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의 한글성경
  2. 오늘의 WEB성경
  3. 성경백과사전
  4. 관련서적들

-----Readed_count

-----Update

오늘 :
18,618 / 140,648
어제 :
20,723 / 452,493
전체 :
21,428,548 / 291,814,681
Mobile Bible, Bible Dictionary, Mobile iWorship, 구글Map 성경66권 사전 : -()-()--()-(,)-(,)-(,)-()--중간-(...)-

성경관련 백과사전 & Morrish Bible Dictionary

+ Blue Letter Bible/KJV + 개역한글 성경구절

성경 백과사전 테마별 (구약OT, 신약NT), 성경만화, 요리문답,
영어성경보기, 개역한글성경보기, NEWS, 어!성경
Morrish성경사전 (최신등록), WB.Study, 성경권별 지명연구(지도포함), 인물탐방 각종테마별 - 무게.길이.화폐, 12보석, 유대월력, 동물, (Birds), 식물, 나무, , Miracles(구약, 신약), 613율법Mitzvot, 이방신, 하나님, Tip: 영문장.절위로 커서를 옮기면 해당 KJV 성경 영문구절이 펼처집니다. (Gen. 1:1; Rev. 22:21;)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추천 등록일
Notice 공지 성경 속 전쟁 연대기 (The War Chronicles in the B... 파일
cyber
43364 2 2019-03-05
Notice 공지 TIDWELL BIBLE 21 연대표
jesus
76343 1 2016-12-14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NT 신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91825 1 2016-02-21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OT 구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93509 1 2016-02-21
Notice 공지 성경백과사전 권별.장별[Chapter] 관련내용보기 파일
jesus
90027 1 2015-05-04
314 아삽(Asaph)
인물
jesus
3819 9 2006-12-27
▶ 아삽(Asaph) 뜻:모아 쌓은 자 [1] 다윗의 3악사중 한 사람(대하06:31, 39, 대하29:30). 그가 지은 시가 시편중에 12편이 있다(시050, 73-83:). (시050: (시073: (시074: (시075: (시076: (시077: (시078: (시079: (시080: (시081: (시082: (시083: 그의 시는 다 예언적 의사가 포함되어 있다. 그의 자손과 제자들은 성전에서 봉사하는 직무를 가지고 있다(대하29:13-30, (대하35:15). [2] 히스기야 왕의 서기관 요아의 부친이다(왕하18:18, (왕하36:3-22). [3] 바사왕의 신하로 유대에 있는 왕의 삼림을 감독하는 자다(느02:8). [4] 레위인의 두목 맛다냐의 증조부이다(대상09:15), (느11:17). ▶ 아삽 Asaph. [A'saph] 1. A leader of the choir in David's time, and once called a 'seer.' 2 Chr. 29:30. He was descended from Gershom the Levite. 1 Chr. 6:39; 1 Chr. 15:17, 19; 1 Chr. 16:5, 7, 37, etc. Twelve psalms are attributed to him, namely, 50, 73 to 83. His office seems to have been hereditary. Ezra 2:41; Ezra 3:10; Neh. 7:44, etc. (대하29:30 히스기야 왕이 귀인들로 더불어 레위 사람을 명하여 다윗과 선견자 아삽의 시로 여호와를 찬송하게 하매 저희가 즐거움으로 찬송하고 몸을 굽혀 경배하니라 (대상06:39 헤만의 형제 아삽은 헤만의 우편에서 직무를 행하였으니 저는 베레갸의 아들이요 베레갸는 시므아의 아들이요 (대상15:17, 19; 17 레위 사람이 요엘의 아들 헤만과 그 형제 중 베레야의 아들 아삽과 그 동종 므라리 자손 중에 구사야의 아들 에단을 세우고 19 노래하는 자 헤만과 아삽과 에단은 놋제금을 크게 치는 자요 (대상16:5, 7, 37, 5 그 두목은 아삽이요 다음은 스가랴와 여이엘과 스미라못과 여히엘과 맛디디아와 엘리압과 브나야와 오벧에돔과 여이엘이라 비파와 수금을 타고 아삽은 제금을 힘있게 치고 7 그 날에 다윗이 아삽과 그 형제를 세워 위선 여호와께 감사하게 하여 이르기를 37 다윗이 아삽과 그 형제를 여호와의 언약궤 앞에 머물러 항상 그 궤 앞에서 섬기게 하되 날마다 그 일대로 하게 하였고 (스02:41 노래하는 자들은 아삽 자손이 일백 이십 팔명이요 (스03:10 건축자가 여호와의 전 지대를 놓을 때에 제사장들은 예복을 입고 나팔을 들고 아삽 자손 레위 사람들은 제금을 들고 서서 이스라엘 왕 다윗의 규례대로 여호와를 찬송하되 (느07:44, 노래하는 자들은 아삽 자손이 일백 사십 팔명이요 2. Father of Joah recorder to Hezekiah. 2 Kings 18:18, 37; Isa. 36:3, 22. (왕하18:18, 37; 18 저희가 왕을 부르매 힐기야의 아들 궁내대신 엘리야김과 서기관 셉나와 아삽의 아들 사관 요아가 저에게 나가니 37 이에 힐기야의 아들 궁내대신 엘리야김과 서기관 셉나와 아삽의 아들 사관 요아가 그 옷을 찢고 히스기야에게 나아가서 랍사게의 말을 고하니라 (사36:3, 22. 3 힐기야의 아들 궁내 대신 엘리아김과 서기관 셉나와 아삽의 아들 사관 요아가 그에게 나아가니라 22 때에 힐기야의 아들 궁내대신 엘리아김과 서기관 셉나와 아삽의 아들 사관 요아가 그 옷을 찢고 히스기야에게 나아가서 랍사게의 말을 고하니라 3. A Levite, whose descendants dwelt in Jerusalem after the exile. 1 Chr. 9:15. (대상09:15 또 박박갈과 헤레스와 갈랄과 맛다냐니 저는 미가의 아들이요 시그리의 손자요 아삽의 증손이며 4. A Korhite, whose posterity were porters in the tabernacle in the time of David. 1 Chr. 26:1. (대상26:1 문지기의 반차가 이러하니라 고라 족속 아삽의 자손 중에 고레의 아들 므셀레먀와 5. An officer, probably a Jew, controller of the forests of king Artaxerxes in Judaea. Neh. 2:8. (느02:8 또 왕의 삼림 감독 아삽에게 조서를 내리사 저로 전에 속한 영문의 문과 성곽과 나의 거할 집을 위하여 들보 재목을 주게 하옵소서 하매 내 하나님의 선한 손이 나를 도우심으로 왕이 허락하고 --- Morrish Bible Dictionary
313 게하시(Gehazi)
인물
jesus
3826 9 2006-12-26
▶ 게하시(Gehazi) 뜻 : 묵시의 골짜기 1) 엘리사의 하인 (왕하04:12). 2) 엘리사가 꾸짖은 후 그와 그 후예가 문둥이가 되었다 (왕하05:15-27). (왕하08:45 ======== Gehazi. [Geha'zi] Servant to the prophet Elisha. He had seen Elisha's miracles, even to the raising of the dead, and yet was tempted to deceive him and fraudulently gain a present from Naaman. He was in consequence smitten with leprosy. In after years he was entertaining the king of Israel with the great works of the prophet, when the Shunammite whose son Elisha had raised to life came to petition the king for her land, and she confirmed the servant's narration. 2 Kings 4:12-36; 2 Kings 5:20-27; 2 Kings 8:4, 5. Gehazi is a remarkable instance of how slow man is to realise the goodness and power of God, though plainly manifested before his eyes, until judgement falls upon him. --- Morrish Bible Dictionary ▶ 엘리사의 시종/게하시 ◎재물 욕심부리다 징계받아 성경:열왕기하 4장12절∼14절,5장20절 게하시는 「골자기」라는 뜻이다.선지자 엘리사의 종으로 엘리사를 수종드는 사람이었다.엘리사는 선지자 중의 선지자로 하나님이 큰 사역을 맡기셨는데 그 선지자의 모든 행적과 처신을 보살핀 것을 보면 게하시도 그의 인격이나 영적 자질이나 신앙이 상당한 사람이었을 것이다. 게하시가 나아만 장군이 가져왔던 선물의 일부를 탐냄으로 벌죄한 사건외에는 게하시가 엘리사를 돕는 봉사나 엘리사가 게하시를 통해 영적 사역을 감당하는데 있어서 별다른 어려움이 없었다. 이것은 게하시의 자기 신분에 맞는 개인의 능력을 말해주고 있다.게하시는 판단력이나 관찰력도 예민하여 엘리사에게 큰 호의를 베풀고 후대한 수넴에 살고 있는 귀부인의 마음을 읽고 아들을 주시도록 제안한 일이 있었다. 어떤 면에서는 게하시가 인정도 많았고 자상한 사람이기도 하였다.그러나 아람의 군대장관 나아만이 엘리사에게 문둥병을 고치러 올때 많은 예물을 앞세우자 그의 마음이 흔들리기 시작했다.문둥병이 나을때 나아만이 많은 예물을 희사하므로 엘리사가 한점도 받지 않고 돌려 보내자 하나님의 종으로서의 권위와 나라의 체면을 세우게 된다. 이 광경을 지켜본 게하시가 나아만의 뒤를 따라가 에브라임 산지에서 온 두 생도를 빙자하여 은 두 달란트와 옷 두벌을 속여 받은 범죄로 문둥병자가 되었다. ▷교훈과 적용◁ 첫째,인간의 자질도 좋고 영적 감화를 많이 받았다고 유혹이 제외된 것은 아니다.깨어있자. 둘째,탐심은 상당한 신앙의 연륜을 가진 자라도 순식간에 타락시킬 수 있다.소유욕을 극복하자.〈이병돈·은평교회 목사〉
312 예레미야(Jeremiah)
인물
jesus
3953 8 2006-12-27
▶ 예레미야(Jeremiah) 뜻:여호와는 멀다 베냐민 땅 아나돗제사장 힐기야의 아들로서 4대 선지중의 한 사람이다 유대왕 요 시아 13년 부터 시드기야왕 11년까지 42년간(B.C. 628-586)의 선지자이다(렘01:1-3). 그 는 정렬적인 애국지사로서 백성들이 여호와를 배 반하고 국가와 민족을 좀먹는 행동을 일삼는 관민을 볼때에 통분하여 크게 책망하나 목이 굳은 민중은 듣지 않고 도리어 원망하고 가두고 심지어 죽이려고 까지 하였다(렘36:19). 유대왕 여호와긴 4년에 여호가 예레미야에게 두루마리 책에 이르신 말씀을 기록하라 하시므로 그대로 기록하여 모든 백성에게 낭독하고 또 왕앞에서 낭독하매 여호와김이 낭독하 는 데로 베어 화로에 던져 태웠다(렘 36:1-23). 여호와가 에례미야에게 명하사 다른 두루마리에 이럼 말을 다시 그대로 기록 하고 여호 와김왕에 대하여는 바벨론왕이 이땅을 멀리하라 라고 예언하라 하 시매 그대러 행하였 다(렘 36:27-32). 그 후에 갈대아 인에게 항복하라 권고하자 잡아 토굴에 가두었다(렘39:13-16) 그 후 다시 백성의 평안은 구하지 않고 군사와 백성의 사기를 저하시킨다고 물없는 진흙구덩이에 던져 넣은 것을 구스사람 에비멜렉이 왕에게 청하 여 끌 어 내고 시드기야왕이 비밀히와서 다시 물으매 바벨론 왕에게 항복하면 살고 항복하지 않으면 죽는다고 대답하였다(렘38:7-13, 38:16-18). 예레미야의 예언대로 바벨론왕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을 2년만에 함락시키고 왕 을 사로잡아 그 목전에서 그 아들들과 귀인들을 죽이고 왕의 눈을 빼고 바벨론으로 옮겼다(렘 39:1-9). ▶ 예레미야 (Jeremiah) 핍박 중에도 「바벨론 포로」 예언 성경:예레미야 1장1∼10절 예레미야는 「여호와께서 높이신다」는 뜻이다. 예레미야는 제사장 힐기야의 아들이다. 당시 남조 유다의 통치자는 요시야였는데 그의 치세 13년 되던 해에 그는 하나님께 소명을 받았다. 예레미야는 젊어서 하나님께 헌신된 선지자였다. 예레미야는 모태로부터 하나님의 은혜를 입었고 이스라엘 백성이 극도로 타락하여 나라가 위기에 놓여 있을 때 선지자의 사명을 감당한 하나님의 종이다. 당시는 사람들의 신앙이 타락하고 우상 숭배가 만연한 때였다. 산에서 뿐 아니라 예루살렘 거리에서까지 이방신을 섬기는 탈선된 제사가 일반화된 시대였다. 그뿐 아니라 부정과 타락과 영육간의 범죄와 살인과 폭력이 난무한 시기였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심판은 필연적이었고 이 심판에 대한 대언자가 예레미야였다. 예레미야의 예언은 가장 정확한 하나님의 예고였는데 백성들은 이를 의도적으로 거절하였다. 여기에 선지자의 고통이 있었다. 예레미야의 예언중 가장 중요한 내용은 유다민족이 바벨론의 포로가 될 것이라는 점이었다. 이는 선민의 죄때문에 하나님이 남조유다를 바벨론에 붙히시는 징계이므로 피할 길이 없었다. 그러나 유다왕과 백성은 이 예언에 대해 정면으로 거절하고 나섰다. 이와 같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 예레미야는 끝까지 이 예언을 담대히 선포하였다. 그는 가장 힘든 때에 진실된 예언으로 일관하다가 핍박을 받아 순교한 선지자였다. (교훈과 적용) ● 예레미야 행적 1. 요시야 왕 때 (왕하21:19~23:30) 렘1~6장 예레미야의 사역시작 렘11~12장 예레미야의 사역은 신명기 신학이 기초 렘7~10장 예루살렘 성전 설교 2. 여호아하스 때 (왕하23:31~34) 렘21:11~22:19 유다왕실 (여호아하스, 여호야김)에 대한 말씀 3. 여호야김 왕 (왕하23:35~24:5) 렘26장 여호야김 초기 렘14~20장, 렘35장 여호야김 초기 렘46:1~49:33 여호야김 4년(2차 갈그미스전투) 렘36장 두루마리 사건 렘45:1~5, 렘25장 위와 겹치는 내용 * 합1~3장 바벨론이 침공하고 있는 상황을 배경으로 호소하는 기도와 응답 4. 여호야긴 왕 때 (왕하24:6~24:17) 렘13장 여호야긴(with어머니) 잡혀갈 것을 예언 렘22:20~30절 여호야긴 왕에 대한 예언 렘23장 참 이스라엘 왕에 대한 프로필 렘24장여호야긴이 바벨론으로 잡혀간후 보여주신 환상. 5. 시드기야 왕 (왕하24:18~25:30) 렘29~31장 여호야긴이 어머니와 함께 잡혀간 이후 렘27장 시드기야 초기, 예레미야의 행동예언 렘28장 시드기야 4년 5월(반바벨론 움직임) 렘49:34-39 엘람에 대한 예언 렘50:1~51:58 열국 미래와 바벨론멸망에 대한 예언 렘51:59~64 바벨론멸망예언 두루마리 바벨론에 전함 렘37~38장,렘21:1~10 바벨론 3차 침공, 바벨론 군대 퇴각 렘32~34장 시드기야 10년째. 예루살렘 멸망 직전 6. ‘멸망 그 이후 임시정부 때’ 렘39장, 52장 예루살렘 성이 바벨론에 함락, 포로 잡혀감. 렘40~44장 살아남은 유대공동체 스토리. 그다랴(총독)피살.. * 예레미야애가 1-5장 유다의 멸망 앞에서 예레미야가 흐느낌
311 엘리아김(Eliakim)
인물
jesus
3294 8 2006-12-27
▶ 엘리아김(Eliakim) 뜻 : 하나님께서 세우심 [1] 예수의 조상중 한 사람(눅03:30). [2] 힐기야의 아들로 유다 왕 히스기야의 궁내 대신으로 예루살렘과 유다짐의 아버지로 일컬음을 받음. 예루살렘이 공격 당할 때 앗수르 적장 랍사게에게 사자를 보냄 (왕하18:18, 26, 37, (왕하19:2 (사22:10-25, (사36:3 (사37:2 [3] 느헤미야 시대의 제사장(느12:41) [4] 유대 왕국 제21대 왕, 애굽왕 바로느고가 세운 꼭두각시 왕 (여호야김으로 불림)으로 25세에 즉위 11년간 치리기간 동안 여호와 보시기에 행악함 (왕하13:36-37) [5] 바벨론에서 돌아온 스룹바벨의 손자(마01:13) ======== Eliakim. [Elia'kim] 1. Son of Hilkiah, and chief of the household of Hezekiah. 2 Kings 18:18, 26, 37; 2 Kings 19:2; Isa. 22:20; Isa. 36:3, 11, 22; Isa. 37:2. Eliakim must have held a high office; he is named before the scribe and the recorder. In Isa. 22 God calls him His servant: Shebna was to be set aside, and Eliakim was to be clothed and raised up as governor. He was to have the key of David, and be able effectually to open and shut. He is here a type of Christ when He comes to take His place over Israel. 2. The original name Of JEHOIAKIM, q.v. 2 Kings 23:34; 2 Chr. 36:4. (왕하23: 엘리아김 여호야김 (대하36: 3. A priest who assisted at the dedication of the wall of Jerusalem. Neh. 12:41. 4. Son of Abiud (아비훗) in the genealogy of the Lord Jesus. Matt. 1:13. 5. Son of Melea (멜레아) in the genealogy of the Lord Jesus. Luke 3:30, 31. --- Morrish Bible Dictionary
310 에서(Esau)
인물
jesus
4624 8 2006-12-27
▶ 에서(Esau) 뜻 : 털이 많다 이삭(Isaac)의 처 리브가가 낳은 쌍동아이중의 큰 아들로서 그 별명은 에돔이다. 그는 어려서 부터 사냥을 좋아하여 그 사냥한 고기로 부친 이삭을 기쁘게 하였다. 사냥에서 배고파 돌아올 때 장자의 명분을 소홀히 여겨 팥죽 한 그릇에 동생 야곱에게 팔았다(창25:24-34). 부친 이삭이 축복하여 주려는 장자의 복을 야곱에게 빼앗기고 분노하여 야곱을 죽이려 하였으나 야곱이 알고 도망하여 죽이지 못하였다(창27:41-44) 20년 만에 만나 화목하고 세일산 부근에 이주하여 그 자손이 크게 번창하니 곧 에돔 족속이다(창35:5). ------------------------------------------------------------------ 에서 (Esau) 창세기 27장1∼27절 에서라는 뜻은 털이 많다는 뜻입니다. 에서는 야곱과 함께 태어난 쌍둥이였는데 먼저 출산되어 형이 되었습니다. 에서는 몸이 붉고 털이 많아 그 피부가 갖옷 같았습니다. 또한 야곱의 간계에 말려들어 붉은 것을 먹었다 하여 그의 별명이 에돔이 되었습니다(창25:30) 이 별명은 단순한 그 개인의 호칭으로 끝나지 않고 그 후손이 에돔족이 되는 에돔의 조상이 되었습니다(창36:9). 에서의 후손 에돔족은 세일지역에서 창대하게 번성하였으며 그 지역의 원주민이 되었습니다(신01:8, 9, 19). 그러므로 세일산을 에서의 산이라 부르기도 했습니다』(욥01:1, 9, 19). 에서의 인간됨은 남자답고 단순하며 너그러운 사람이었습니다. 그의 외모와 속성에 어울리는 활동적인 사람이며 사냥을 즐겼습니다. 그러나 신앙과 기도가 없어 비종교적인 사람으로 하나님의 미움을 받았습니다(롬09:13). 또한 결정적인 실수는 장자권을 붉은 죽 한그릇에 팔 정도로 영적인 축복에 대해 경솔했던 일은 모두 하나님의 백성에게 귀감이 되고 있습니다(히12:16∼17). 또한 헷족속 브에리의 딸 유딧과 엘론의 딸 바스맛을 아내로 취하여 가족의 큰 근심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 이삭과 리브가의 장남이며 야곱의 쌍둥이 형이다. 그의 별명은 에돔 이었는데 그 뜻은 [붉다]는 의미이다. 태어날 때부터 피부색깔이 붉 었으며 몸에 털이 많았고 그리고 동생 야곱에게 장자의 기업을 넘겨 주고 붉은 죽을얻어 먹은 탓으로 에돔(붉음)이라 불렀던 것이다. 그는 성장한 후 헷족속 브에리의 딸 유딧과 헷족속 엘론의 딸 바스맛을 아내로 맞이한 탓으로 스스로 이스라엘 족장의 계열에서 벗어나서 에돔족속의 조상이 되었다. 창세기 저자가 우리에게 또하나의 의문을 던져주는 것은 왜 하나님께선 이들 쌍둥이(에서와 야곱)가 어머니 리브가의 복중에 있을때 부터 에서의 편을 들지 않고 동생 야곱의 편을 들었느냐 하는 문제이다. [두 국민이 네 태중에 있구나 두 민족이 네 복중에서부터 나누이리라 이 족속이 저 족속보다 강하겠고 큰 자는 어린 자를 섬기리라 ](창 25:23) 태속에 있는 쌍둥이를 두고서 한편은 축복하고 한편은 저주한 것은 하나님의 지나친 편애와 월권이 아닐까? 아직 세상에 태어나지도 않고 살아보지도 못한 생명에게 어떻게 그런 운명론적 판결을 내릴 수 있단 말인가? 그리고 에서를 변호한다면 그는 한마디로 말해서 멋있고 인간미 넘치는 사나이다운 사나이었다. 검소하고 소박하며 광야와 산길을 타고 다니면서 단련한 건강한 체구를 가진 남성으로서 그는 결코 야곱처럼 약삭빠른 사람은 아니었는듯하다. 그러나 하나님께선 에서의 생애와 사상을 벌써 태중에서 읽었기에 그런 예언적 판결을 내리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에서의 결정적 오류는 그중요한 장자의 명분을 값싼 죽 한그릇과 바꾸어 먹었다는 사실에 있다. 즉 에서는 그에게 부여된 생의 기본권 리를 존중하고 그 가치의 존귀함을 인정하는 신앙보다 순간적 욕구충 족에 너무 집착했기 때문에 하나님의 은총과 축복을 동생에게 넘겨주 고 말았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인간 삶에 있어서 빵은 삶의 수단에 불과하며 하나님의 장자됨의 권리는 너무나 존귀하고 거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에서] (털이 많은이라는 뜻) 는 이삭과 리브가 사이에서 태어난 쌍둥이중에 한 아이이다. 에서라는 이름의 어원은 히브리어 에사브(털이 많음)와 히브리어 크아데렛 세아르(전신이 갖옷 같다) 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창세기 30절에서는 에서가 야곱의 죽(아돔[adom])을 원해서 별명을 에돔(edom) 이라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잉태하지 못하던 이삭의 아내 리브가가 뱃속에서부터 서로 싸웠다.출산을 할 때 쌍둥이 중에 먼저 나온 아이는 붉고 전신이 갖옷 같아서 이름을 에서라 지었고 후에 나온 아이는 손으로 에서의 발꿈치를 잡고 나왔으므로 이름을 야곱이라 칭하였다(창25:19-26)고 한다. 야곱은 성장하여 양치기가 되었고 에서는 능숙한 사냥꾼이 되었다.그런데 아버지 이삭은 고기를 무척 좋아했으므로 에서를 끔찍히 사랑하였다. 어느날 에서는 사냥에 실패하여 굶주린 채 돌아왔다. 이때 야곱이 죽을쑤고 있었다. 이에 에서가 죽을 나누어 달라고 말하지 야곱은 장자권과 죽을 바꾸자고 제안한다. 장자권을 대수롭게 여기지 않고 있던 에서는 야곱의 제안을 받아들인다. 그는 40세가 되어 이족 헷 족속의 아내 브에리의 딸 유딧과 엘론의 딸 바스맛을 얻는다.그런데 부모가 이를 근심하므로 부모의 뜻을 따라 또동족의 아내 이스마엘의 딸 마할랏을 취한다. (창28:9,36:3). 이삭이 나이가 많아 눈이 어두워 잘 보지 못하므로 죽기 전에 사랑하는 아들 야곱이 장자 축복을 받도록 하려고 계략을 꾸민다. 그래서 에서가 축복받는 기념으로 이삭에게 맛있는 요리를 마련하려고 사냥을 나간 사이에 야곱이 에서를 대신하여 장자 축복을 받게 된다. 에서가 돌아와 사냥에서 잡은 짐승으로 별미를 만들어 바치며 축복을받으려했으나, 이미 장자의 축복은 야곱에게 돌아갔으므로 축복 대신 되려저주를 받게 되었다. 이로 인해 에서는 야곱을 미워하며 아버지가 죽은 후에는 야곱을 죽이려고 결심한다. 이러한 에서의 마음을 안 리브가는 에서의 분노가 풀리기까지 야곱을 하란의 외가로 피신시킨다. 그래서 야곱은 밧탄 아람에있는 외삼촌 하반의 집에서 20년을 보내게 된다 (창27:41-31:55). 그후 야곱은 일족을 거느리고 다시 돌아온다. 돌아오면서 야곱은 에서가 여전히 자신을 미워하고 해를 입힐 것을 두려워하여 철저한 준비를한다. 그러나 뜻밖에도 에서는 동생 야곱을 용서하고 따뜻하게 맞아들인다. 그후 형제는 사이좋게 지내며 이삭의 장례도 함께 치른다. 에서의 전기중에 두드러진 특색은 야곱과의 투쟁이다. 이 투쟁중에서 가장 핵심은 장자권의 양도이다. 장자권의 양도는 부친 사후에 우선권( 창27:29) 과 가정에 있어서의 제사권(민 3:12) 과 유산권 등등의 권리의상실을 의미한다. 이 행위 때문에 신약성경은 에서를 [망령된 자](히12:16)라고 그의 품성을 폭로하고 있다. 즉 그의 품성이 하등의 신성한 것을인정하지 않고 그의 마음이 물질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만을 추구하는 것임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야곱을 용서하고 따스하게 맞아들이는 에서의 화해의 관용과 용서하는 마음이 죽 한 그릇에 장권을 넘겨주고 또 장자권을 차지한 야곱을 미워하여 죽이려한 에서의 근시안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생각과 성급한성격으로 인한 잘못을 상쇄시킬 수도 있으리라 여겨진다. 에서는 세일의 구릉 지대에서 호리 사람을 쫓아내고 거기에 정주했다. 그래서 에서의 자손은 세일지방에서 크게 번성했으며 세일산을 "에서의산"이라고도 불리었다. 에서는 에돔의 조상이 되었다. -------------------------------------------------------------------------------- 본 문 : 창25:27-34 요 절 : (창25:34) 1. 육신의 배를 채우기 위하여 영적 특권을 포기한 에서 1) 에서는 장자의 명분을 팔아버림으로 종가집의 축복을 포기해 버리고 말았다. (1) 장자의 명분을 팔아버린 현실적인 이유는?(창25:29-34) (2) 장자의 명분과 바꾼 식물을 우리 값으로 환산한다면 얼마나 될까?(창25:34상) (3) 장자의 명분을 팔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창25:34하) 2) 약속의 가정에서 태어난 에서가 장자의 명분을 포기하고 팔아버린 것은 결코 이삭의 가정 재산이나 명분을 포기한 정도가 아니었다. (1) 하나님의 자녀에게 약속하신 유업은?(약2:5) (2) 우리가 아브라함의 혈통을 이어받지 않았어도 그의 자손이 되어 약속의 유업을 받을 수 있는 길은 무엇인가?(갈3:29,4:7) * 에서가 육신의 배고픔으로 인해서 장자의 명분을 포기한 것은 곧 약속의 땅 가나안을 포기한 것이며 그것은 또한 영원한 나라(천국)를 포기한 상징적인 행위이다. 2. 신앙의 가정에서 이탈해 가는 에서의 세속생활 1). 장자의 명분을 포기한 에서는 결국 장자에게 주는 축복의 기회를 놓쳐 버리고 말았다. (1) 에서에 대한 하나님의 예언계시(창25:23) (2) 하나님의 약속을 성취하는 어머니의 역활(창27:6-14) (3) 에서의 탄식과 후회(창27:30-34,히12:17) 2).에서는 그의 결혼에 있어서도 이방여인을 아내로 맞이하여 들이므로 신앙의 가정을 포기하고 있다. (1) 에서의 아내는 어느 지방 사람인가?(창26:34) (2) 에서가 이방여인과 결혼한 일은 그의 부모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나?(창26:35, 27:46) (3) 에서의 두 번째 결혼 대상자는 어떤 사람인가?(창28:8-9) *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의 가문에 손자로 태어난 에서는 믿음의 길을 포기하고 하나님의 약속된 축복을 받지 못한채 이방인에게 동화되어 버리고 말았다.(창36장참조) ======== ▶ Esau. [E'sau] A twin son with Jacob of Isaac and Rebekah, though Esau was actually the first-born. He is described as "red, all over like a hairy garment;" with this his name corresponds, which signifies 'hairy.' Gen. 25:25. The first thing we read of him is the selling of his birthright to his over-reaching brother Jacob, for a mess of pottage. Concerning this he is called in the N.T. a profane person, because he valued not that which was the gift of God. He afterwards sought the blessing carefully with tears, but found no place of repentance. Gen. 25:29-34; Heb. 12:16,17. (창25:29-34; 에서 (히12:16,17 Jacob, through want of faith in God, surreptitiously obtained the blessing of his father (who, contrary to God's election, intended it for Esau), in which Isaac said that he had made Jacob Esau's lord, and given all his brethren to be his servants. The blessing of Esau was "Thy dwelling shall be the fatness of the earth, and of the dew of heaven from above; and by thy sword shalt thou live, and shalt serve thy brother; and it shall come to pass, when thou shalt have the dominion, that thou shalt break his yoke from off thy neck." Gen. 27:37-40. Esau hated his brother, and intended, when the days of mourning for his father were ended, to kill him. The words of Isaac were fulfilled. David put garrisons throughout all Edom (where the descendants of Esau dwelt, Gen. 36:8) and all they of Edom became his servants, 2 Sam. 8:14; but later on in the days of Joram, Edom revolted from under the hand of Judah; and though Joram was able to punish them, yet Judah was growing weaker, and 'Edom revolted from under the hand of Judah, unto this day.' 2 Kings 8:20-22. Obadiah announces Edom's final judgement: no remnant is restored. See EDOM. (창27:37-40 (창36:8 (삼하08:14 (왕하08:20-22 Esau had three wives (see BASHEMATH) and a numerous posterity, which increased to a powerful tribe. When he went to meet Jacob he was accompanied by four hundred men. It may be God had warned Esau, as He did Laban, not to hurt Jacob; or possibly his anger may have abated: for when they approached, "Esau ran to meet him, and embraced him, and fell on his neck and kissed him, and they wept." They were thus happily reconciled, and at the death of Isaac his two sons buried him. Gen. 33:4; Gen. 35:29. (창33:4 (창35:29 In Mal. 1:2, 3 Esau is referred to as having been hated by Jehovah, whereas Jacob had been loved. This is quoted by Paul in Rom. 9:13, where God's sovereignty is being enforced. It was foretold that the elder should serve the younger before they were born, and before they could have done either good or bad: this was God's sovereignty. But it was not foretold that God would hate Esau; it is not mentioned till the close of the Old Testament, after Esau in his descendants had displayed his unrelenting enmity to Israel, and Esau personally had long before that despised the gift of God in his birthright. The passage in Malachi is thought by some to refer to the nations which descended from the two brothers. (말012, 3 (롬09:13 --- Morrish Bible Dictionary ------------------------------------------------------------------ 에서…동생에 팔아버린 장자권…남은 건 방황뿐 세속의 사냥감을 좇아서 (어리석은 육체의 사람-에서) 아브라함과 이삭의 가문/하나님의 약속이 깃든 축복받은 집안/그 빛나는 집안의 장자로 태어난/에서. 그러나/ 장자의 명분일랑 일찌감치 잊어버리고/어제처럼 오늘도 사냥감을 쫓아/이리저리 가나안의 들판을 헤맨다/그의 기쁨은 화살통/그의 자랑은 사냥한 짐승들. 들판을 헤매다 허기진/에서/팥죽 한 그릇에/장자의 명분을 팔아넘긴다/하나님이 주신 축복의 티켓을/휴지처럼 가나안 들판에 구겨 던진다. 야곱이 장자의 축복기도를 받는 그 순간에도/들판을 헤매던/에서/마침내 잃어버린 장자권에/목놓아 슬픈 울음을 터뜨리다. 머리를 쥐어뜯고/울며/몸부림치며/동생의 간교함에 몸을 떨었지만/그에게 주어진 것은/이슬조차 사라진 메마른 산악/약속의 땅 가나안을 슬피울며 떠나가네. 오늘,에서의 후예들/그들도 에서처럼/욕망의 화살통 둘러매고/사냥감을 찾아 세속의 들판을 이리저리 헤맨다/어리석음의 들판을/오늘도 헤매이고 있다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축복 받은 가문, 하나님의 약속이 깃든 믿음의 집안에 경사가 생긴다. 아브라함과 이삭의 집안에 쌍둥이 아들이 태어난 것이다. 먼저 세상에 나온 형은 에서, 뒤이어 형의 발꿈치를 붙잡고 나온 동생은 야곱. 고대 히브리 사회에서 한 집안의 장자로 태어난다는 것은 정녕 축복된 일이었다.장자는 한 집안의 물질적,정신적 유산을 물려받고 그것을 이어갈 책임과 특권을 가진다. 하나님의 약속과 은총이 빛나는 언약의 가문에서 에서는 그런 소중한 장자권을 가지고 태어난다. 가나안 땅의 들판을 이리저리 헤매다가 하지만 언약 가문의 큰아들 에서는 장자의 명분 따위에는 관심이 없었다. 털 많은 들 사람인 에서의 관심은 온통 화살통과 사냥감에 있었다.“오늘은 좀 더 큰 놈을 사냥해야 할텐데…”하면서,오늘도 어제처럼 화살통을 둘러메고 아침 일찍 집을 나선다. 그 날은 저녁 늦게까지 사냥감을 쫓다가 배가 무척 고팠다.그때 동생 야곱을 만나고, 그에게서 팥죽 한 그릇을 얻어먹는 대가로 장자의 명분을 팔아 버린다. 눈에 보이지 않고 손에 잡히지 않는 장자권 따위는 그만큼 에서의 관심 밖이었다. 이렇게 에서는 언약 가문의 축복 티켓을 휴지 버리듯 가나안 땅의 들판에 아무렇게나 내팽개친다. 장자권을 잃고,슬피 울며 가나안 땅을 떠나가다 세월은 흐르고, 언젠가 에서가 아비 이삭으로부터 장자의 축복 기도를 받고자 했을 때, 이미 그것은 동생 야곱에게 빼앗긴 뒤였다.“내 아비여 내 아비여, 내게도 축복하소서 내게도 그리하소서(창세기 27:38)” 그야말로 방성대곡.슬피 울며 몸부림쳤지만, 에서가 받은 축복이라곤 언약의 땅 가나안에서 제외된 곳.기름진 땅과는 거리가 멀고 이슬조차 사라진 광야의 메마른 산악 지대뿐이었다.성경은 이러한 에서를 가리켜 ‘망령된 자’라고 일컫는다(히브리서 12:16). 오늘도 먹을 것을 바라고 입을 것을 바라며, 오직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는 욕망의 사냥감을 쫓아 세속의 들판을 이리저리 헤매는 에서의 후예들이 얼마나 많은가.그러나 세속의 들판에서 그들이 얻을 것은 후회와 눈물뿐, 잃은 것은 복음과 천국인 것이다. 김영진(시인·성서원 회장) (교훈과 적용)
309 그달리야(Gedaliah)
인물
jesus
5267 8 2006-12-26
▶ 그달리야(Gedaliah) 뜻:여호와는 위대하시다 한글개역성경에는 '그다랴' 또는 '그달랴'로 표기되기도 했다. [1] 아히아김의 아들이며 사반의 손자(왕하25:22) [2] 여두둔의 아들로 다윗시대에 성전 악사를 지낸 레위인(대상25:3, 9) [3] 에스라 시대에 이방 여자와 결혼했던 제사장(스10:18) [4] 예레미야를 대적한 바스훌의 아들이며 예루살렘 백백중의 한 사람(렘38:1, 4-6) [5] 스바냐(B.C. 728-687년)의 손자(습01:1). ======== Gedaliah. [Gedali'ah] 1. Son of Ahikam: he was made governor over those left in the land, with a Chaldean guard, by Nebuchadnezzar. He was joined by Jeremiah, and apparently ruled well; but he was treacherously murdered by Ishmael of Judah, who, according to Josephus (Ant. 10:9, 3), was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Gedaliah was duly warned, but had too good an opinion of the man. 2 Kings 25:22-25; Jer. 39:14; Jer. 40:5-16; Jer. 41:1-18; Jer. 43:6. 2. Levite, son of Jeduthun. 1 Chr. 25:3, 9. 3. Priest who had married a strange wife. Ezra 10:18. 4. Grandfather of Zephaniah the prophet. Zeph. 1:1. 5. Son of Pashur and one of the princes who caused Jeremiah to be cast into a dungeon. Jer. 38:1. --- Morrish Bible Dictionary ▶ 식민지 유다의 총독/그달리야 ◎예언 받들어 난국 수습 공로 성경:열왕기하 25장 22∼25절 그달리야(그다랴)는 「여호와는 위대하시다」라는 뜻이다.그달리야는 요시야왕 때의 서기관 사반의 손자이자 아히갑의 아들이었다.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을 함락시킨 후 남아있는 백성을 다스리도록 그달리야를 유다의 총독으로 임명했다.그달리야의 아버지 아히감은 예레미야의 친구였으므로 그달리야도 아버지의 감화를 받아 예레미야의 예언을 따랐다. 그는 단순히 느부갓네살에 의해 총독으로 세움받은 은혜에 보답코자 친 바벨론파가 된 것이 아니었다.그것은 하나님의 예언과 예레미야의 권고를 받아들인 선택으로 바벨론과 연합하게 된 것이다. 그달리야는 신앙의 사람이며 현실에 대한 판단이 정확했고 지혜와 관용을 겸한 뛰어난 인물이었다.그러므로 그달리야가 유다를 통치하자 짧은 기간에 나라의 어려운 문제들을 정리했고 모든 유대인은 용기와 희망을 갖고 그를 따랐다.뿐만 아니라 이웃나라에 흩어졌던 유대인들이 그달리야를 중심하여 다시 본국으로 돌아오는 선민의 결속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그달리야를 시기하는 두 세력이 있었는데 하나는 암몬 왕 바알리스가 유다를 통합하려는 야심이었고 다른 하나는 왕의 종친인 이스마엘의 적개심이었다. 결국 이 두 세력이 연합,이스마엘이 그달리야를 살해함으로써 패망후에 안정을 되찾던 유다나라에 불행한 역사가 시작됐다.그달리야는 2개월밖에 통치하지 못했으나 존경의 대상이었다. ▷교훈과 적용◁ 첫째,그달리야는 유능한 사람이기보다 존경의 대상이었다.지도자는 민심을 얻어야 한다. 둘째,민심은 돈과 권세로 소유되는 것이 아니다.더욱이 지도자가 배신감으로 민심을 잃는 것은 슬픈일이다.〈이병돈·은평교회목사〉
308 여호사밧 골짜기(Valley of Jehoshaphat)
지명
jesus
1966 7 2007-01-02
▶ 여호사밧 골짜기(Valley of Jehoshaphat) 뜻: 여호와는 심판하시는 골짜기 (1) 기드론의 옛 이름으로 요엘 선지가 심판의 광경을 가르킨 기호로 사용한 명칭이다(욜03:2, 12) (2) 그러므로 유대인과 회교인은 말세 심판을 이곳에서 한다 하여 이곳을 매장지로 사용한다(왕하23:6). -> 기드론 골짜기 lt=31.772134&ln=35.236596
307 밀로(Millo) 파일
지명
jesus
2199 7 2006-12-30
▶ 밀로(Millo) 뜻:토성 [1] 예루살렘 경내로 보나 정확한 위치는 확인되지 않았다. (1) 원래 예루살렘 동쪽 언덕에 있는 시온의 여부스인의 성터의 일부였다고 추측(삼하05:9, (대상11:8). (2) 솔로몬과 히스기야가 이 성을 수축하였다(왕상09:15, (왕상11:27, (대하32:5). [2] 세겜 근처, 그리심산 동쪽 기슭 밀로의 집이라 한 것은 세겜에 있는 보루였었다(삿09:6, 20, 47). ======== 1. 'House of Millo,' in connection with Shechem, apparently a family or clan. Judges 9:6, 20. (삿09: 2. A part of ancient Jerusalem, though afterwards said to be 'built' by Solomon; it was repaired by Hezekiah. The name always has the article, 'the Millo.' Various sites have been suggested for it, but its locality and its form are unknown. 2 Sam. 5:9; 1 Kings 9:15, 24; 1 Kings 11:27; 1 Chr. 11:8; 2 Chr. 32:5. In 2 Kings 12:20 Joash was slain in the 'house of Millo, which goeth down to Silla:' this may be another place, though apparently it was in Jerusalem. (삼하05:9; (왕상09:15, 24; (왕상11:27; (대상11:8; (대하32:5. (왕하12:20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1.777444&ln=35.234935
306 게헨나(Gehenna)
지명
jesus
3424 7 2006-12-29
▶ 게헨나(Gehenna) [Gehen'na] (Morrish Bible Dictionary) 예루살렘 서남쪽에 위치한 힌놈계곡을 지칭하는 게헨남에서 유래했다. 게헨나는 여호수아 (수15:8과 (수18:16에서 유대지파와 베냐민 지파의 땅을 구분하는 경계표시로 언급되었다. (수 ) 이 말은 아마도 바사어(Persian)에서 기원한 것 같은데, 구약성경에는 파르데스란 단어로서 세 번 나온다(ASV의 (아04:13에 '과원'(果園, orchard으로, ASV의 (느02:8에 '삼림'(森林), forest)으로, (전02:5에 '공원'(parks)으로). 헬라어 파라데이소스는 크세노폰(Xenophon) 시대로부터 파피루스들과 명각(銘刻)들과 70인역(27회 나옴, 그 중에 어떤 것들은 '에덴'을 가리킴;예, (창02:8,9,10,15,16)과 필로(Philo)와 요세푸스(Josephus)의 글에 나온다. 신약성경에는 파라데이소스가 세 번 사용되었는데, 십자가 상의 우편 강도들에게 약속된 낙원(눅23:43)과 세째 하늘(고후12:4)과 약속된 생명 나무가 있는 곳(계02;7)을 가리킨다. (1) 구약성서의 힌놈의 골짜기(느11:30). (2) 벤힌놈의 골짜기(수15:8). (3) 어린 아이를 몰록신에게 희생 드리던 곳(왕하23:16). (4) 여호수아가 이것을 막기 위해 골짜기를 더럽혔다(왕하23:6). (5) 신약 성서에는 지옥(Hell)과 같은 뜻으로 쓰여졌다(마05:29, (마10:28, (막09:56). 히브리어 게한놈 즉 힌놈의 골자기(느11:30) 로서, 이곳은 예루살렘 남쪽에 있는 와디 엘 라바비의 골자기라고 했던 곳으로 옛날에는 아이들의 희생제가 있었고 (왕하23:10, 힌놈의 아들 골자기) 뒤에는 시내의 쓰레기를 내다 버리는 곳으로 삼았다. 또 동물과 죄인의 시체를 화장하기도 해서 부정스럽고 음산한 이 골자기가 지옥을 연상하는 영원한 형벌을 받는 것과 같은 말을 가르키게 되었다. (마05:22, 29-30, (마10:28, (마18:9, (마23:15,33, (막09:47) 신약성경의 지옥 - 게헨나 신약성경에 지옥으로 가장 많이 번역된 게헨나는 12번 나타나는데 헬라어로는 게엔나로 불리운다. 히브리어로 골짜기를 뜻하는 게(ge)와 인명인 힌놈(Hinnom)이 함성된 힌놈의 골짜기란 뜻의 지명이다(수18:16). 12번 가운데 9번은 지옥이란 명사로 3번은 형용사로 쓰였는데 한 번은(약03:6)을 제외하고는 모두 예수께서 친히 사용하신 특이한 표현이다. 이 게헨나만이 불타고 있는 성경적인 배경의 지옥을 묘사하는 용어이다. 그렇다면 게헨나는 어디이며, 타오르는 불은 언제 그리고 언제까지 타오를 불인가? 지옥의 주소로 소개된 게헨나는 다름 아닌 예루살렘 남쪽 비탈아래의 계곡이다. 고대 이스라엘 백성이 우상숭배에 빠져 타락이 극도에 달했을 때, 이곳에서 자식들을 몰렉신에게 불살라 제사하기까지 한(대하28:1∼3, (대하33:1∼6, (왕하23:10)배도의 현장이었다. 예레미야는 이 골짜기를 살륙의 골짜기라 칭할 것임을 예고하고 배도한 백성의 시체가 공중의 새와 땅의 짐승의 밥이 될 것이나 그것을 쫓을자가 없을 것이며, 땅이 황폐하리라고 예언했다(렘07:31∼34; (렘19:2;6, (렘32:35). 실제로 요시아왕은 그 골짜기를 그렇게 만들었다(왕하23:10). 후에는 처형당한 죄수들의 시체와 죽은짐승들의 사체를 버리고 온갖 오물을 버리는 곳이되어 이를 불태우는 연기가 밤낮 타오르고 있었으며 구더기와 온갖 벌레들이 서식하고 악취가 풍기는 불쾌한 곳이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힌놈의 골짜기 곧 게헨나는 장차 예수 그리스도를 거절한 악인들이 최후의 형벌을 받을 곳을 상징하기에 이르렀다. 예수께서도 이러한 역사적, 지리적 배경을 적용하여 당신의 말씀을 한사코 거역하는 바리새인들과 완고한 인간들을 질책하시며, 그들이 마지막 심판날에 살륙의 골짜기 곧 게헨나에 던져질 것이라고 경고하셨(막 9:43∼47). 그러므로 예수께서 묘사하신 지옥 꺼지지 않는 불이나 구더기도 죽지않고 불도 꺼지지아니하는(막09:43,48) 지옥불은 곧 힌놈의 골짜기의 쓰레기와 시체를 태우는 불이었다. 이 게헨나가 신약성경에는 모두 지옥으로 번역되어 있다(마05:22,29,30; (마10:28, (마23:33). 그러나 이러한 지옥은 사람이 죽은 뒤 몸을 떠난 영혼이 불 가운데서 고통받는 곳으로 표현된 경우는 한 번도 없고 장차 있을 재림과 연관된 심판의 때에 (마05:22, (마25:41) 몸이 함께 사루어 없어질 곳으로 분명히 언급되었다 (마10:28, (마05:29∼30). 그 때와 장소는 앞에서 밝힌 대로 예수재림이 있은지 천년 후에 불못으로 화할 이 땅인 것이다 (계20:7∼10,13,14; (벧후03:10∼13). 지금까지 살펴본 대로 구약의 스올(65번), 신약의 하데스(11번), 타르타루스(1번), 게헨나(12번)등 사람이 죽은뒤가는 곳으로 언급된 표현이 89번이나 나오지만 어느 한곳도 죽은 뒤 몸을 떠난 영혼이 가서 영원히 고통당하는 곳으로 소개된 곳은 없다. 단지 벌레들이 우글거리고 쓰레기를 태우는 불이 밤낮타오르던 힌놈의 골짜기를 뜻하는 게헨나를 연상하여 신약성경은 마지막 심판날에 악인을 태울불을 영원한 불(마25:41)로 표현한 것이다. 오늘날 힌놈의 골짜기의 쓰레기는 모두 타버렸거나 지워지고 시체들도 모두 썩어버려서 지옥을 상징했던 그 게헨나는 깨끗하게 정리되어 더 이상 불도 타오르지 않고 벌레도 득실거리지 않는 아름다운 성지의 일부가 되어 관광객들을 맞고 있다. 이러한 힌놈의 골짜기 역사적 지리적 배경을 깨닫지 못하고 이상과 같은 성경의 표현을 악인이 지옥불에서 당하는고통은 영원하다는 영원지옥설의 논거로 삼는 것은 학문적으로 신중하지 못한 가르침이다.
305 갈그미스(Carchemish/Charchemish)
지명
jesus
4278 7 2006-12-29
▶ 갈그미스(Carchemish/Charchemish) 뜻:미슈의 성벽 알레포의 동북 120km지점 유부라데강 오른쪽에 있는 현재의 지에라불스의 한 빈촌. (1) 주전 717년 사르곤 2세에 의해 정복되었다(사10:9). (2) 주전 604년 애굽 왕 바로느고가 느부갓네살과 싸워 패하였다. ▶ 갈그미스 Charchemish. [Char'chemish] 2 Chr. 35:20. See CARCHEMISH. (대하35:20 이 모든 일 후 곧 요시야가 전을 정돈하기를 마친 후에 애굽 왕 느고가 유브라데 강가의 갈그미스를 치러 올라온 고로 요시야가 나가서 방비하였더니 --- Morrish Bible Dictionary ☞ 바벨론의 역대기들: 616-539BC까지의 갈대아 왕들의 역대기들은 성경 내용을 실증해 준다. 대영 박물관 번호 21901인 나보플라사르(Nabopolassar)역대기는 616-609BC동안 어떻게 바벨론을 건국했고 어떻게 앗수르 왕국이 붕괴되었으며 수도 니느웨가 멸망했는가를 보인다. 이 역대기는 바벨론이 그의 동맹국들과 함께 612BC에 어떻게 니느웨를 공격했는가를 말하는데, 「아카드왕(The King of Akkad = 나보폴라살의 별명임)은 그의 군대를 소집하였고... 움만만다(메데 혹은 scythians의 왕임)는 티그리스 강둑을 건너고 니느웨를 향해 진격했고 거민을 타파하고.... 포로들을 끌고 갔으며 도시와 성전은 황폐됐다.」고 적고 있다. 그들은 마치 나훔의 예언처럼 불을 질러서 도시를 태웠고, 강물을 끌어들여 홍수를 맞게 하여 성이 황폐되게 했다. (참고: 바벨론과 메데는 연합해서 앗수르를 공격했다). (P. M. Masters, A tour of biblical evidience in British Museum, London, Sword & Trowel, 1983, P.15) 이 역대기의 다른 한 쪽에는 요시야 왕의 죽음에 관한 기록이 있는데, 그것은 (왕하23:29와 (대하35:20-24와 일치한다. 신흥 바벨론과 메데 연합군에 의한 앗수르 멸망(612BC,) 후, 앗수르의 잔류민들은 앗수르의 서북부 도성인 하란으로 모여서 다시 궐기하여 두 차례에 걸쳐 신흥 바벨론을 대항하여 화란 을 탈환하려 하였다. 이때, 이집트의 바로느고는 앗수르가 하란을 바벨론으로부터 재탈환 하는 것을 도우려고 2차례나 시도했는데(신흥 바벨론을 꺽어서 진출을 억제하려고) ① 바벨론 왕 나보폴라사르가 알고는 그의 군대를 이끌고 앗수르로 진군해 와서 애굽의 바로느고 군대를 물리쳤고, (이때가 609BC였으며 이때 요시야가 애굽의 바로느고 군대와 맞서다가 전사했음 = 당시 요시야는 반 앗수르적인 입장이었다. 왜냐하면 앗수르가 망하는 것은 독립을 위하여 유익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런 계산으로 요시야는 앗수르를 도우려는 바로느고를 대항하다가 므깃도에서 전사했다. 그런데 (왕하 23: 29, 30)과 (대하 35: 23, 24)를 비교하면 요시야가 죽은 곳이 다르게 설명된다. 후자가 요시야의 죽음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 것은 대하 34: 28의 예언의 성취를 드러내기 위함일 것이다. 즉 "내가 이곳과 그 거민에게 내리는 모든 재앙을 네가 눈으로 보지 못하리라"는 말씀대로 그는 다가오는 유다의 재앙을 보기에 앞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요시야의 최후를 자세히 밝힌 것이다). ② 다른 한번은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605BC에 다시 바로느고를 저지했고, 그 갈그미스 전투 후 유대에까지 들어와 예루살렘을 정복하고 많은 포로를 잡아가게 되는데 그 때 다니엘과 그의 친구들도 끌려갔다. 이러한 사실에 대하여 나보폴라사르 역대기와 느부갓네살 역대기는 자세하게 언급한다. (참고: 우리 성경의 (왕하23: 29)의 "치고자 하여"의 원문 은 "against"뜻만이 아니라 "위하여"(for, on behalf)의 뜻도 된다. 대영 박물관에 있는 바벨론 흙판 연대기(Babylonian clay tablets, 고유번호 21946)의 본문에는 "위하여"라고 되어있다. 어느 해석을 취하느냐에 따라 이해가 달라지는데, "위하여"로 수정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다른 석판(고유번호 22047)에서도 애굽이 바벨론을 공격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또 고유번호 21946에는 애굽이 갈그미스에서 605BC에 바벨론 군대에 망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위의 설명은 "치고자"를 "돕고자"로 고친 것을 전제한 것이다. (cf. John Bright, The Kingdom of God, New York, Abingdon Press, 1592, P.109; P. M. Masters, A tour of biblical evidience in British Museum, London, Sword & Trowel, 1983, P.14; 김희보, 구약이스라엘사, 총신대출판부, 1985, P.391의 각주17) ☞ 느부갓네살의 (서판)역대기: 느부갓네살 연대기는 갈그미스 전투 뿐 아니라 예루살렘을 공격한 것을 구체적으로 적고 있는데, 이것에 관한 번역은 1956년에 D. J Wiseman 교수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 연대기의 박물관 번호는 21946번이다. 이 역대기의 내용은 「Akkad 왕 (Nabopolassar) 제 21년에 그의 장남이자 왕위를 승계한 느부갓네살은 군대 소집을 하고 이집트 군대를 대항하기 위해 갈그미스로 진군했고... 바벨론 군대는 그들을 완전히 제압했다... 그리고 하티 (Hatti)나라의 모든 지역을 정복했다」라고 한다. 여기서 "하티"란 팔레스틴을 포함하는 것이며 느부갓네살이 사용한 용어이다. 그러므로 예루살렘의 1차 침공은 느부갓네살이 이집트를 격퇴하기 위해 갈그미스에 왔다가 아예 유대까지 정복했던 것이다. 예루살렘의 1차 침공을 받았을 때 유대의 왕은 "여호야김"이었다. 역대기의 내용은 계속 말하기를 "597BC에 그가 다시 예루살렘을 공격했으며, 조공을 받고, 보물을 노략했으며, '여호야긴'을 잡아가고 또한 10,000명 정도의 다른 포로들과 짐승들도 끌고 갔으며 '시드기야'를 꼭두각시 왕으로 세운 사실이 있다"고 한다. 이 서판은 여호야긴이 포로된 후 바벨론에서 그의 5아들과 함께 월급을 공급받았다는 기록도 보인다. 592BC 날짜로 기름 영수증 3장도 발급했다고 한다. (P. M. Masters, A tour of biblical evidience in British Museum, London, Sword & Trowel, 1983, P.15) (대하35:20, (사10:9, (렘46:2 lt=36.82928161&ln=38.0157605
304 가드(Gath) 파일
지명
jesus
2920 7 2006-12-29
▶ 가드(Gath) 뜻: 술짜는 틀 가자의 북쪽 32KM 지점. (1) 블레셋 5개 중요도시 중의 하나 (삼하01:20). 이 다섯 성읍은 모두 팔레스타인 남해안과 그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각기 저들의 왕에 의해 통 치되었다(수13:3, (삼상06:17) 가드는 옛 가나안 도시로서 그 주민들 가운데는 가드족이라고도 부 르는 키가 큰 아나킴(Anakim)족이 팔레스 타인 산지에 널리 살고 있었다(삼하06:10-11, (삼하15:18,-22). (2) 다윗의 손에 죽은 골리앗의 고향(수11:22, (삼상17:4). (3) 엘리 때에 블레셋에게 빼앗긴 언약궤가 이곳에 머무는 동안 모든 사람에 게 독종이 전영되어 에그론으로 옮겼고(삼상05:8-10). (4) 다윗이 정복하여 이스라엘에 속하게 하였고 (대상18:1) (5) 다윗이 압살롬을 난을 피하여 다닐 때 생사를 같이 하겠다는 충성된 신하 잇대의 고향(삼하15:18-22). (6) 솔로몬이 부왕 다윗을 저주한 시므이에게 금족령을 내렸으나 위반하고 이곳에 간 줄을 알고 죽인 곳(왕상02:8,36,41,46). (7) 르호보암이 국방성을 건축할 때 이 성을 개수보강하였다(대하11:5-10). * 그러나 최근의 고고학자들은 텔 에스 사피가 가드였던 것으로 더욱 유력시 되 고 있다. 성서나 아시리아, 비잔틴 자료들을 재 검토하면, 가드가 불레셋의 북부 에 위치해 있었음을 알게 된다. (수11:22, (수13:3, (삼상05:8, (삼상06:17, (삼상07:14, (삼상17:4, (삼상21:10, (삼상27:2, (삼하01:20, (삼하15:18, (삼하21:20, (왕상02:39, (왕하12:17, (대상07:21, (대상08:13, (대상18:1, (대상20:6, (대하11:8, (대하26:6, (시056:1, (암06:2, (미01:10 ======== Gath. One of the five royal cities of the Philistines, and to which Goliath belonged. It is not mentioned as having been given to any of the tribes. It was to this city that the ark was carried when taken in war. 1 Sam. 5:8. To Achish king of Gath David resorted when his faith failed him as to God's protection. 1 Sam. 27:2-4: cf. 1 Sam. 21:10, 12. Afterwards when he was king and in power he took Gath and her towns out of the hand of the Philistines. Uzziah also fought against the place and broke down its walls. 1 Chr. 18:1; 2 Chr. 26:6. After Micah 1:10 we hear no more of Gath among the cities of the Philistines: cf. Zeph. 2:4; Zech. 9:5, 6. It may have been ruined. Its site is identified with Tell es Safl, 31 43' N, 34 51' E, where there are extensive ruins and cisterns hewn out of the rock. It commanded the entrance to the valley of Elah.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1.6935295&ln=34.84388288
303 훌다(Huldah)
인물
jesus
2484 7 2006-12-28
▶ 훌다(Huldah) 유대왕 요시아 시대의 여선지인데 예루살렘 제 2에 사는 살롬의 아내이다(왕하22:8-20). 왕은 성전에서 발견된 율법책에 대하여 그 여선지에게 묻기위하여 힐기야를 파견 하였다. 그가 하나님의 지시를 받아 " 그 책에 있는대로 재앙을 내릴 것이로되 왕이 이미 겸손히 옷을 찢고 통곡하였으므로 목전의 그 재앙을 면케되리라"고 하였다. 요시아왕의 종교개혁을 도왔다(왕하22:3-20, (대하34:8-28). ▶ 여선지 훌다 Huldah. [Hul'dah] Wife of Shallum and a prophetess. King Josiah sent to her when a copy of the law had been found. Her message from the Lord was that God would surely bring the evils upon the people according to what the book said, because they had turned to idolatry; but Josiah having humbled himself, the Lord did not bring the evils in his day. 2 Kings 22:14; 2 Chr. 34:22. (왕하22:14 이에 제사장 힐기야와 또 아히감과 악볼과 사반과 아사야가 여선지 훌다에게로 나아가니 저는 할하스의 손자 디과의 아들 예복을 주관하는 살룸의 아내라 예루살렘 둘째 구역에 거하였더라 저희가 더불어 말하매 (대하34:22 이에 힐기야와 왕의 보낸 사람들이 여선지자 훌다에게로 나아가니 저는 하스라의 손자 독핫의 아들 예복을 주관하는 살룸의 아내라 예루살렘 둘째 구역에 거하였더라 저희가 그에게 이 뜻으로 고하매 --- Morrish Bible Dictionary
302 여호사바드(Jehozabad)
인물
jesus
1705 7 2006-12-27
▶ 여호사바드(Jehozabad) 뜻: 여호와가 주심 [1] 유대왕 여호아스를 죽인 신하중의 한사람이다(왕하12:20) [2] 다윗왕 때에 레위 족속의 한 문지기인데 오벳에돔의 차자이다(대상26:4) [3] 여호사밧왕이 베냐민 지파에서 얻은 대장증의 한 사람인데 군사 18만명 을 인솔하고 있다(대하17:18)
301 아히감(Ahikam)
인물
jesus
1535 7 2006-12-27
▶ 아히감(Ahikam) 뜻:내 형제가 흥함 대제사장 힐기야가 성전에서 발견한 율법책의 말씀을 묻기 위하여 요시야 왕이 여선지 홀다에게 파견한5인의 사신중의 하나(왕하22:12-20). 여호야김이 즉위 초에 예레미야가 국가의 죄를 공격하매 제사장과 선지자들이 예레미야를 보호하였다(렘26:24). 그의 아들 그다랴가 갈대아왕 느부갓네살의 명령으로 유대 방백이 되었을 때에 예레미야를 보호하였다(렘26:24). ======== Ahikam. [Ahi'kam] Son of Shaphan the scribe, and one of those sent by Josiah to Huldah the prophetess to inquire of the Lord as to the book of the law that had been found. 2 Kings 22:12-22. He also served under Jehoiakim and shielded Jeremiah from death when he prophesied against the nation. He was father of Gedaliah whom Nebuchadnezzar made governor of the land. Jer. 26:24; Jer. 40:5-16; Jer. 41:1-16. --- Morrish Bible Dictionary
300 나훔(Nahum/Naum)
인물
jesus
3090 7 2006-12-26
▶ 나훔(Nahum) 뜻 : 충분한 위로 [1] 예수의 족보에 기재된 나훔 (눅03:25). [2] 엘고스인 1) 유대왕 히스기야때 선지자 (욘01:1). 2) 니느웨성이 황무하여질 것을 예언 (욘03:7). ▶ 나훔 Naum. [Na'um] Son of Esli in the genealogy of the Lord Jesus. Luke 3:25. (눅03:25 그 이상은 맛다디아요 그 이상은 아모스요 그 이상은 나훔이요 그 이상은 에슬리요 그 이상은 낙개요 --- Morrish Bible Dictionary ▶ 나훔 Nahum. [Na'hum] Nothing is known of the personal history of this prophet: he is called 'the Elkoshite,' which is supposed to refer to a place named Elkosh in Galilee. There is no reference to dates in the prophecy, but it is generally placed at about B.C. 714, when Sennacherib invaded Judaea. 2 Kings 18:13. The prophecy is against Nineveh, and foretells its destruction, though, like other prophecies, it has an application to the future, when 'Assyria' will again be the open enemy of Israel. (왕하18:13 히스기야 왕 십 사년에 앗수르 왕 산헤립이 올라와서 유다 모든 견고한 성읍들을 쳐서 취하매 The prophecy opens with the character of Jehovah in government. He is slow to anger, but He is jealous, and His revenge is furious. He is good, and a safe refuge in the day of trouble for those that trust in Him; but, as to His enemies, with an overflowing flood He will make an utter end of their place. Not only is the destruction of Nineveh foretold, but the Assyrian nation also should come to a full end. One who had come out to oppress Israel, was a wicked counsellor, who imagined evil, not only against Judah, but against Jehovah: he should be cut off. Compare the insulting language of Rab-shakeh, the general of the king of Assyria: at first he said that Jehovah had sent him, and then treated the God of Israel as no better than the heathen gods, who had not been able to protect their worshippers. 2 Kings 18:25, 32, 33. But there was good news for Judah; God would break the yoke of Assyria off their necks. They might keep their solemn feasts. The enemy should no more pass through. What took place in Hezekiah's day was but a type of the latter-day fulfilment of this chapter: cf. Nahum 1:10 and 2 Kings 19:35; and in this way we see the scope of prophecy and not simply the immediate events that gave rise to it. (왕하18:25, 32, 33. 25 내가 어찌 여호와의 뜻이 아니고야 이제 이곳을 멸하러 올라왔겠느냐 여호와께서 전에 내게 이르시기를 이 땅으로 올라와서 쳐서 멸하라 하셨느니라 32 내가 장차 와서 너희를 한 지방으로 옮기리니 그곳은 너희 본토와 같은 지방 곧 곡식과 포도주가 있는 지방이요 떡과 포도원이 있는 지방이요 기름 나는 감람과 꿀이 있는 지방이라 너희가 살고 죽지 아니하리라 히스기야가 너희를 면려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우리를 건지시리라 하여도 듣지 말라 33 열국의 신들 중에 그 땅을 앗수르 왕의 손에서 건진 자가 있느냐 (나01:10 가시덤불 같이 엉크러졌고 술을 마신 것같이 취한 그들이 마른 지푸라기 같이 다 탈 것이어늘 (왕하19:35 이 밤에 여호와의 사자가 나와서 앗수르 진에서 군사 십 팔만 오천을 친지라 아침에 일찌기 일어나 보니 다 송장이 되었더라 Nahum 2 concerns the city of Nineveh directly. God had allowed Jacob to be disciplined and 'emptied out;' but now Nineveh must be dealt with. It is exhorted to make good its defence, yet the gates of the rivers should be opened, and the palace should be dissolved. Here it is not the 'gates of the city,' as when Babylon was taken, but 'the gates of the rivers.' This may refer to the Tigris and the canals that watered the city. The overflowing river, it is said, caused a breach in the sun-dried brick walls. "Huzzab shall be led away captive." Nahum 2:7. This name is supposed by some to be symbolical of Nineveh, the one 'established,' or 'held to be impregnable,' as in the margin; others, however, believe it refers to the reigning queen, who should be led captive with her maids. The spoil which had been taken in many wars was great, but should now enrich others. The reference to the lions, and the strangling, and the filling the dens with ravin, possibly applied to the cruelties which the Assyrians inflicted on their prisoners, and which are depicted by themselves on their monuments. Truly, as said in Nahum 3, it was a 'bloody city.' The following verses, as also Nahum 2:3, 4, show that it was a warlike nation, ever seeking to enrich itself by the spoil of other nations, among which were Israel and Judah. It should not only be brought down, but should be made vile and a gazing-stock. Nahum 3:8-10 show that as 'populous No' (the renowned Thebes, with its hundred gates), had been brought to nought (probably by Sargon, king of Assyria), so should Nineveh fall. The gates of the land should be left open for their enemies, and as the cankerworm, the locust, and the grasshopper destroy vegetation, so should be their desolation. Fire is spoken of several times, and the explorations that have been made at the ruins of Nineveh abundantly prove that fire did its destructive work. The denunciations close with, "There is no healing of thy bruise; thy wound is grievous: all that hear the bruit of thee shall clap the hands over thee: for upon whom hath not thy wickedness passed continually?" The ruins show how complete and lasting was God's judgement on the guilty city. See NINEVEH. (나02:7 정명대로 왕후가 벌거벗은 몸으로 끌려가며 그 모든 시녀가 가슴을 치며 비둘기 같이 슬피 우는도다 (나02:3, 4 3 그의 용사들의 방패는 붉고 그의 무사들의 옷도 붉으며 그 항오를 벌이는 날에 병거의 철이 번쩍이고 노송나무 창이 요동하는도다 4 그 병거는 거리에 미치게 달리며 대로에서 이리 저리 빨리 가니 그 모양이 횃불 같고 빠르기 번개 같도다 (나03:8-10 8 네가 어찌 노아몬보다 낫겠느냐 그는 강들 사이에 있으므로 물이 둘렸으니 바다가 성루가 되었고 바다가 성벽이 되었으며 9 구스와 애굽이 그 힘이 되어 한이 없었고 붓과 루빔이 그의 돕는 자가 되었으나 10 그가 포로가 되어 사로잡혀 갔고 그 어린 아이들은 길 모퉁이 모퉁이에 메어침을 당하여 부서졌으며 그 존귀한 자들은 제비 뽑혀 나뉘었고 그 모든 대인은 사슬에 결박되었나니 --- Morrish Bible Dictionary
299 애굽(Egypt)
지명
jesus
4965 6 2007-01-02
▶ 애굽(Egypt) 뜻:검은 땅 나일강 유역, 특히 하류의 삼각주에 번영한 세계 최고의 문명 발상지 희랍 어로는 아이굽트스에서 왔고 그 아람 어로는 킵트, 히브리 사람들은 미스라 임(창 10:6). 이라고 했는데 동쪽이라는 뜻이다. 동은 홍해, 서는 아라비아 사막, 북은 지중해, 남은 협곡으로 비교적 고립된지역이다. (1) 아브라함이 기근이 들자 곡식이 풍부한 애굽으로 갔었다(창12:10). (2) 또 그의 아내의 시중을 든 하갈은 애굽의 여인 이었다(창16:1). (3) 주전 18세기경 애굽을 정복한 힉소스의 수령 가운데 히브리 사람의 이름이 나와있고 히브리인의 거주가 나와있다(창37-(창50:). (창38: (창39: (창40: (창41: (창42: (창43: (창44: (창45: (창46: (창47: (창48: (창49: (4) (출01:8에 요셉(Joseph)을 알지 못하는 왕이란 바로 아모시스왕이다. (5) 출애굽의 기록이 애굽측 역사에는 나와있지 않으나 이스라엘이 여호와 의 백성이라는 것과 구원한 하나님에 대한 감사는 구약의 최고의 신앙 고백으로 알려져있다. (6) (신26:5-10은 예언지의 발언가운데 반영되어있다(렘02:1-3, (호02:14-16, (암02:10-16). (7) 이스라엘 백성들이 여호와가 간구할 때 여호와가 모세와 아론을 바로에 게 보내어 이스라엘을 해방하여 줄 ㅐ을 교섭하였으나 듣지 아니함으로 10재앙을 내리시니 그때에야 허락하여 60만 백성을 인솔하고 430년간의 노예생활에서 해방되어 출애굽하였다 (출07:20-(출13:30, (출12:40). (8) 솔로몬왕은 바로왕의 딸을 아내로 취하였다(왕상03:1). (9) 르호보암왕 때에는 예루살렘을 쳐서 조공을 받아갔다(왕상14:25-26). (10) 예수님이 헤롯의 독수에게 피하여 애굽으로 내려 갔다가 오셨다 (마02:14-15,19-24). * 세계적 명물인 "피라밑"돌무덤이 있는데 높이 746척 면적이 15,800평이다. ▶ Egypt's - On : (사19:6, (사30:7, (겔30:9 ▶ Egypt - On : (창12:10,11,14, (창13:1,10, (창15:18, (창21:21, (창25:18, (창26:2, (창37:25,28,36, (창39:1, (창40:1,5, (창41:8-57, (창42:1,-3, (창43:2,15, (창45:4,-26, (창46:3,-27, (창47:6,-30, (창48:5, (창50:7, -26, (출01:1-18, (출02:23, (출03:7,-20, (출04:18,-21, (출05:4,12, (출06:11,-29, (출07:3,-22, (출08:5,-24, (출09:4,-25, (출10:7-22, (출11:1,-9, (출12:1,-51, (출13:3-18, (출14:5-20, (출16:1-32, (출17:3, (출18:1, (출19:1, (출20:2, (출22:21, (출23:9,15, (출29:46, (출32:1,-23, (출33:1, (출34:18, (레11:45, (레18:3, (레19:34,36, (레22:33,43,(레25:38,42,55, (레26:13,45, (민01:1, (민03:13, (민08:17, (민09:1, (민11:5,20, (민13:22, (민14:2,-22, (민15:41, (민20:5-16, (민21:5, (민22:5,11, (민23:22, (민24:8, (민26:4,59, (민32:11, (민33:1,38, (신01:27,30, (신04:20,34,37,45,46, (신05:6,15, (신06:21,22, (신07:8,15,18, (신08:14, (신09:7,12,26, (신10:19,22, (신11:3,4,10, (신13:5,10, (신15:15, (신16:1,3,6,12, (신17:16, (신20:1, (신23:4, (신24:9,18,22, (신25:17, (신26:5,8, (신28:27, (신28:60, (신28:68, (신29:2, (신29:16, (신29:25, (신34:11, (수02:10, (수05:4, (수09:9, (수13:3, (수24:4, (삿02:1, (삿06:8, (삿06:13, (삿11:13, (삿11:16, (삿19:30, (삼상02:27, (삼상08:8, (삼상10:18, (삼상12:6, (삼상12:8, (삼상15:2, (삼상15:6, (삼상15:7, (삼상27:8, (삼상30:13, (삼하07:6, (삼하07:23, (왕상03:1, (왕상04:21, (왕상04:30, (왕상06:1, (왕상08:9,-65, (왕상09:9,16, (왕상10:28, (왕상10:29, (왕상11:17,-40, (왕상12:2, (왕상12:28, (왕상14:25, (왕하07:6, (왕하17:4,-36, (왕하18:21, (왕하18:24, (왕하19:24, (왕하21:15, (왕하23:29, (왕하23:34, (왕하24:7, (왕하25:26, (대상13:5, (대상17:21, (대하01:16, (대하01:17, (대하05:10, (대하06:5, (대하07:22, (대하09:26, (대하09:28, (대하10:2, (대하12:2, (대하12:3, (대하12:9, (대하20:10, (대하26:8, (대하35:20, (대하36:3, (대하36:4, (느09:9, (느09:17, (느09:18, (시068:31, (시078:12, (시078:43, (시078:51, (시080:8, (시081:5, (시081:10, (시105:23, (시105:38, (시106:7, (시106:21, (시114:1, (시135:8, (시135:9, (시136:10, (사07:18, (사10:26, (사11:11, (사11:16, (사19:1, (사19:12, (사19:13, (사19:14, (사19:15, (사19:18, (사19:19, (사19:20, (사19:22, (사19:23, (사19:24, (사19:25, (사20:3, (사20:4, (사20:5, (사23:5, (사27:13, (사30:2, (사30:3, (사31:1, (사36:6, (사36:9, (사37:25, (사43:3, (사45:14, (사52:4, (렘02:6, (렘07:22, (렘07:25, (렘09:26, (렘11:4, (렘11:7, (렘16:14, (렘23:7, (렘24:8, (렘25:19, (렘26:21, (렘26:22, (렘26:23, (렘31:32, (렘32:20, (렘32:21, (렘34:13, (렘37:5, (렘37:7, (렘41:17, (렘42:14, (렘42:15, (렘42:16, (렘42:17, (렘42:18, (렘42:19, (렘43:2, (렘43:7, (렘43:11, (렘43:12, (렘43:13, (렘44:1, (렘44:8, (렘44:12, (렘44:13, (렘44:14, (렘44:15, (렘44:24, (렘44:26, (렘44:27, (렘44:28, (렘44:30, (렘46:2, (렘46:8, (렘46:11, (렘46:13, (렘46:14, (렘46:17, (렘46:19, (렘46:20, (렘46:24, (렘46:25, (렘46:26, (애05:6, (겔17:15, (겔19:4, (겔20:5, (겔20:6, (겔20:7, (겔20:8, (겔20:9, (겔20:10, (겔20:36, (겔23:3, (겔23:8, (겔23:19, (겔23:27, (겔27:7, (겔29:2, (겔29:3, (겔29:6, (겔29:9, (겔29:10, (겔29:12, (겔29:14, (겔29:19, (겔29:20, (겔30:4, (겔30:6, (겔30:8, (겔30:10, (겔30:11, (겔30:13, (겔30:15, (겔30:16, (겔30:18, (겔30:19, (겔30:21, (겔30:22, (겔30:25, (겔31:2, (겔32:2, (겔32:12, (겔32:15, (겔32:16, (겔32:18, (겔32:20, (단09:15, (단11:8, (단11:42, (단11:43, (호02:15, (호07:11, (호07:16, (호08:13, (호09:3, (호09:6, (호11:1, (호11:5, (호11:11, (호12:1, (호12:9, (호12:13, (호13:4, (욜03:19, (암02:10, (암03:1, (암03:9, (암04:10, (암08:8, (암09:5, (암09:7, (미06:4, (미07:12, (미07:15, (나03:9, (학02:5, (슥10:10, (슥10:11, (슥14:18, (슥14:19, (마02:13, (마02:14, (마02:15, (마02:19, (행02:10, (행07:9,-40, (행13:17, (히03:16, (히08:9, (히11:26, (히11:27, (유01:5, (계11:8 lt=30.108&ln=31.3382
298 루마(Rumah)
지명
jesus
903 6 2006-12-30
▶ 루마(Rumah) 뜻:높다 팔레스틴의 한 자방 여호야김의 어머니 스비다와 아버지 브다야의 고향이다(왕하23:36) lt=32.154887&ln=35.318192
297 구르(Gur)
지명
jesus
1243 6 2006-12-29
▶ 구르(Gur) 뜻: 바알이 거처하는 불쌍한 아이 에후가 유대왕 아하시아를 친 곳이다. (왕하09:27) 유다의 왕 아하시야가 이를 보고 정원의 정자 길로 도망하니 예후가 그 뒤를 쫓아가며 이르되 그도 병거 가운데서 죽이라 하매 이블르암 가까운 구르 비탈에서 치니 그가 므깃도까지 도망하여 거기서 죽은지라 lt=32.45&ln=35.2833
296 가사(Gaza) 파일
지명
jesus
3545 6 2006-12-29
▶ 가사(Gaza) 뜻: 견고하다. 예루살렘 서남 45마일 지점에 있는 블레셋 성읍, 노아때 부터 있었다(창10:19). (1) 여호수아가 가나안에 들어가 유댜 지파에게 주었으나 점령 못함(수11:22) (2) 사사시대에 잠시 취하였다(삿01:18). (3) 사사 삼손이 들릴라에게 힘의 비밀을 토설하여 잡힌 곳 (삿16:21). (4) 빌립이 에디오피아 내시에게 세례를 준 곳 (행08:21-29). (창10:19, (신02:23, (수10:41, (수11:22, (수13:3, (수15:47, (삿01:18, (삿06:4, (삿16:1,21,(삼상06:17, (왕상04:24, (왕하18:8, (렘25:20, (렘47:1,5, (암01:6, (암01:7, (습02:4, (슥09:5, (행08:26 (대상07:28 ======== Gaza. [Ga'za] 1. One of the five royal cities of the Philistines. We read of it as early as Gen. 10:19 as a border of the Canaanites. The Anakim dwelt there, but Judah was able to take Gaza and the coasts thereof. Joshua 11:22; Judges 1:18. In the time of Samson, however, the Philistines were in possession, and he was made a prisoner there. Judges 16:21. It was held afterwards by Solomon, 1 Kings 4:24 (where it is called AZZAH, as it is also in Deut. 2:23 and Jer. 25:20); but had to be taken again by Hezekiah. 2 Kings 18:8. It was afterwards smitten by Pharaoh. Jer. 47:1, 5. Having been a stronghold of the Philistines, woes were pronounced against it by the prophets. Amos 1:6, 7; Zeph. 2:4; Zech. 9:5. Gaza was the S.W. frontier town of Palestine, and did a large trade with the caravans to and from Egypt. It was taken by Cambyses, the Ptolemies, and by Alexander the Great, and was held in the twelfth century by the Knights Templars. Gaza is now under Palestinian rule. It is situate at 31 30' N, 34 28' E. Acts 8:26 signifies that the way from Jerusalem to Gaza was desert. This is supposed to refer to the road through Hebron, for after leaving that city it is comparatively desert. 2. City of Ephraim, 1 Chr. 7:28; but here many MSS read Ayyah.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1.5248176&ln=34.433364
295 가드헤벨(Gath-hepher) 파일
지명
jesus
3443 6 2006-12-29
▶ 가드헤벨(Gath-hepher) 뜻: 굴애 있는 포도주 짜는 틀 나사렛 동북 5Km 지점. (1) 여호수아가 스불론 지파에게 준 땅 (수19:13). (2) 선지자 요나의 고향(왕하14:25). 요나는 여로보암 2세(주전 786-746) 시대에 북왕국 이스라엘에서 활동한 예언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갈릴리의 나사렛 부근에 있는 가드헤벨 출신으로서 여로보암이 이스라엘 지경을 하맛 어귀에서 아라바 바다까지 회복할 것이라고 예언한 적이 있었는데 이 예언은 그대로 성취되었다. ======== 가드헤벨 Gathhepher. [Gath-he'pher] Town in the border of Zebulun. 2 Kings 14:25: named also GITTAH-HEPHER in Joshua19:13. Identified by some with el Meshhed, 32 44' N, 35 19' E.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2.7391847&ln=35.3282266
294 헵시바(Hephzibah)
인물
jesus
3116 6 2006-12-28
▶ 헵시바(Hephzibah) 뜻: 내 기쁨이 이 딸에게 잇음 히스기야왕의 왕비 곧 므낫세 왕의 모친이다(왕하21:1) ▶ 헵시바 Hephzibah. [Heph'zi-bah] Wife of Hezekiah and mother of Manasseh. 2 Kings 21:1. It is used symbolically for the name to be given to Jerusalem when it comes again into blessing, signifying 'My delight is in her.' Isa. 62:4. (왕하21:1. 므낫세가 위에 나아갈 때에 나이 십 이세라 예루살렘에서 오십 오년을 치리하니라 그 모친의 이름은 헵시바더라 (사62:04. 4 다시는 너를 버리운 자라 칭하지 아니하며 다시는 네 땅을 황무지라 칭하지 아니하고 오직 너를 헵시바라 하며 네 땅을 쁄라라 하리니 이는 여호와께서 너를 기뻐하실 것이며 네 땅이 결혼한 바가 될 것임이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293 이세벨(Jezebel)
인물
jesus
1639 6 2006-12-28
▶ 이세벨(Jezebel) (1) 드로왕 옛 바알의 딸. 이스라엘 왕 아합(B.C. 869-850)의 아내로서 악처 로 유명하다 (왕상21:25). (2) 바알 숭배를 장려하여 이방 종교의 부도덕한 생활을 유행시키고 베니게(페니키아, 수로보니게=시리아 계열의 페니키안) 에서 수백의 바알 선지와 제사들을 데리고 왔다(왕상18:19). (3) 그리고 사마리아에 그 제단을 쌓고 아세라 신상을 세웠다(왕상18:-19:-). 그리고 나봇의 포도원을 강탈하기 위하여 나봇을 살해 했는데 국민의 분노를 야기하여 살해 당했다(왕하09:30).
292 여호야다(Jehoiada)
인물
jesus
5151 6 2006-12-27
▶ 여호야다(Jehoiada) 뜻: 여호와가 아심 [1] (1) 브나야의 부친(삼하08:18)) (2) 시글락에서 다윗과 회합한 3천7백명을 거느린 아론의 집 족장이다 (대상12:27) [2] 제사장 아하시야, (1) 아하시야가 죽을 때의 성전 제사장(왕하11:4). (2) 역대기는 그를 여호세바 왕녀의 남편이라고 했다(대하22:11) (3) 여호세바는 그 조 카 요시야를 아달야 학살에서 구해내 6년간 감추었다가 여호야다의 쿠데타로 왕위 에 올랐다(왕하11:17-19, (대하24:2-16) [3] 예루살렘 성문을 중수한자 중의 한 사람(느03:6)] ---------------------------------------------------------------------------- 여호야다…우상숭배 끊으려 ‘목숨건 혁명’ 감행 여호야다는 아하시야왕과 그 아들 요아스 왕 때의 제사상이었다. 아하시야왕의 할아버지였던 여호사밧왕이 북조 이스라엘의 아합과 가까이 함으로써 남조 유다 왕실에 불행한 역사가 시작되었다. 그는 아합의 딸 아달랴를 여호람의 아내로 맞이해 며느리를 삼았다. 이것은 남조 유다 왕실의 씻을 수 없는 실수요 아합 가문의 우상숭배와 영적인 타락을 끌어들이는 무서운 범죄와 같았다. 결국 여호람은 불치병으로 앓다 죽었고 그 자녀들은 아라비아와의 전쟁으로 다 살해되고 아하시야만 남게 되었다. 아하시야는 왕의 자질이나 능력을 검증받을 겨를도 없이 그만 살아남았기 때문에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그러나 이미 왕실의 모든 주권이 그 어머니 아달랴에게 기울어진 때였다. 그러므로 북조 아합의 후손들과의 교분을 지속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던 중 북조 요람왕의 병문안을 갔다가 하나님이 아합의 가문을 칠 때 아하시야까지 예후에 의해 죽고 말았다. 이렇게 왕가에 비운이 겹치자 아달랴는 집권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게 된 것이다. 결국 자신의 자리를 굳히기 위해 왕위를 넘볼 수 있는 왕족을 진멸하는 잔인한 살상을 자행하였다. 이러한 모든 역사적인 분위기와 상황이 소용돌이 칠 때 여호야다는 이 시대를 지키고 붙들어주는,하나님편에 서있던 제사장이었다. 이렇게 위급해진 나라의 장래를 위해 갓 태어난 요아스를 숨겨 기름으로써 왕가의 혈통을 보존하는데 공헌하였다. 잔인하고 포악한 시대였지만 하나님의 강한 섭리는 하나님의 사람을 통해 소리없이 든든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호야다의 소중한 헌신과 위험을 무릅쓴 충성된 사역을 살펴보자. 불의하고 사악한 사람의 배후에는 사단의 지원이 있다. 이들은 하나님의 선한 섭리와 뜻을 파괴하는데 성공하는 것 같지만 하나님은 사단의 사역까지도 활용하여 하나님의 선한 섭리를 성취하는 방편으로 삼으신다. 부정이나 불의한 계획이 성공하는 것 같지만 하나님의 공의가 언제나 승리하게 되어 있다. 하나님은 의로운 사람의 손을 들어주시고 의로운 역사를 지원하신다. 여호야다가 요아스를 통해 왕위를 계승할 수 있도록 한 사실을 높이 평가하는 이유가 있다. 그것은 하나님의 예언과 다윗의 혈통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을 여호야다가 보존했다는 사실이다. 여호야다와 그 아내 여호세바는 목숨을 내놓고 이 일을 이루기 위해 수고한 사람들이었다. 요아스를 6년동안 숨겨 기른다는 것은 많은 위험을 감수해야만 하는 일이었다. 더욱이 아달랴가 6년동안 나라를 다스렸기 때문에 그의 권력과 정치적 기반이 견고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이러한 위협적인 분위기에서 여호야다가 아달랴를 제거하고 요아스를 옹립하는 혁명을 성공시킨 사실은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여호야다는 먼저 백부장들을 설득하고 그들의 일부를 혁명군으로 끌어들이는데 성공했다. 궁궐과 성전을 지키는 군인들을 안식일에 교대하는 틈을 이용하여 혁명군으로 바꾸어 놓았다. 아달랴는 감쪽같이 속고만 것이다. 결국 혁명군을 세 부대로 나누어 일부는 궁궐을 지키게 하고 일부는 궁궐 안에 있는 호위대를 강금했으며 일부는 수르문이라는 성문을 지켜 외부 군대의 지원을 철저히 차단시켰다. 그리고 또 다른 부대는 성전을 호위하게 하였다. 이렇게 만반의 준비를 갖춘 뒤에 아달랴를 혁명군의 호위를 받아 성전으로 유인하는데 성공했다. 아달랴는 자기 군대로 알고 이 일을 전혀 눈치채지 못했다. 또한 성전을 혁명군들이 포위하고 있었기 때문에 아달랴에게 동조할 수 있는 사람의 출입은 불가능했다. 그리고 성전 안에서 여호야다가 요아스에게 기름을 붓자 백성들이 박수를 치고 환호하며 요아스왕 만세를 불렀다. 성전 안으로 들어오던 아달랴가 이 광경을 보고 “반역이로다 반역이로다” 외치면서 성전문 밖으로 달려나가 왕궁의 말 다니는 길을 통과하다가 누구의 도움도 받지 못한 채 살해되었다(왕하 11:1∼16). 아달랴가 이렇게 비참한 종말을 맞게 될 줄은 상상도 못했을 것이다. 하나님의 심판은 이렇게 예고없이 진행되는 것을 기억하자. 악인의 계획이 장구할 것 같으나 덧없이 무너지고 만다. 여호야다는 자기에게 주어진 기회와 사역에 충성함으로써 한 나라를 바로세우고 국운을 바꾸어 놓았다. 이것이 의로운 사람의 충성에 대한 하나님의 보상이다. 여호야다와 같이 주어진 환경이나 사역에 성실한 사람이 되면 하나님은 그의 삶을 통해 하나님의 큰 뜻을 성취하신다. 이것이 하나님 앞에 쓰임받는 방법이요 헌신의 지혜이다. 큰 사역이나 큰 목회를 탐하지 말고 여호야다와 같이 자기 현실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되자. 환경이나 사역이나 사명은 하나님이 정하신다. 여호야다는 성직자요 제사장에 불과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종교개혁과 정치혁명을 함께 성공시킨 훌륭한 인물이었다. 여호야다는 요아스를 옹립한 이후에 바알의 단을 헐고 바알 제단의 대표적인 제사장 맛단을 처형,바알의 우상종교를 쓸어버렸다. 또한 백성들과 함께 은을 헌금하여 성전을 수리하게 하므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냈다. 요아스왕도 여호야다 제사장이 사는 날 동안은 하나님을 경외하고 성전을 사랑하며 하나님을 영화롭게 했다. 더욱이 놀라운 사실은 여호야다가 제사장으로 정치적인 혁명을 이루어냈다는 사실이다. 정치는 정치인이 하고 목회는 목회자가 해야 하며 병은 의사들이 치료하고 국방은 군인이 감당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여호야다는 제사장이면서 나라를 다시 세우는 혁명을 이끌어낸 사람이 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하나님이 숨겨놓은 또 다른 은사를 접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의 은혜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신앙으로 끌어낼 수 있는 가능성이다. 사람이 가지고 있는 지혜는 일반적인 지혜와 그 개인의 지능과 하나님이 은사로 주시는 지혜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님이 허락하시는 은사의 지혜를 통해 얻게 되는 다양한 능력을 생각해보자. 여호야다가 혁명을 실수없이 완벽하게 이루어낸 부분이 바로 이 지혜의 활용이었다. 순수한 제사장이면서 군사혁명을 가능케 한 그의 또 다른 기능의 만족한 해답이 되는 지혜의 은사를 기억하자. 하나님이 주시는 지혜에는 하나님을 섬기는 지혜,처세의 지혜,일을 분별하는 지혜,사건을 처리하는 지혜,사명을 수행하는 지혜,하나님께 대한 순종의 지혜,하나님과 사람과의 사역을 조화시키는 지혜 등 많은 지혜가 있다. 여호야다는 신분은 제사장이었으나 그가 헌신하고 봉사할 수 있는 영역은 넓게 개방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그가 이룩한 나라의 재건은 본래의 사명 위에 중간에 허락받은 또 다른 사명이었다. 우리가 우리의 사역을 제한하지 말자. 또 하나님이 주시는 특수한 사역도 주저하지 말자. 하나님은 맡기시는 일과 함께 일을 이루는 능력도 주신다. 언제든지 하나님을 경외하고 신앙 중심으로 살자. 맡은 일과 맡겨지는 일에 충성하며 하나님의 또 다른 섭리를 기대하자. 하나님은 우리를 지극히 사랑하고 우리를 통해 영광받으시기를 기뻐하신다. ◇ 여호야다를 통해 얻는 교훈과 적용 사람이 성실하고 충성된 것과 지혜로운 것은 다르다. 그러므로 솔로몬의 지혜나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부탁한 지혜는 소중한 의미가 담겨있다. 하나님은 영적인 지혜를 제한하지도 않고 지혜의 대상을 선별하지도 않으신다. 은혜 위에 지혜를 더하고 믿음 위에 지혜를 더하자. 사역을 감당하고 사명을 수행하는데 지혜는 큰 뒷받침이 된다. 지혜를 구하여 지혜를 얻자. 사람이 자연인으로서의 삶은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영적인 사람으로서 나에게는 다양한 헌신의 길이 열려있다. 생업과 직장과 남녀의 구별이 없이 하나님은 하나님의 사역을 위해 우리를 부르시고 계신다. 여호야다를 본받자. 큰 소망을 가져야 하겠다. 나 자신은 내가 생각하고 있는 나보다 훨씬 큰 것을 깨닫는 사람이 되자. 믿음을 갖고 미래를 기대하자. 이병돈 목사(서울 은평성결교회 담임목사)
291 여호야김(Jehoiachin)
인물
jesus
5684 6 2006-12-27
▶ 여호야김(Jehoiachin) 뜻 : 여호와가 드심 유다왕(B.C.609-598). (1) 요시아왕의 둘째 아들(대상13:15) (2) 유다왕 여호아하스를 바로느고가 애굽으로 잡아가고 그 대신으로 추대 되었는데 본명은 엘리아김이었다. 그는 25세에 즉위하여 국민에게 중세를 과하고 애굽왕 느고에게 조공을 바쳤다(왕하23:31-36) (3) 그후 바벨론왕 느부갓네갈이 느고를 격파한 후에는 바벨론왕에게 조공 바쳤다(왕하24:1) (4) 예레미야는 이것을 신랄하게 비난하였다. (예레미야는 서기관 바륵을 시켜 모든 예언을 기록하게 하고 백성 앞에서 읽었으나 여호야김은 이 두루마리를 뺏어 불에 태웠다(렘36:0-31)
290 아사야(Asahiah/Asaiah)
인물
jesus
1768 6 2006-12-27
▶ 아사야(Asaiah) 뜻: "하나님이 행하심" [1] 성전에서 발견된 율법책에 대해 알아보도록 훌다에게 보내진 요시야왕(B.C. 640-609년)의 시신 중의 한 사람(대하34:20-21). [2] 언약궤를 오벧에돔에서 예루살렘으로 옮기는데 참가한 레위 지파 므라리 자손의 족장(대상06:30). [3] 바벨론 포로에서 스룹바벨과 함께 귀환한 실로 사람으로 유다 지파 바룩의 아들(대상09:1-5). [4] "그돌" 목장을 점령한 시므온 지파의 족장(대상04:39). ▶ 아사야 Asahiah, Asaiah. [Asahi'ah, Asai'ah] 1. Asahiah - An officer sent by Josiah to Huldah the prophetess after the book of the law had been found. 2 Kings 22:12, 14; 2 Chr. 34:20. (왕하22:12, 14; 12 왕이 제사장 힐기야와 사반의 아들 아히감과 미가야의 아들 악볼과 서기관 사반과 왕의 시신 아사야에게 명하여 가로되 14 이에 제사장 힐기야와 또 아히감과 악볼과 사반과 아사야가 여선지 훌다에게로 나아가니 저는 할하스의 손자 디과의 아들 예복을 주관하는 살룸의 아내라 예루살렘 둘째 구역에 거하였더라 저희가 더불어 말하매 (대하34:20 왕이 힐기야와 사반의 아들 아히감과 미가의 아들 압돈과 서기관 사반과 왕의 시신 아사야에게 명하여 가로되 2. Asaiah - Descendant of Simeon. 1 Chr. 4:36. (대상04:36 또 엘료에내와 야아고바와 여소하야와 아사야와 아디엘과 여시미엘과 브나야와 3. Asaiah - Descendant of Merari. 1 Chr. 6:30. (대상06:30 그 아들은 시므아요 그 아들은 학기야요 그 아들은 아사야더라 4. Asaiah - A Shilonite who became a dweller in Jerusalem. 1 Chr. 9:5. (대상09:5 실로 사람 중에서는 장자 아사야와 그 아들들이요 5. Asaiah - Descendant of Merari who assisted in bringing up the ark from Obed-edom's house, 1 Chr. 15:6, 11 (possibly the same as No. 3). (대상15:6,11 6 므라리 자손 중에 족장 아사야와 그 형제 이백 이십인이요 11 다윗이 제사장 사독과 아비아달을 부르고 또 레위 사람 우리엘과 아사야와 요엘과 스마야와 엘리엘과 암미나답을 불러 --- Morrish Bible Dictionary

.
성경연대표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14.세계선교 관련그림.지도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Ani
1창세기[Genesis] 2출애굽기[Exodus] 3레위기[Leviticus] 4민수기[Numbers] 5신명기[Deuteronomy] 6여호수아[Joshua] 7사사기[Judges] 8룻기[Ruth] 9사무엘상[I Samuel] 10사무엘하[II Samuel] 11열왕기상[I Kings] 12열왕기하[II Kings] 13역대상[I Chronicles] 14역대하[II Chronicles] 15에스라[Ezra] 16느헤미아[Nehemiah] 17에스더[Esther] 18욥기[Job] 19시편[Psalms] 20잠언[Proverbs] 21전도서[Ecclesiastes] 22아가[Song of Solomon] 23이사야[Isaiah] 24예레미야[Jeremiah] 5예레미아애가[Lamentations] 26에스겔[Ezekiel] 27다니엘[Daniel] 28호세아[Hosea] 29요엘[Joel] 30아모스[Amos] 31오바댜[Obadiah] 32요나[Jonah] 33미가[Micah] 34나훔[Nahum] 35하박국[Habakkuk] 36스바냐[Zephaniah] 37학개[Haggai] 38스가랴[Zechariah] 39말라기[Malachi] 40마태복음[Matthew] 41마가복음[Mark] 42누가복음[Luke] 43요한복음[John] 44사도행전[Acts] 45로마서[Romans] 46고린도전서[I Corinthians] 47고린도후서[II Corinthians] 48갈라디아서[Galatians] 49에베소서[Ephesians] 50빌립보서[Philippians] 51골로새서[Colossians] 52데살로니가전서[I Thessalonian] 53데살로니가후서[2 Thessalonian] 54디모데전서[I Timothy] 55디모데후서[II Timothy] 56디도서[Titus] 57빌레몬서[Philemon] 58히브리서[Hebrews] 59야고보서[James] 60베드로전서[I Peter] 61베드로후서[II Peter] 62요한일서[I John] 63요한이서[II John] 64요한삼서[III John] 65유다서[Jude] 66요한계시록[Rev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