸게 되었다. 본문에 기록된 대로 꿈에 그가 나일강 하수가에 섰는데 "보니 아름답고 살찐 일곱 암소가 하수에서 올라와 갈밭에서 뜯어 먹고, 그 뒤에 또 흉악하고 파리한 일곱 암소가 그 아름답고 살찐 소를 먹은지라..... 바로가 곧 깨었다가 다시 잠이 들어 꿈을 꾸니 한 줄기에 무성하고 충실한 일곱 이삭이 나오고 그 후에 또 가늘고 약하고 마른 일곱 이삭이 나오더니 그것들이 오히려 무성하고 충실한 이삭들을 삼킨지라" 이 꿈은 바로에게 큰 충격을 주었던 것이다. 그는 애굽의 지혜있는 자들을 다 불러들였으나 그 꿈을 해석하는 자가 없었다. 그 꿈의 뜻은 온 천하에 7년간의 큰 풍년이 있고 다음 7년에 또 큰 흉년이 있으리라는 하나님의 계시인 것을 아는 사람은 없었다. 그제서야 술 맡은 장관이 잊어버렸던 옥중의 요셉을 생각했다. 요셉은 그 꿈을 해석했다. 이로서 그는 바로 왕의 사랑을 받아 드디어 애굽의 총리가 되었다. 창41:38 이하에 보면 바로의 말이 "이와 같이 하나님의 신이 감동한 사람을 우리가 어찌 얻을 수 있으리요.... 하나님이 모든 것을 네게 보이셨으니 너와 같이 명철하고 지혜있는 자가 없도다" 또 계속하는 말이 "너는 내 집을 치리하라. 내 백성이 다 네 명령을 복종하리니 나는 너보다 놓음이 오직 보좌 뿐 이니라 내가 너로 애굽의 온 땅을 총리하게 하노라" 하면서 자기의 인장 반지를 빼어 요셉의 손에 끼우고 금사슬을 그의 목에 걸고 세마포옷을 입혀 바로의 수레에 그를 태우고 온 백성이 엎드리게 했다고 했다. 이 사실은 애굽의 왕이 요셉에게 그의 전권을 이양한 것임을 보여주는 말이다. 이처럼 요셉은 전무후무 한 영광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여기에서 이 사건 자체보다도 그 배후에 숨은 성경진리 한 가지를 말하고자 한다. 그것은 곧 본문 배후에 나타난 하나님의 지상주권과 그의 섭리라고 할 것이다. 본문 창41:7,8에 보면 "바로가 깬즉 꿈이라. 아침에 그 마음이 번민하여" 하는 말이 있다. 꿈을 꾸고 난 바로의 마음을 그렇게 번민케 한 자는 누구인가? 온 천하에 두려운 것이 없는 그 마음을 그처럼 고민케 한 자는 누구겠는가? 잠언 21:1에 보면 "왕의 마음이 여호와의 손에 있음이 마치 보의 물과 같아서 그가 임으로 인도하시느니라" 했다. 왕의 마음이 여호와의 손에 있다고 했다. 마치 하나님께서 왕의 마음을 여호와의 손에 있다고 했다. 마치 하나님께서 왕의 마음을 주장하시기를 보의 물과 같이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고 쏟을 수도 있다고 했다. 잠언에는 왜 사람의 마음이 여호와의 손에 있다고 하지 않고 "왕의 마음" 이라고 했겠는가? 그것은 왕의 주권보다 더 높으신 만왕의 왕이 되신 하나님의 주권을 표현하기 위해서 이다. 이런 말은 성경 다른 곳에도 있다. 에스더 6:1에 보면 "이 밤에 왕이 잠이 오지 아니하므로 명하여 역대일기를 가져다가 자기 앞에 읽게 하더니" 하신 말이 바로 그것이다. 이것은 유명한 파사왕 아하수에로가 유대인 모르드개와 그의 백성 유대인들을 전부 학살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바야흐로 그것을 실천하려는 찰나에 어떻게 그들을 구원하게 되셨건가 하는 동기를 말해주는 것이다. 만일 이때 아하수에로 왕이 잠이 들었다면 모르드개와 온 유대인들은 벌써 다 전멸됐을 것이다. 그러나 이상한 것은 그날 그 밤따라 왕에게는 잠이 오지 않게 했다. 성경은 이것을 가리켜 유대인들을 구원하기 위한 하나님의 섭리였다고 가르쳐 주고 있다. 요컨대 천하를 호령하는 이 왕들로 하여금 잠을 자지 못하게 하고 잠이 들어 꿈을 꾸게도 하고 그들의 마음을 번민케도 하고 괴롭게도 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그는 곧 여호와 하나님이시라고 성경은 가르쳐주고 있다. "왕의 마음이 여호와의 손에 있음이 마치 보의 물과 같아서 그가 임으로 인도 하시느니라." 하나님께서는 바로 왕으로 하여금 꿈을 꾸고 번민케 하심으로 드디어 그로 하여금 요셉을 찾게 하고, 요셉을 사랑하게 했고, 요셉으로 하여금 드디어 애굽의 재상의 자리에 오르도록 길을 열어 주신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지상의 권세 를 잡은 왕의 마음만 주장한 것이 아니다. 공중의 권세를 잡은 악령(악한 마귀)들을 주관하시면서 요셉을 어떻게 보호하신 것을 오늘의 본문 또한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제 이 사실을 생각해 보자. 먼저 마귀 사탄은 보디발의 아내를 통하여 요셉을 유록하려 했고 또 범죄케 해서 이스라엘의 구원자가 되지 못하게 하려 했다. 요셉을 넘어뜨리려했다. 그러나 사탄은 그의 계획이 실패되자 이번에는 그를 감옥에 넣도록 했다. 그것으로 요셉을 망하게 하려 했다. 그러나 창 39:20에 보면 "요셉이 옥에 갇혔으나 여호와께서 요셉과 함께 하시매 ...." 했다. 사탄은 하나님의 사랑하는 아들을 이기지 못했다. 그러나 사탄의 행동은 중지하지 않았다. 요셉이 감옥 안에서 떡 맡은 장관과 술 맡은 장관의 꿈을 해석하고 그것이 그대로 성취됐을 때 요셉은 더욱 유명해 졌다. 술 맡은 장관은 얼마나 기뻐했을까. 그러나 그 장관이 감옥에서 나온 후에는 사탄은 그로 하여금 요셉을 잊어버리게 했다. 분명히 창40:23에 "술 맡은 관원장이 요셉을 기억치 않고 잊었더라" 했다. 그렇게 기뻐하던 장관이 어떻게 요셉을 잊어버릴 수 있었겠는가. 만일 그가 요 셉을 잊지 않고 기억했더라면 그는 요셉을 감옥에서 나올 수 있게 했을 것이다. 그러한 권세가 그에게 있었던 것이다. 분명히 요셉은 그렇게 해주기를 그 장관에게 청원했던 것이다. 창40:14에 요셉이 그 술 맡은 관원에게 청하기를 "당신 이 나가서 출세하거든 나를 생각하고 내게 은혜를 베풀어서 내 사정을 바로에게 고하여 이 감옥에서 나를 건져내소서. 나는 히브리 땅에서 끌려온 자요 여기서도 옥에 갇힐만한 일은 행치 아니하였나이다." 이것이 바로 요셉이 그 장관에 요고한 청원이었다. 그러나 사탄은 장관의 마음에 역사하여 요셉을 기억치 못하게 했고 잊어버리게 했다. 그렇게 함으로 요셉을 영원히 감옥에 가두어 두려워 했다. 이것은 분명히 요셉에게는 큰 불행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러나 후일의 역사를 보면 이것가지도 얼마나 다행한 일이었는가. 그때에 만일 그 장관이 요셉을 기억하고 곧 그를 감옥에서 나오게 했더라면 요셉은 애굽의 총리는 되지 못했을 것이다. 그때 그가 만일에 자유의 몸이 되어 세상으로 나오게 되었다면 요셉은 애굽에 머물지 않고 그곳을 떠났을 것이다. 당시의 교통이나 지리적 조건으로 보아서 바로는 다시 요셉을 찾을 수 없었을 것이다. 사실 바로가 꿈을 꿀 때까지 요셉이 감옥에 그대로 남아있게 되었다는 것은 얼마나 필요한 일이요, 유익했던 일인지 모른다. 사탄이 요셉의 발에 영원한 쇠사슬을 묶어 감옥에 가두어 두려했던 바로 그 시간 그 때에도 여호와 하나님께서 악을 다스리는 방법이요, 사탄의 계획을 지배하는 방법이었다.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가지신 하나님께서는 그의 사랑하는 자녀들을 위하여 모든 것이 합하여 유익케 되도록 섭리하신다. 이렇게 해서 마침내 요셉은 애굽의 위대한 재상이 된 것이다. 영광의 권좌에 오르게 된것이다. (한국컴퓨터선교회)
77 요사닥(Jozadak)
인물
jesus
1069 3 2006-12-27
▶ 요사닥(Jozadak) 뜻: 여호와는 의이시다 사독의 혈통에 속한 제사장으로 스룹바벨과 같이 바벨론에서 귀환한 대제사장 여호 수아의 부친이다(스03:2, (느12:26)여호사닥과 동일인이다.
76 요나단(Jonathan)
인물
jesus
4643 7 2006-12-27
▶ 요나단(Jonathan) 뜻 : 여호와가 주심 [1] 모세의 후예로서 미가의 집 우상의 제사장(삿18:30). [2] 사울왕의 장자. (1) 부왕을 도와 이스라엘을 불레셋 기반에서 해방하였다(삼상13:) (2) 부왕이 죽이려고 하는 다윗이 하나님의 사람인줄알고 여러번 위험에서 건져주었고 가정과 국민에 대한 애정이 넘치는 사람이다.(삼상18:-4, (삼상19:1-7, (삼상20:12-17,42, (삼상23:17-18). (3) 다윗이 왕이 되면 버금이 되겠다고 하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블레셋 전쟁으로 길보아 산에서 부자 형제 같이 전사함(삼상31:1-2). (4) 이 소식을 들은 다윗은 슬픈 노래로 사울과 요나단을 조상하였으니 곧 활 노래인데 야살의 책에까지 기록되었다(삼하01:18-27). (5) 다윗이 왕된 후에 요나단을 생각하고 그 가족을 찾아 내어 그 아들 므비보셋에게 그의 조부모의 재산을 돌려주고 그는 다윗의 상에서 먹게 하였으니 이것은 친구 요나단의 우의를 깊이 생각하고 그와 맺은 맹약을 지킴이다(삼상31:, (삼하04:4,9:) [3] 다윗의 형 시므이의 아들이니 가드의 장수로 키가 장대하고 손발에 6가락씩 가진 자를 죽엿다 (삼하21:21, (대상20:7) [4] 다윗의 숙부인데 모사이며 서기관이다(대상27:32). [5] 압살롬의 반란 때에 다윗의 연락원으로 아히마아스와 같이 중책을 역임했고 아도니야 반란때는 다윗이 솔로몬으로 왕을 삼았다는 소식을 전하여 아도니야로 낙심하여 도망하게 하였다(삼하15:27,36, (삼하17:17,20, (왕상01:42,43 [6] 유대국 시드기야왕 때의 서기관으로 방백들이 예레미야를 때려 그의 집에 가두었다. (렘37:15) [7] 아사헬의 아드로 제사장인데 이방 여자와의 결혼을 금지한 사람이다 (스10:15) [8] 그 밖에 7인이 있다 (삼하23:32, (대상02:32-33, (렘40:8, (스08:6, (스10:15, (느12:14:35). -------------------------------------------------------------------------------- 성경에 요나단이라는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이 무려 13명이나 된다 . ⑴ 모세의 손자 게르손의 아들(삿18:30) ⑵ 사울왕의 장남(삼상14:49) ⑶ 제사장 아비아달의 아들(삼하17:15-22) ⑷ 다윗의 형 삼마의 아들(삼하21:22) ⑸ 여라므엘의 야다의 아 들(대상02:32) ⑹ 하랄 사람 사게의 아들(대상11:34) ⑺ 웃시아의 아들(대상27:25) ⑻ 다윗의 친척(대상27:32) ⑼ 아딘 자손 에벳의 부친(스08:6) ⑽ 아사헬의 아들(스10:1 5) ⑾ 요야김 시대의 제사장(느12:14) ⑿ 아삼 계통의 제사장 (느12:35) ⒀ 시드기야왕의 서기관(렘37:15-20). 요나단이라는 이름의 뜻은 [여호와께서 주심]이다. 여기 소개하는 요나단은 사울왕의 아들이며 다윗의 친구 요나단을 말한다. 사울왕이 군사 일천명을 선발하여 요나단에게 맡긴후 베냐민 기브아에 주둔케하여 블레셋의 침공을 막도록 했다. 요나단은 이스라엘 군대의 용사로 다윗처럼 오직 만군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으로 싸운 신앙의 용장이었다. [요나단이 자기 병기든 소년에게 이르되 우리가 이 할례 없는 자들의 부대에게로 건너가자 여호와께서 우리를 위하여 일하실까 하노라 여호와의 구원은 사람의 많고 적음에 달리지 아니하였느니라](삼상14:6) 어떤날 사울왕은 블레셋과 싸워 승리하기 전에는 아무도 음식을 먹어서 안된다는 금식령을 선포했다. 요나단은 이 선포를 듣지 못하고 지팡이로 꿀을 찍어 입에 넣었다. 이 사실을 보고 받은 사울왕은 맹 세코 요나단을 죽이려 했으나 백성들의 탄원으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삼상 14:27-52). 다윗이 골리앗을 쓰러뜨렸을 때 요나단은 그의 무용과 신앙에 감동되어 그를 영원한 벗으로 받아들이고 생사를 같이할 것을 맹세했다. [요나단이 다윗을 사랑하므로 그로 다시 맹세케 하였으나 이는 자기 생명을 사랑함 같이 그를 사랑함이었더라](삼상 20:17) 다윗은 요나단의 우정으로 인하여 몇차례 위기에서 구원받게 되었으며 이은공의 보답으로 다윗은 요나단이 길보아산에서 전사한 후 그의 절뚝발이 아들 므비보셋에게 극진한 후의를 베풀었다(삼하09:1 -13). 이들의 우정은 창공의 태양같고 황야의 꽃처럼 맑고 아름다운 것으로 참 신앙인들만이 쌓을 수 있는 금자탑과도 같은 것이었다. -------------------------------------------------------------------------------- 사무엘상 14장 요나단은 "여호와께서 주셨다"는 뜻이다. 요나단은 사울왕의 장남이었으며 천명의 군사를 거느리는 장관이었다. 그의 주둔지역은 기브아였으므로 블레셋과 마주대하는 진지이기도 하였다. 한번은 병기 든 소년과 함께 적진을 향했다. 불레셋군의 주둔지역에서 20명을 도륙했다. 그때 블레셋군의 혼전으로 큰 전과를 올려 선민의 권위를 세우게 되었다. 이때에 남긴 말이 "여호와의 구원은 사람의 많고 적음에 달리지 아니하였느니라"하는 것이었다. 요나단은 하나님을 의지하고 두려워할 줄 아는 신앙인이었고 정치에도 하나님을 중심으로 한 영적인 질서를 앞세우는 사람이었다. 그러므로 다윗이 골리앗을 쓰러뜨리자 하나님이 다윗을 들어 크게 사용할것을 알았으며 "여호와께서 다윗의 대적들을 치실지어다" 하고 다윗의 장래를 내다보고 있었다. 요나단은 다윗과 언약을 세워 서로 돕고 협력하는 혈맹관계를 맺었다. 목숨을 대신하는 우정을 나누는 친구요 피와 성은 다르지만 형제간 같이 서로 사랑하는 사이가 되었다. 전쟁터에서 탈선한 아버지로 인해 사망/그의 불구 아들 다윗이 보호, 옛은혜 갚아 요나단과 다윗 사이의 우정은 특수한 관계였다. 한 아버지에게서 태어난 형제간의 우애보다 더 깊었으며 서로가 상대방을 위해 자신을 내어줄만큼 뜨거운 친구사이였다. 이는 언약이나 계약에 의한 우정이 아니라 두 사람 사이에 가진 친교와 대화,상대방을 위한 관심과 서로 베풀었던 후의와 애정으로 결합된 친분이었다. 그러므로 두 사람이 각기 다른 시기에 세상을 떠났으나 자기가 사는 동안 상대방을 위해 최선을 다했었다. 요나단은 탈선한 아버지 때문에 전쟁에 나갔다 길보아산에서 사울과 함께 전사하고 만다. 그 후에 다윗이 왕위에 올라 요나단의 아들 므비보셋이 로드발에 생존해 있다는 말을 듣고 그를 왕궁으로 불러들였으며 요나단의 우정을 기억하게 됐다. 요나단을 생각하여 므비보셋이 궁중에서 살게 하였으며 특별히 우대하여 자기 식탁에서 함께 식사하게 했다. 이것은 요나단에게 받은 사랑의 빚을 보답하는 예우였다. 요나단의 선행은 그의 사후에도 절뚝발이 아들 므비보셋에게 상급이 됐다. 다윗은 사울의 재산을 회수하여 므비보셋에게 돌려주었으며 그를 돕는 자로 시바를 맺어주어 그를 보살피게 하였으며 평생 므비보셋의 신변을 보장했고 그를 편안히 안주하게 했다. 요나단이 위기에 처한 다윗을 끝까지 도운 것이 므비보셋에게 큰 은혜가 됐다. ▷교훈과 적용◁ 첫째, 사욕이 없는 사랑의 봉사는 그 자손에게까지 축복의 조건이 된다. 선한 일에 부요하자. 둘째, 다윗은 은혜를 아는 사람이었다. 그 은혜는 우정에 대한 의리였다. 은혜를 갚아야 한다. -------------------------------------------------------------------------------- [요나단] ("야훼께서 주심"이란 뜻) 은 사울 왕의 장남이다. (삼상14:49). 사울 왕은 이스라엘의 정병 3천을 뽑아 그 중 1천을 요나단에게 주어 베냐민 기브아에 있게 했다. 이 요나단의 군대와 블레셋 주둔군 사이의 충돌로 인하여 전쟁이 일어난 듯하다. 요나단은 그군대로써 게바에 있는 블레셋 사람의 수비대를 격파했다.(삼상13:2,3). 그는 부친 사울 왕과 힘을 합하여 이스라엘을 블레셋의 세력에서 해방시켰다. 그는 병기든 소년에게 [... 야훼의 구원은 사람이 많고적음에 달리지 아니하였느니라]라고 말하고 블레셋 진지를 습격하여먼저 20명을 쳐 죽였다. 그의 신앙적 전투 이념은 살마의 다소에 있지 않고 오직 하나님의 능력에 있다는 것이다. 다윗이 골리앗을 쓰러뜨렸을 때 요나단의 마음은 다윗의 마음과 연락되어 다윗을 자기 생명과 같이 사랑하였다. 이 결합은 신앙적 결합이다. 그는 다윗과 언약을 세워 앞으로 절대 상조와 생명에 대하여 절대 보장하기로 하였으며 자기의 입었던 겉옷과 군복 그리고 칼,활, 띠까지도 다윗에게 주었다. 요나단의 우정은 조금도 변하지 아니하여 사울 왕이 다윗을 해하려할 때도 그는 아버지 사울 왕의 잘못을 눈물로 간하며 다윗을 구하는데 온갖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다윗이 사울에 의해 위험에 처하자, 염려하여 요나단은 다윗과 모의했다. 또한 요나단은 다윗이 왕위에 오르고 자기 집은 망할 줄 알고 미리 그 때에 선대해줄 것을 부탁했따. 요나단은 다윗의 집과 언약 하기를 [야훼께서는 다윗의 대적들을 치실지어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요나단의 영감에 의한 예언이니 그는 사울의 집의 장래를 내다보고 예언한 것이다. 그리고 사흘동안 다윗을 에셀 바위 틈에 숨기게 한 후, 궁중의 동태를 활쏘는 방법에 의하여 암호로 지시하겠다고 약속했다. 다윗은그 암호에 따라 진퇴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월삭 식사 때 다윗이 보이지 않자 사울은 그의 불참 이유를 요나단에게 물을 때에 요나단은 다윗이 고향 베들레헴에 갔다고 거짓말을하였다. 요나단은 다윗을 옹호하다가 부왕의 격노를 사고 핍박을 받았다. 요나단은 암호의 활을 쏘고 다윗과 만나 눈물로 작별을 고했다. 이 때 맺은 언약은 후일 다윗이 그 자손에게 후한 인정을 베푸는 원인이 되었다. 일부에서는 요나단의 행위가 비애국적, 비효행위라고 비난하나, 그것은 하나님을 믿는 신앙과 의를 위하여 핍박을 받는 다윗을 아끼고 동정한 정의감의 행동이었다. (삼상 20장) 그 후 요나단은 다윗을 십 황무지 숲 속에서 만나 그를 위로하고 장차 다윗은 왕이 되고 자기는 그 다음이 되겠다는 약속을 남기고 돌아갔다. 그러나 이 회견이 최후가 되고 말았으니 요나단는 그 후 길보아 산에서 전사했기 때문이다(삼상 23:15-18,31:2). 요나단에게는 므비보셋( 대상 8: 34, 9:40에는 므립바알)이라는 절뚝발이 아들이 있었다. (삼하 4:4) 다윗은 요나단을 위해 그 아이에게 사랑을 표시하고 그를 보호하였다. (삼하 9장 ) 이상에서 요나단은 다윗과의 우애를 끝까지 지킨 것을 알 수 있다. 무엇 보다도 하나님에 대한 정의와 다윗에 대한 신의를 저버리지 않았던 요나단은 우리에게 신앙의 절개가 필요함을 일깨워준다. 아버지였던 불의와 타협할 수 없어 등을 돌린 요나단의 결단은 정의보다는 혈연, 이익관계를 더 선택하는 오늘의 모든 자들에게 경각심을 주는 것이다. 그의 신의와 정의감은 다윗을 감동시켰고 후에 자기 자녀를 다윗에 의해 보호받게 하는 기회가 되게 하였다. -------------------------------------------------------------------------------- 요나단… 왕좌도 포기한 ‘다윗의 신앙동반자’ ● 여인의 사랑보다 승한 우정 ( 자기 왕관을 기꺼이 내준 다윗의 참된 친구 - 요나단 ) 강력한 블레셋이/미약한 이스라엘을 위협하던 시기에/이스라엘에 진정한 용사/사울 왕의 아들/요나단이 있었네 “여호와의 구원은/사람의 많고 적음에 달리지 아니하였다”는 굳센 믿음으로/블레셋의 큰 군대를 향해/홀로 용감히 나아가 그들을 물리친/요나단/그는 이스라엘의 참된 믿음의 용사라 강력한 사울 왕이/미약한 목동 다윗을 위협하던 시기에/이스라엘에 참된 우정/사울 왕의 장남/요나단이 있었네 “요나단의 마음이 다윗의 마음과 연락되어/요나단이 다윗을 자기 생명같이 사랑하였다”는/뜨거운 우정으로/아버지의 불의를 물리치고/친구의 정의의 편에 서서/자기가 계승할 왕권을/친구 다윗에게 기꺼이 물려준 요나단은/이스라엘의 아름다운 우정의 화신(化身)이라 오늘 그대여/강력한 블레셋의 공격을 받고 있는가/요나단을 본받아 믿음으로 물리치거라 오늘 그대여/친구와 우정을 나누고 있는가/요나단을 본받아 참된 우정을 키워라/여인의 사랑보다 승한 사랑으로/생명 걸고 친구를 사랑하여/요나단의 빛나는 우정의 발자취를 따라가라 ● 요나단 ― 이스라엘의 용감한 전사, 다윗의 진정한 친구 이스라엘의 용감한 전사 요나단이 활동하던 시기는 통일왕국 이스라엘의 초창기로,부왕인 사울이 통치하던 때였다. 당시 이스라엘의 최대 위협은 지중해안에 살고 있던 블레셋 족속이었다. 요나단은 자신이 맡은 적은 군사로 게바에 진치고 있던 블레셋 수비대를 물리쳤고 또 한번은 이스라엘을 치려고 수많은 군사들을 동원하여 믹마스에 진치고 있던 블레셋 군대를 자기 병기 든 자를 데리고 홀로 나가 맞서서 그들을 성공적으로 교란시켜 결국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이로 볼 때 요나단은 이스라엘의 용감한 전사로서 군사적인 지략이 뛰어난 인물이었음에 틀림없다. 특히 요나단은 사울 왕이 맹세로써 금지시킨 음식을 먹음으로써 처형당할 위기에 놓이게 되었는데 다른 군사들이 필사적으로 변호해 줌으로써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이것은 요나단이 군대 지휘관으로서 부하들의 신망이 두터운 인물이었음을 보여준다. 다윗의 진정한 친구 다윗에 대한 요나단의 우정은 순수했고 진실했으며 뜨거운 것이었다. 소년 다윗이 블레셋의 거인 장수 골리앗을 쓰러뜨릴 때 요나단의 마음이 다윗의 마음과 결합한 이후로 요나단은 모든 이해관계를 초월하여 순수하고 진실되게 다윗과의 우정을 지켜나갔다. 요나단의 부친 사울 왕은 다윗을 위협적인 정적(政敵)으로 보고 그를 죽이려고 혈안이 되었지만 왕위를 계승할 위치에 있는 요나단은 오히려 아버지 사울 왕의 잘못을 지적하였다. 그러면서 다윗을 변호해 주었고 다윗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다하였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요나단은 하나님의 섭리 아래에서 다윗이 결국 사울을 이어 이스라엘의 왕이 될 것임을 선언함으로써 도피 중에 있던 다윗을 크게 격려해 주었다. 후일 요나단이 죽었을 때 다윗은 요나단의 이런 우정을 잊지 못하여 그 우정이 여인의 사랑보다 승하였다고 회고하였다(삼하 1:26). 요나단을 본받아 블레셋의 큰 군대를 칠 때 요나단이 홀로 보여준 용기는 만용이 아니라 “여호와의 구원은 사람의 많고 적음에 달리지 아니하였다”(삼상 14:6)는 믿음에 근거한 것이었다. 그리고 사울을 피해 도피 중에 있던 다윗을 찾아가 장차 다윗이 이스라엘의 왕이 될 것이라고 말해준 것도 하나님의 경륜에 순복하는 믿음에 근거한 것이었다(삼상 23:17). 이같은 굳건한 믿음의 기초 위에서 요나단은 이스라엘의 전사로서 담대한 용기를 가졌고 다윗의 진정한 친구로서 변치 않는 우정을 보여주었다. 김영진 <성서원 회장>
75 오바댜(Obadiah)
인물
jesus
3043 5 2006-12-27
▶ 오바댜(Obadiah) 뜻:주의 종 [1] 예언자 오바댜(오바댜서). (옵01: ) [2] 아합궁의 대신 이세벨이 바알을 숭배하고 여호와의 선지자를 멸할 때에 엘리야들 선지자를 보호한 사람이다. 갈멜산 대결의 기회를 이 사람이 만들었다(왕상18:3-16). [3] 잇사갈 족속의 어른(대상07:3). [4] 스룹바벨의 손자(대상03:21). [5] 에스라와 같이 돌아온 가족의 장(스08:9). [6] 느혜미야와 동시대 제사장(느10:5). [7] 문지기 가족의 장(느12:25). [8] 시글락에서 다윗을 따른 갓 사람(대상12:9). [9] 이스마야의 아버지(대상27:19). [10] 레위 족 므라미 사람(대하34:12). [11] 스마야의 아들(대상09:16). [12] 여호사밧의 관리(대하17:7). -------------------------------------------------------------------------------- 여기 소개하고자 하는 오바댜는 아합왕(BC870­850) 시대의 궁내대신을 말한다. 그는 자신의 높은 지위에도 불구하고 크게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였다. [엘리야가 아합에게 보이려고 가니 그때에 사마리아에 기근이 심하 였더라 아합이 궁내대신 오바댜를 불렀으니 이 오바댜는 크게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라](왕상18:2-3). 오바댜는 왕후 이세벨의 박해로 인하여 선지자들이 멸절될 위기에 처했을 때 1백명의 선지자를 50명씩 두그룹으로 나누어 굴에 숨겨두고 음식물을 날라다 먹였다. 이것은 야훼 신앙의 맥이 바알과 아세라 종교의 박해로 인하여 끊어지려는 때 그 맥을 잇기 위하여 투쟁한 최선의 신앙활동이라 할 수 있다. 주석가들에 의하면 열왕기하 4장 1-7절에 등장하는 가난한 선지 생도의 아내는 오바댜의 부인이며, 그녀의 가정이 그렇게 가난하게 된 이유는 남편이 아합왕 때에 선지 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재산을 헌납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아합이 오바댜에게 이르되 이 땅의 모든 물 근원과 모든 내로 가자 혹시 꼴을 얻으리라 그러면 말과 노새를 살리니 짐승을 다 잃지 않게 되리라](왕상 18:5). 아합과 그가 갈라져서 길을 갈때에 오바댜는 엘리야를 만나서 아합과 대면할 것을 권했으며 그 결 과 갈멜산의 대결이 벌어져 엘리야가 승리를 거두게 되었던 것이다. 권력과 재물을 포기하기까지 하면서 하나님의 의와 야훼 신앙고수를 위해서 헌신한 모범적 신자상을 오바댜를 통해 찾아볼 수 있다. ------------------------------------------------------------------ 오바댜 선지자 1백명의 목숨을 구한 신앙위인 (열왕기상 18:4) 오바댜는 『주의 종』이라는 뜻이다. 오바댜는 어려서부터 여호와를 경외한 사람이요 독실한 신앙의 인물이었다. 아합 왕은 영적으로 타락한 사람이 었지만 오바댜를 궁내대신으로 삼았다. 이는 영적으로나 종교적으로는 대립된 관계였으나 오바댜의 성실함과 충성됨은 아합 왕의 신복이 되는 조건이 되었다. 왕후 이세벨까지도 오바댜를 신임한 것을 보면 그의 인격과 신실함을 대변하고 있다. 이세벨과는 종교적으로 대치상태여서 이세벨이 하나님의 선지자들을 살해할 때 오바댜는 하나님의 선지자 1백명을 두 굴에 숨기고 식량을 공급할만큼 이세벨의 위험속에서 선지자들을 건져 내는 신앙의 위인 이었다. 이렇게 영적인 대결과 갈등속에서도 아합과의 주종관계가 원만했던 것을 보면 오바댜의 훌륭한 모습을 보게 된다. 북조 이스라엘에 3년이상 가뭄이 계속될 때에 아합과 오바댜가 나라의 국토를 둘로 나누어 각기 물을 구하러 나섰다가 오바댜가 엘리야를 만나게 된다. 엘리야는 오바댜에게 내가 여기 있다고 알리도록 지시하였다. 오바댜가 말하기를 각 나라와 각 나라의 영내에서 엘리야를 수색하게 하였고 엘리야를 찾지 못할 때에는 없다는 증서까지 받아냈다. 이같은 상황에서 당신을 고하였다가 하나님이 데려가시면 나만 죽게 되리이다. 그 때에 엘리야가 오바댜에게 약속했고 결국 아합을 만나 여호와 하나님이 참 신인 것을 증거하였다. 교훈과 적용 첫째, 신앙은 위험과 박해와 고난도 초연한다. 오바댜의 선지자에 대한 구명 운동은 신앙의 용기를 대변한다. 둘째, 충성된 일꾼은 어느 시대나 어떤 왕에게도 요긴하다. 한 시대를 지키는 사람이 되자.
74 옛문(Gate of Yeshanah)
지명
jesus
1753   2011-07-27
▶ 옛문(Gate of Yeshanah) - 예루살렘 (느03:6 - 옛 문은 바세아의 아들 요야다와 브소드야의 아들 므술람이 중수하여 그 들보를 얹고 문짝을 달고 자물쇠와 빗장을 갖추었고 (느12:39 - 에브라임 문 위로 옛문과 어문과 하나넬 망대와 함메아 망대를 지나 양문에 이르러 감옥 문에 멈추매 NIV - over the Gate of Ephraim, the Jeshanah Gate, the Fish Gate, the Tower of Hananel and the Tower of the Hundred, as far as the Sheep Gate. At the Gate of the Guard they stopped. ESV - then past the Ephraim Gate to the Old City Gate, past the Fish Gate and the Tower of Hananel, and on to the Tower of the Hundred. Then we continued on to the Sheep Gate and stopped at the Guard Gate. lt=31.777444&ln=35.234935
73 예스라히야(Jezrahiah)
인물
jesus
1304 12 2006-12-27
▶ 예스라히야(Jezrahiah) 예루살렘 성곽 낙성식때 성가대의 감독이다(느12:42).

.
성경연대표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14.세계선교 관련그림.지도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Ani
1창세기[Genesis] 2출애굽기[Exodus] 3레위기[Leviticus] 4민수기[Numbers] 5신명기[Deuteronomy] 6여호수아[Joshua] 7사사기[Judges] 8룻기[Ruth] 9사무엘상[I Samuel] 10사무엘하[II Samuel] 11열왕기상[I Kings] 12열왕기하[II Kings] 13역대상[I Chronicles] 14역대하[II Chronicles] 15에스라[Ezra] 16느헤미아[Nehemiah] 17에스더[Esther] 18욥기[Job] 19시편[Psalms] 20잠언[Proverbs] 21전도서[Ecclesiastes] 22아가[Song of Solomon] 23이사야[Isaiah] 24예레미야[Jeremiah] 5예레미아애가[Lamentations] 26에스겔[Ezekiel] 27다니엘[Daniel] 28호세아[Hosea] 29요엘[Joel] 30아모스[Amos] 31오바댜[Obadiah] 32요나[Jonah] 33미가[Micah] 34나훔[Nahum] 35하박국[Habakkuk] 36스바냐[Zephaniah] 37학개[Haggai] 38스가랴[Zechariah] 39말라기[Malachi] 40마태복음[Matthew] 41마가복음[Mark] 42누가복음[Luke] 43요한복음[John] 44사도행전[Acts] 45로마서[Romans] 46고린도전서[I Corinthians] 47고린도후서[II Corinthians] 48갈라디아서[Galatians] 49에베소서[Ephesians] 50빌립보서[Philippians] 51골로새서[Colossians] 52데살로니가전서[I Thessalonian] 53데살로니가후서[2 Thessalonian] 54디모데전서[I Timothy] 55디모데후서[II Timothy] 56디도서[Titus] 57빌레몬서[Philemon] 58히브리서[Hebrews] 59야고보서[James] 60베드로전서[I Peter] 61베드로후서[II Peter] 62요한일서[I John] 63요한이서[II John] 64요한삼서[III John] 65유다서[Jude] 66요한계시록[Rev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