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의 한글성경
  2. 오늘의 WEB성경
  3. 성경백과사전
  4. 관련서적들

-----Readed_count

-----Update

오늘 :
19,733 / 170,696
어제 :
20,111 / 193,439
전체 :
20,836,846 / 283,293,460
Mobile Bible, Bible Dictionary, Mobile iWorship, 구글Map 성경66권 사전 : -()-()--()-(,)-(,)-(,)-()--중간-(...)-

성경관련 백과사전 & Morrish Bible Dictionary

+ Blue Letter Bible/KJV + 개역한글 성경구절

성경 백과사전 테마별 (구약OT, 신약NT), 성경만화, 요리문답,
영어성경보기, 개역한글성경보기, NEWS, 어!성경
Morrish성경사전 (최신등록), WB.Study, 성경권별 지명연구(지도포함), 인물탐방 각종테마별 - 무게.길이.화폐, 12보석, 유대월력, 동물, (Birds), 식물, 나무, , Miracles(구약, 신약), 613율법Mitzvot, 이방신, 하나님, Tip: 영문장.절위로 커서를 옮기면 해당 KJV 성경 영문구절이 펼처집니다. (Gen. 1:1; Rev. 22:21;)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추천 등록일
Notice 공지 성경 속 전쟁 연대기 (The War Chronicles in the B... 파일
cyber
36329 2 2019-03-05
Notice 공지 TIDWELL BIBLE 21 연대표
jesus
69767 1 2016-12-14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NT 신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5739 1 2016-02-21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OT 구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6065 1 2016-02-21
Notice 공지 성경백과사전 권별.장별[Chapter] 관련내용보기 파일
jesus
83923 1 2015-05-04
8 살만(Shalman)
인물
jesus
1193 1 2006-12-27
▶ 살만(Shalman) 벳아벨을 훼파한 사람의 이름(호10:14)인데 살만에셀이란 이름을 줄인 동일이라는 주장과 호세아 시대의 모압왕 살만과 동일이라는 두가지 주장이 있다.
7 할라(Halah)
지명
jesus
1427 15 2007-01-02
▶ 할라(Halah) 이스라엘 백성이 앗수르왕 살만에셀에게 사로잡혀간 한 지방으로 메소포다미아에 있는 성인듯하다(왕하17:6, (왕하18:11, (대상05:36) lt=36.344972&ln=40.789333
6 살만에셀(Sharmaneser)
인물
jesus
2021 4 2006-12-27
▶ 살만에셀(Sharmaneser) 뜻:술만 신이 주장함 앗수르 음으로 술만누아사리두 곧 "술만 신의 머리가 되신다"라는 뜻이다. 앗수르 왕은 5명인데 성서에 나오는 왕은 3세와 5세 사람이다. [1] 살만에셀 3세(B.C.859-824). 구약에 그 이름은 기록되지 않았으나 다른 기록에 보면 주전 853년 칼칼에세 아합왕과 그의 동맹군인 다메섹 의 벤하닷 의 군사와 싸웠다. 이 때는 하는 수 없이 퇴군하였으 나 주전841년 수리아를 공격했을 때 예후가 조공을 바쳤다. [2] 살만에셀5세(B.C.727-722). 북왕국 이스라엘을 멸망시킨 왕. 북왕국의 마지막 왕 호세아가 처음에는 살만에셀에게 조공을 바쳤으나 애굽왕과 동맹하고 앗수르를 배반하니 살만 에셀은 이스라엘의 수도 사마리아를 3년간이나 포 위하고 호세아 왕과 백성들을 사로 잡아 갔다고 기록되어 있으나(왕하17:3-6, (왕하18:9-11) 사실은 살만에셀은 도중에 죽고 후계자인 사르곤2세가 주전 722년 12월 사마리아를 함락 시 켰다.
5 스발와임(Sepharvaim)
지명
jesus
2304 1 2006-12-30
▶ 스발와임(Sepharvaim) [1] 바벨론 북쪽 55km 지점에 있는 현재의 압합바로서 앗수르왕 사르곤 2세가 사마리아를 점령한 후 이곳 사람으로 식민지 하였다. 운하를 격한 2개의 시가로 되어있다(왕하17:24, 31). [2] 앗수르에게 멸망당한 수리아의 한 마을로서 살만에셀 5세에게 멸망한 사바라인으로 하맛과 다메섹이 여기에 있다 (왕하18:34, (왕하19:13, (사36:19, (사37:13). ▶ 스발와임 Sepharvaim. [Sepharva'im] Place conquered by Assyria, and from whence people were sent to colonise Samaria. 2 Kings 17:24, 31; 2 Kings 18:34; 2 Kings 19:13; Isa. 36:19; Isa. 37:13. Identified with Sippara, on the Euphrates. (왕하17:24, 31; 앗수르 왕이 바벨론과 구다와 아와와 하맛과 스발와임에서 사람을 옮겨다가 이스라엘 자손을 대신하여 사마리아 여러 성읍에 두매 저희가 사마리아를 차지하여 그 여러 성읍에 거하니라, 아와 사람들은 닙하스와 다르닥을 만들었고 스발와임 사람들은 그 자녀를 불살라 그 신 아드람멜렉과 아남멜렉에게 드렸으며 (왕하18:34; 하맛과 아르밧의 신들이 어디 있으며 스발와임과 헤나와 아와의 신들이 어디 있느냐 그들이 사마리아를 내 손에서 건졌느냐 (왕하19:13; 하맛 왕과 아르밧 왕과 스발와임성의 왕과 헤나와 아와의 왕들이 다 어디 있느냐 하라 하니라 (사36:19; 하맛과 아르밧의 신들이 어디 있느냐 스발와임의 신들이 어디 있느냐 그들이 사마리아를 내 손에서 건졌느냐 (사37:13. 하맛 왕과 아르밧 왕과 스발와임성의 왕과 헤나 왕과 이와 왕이 어디 있느냐 하라 하였더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3.789693&ln=44.459399
4 앗수르(Assyria, Asshur) 파일
지명
jesus
4964 3 2007-01-02
▶ 앗수르(Assyria, Asshur) 북부 이라크 티그리스 강 기슭 고대 메소보다미아 왕국들 중의 하나로 남방 왕국인 바벨로니아가 바그다드와 페르샤만 사이의 평지를 차지한 반면에 앗수르는 대체로 서쪽으로 평지를 차지한 반면에 앗수르는 대체로 서쪽으로 시리아 사막과 남쪽으로 베벨로니아와 북쪽과 동쪽으로 아르메니아 및 페르샤 산과 접경을 이루었다. 앗수르는 셈의 아들로(대상01:17) 족장 시대 이전에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 유역의 바벨론 북쪽에 고대 왕국을 세우고 중동 지방에서 정치적인 활약을 하고 있었다. 다행히도 앗수르의 세력은 이스라엘 역사상 가장 유능한 왕이었던 다윗 왕 시대에 극도로 쇠약해 있었다. 그 후 앗수르는 수도 니느웨를 중심으로 점차 그 세력이 강해지기 시작하였고 특히 북 왕국 이스라엘에 대해서는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물론 그 세력이 다소 약화되었던 여로보암 2세와 웃시야 왕 때에 이스라엘은 어느 정도의 힘을 발휘하여 자유를 찾아 국가로서의 면모를 갖추기도 하였지만 앗수르 제국의 재건을 시도한 디글랏 빌레셋 3세와 뒤를 이은 살만에셀 5세의 공격으로, 결국 이스라엘은 멸망하여 그의 속국이 되었고 그들의 포로가 되고 말았다(왕하17:6). 앗수르의 세력은 주전 8세기에 황금 시대를 이루었으나 그 후 주전 612년에 신 바벨론에 의한 수도 니느웨의 함락과 동시에 멸망되었다 ▶ Paintings Assyria, Assuerus The Assyrian Empire / Assuerus --->▶ Esther ▶ Asshur (민24:22, (민24:24, (시083:8, (겔27:23 Num 24:22, Num 24:24, Ps 83:8, Ezek 27:23 lt=36.359&ln=43.152 ▶ 앗수르 Assyria. [Assy'ria] The great kingdom of Assyria was situated near the river Tigris, having Armenia on the North, Mount Zagros and Media on the east, Babylonia on the south, Syria and the Syrian desert on the west; but its boundaries were doubtless not always the same. Nineveh became its capital. The first allusion to Assyria is found in Gen. 2:14, where we read that one of the rivers of Paradise went "toward the east of Assyria," or "went eastward to Assyria," margin. (창02:14 세째 강의 이름은 힛데겔이라 앗수르 동편으로 흐르며 네째 강은 유브라데더라 The name of Assyria appears to have arisen from its first capital, Asshur (now called Kalah Sherghat) on the Tigris. Apparently a monarchy was established there by some from Babylonia, and there were several kings before SHALMANESER I. (about B.C. 1300), whose family kept the throne for six generations until TIGLATH-PILESER I. (about B.C. 1130), who may be said to be the founder of the first Assyrian Empire. He beautified Nineveh and carried his arms in various directions. After him the kingdom became feeble until RIMMON-NIRARI II., B.C. 911, but his victorious career was excelled by his grandson, the great ASSUR-NATSIR-PAL, B.C. 883, who made conquests over the Phoenicians and the 'Kaldu' (Chaldeans). SHALMANESER II succeeded, B.C. 858. He carried his arms still farther. We have his conquests told by himself on three monuments in the British Museum, one of which is known as the Black Obelisk. If the names are correctly interpreted he mentions as allied against him Benhadad king of Syria and Ahab king of Israel. These were defeated at the battle of Karkar, B.C. 853. Hazael of Damascus was also defeated; and from Yahua, the son of Khumri, that is, Jehu, whom he incorrectly calls son of Omri, king of Israel, he received tribute; but of this scripture says nothing. The next king who invaded Syria was RIMMON-NIRARI III B.C. 810. He extended his victories to what he calls, 'the shore of the sea of the setting sun,' which is doubtless the Mediterranean, and imposed tribute on the Phoenicians, Israelites, Edomites, Philistines, and the king of Damascus. After this king the power of Assyria waned for a time. The next king of note was TIGLATH -PILESER II. or III. B.C. 745, who is considered to have founded the second Assyrian kingdom. He consolidated the various dependencies, turbulent populations were removed, and the empire was divided into provinces, each of which paid a fixed annual tribute. In his inscriptions occur the names of Jehoahaz (Ahaz) of Judah; Pekah, and Hoshea of Israel; Reson (Resin) of Damascus; and Hiram of Tyre. The name of Merodach-baladan is also found. Hamath was taken and then all Palestine was at his feet. He attacked those on the east of the Jordan, and carried away the Reubenites, the Gadites, and the half-tribe of Manasseh. 1 Chr. 5:26. Ahaz sought his alliance against Rezin the king of Damascus. Rezin was slain and the city taken; and there Ahaz met the king of Assyria. 2 Kings 16:1-10; 2 Chr. 28:16-21. He also made himself master of Babylonia; but this afterwards gained its independence under Merodach-baladan. Some Assyrian scholars take Tiglath-pileser (whose name appears to have been Pulu) to be the same person as the Pul mentioned in the Bible; but this does not at all agree with the dates of scripture, and in 1 Chr. 5:26 the names of Pul and Tiglath-pileser are mentioned as of two persons. See PUL. (대상05:26 그러므로 이스라엘 하나님이 앗수르 왕 불의 마음을 일으키시며 앗수르 왕 디글랏 빌레셀의 마음을 일으키시매 곧 르우벤과 갓과 므낫세 반 지파를 사로잡아 할라와 하볼과 하라와 고산 하숫가에 옮긴지라 저희가 오늘날까지 거기 있으니라 (왕하16:1-10; 유다왕 아하스 (대하28:16-21. 아하스가 앗수르에 도움을 구하다 In B.C. 727 SHALMANESER IV. succeeded to the throne. Hoshea king of Israel was subject to him; but on being found in treaty with the king of Egypt, Samaria was besieged. 2 Kings 17:3-5. (왕하17:3-5 3 앗수르 왕 살만에셀이 올라와서 호세아를 친 고로 호세아가 신복하여 조공을 드리더니 4 저가 애굽 왕 소에게 사자들을 보내고 해마다 하던 대로 앗수르 왕에게 조공을 드리지 아니하매 앗수르 왕이 호세아의 배반함을 보고 저를 옥에 금고하여 두고 5 올라와서 그 온 땅에 두루 다니고 사마리아로 올라와서 삼년을 에워쌌더라 In B.C. 722 SARGON succeeded, and apparently it was he who captured Samaria. An inscription of his at Khorsabad reads, "I besieged the city of Samaria and carried away 27,280 men who dwelt there into captivity, and took fifty chariots from among them, and ordered the rest to be taken. I set my judges over them, and imposed upon them the tribute of the former kings." He also placed colonists in Samaria, but it is supposed by the names of the places mentioned from which these were sent, that this was not done immediately. Sargon captured Carchemish, punished the king of Syria, flayed alive the king of Hamath, and then successfully overcame So or Sabako. Sargon is mentioned in Isa. 20:1 as sending his general to Ashdod, who took it. An inscription also mentions the fall of the city. Sargon defeated Merodach-baladan in Babylonia, but was assassinated in B.C. 705. He was called SHARRU-KENU, that is, 'faithful king.' (사20:1 앗수르 왕 사르곤이 군대장관을 아스돗으로 보내매 그가 와서 아스돗을 쳐서 취하던 해 SENNACHERIB succeeded Sargon his father, B.C. 705. Hezekiah had been tributary; but on his revolting Sennacherib took the fenced cities of Judah, and then Hezekiah sent him the treasures of his own house and the house of the Lord. Still Jerusalem was attacked, and profane speeches made against the God of Israel. Hezekiah humbled himself before God, and the angel of the Lord smote of the Assyrians 185,000. Sennacherib returned to his land and was eventually murdered by two of his sons. 2 Kings 18:13 - 19:37. In Sennacherib's own account he says, "Hezekiah himself I shut up like a bird in a cage in Jerusalem, his royal city . . . . in addition to his former tribute and yearly gifts I added other tribute and the homage due to my majesty, and I laid it upon them." The above date would clash with the date of Hezekiah, but it is probable that Sennacherib was co-regent with his father some nine years before he reigned alone. (왕하18:13 - 19:37. 앗수르의 위협과 산헤립의 죽음 A tablet shows Sennacherib sitting on a throne to receive the spoils of the city of Lachish. It is supposed he lived 20 years after he left Palestine before he was assassinated. He says nothing of the loss of his army, and perhaps never recovered the shock. ESAR-HADDON succeeded, B.C. 681. He is said to have reigned from the Euphrates to the Nile. He also conquered Egypt, and divided it into 20 provinces, governed by Assyrians. According to an inscription he claimed the sovereignty of Babylon, and held his court there. This accounts for him, as king of Assyria, carrying Manasseh captive to Babylon. 2 Chr. 33:11. He is mentioned also in Ezra 4:2 as having sent the colonists into Judaea. After reigning about 10 years he associated with him his son the noted ASSUR-BANI-PAL. Egypt was again conquered. He gathered a famous library at Kouyunjik, the terra cotta tablets of which have been preserved. Assur-bani-pal died about B.C. 626. The glory of the Assyrian kingdom was permanently departing, and about B.C. 606 Nineveh was taken and destroyed. Nahum 1 - 3. (대하33:11 여호와께서 앗수르 왕의 군대 장관들로 와서 치게 하시매 저희가 므낫세를 사로잡고 쇠사슬로 결박하여 바벨론으로 끌어 간지라 (스04:2 스룹바벨과 족장들에게 나아와 이르되 우리로 너희와 함께 건축하게 하라 우리도 너희 같이 너희 하나님을 구하노라 앗수르 왕 에살핫돈이 우리를 이리로 오게한 날부터 우리가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노라 (나01: 니느웨에 대한 여호와의 진노 (나02: 니느웨의 멸망1 (나03: 니느웨의 멸망2 There are many monuments and inscriptions on tablets which the learned are deciphering; but the difficulties of distinguishing the proper names on the Assyrian monuments are shown by M. Joachim Menant, who gives as an instance one sign which may be read kal, rip, dan, or lip, being one of the signs called 'polyphones.' The following list of kings is from Rawlinson, Sayce, and other Assyrian scholars. The early dates are uncertain and several of the later dates do not agree with the usual chronology of scripture. ASSYRIAN KINGS. B.C. Shalmaneser I. 1300 Tiglath-Adar I., his son 1280 Bel-kudur-utsur (Belchadrezzar) his son 1260 Assur-narara and Nebo-dan 1240 Adar-pal-esar (Adar-pileser) 1220 Assur-dan I., his son 1200 Mutaggil-Nebo, his son 1180 Assur-ris-ilim, his son 1160 Tiglath-pileser I., his son 1140 Assur-bel-kala, his son 1110 Samas-Rimmon I., his brother 1090 Assur-rab-buri ? Assur-zalmati ? Assur-dan II 930 Rimmon-nirari II., his son 911 Tiglath-Adar II., his son 889 Assur-natsir-pal, his son 883 Shalmaneser II., his son 858 Samas-Rimmon II., his son 823 Rimmon-nirari III., his son 810 Shalmaneser III. 781 Assur-dan III. 771 Assur-nirari 753 Pulu, usurper, Tiglath-pileser II. or III 745 Ulula (Elulaeos) of Tinu, usurper, Shalmaneser IV. 727 Sargon, usurper 722 Sennacherib of Khabigal, his son 705 Esar-haddon, his son 681 Assur-bani-pal (Sardanapalus) his son 668 Assur-etil-ili-yukinni, his son ? 626 Esar-haddon II. (Sarakos) ? Fall of Nineveh? 606 The Assyrians were idolaters: from the inscriptions the names of hundreds of gods can be gathered. The Assyrian language was a branch of the Semitic, and came from the Accadian. It was written in Cuneiform or wedge-shaped characters. Assyria was used by God as His rod to punish His guilty people Israel, and then, as in other instances, the rod itself, for its pride and wickedness, had to bear God's judgement. See Isa. 10:5-19; Isa. 14:25; Ezek. 31:3-17; Nahum 3:18, 19; Zeph. 2:13. Some of the passages that speak of the kings of Assyria are prophetic, and refer to the still future, when as 'kings of the north' they will again have to do with Israel and will be judged of God. The indignation against Israel ceases in the destruction of the Assyrian: see Isa. 10:12; Isa. 14:25; Isa. 30:27-33. One remarkable passage speaks of Assyria with Egypt and Israel as being brought into blessing, Isa. 19:23-25, "Whom the Lord of hosts shall bless, saying, Blessed be Egypt my people, and Assyria the work of my hands, and Israel mine inheritance." We thus see that the Assyrians have a large place in scripture both in the past and in the future, doubtless because they have had, and will yet have, to do with Jehovah's earthly people, "the Israel of God." The Assyrian is the over-flowing scourge of God's anger because of Israel's connection with idolatry. (사10:5-19; 하나님의 도구인 앗수르 (사14:25 내가 앗수르 사람을 나의 땅에서 파하며 나의 산에서 발아래 밟으리니 그 때에 그의 멍에가 이스라엘에게서 떠나고 그의 짐이 그들의 어깨에서 벗어질 것이라 (겔31:3-17; 한때 백향목 같았던 애굽 (나03:18, 19; 18 앗수르 왕이여 네 목자가 자고 네 귀족은 누워 쉬며 네 백성은 산들에 흩어지나 그들을 모을 사람이 없도다 19 너의 다친 것은 고칠 수 없고 네 상처는 중하도다 네 소식을 듣는 자가 다 너를 인하여 손뼉을 치나니 이는 네 악행을 늘 받지 않은 자가 없음이 아니냐 (습02:13 여호와가 북방을 향하여 손을 펴서 앗수르를 멸하며 니느웨로 황무케 하여 사막 같이 메마르게 하리니 (사10:12 이러므로 주 내가 나의 일을 시온산과 예루살렘에 다 행한 후에 앗수르 왕의 완악한 마음의 열매와 높은 눈의 자랑을 벌하리라 (사14:25; 내가 앗수르 사람을 나의 땅에서 파하며 나의 산에서 발아래 밟으리니 그 때에 그의 멍에가 이스라엘에게서 떠나고 그의 짐이 그들의 어깨에서 벗어질 것이라 (사30:27-33. 여호와께서 앗수를 치시리라 (사19:23-25, 23 그 날에 애굽에서 앗수르로 통하는 대로가 있어 앗수르 사람은 애굽으로 가겠고 애굽 사람은 앗수르로 갈 것이며 애굽 사람이 앗수르 사람과 함께 경배하리라 24 그 날에 이스라엘이 애굽과 앗수르로 더불어 셋이 세계 중에 복이 되리니 25 이는 만군의 여호와께서 복을 주어 가라사대 나의 백성 애굽이여, 나의 손으로 지은 앗수르여, 나의 산업 이스라엘이여, 복이 있을 지어다 하실 것임이니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 Assyria (창02:14, (창10:11, (창25:18, (왕하15:19, (왕하16:7, (왕하17:3, (왕하18:7, (왕하19:4,(왕하20:6, (왕하23:29, (대상05:6, (대하28:16, (대하30:6, (대하32:1,(대하33:11, (스04:2, (스06:22, (느09:32, (사07:17, (사08:4, (사10:5, (사11:11, (사19:23, (사20:1, (사23:13, (사27:13, (사36:1, (사37:4, (사38:6, (렘02:18, (렘50:17, (애05:6, (겔23:7, (겔31:3, (겔32:22, (호05:13, (호07:11, (호08:9, (호09:3, (호10:6, (호11:5, (호12:1, (호14:3, (미05:6, (미07:12, (나03:18, (습02:13, (슥10:10 Gen 2:14, Gen 10:11, Gen 25:18, 2 Kgs 15:19, 2 Kgs 15:20, 2 Kgs 15:29, 2 Kgs 16:7, 2 Kgs 16:8, 2 Kgs 16:9, 2 Kgs 16:10, 2 Kgs 16:18, 2 Kgs 17:3, 2 Kgs 17:4, 2 Kgs 17:5, 2 Kgs 17:6, 2 Kgs 17:23, 2 Kgs 17:24, 2 Kgs 17:26, 2 Kgs 17:27, 2 Kgs 18:7, 2 Kgs 18:9, 2 Kgs 18:11, 2 Kgs 18:13, 2 Kgs 18:14, 2 Kgs 18:16, 2 Kgs 18:17, 2 Kgs 18:19, 2 Kgs 18:23, 2 Kgs 18:28, 2 Kgs 18:30, 2 Kgs 18:31, 2 Kgs 18:33, 2 Kgs 19:4, 2 Kgs 19:6, 2 Kgs 19:8, 2 Kgs 19:10, 2 Kgs 19:11, 2 Kgs 19:17, 2 Kgs 19:20, 2 Kgs 19:32, 2 Kgs 19:36, 2 Kgs 20:6, 2 Kgs 23:29, 1 Chr 5:6, 1 Chr 5:26, 2 Chr 28:16, 2 Chr 28:20, 2 Chr 28:21, 2 Chr 30:6, 2 Chr 32:1, 2 Chr 32:4, 2 Chr 32:7, 2 Chr 32:9, 2 Chr 32:10, 2 Chr 32:11, 2 Chr 32:21, 2 Chr 32:22, 2 Chr 33:11, Ezra 4:2, Ezra 6:22, Neh 9:32, Isa 7:17, Isa 7:18, Isa 7:20, Isa 8:4, Isa 8:7, Isa 10:5, Isa 10:12, Isa 11:11, Isa 11:16, Isa 19:23, Isa 19:24, Isa 19:25, Isa 20:1, Isa 20:4, Isa 20:6, Isa 23:13, Isa 27:13, Isa 36:1, Isa 36:2, Isa 36:4, Isa 36:8, Isa 36:13, Isa 36:15, Isa 36:16, Isa 36:18, Isa 37:4, Isa 37:6, Isa 37:8, Isa 37:10, Isa 37:11, Isa 37:18, Isa 37:21, Isa 37:33, Isa 37:37, Isa 38:6, Jer 2:18, Jer 2:36, Jer 50:17, Jer 50:18, Lam 5:6, Ezek 23:7, Ezek 31:3, Ezek 32:22, Hos 5:13, Hos 7:11, Hos 8:9, Hos 9:3, Hos 10:6, Hos 11:5, Hos 11:11, Hos 12:1, Hos 14:3, Mic 5:6, Mic 7:12, Nahum 3:18, Zeph 2:13, Zech 10:10, Zech 10:11 lt=36.359&ln=43.152
3 사마리아(Samaria) Map 파일
지명
jesus
6598 3 2006-12-30
▶ 사마리아(Samaria) 뜻:살핌 예루살렘 북쪽 약 67km 지점으로 사마리아 도와 사마리아 성이 있다. 사마리아 성은 세겜 북방 11km 지점 91km 높이의 언덕 위에 있는데 현재는 세바스티에 라는 곳으로 보잘것 없는 동네가 되었다. BC 30년에 헤롯은 사마리아 대건설 계획에 착수,새로 건설된 도시를 황제에게 경의를 표하는 의미에서 세바스티아로 개칭했다.도시의 출입문은 서편과 동편에 있었다.북편과 남편에도 성문이 하나씩 더 있었던 것 같다. 지금은 낙후된 아랍인의 마을에 불과하지만 북왕국 이스라엘의 수도가 여기였다. 그리심산이 있다. 이 산은 종교적으로 중요한 곳이었으며, 산정에는 유적지가 있다. 소수민족인, 전통적인 사마리아인은 4백명 뿐으로 그리심산에 살고 있다.사마리아 유적은 2차례 발굴되었는데 1965년 요르단의 고대 문물성에 의해서,또 한번은 1968년 예루살렘의 영국고고학회에 의해서였다. 예수께서 말씀하신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때문에 익숙한 도시이름이다. (1) 사마리아 성읍은 이스라엘 북왕국의 수도이다. (2) 디르사에 수도를 정하던 오므리 왕(아합 왕의 아버지)이 세멜이라는 사람으로부터 이 산을 사서 그 소유주의 이름을 따서 사마리아 라고 하였다 (왕상16:23-24). (3) 사마리아도는 옛날 여호수아가 가나안을 쳐서 취하여 12지파에게 분할해 줄 때 에브라임, 단, 므낫세, 반지파에게 준 땅이 곧 예수님 당시의 사마리아다. (4) 여호수아 때에는 솔로몬 왕 때까지 통일 국가를 이루었다. 솔로몬왕이 죽은 후에 남북 2국으로 분립되어 남에는 유다, 베냐민의 두 지파가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을 왕으로 삼은 유다국이 건설되고 북에는 기타 10지파가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으로 왕을 삼은 이스라엘 국이 건설되어 250 여년간 내려왔다. (5) 앗수르왕 살만에셀이 이스라엘국을 쳐서 취하였다. 이때에 살만에셀은 이스라엘 백성을 포로로 다른 지방으로 옮기고 앗수르 국민을 사마리아 에 옮겼다 (왕하17:3-6,24). (6) 그 다음에는 마게도냐, 알렉산더 대왕이 점령하여 또 사마리아인을 축출 하고 자기 국민을 사마리아도에 이식하니 자연히 상호혼혈이 되어버렸다. (7) 그 때 부터 유대인들은 사마리아를 이방시하고 그 주민을 이족시 하게 되었다. (8) 그러므로 유대인들이 바벨론에서 귀환하여 예루살렘 성전을 건축할 때 사마리아 인들이 협력하기 원하여도 거절 하였다. 사마리아인들은 이방시 하는 유대인들에게 원한을 품고 바사국의 인사들에게 뇌물을 주어 예루살렘 성전 건축을 방해 하였고 일방으로는 그리심 산에 따로 성전을 건축하고 예루살렘 성전을 반대하게 되었다(스04:1-6). (9) 이러한 두가지 원인으로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간에는 피차 반목 질시하게 되고 유대인이 그 지역에 가지도 않고 그곳 주민과는 상종도 하지 않으므로 갈릴리도를 갈때는 사마리아도를 통과 하지 않고 멀리 요단강으로 돌아 다녔다. (10) 예수님은 그것을 관계치 않으시고 통과하시다가 수가 성에 있는 야곱의 우물가에서 사마리아 여인을 만나 생수의 원리를 가르쳐 주셨다(요04:3- 14). (11) 선한 사마리아인이 비유을 듣고(눅01:30-37). (12) 문둥병자 10명을 고쳐 주셨을 때 다 가버리고 사마리아 사람 하나만 와서 감사함으로 그를 칭찬하셨다(눅17:11-19). (13) 그래서 예수를 사마리아 인이라고 욕한 사람도 있다(요08:48). (14) 스데반이 순교후 예루살렘 교회가 핍박을 만나 교인들이 사방에 흩어지는 중에 이 사마리아 도에 들어가서 교회 설립의 기초가 되었다(행08:1). (15) 바알과 아세라의 선지 850인과 엘리야 선지가 거짓 신과 참 하나님의 대결을 벌렸던 갈멜산이 있다(왕상12:19-40). (16) 요셉이 팔린 도단 산(창37:17)과 축복하는 그리심산과 저주하는 에발산 이 있다(신11:20). (왕상13:32, (왕상16:24,28,29,32, (왕상18:2, (왕상20:1,10,17,34,43, (왕상21:1,18, (왕상22:10,37,38,51, (왕하01:2,3, (왕하02:25, (왕하03:1,6, (왕하05:3, (왕하06:19,20,24,25, (왕하07:1,18, (왕하10:1,12,17,35,36, (왕하13:1,6,9,10,13, (왕하14:14,16,23, (왕하15:8,13,14,17,23,25,27, (왕하17:1,5,6,24,26,28, (왕하18:9,10,34, (왕하21:13, (왕하23:18,19, (대하18:2,9, (대하22:9, (대하25:13,24, (대하28:8,9,15, (스04:10,17, (느04:2, (사07:9, (사08:4, (사09:9, (사10:9,10,11, (사36:19, (렘23:13, (렘31:5, (렘41:5, (겔16:46,51,53,55, (겔23:4,33, (호07:1, (호08:5,6, (호10:5, (호13:16, (암03:9,12, (암04:1, (암06:1, (옵01:19, (미01:1,5,6, (눅17:11, (요04:4,5,7,9, (행01:8, (행8:1,5,9,14, (행09:31, (행15:3 ======== Samaria. [Sama'ria] This city was built by Omri, king of Israel, and came into prominence by becoming the capital of the kingdom of the ten tribes. It was situated on the side of a hill, and was adorned and fortified by the kings of Israel. Ben-hadad, king of Syria, besieged Samaria in the reign of Ahab, but by the intervention of God it was not taken. 1 Kings 20:1-34. In the days of Jehoram it was again besieged by Ben-hadad, and the famine became so great that they were on the point of capitulating when some lepers brought word that the enemy had fled, and abundance of provision was to be found in the camp. 2 Kings 6:24-33; 2 Kings 7:1-20. It was besieged again by Shalmaneser, about B.C. 723, but held out for three years, being eventually taken by Sargon. The people were now carried into captivity. 2 Kings 18:9-12. Among the Assyrian inscriptions there is one in which Sargon says, "The city of Samaria I besieged, I captured; 27,280 of its inhabitants I carried away." It was partly re-peopled by the colonists imported by Esar-haddon. Samaria was again taken by John Hyrcanus, who did his best to destroy it. The city was rebuilt by Herod the Great, and named Sebaste (the Greek form of Augusta) in honour of his patron the emperor Augustus; but on the death of Herod it gradually declined. It is now only a miserable village, called Sebustieh, 32 17 N, 35 12' E, but with some grand columns standing and relics of its former greatness lying about. THE DISTRICT OF SAMARIA is often alluded to in the N.T. It occupied about the same territory as that of Ephraim and Manasseh's portion in the west. It had the district of Galilee on the north, and Judaea on the south. Luke 17:11; John 4:4; Acts 1:8; Acts 8:1-14; Acts 9:31; Acts 15:3.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2.2802&ln=35.1979
2 호세아(Hosea/Hoshea)
인물
jesus
7018 15 2006-12-28
▶ 호세아(Hosea) Bible Books 뜻 : 구원 [1] 여호수아의 본명(민13:16). [2] 다윗왕 때 에브라임 자손의 장관 (대상27:20). [3] (1) 잇사갈 지파 사람으로 12소선지중의 한 사람이다. (2) 웃시아 왕때부터 히스기야 왕 때(B.C 785-725)까지 예언하였으니 선지자 중 가장 오래 예언하였다. (3) 그의 저서 호세아서에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우상 숭배한 죄를 깊이 책 망하고 구세주 오실 것을 신망하였다고 신약에 3차 인용하였다 (마09:13, (롬09:25, (벧전03:10-12). [4] 이스라엘의 마지막 왕이요 엘라의 아들이다. 사라마리아에서 9년간 재위 중 악을 행하였으므로 여호와가 앗수르왕 살만에셀을 보내사 사마리아를 취하고 왕을 잡아다가 금고하고 백성을 사로 잡아다가 여로곳에 분산시키니 유대왕 히스기야 6년이었다(왕하18:9:12). ▶ 호세아 Hoshea. [Hoshe'a] 1. The original name of JOSHUA the son of Nun. Deut. 32:44. (신32:44 모세와 눈의 아들 호세아가 와서 이 노래의 모든 말씀을 백성에게 말하여 들리니라 2. Son of Azaziah and a chief of the tribe of Ephraim. 1 Chr. 27:20. (대상27:20 에브라임 자손의 관장은 아사시야의 아들 호세아요 므낫세 반 지파의 관장은 브다야의 아들 요엘이요 3. Son of Elah and the last king of Israel. He conspired against Pekah and slew him, and reigned in his stead, 'in the twentieth year of Jotham.' (But Jotham reigned only 16 years, and the above probably means that Pekah was slain in the twentieth year after Jotham became king.) There was then anarchy for about 9 years, thought to be noticed in Hosea 10; and Hoshea began to reign B.C. 730, the twelfth year of Ahaz, which agrees with 2 Kings 17:1. He did evil in the sight of the Lord, but was not so bad as the kings that had preceded him. He sought an alliance with the king of Egypt against the king of Assyria, who imprisoned him in bonds. Three years later Samaria was attacked, and after three years it was taken, and the people carried away; but the fate of Hoshea is not revealed. 2 Kings 15:30; 2 Kings 17:1-6; 2 Kings 18:1, 9, 10. (호10: 이스라엘의 죄악과 보응 (왕하17:1 유다 왕 아하스 십 이년에 엘라의 아들 호세아가 사마리아에서 이스라엘 왕이 되어 구년을 치리하며 (왕하15:30 웃시야의 아들 요담 이십년에 엘라의 아들 호세아가 반역하여 르말랴의 아들 베가를 쳐서 죽이고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왕하17:1-6; 이스라엘의 멸망 (왕하18:1, 9, 10. 1 이스라엘 왕 엘라의 아들 호세아 삼년에 유다 왕 아하스의 아들 히스기야가 왕이 되니 9 히스기야 왕 사년 곧 이스라엘 왕 엘라의 아들 호세아 칠년에 앗수르 왕 살만에셀이 사마리아로 올라와서 에워쌌더라 10 삼년 후에 그 성이 함락되니 곧 히스기야의 육년이요 이스라엘 왕 호세아의 구년이라 사마리아가 함락되매 4. A chief of the people who sealed the covenant. Neh. 10:23. (느10:23 호세아, 하나냐, 핫숩, --- Morrish Bible Dictionary
1 분열왕국 시대
구약
jesus
21340 158 2007-01-05
이제 하나님의 징계와 왕국의 분열이 예언되었습니다. 솔로몬은 죽고 다음 세대 가 시작되었습니다. 솔로몬의 무거운 세금 아래서 고통 받던 백성들은 그 아들 르호보암이 세금을 경감하여 선정을 베풀기를 원했습니다. 그러나 르호보암은 지혜롭지 못하게 노인들의 진언을 버리고 젊은이들의 제안을 따라 백성들을 위협합니다. 이 일로 말미암아 왕국은 남북으로 분열되었고 르호보암은 18만의 병력을 동원하여 통일왕국을 유지하려 했으나 선지자 스마야의 말을 따라서 포기합니다. 왕국분열의 이유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유다 지파가 강성해 지파 간의 연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다른 지파들이 소외됨 2) 애굽의 왕 시삭이 솔로몬의 통치에 반대하는 인사들을 후원하여 솔로몬 왕국에 반체제 세력을 강화시킴 3) 르호보암의 그릇된 야망과 백성들의 신임을 잃음 The English Bible Story 1 . 왕국 분열의 이유 솔로몬은 통일왕국을 다스린 이스라엘의 세 번째 왕이자 마지막 왕이 됩니다. 그 는 다윗과 밧세바 사이에 난 자로 하나님의 전을 건축할 약속을 받은 사람입니다. 그는 하나님께 일천번제를 드리며 기도할 때, 지혜와 더불어 부와 영광을 약속 받았던(왕상 3장) 사람입니다. 봄에 성전 공사를 시작하여 7년 만에 완성 하여 하나님께 드렸던 그는 국방에서, 명성에서, 부에서 누구도 이루지 못한 영화를 누렸던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인생의 성공과 실패는 이 땅에서의 명성과 부로써 평가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는 우상 숭배자로 타락하였으여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하고 말았습니다. 르호보암과 여로보암 2. 북왕국 이스라엘 북왕국 이스라엘은 여로보암을 통해 세워졌습니다. 여로보암은 르호보암의 그릇 된 야망으로 돌아선 백성들을 규합하여 나라를 세웠습니다. 그러나 그는 하나님의 계명과 율법을 범하였고 계속되는 경고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죄를 저질렀습니다. 그리고 북왕국 이스라엘의 역사는 조상들이 심어 놓은 파멸의 열매를 거두는 것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한 사람의 운명, 또는 한 나라의 운명은 무엇을 심든지 그대로 거두는 것이 삶의 원리입니다. 1) 여로보암의 죄(왕상 12:25 - 14:20) - 백성들의 마음이 유다로 향할 것을 두려워하여 새로운 제사법 제정. - 하나님의 경고를 무시(벧엘에서 분향하는 왕을 책망, 아들이 병들었을 때 책망하며 파멸을 예언). 2) 오므리 왕조와 아합의 통치 수도를 '디르사' 에서 '사마리아' 로 옮기고 북왕국의 번성기를 열었던 오므리 왕과 그 아들 아합도 북왕국 이스라엘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왕들입니다. 나라는 부강하게 만들었지만, 온 백성으로 하여금 이방의 우상, 특히 아합의 왕비였던 이세벨을 통해 들어온 두로와 시돈의 우상 바알과 아세라를 음란히 섬기게 한 죄가 큰 왕들입니다. 오므리 왕조 시기는 군사적․ 물질적 번영기간으로 안정을 추구하여 국제 동맹을 맺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영적 타락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아합 왕 시대가 가장 타락한 시기였다면, 동시에 구약의 가장 위대한 선지자 중의 하나인 엘리야의 활약이 가장 돋보이던 시기라 할 수 있습니다. 열왕기상 17-21장 까지는 엘리야의 활약상이 나오는데, 우리가 주목해 보아야 하는 것은 바로 '홀로 선 자의 승리' 입니다. 그는 혼자인 듯 하나 하나님이 함께 하실 때, 850명의 이방 선지자들과의 대결하여 이길 수 있었습니다. 엘리야는 하나님의 승리는 숫자에 있지 않음을 우리에게 보여 줍니다. 엘리사(왕하 1-8장)는 은총의 선지자로 기적을 통하여 개인과 나라를 도운 사람입니다. 엘리사가 활동하던 시기는 이스라엘의 요람 왕이 통치하던 시대로 이 당시 시리아의 침공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엘리사가 구해 주었지만 요람 왕은 감사하기 보다는 오히려 엘리사를 죽이려 했습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엘리사는 구약의 예언자 중에서 가장 많은 이적을 행한 사람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3) 예후 왕조 - 선지자 요나와 아모스 예후는 개혁을 시도한 왕이었지만 그의 개혁은 불완전했습니다. 그는 바알 숭배를 심판하여 이스라엘의 요람과 이세벨, 아합 왕에 속한 자, 바알의 선지자들과 유다 의 아하시야 왕을 죽였습니다. 그러나 금송아지 숭배를 계속했습니다. 성경은 그의 개혁이 종교적인 동기가 아니라 정치적인 동기에서 이루어졌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왕하 10:29). 당시에 요나는 옛 왕국의 지경이 회복될 것을 예언했으며, 여로보암 2세에 의하여 그 예언은 실현되었습니다. :그 다음 활동한 선지자는 아모스입니다. 그는 사회정의가 서지 않은 나라와 도덕성이 없는 종교에 대한 심판을 말하였습니다. 4) 말기의 왕들과 호세아 북이스라엘의 말기는 정치적으로 무정부 상태이며 혼란의 시대였습니다. 이때에 '사랑의 선지자' 라 불리는 호세아는 사마리아의 멸망이 임박했음을 예언했으며, 여호와께 돌아오면 용서하시리라는 복음을 끊임없이 선포했습니다. 북이스라엘 왕국의 왕들 1.여로보암(931-909 /22년) ①솔로몬의 대신으로 왕을 섬기다가 노여움을 사서 애굽으로 도망. ②세겜에서 열 지파의 반란을 주도. ③거짓 종교로 이스라엘을 죄짓게 함. ④그의 이교 제단은 파괴되고 그의 팔은 마비되며 그의 아들은 그의 죄로 하나님의 치심을 당함. ⑤남왕국의 2대왕 아비얌에게 전장에서 패함. ⑥하나님으로부터 재앙을 입어 사망. 2.나답(910-908 /2년) ①여로보암의 아들.②바아사라는 반란자에게 피살. 3.바아사(909-885 /24년) ①나담을 죽여 선지자 아히야의 예언을 성취.②남왕국의 제 3대왕 아사와 싸워서 예루살렘과 교역단절.③여로보암의 가문과 마찬가지로 그의 가문도 그와 똑같은 심판을 받을 것이라는 예언을 들음. 4.엘라(885-883 /2년) ①바아사의 아들.②취중에 한 병사에게 피살. 5.시므리(885 /7일) ①바아사의 후손을 멸함으로써 예언을 성취.②궁전에서 포위당해 자결함. 6.오므리(885-873 /12년) ①사마리아를 북왕국의 수도로 삼음.②이때까지의 왕 중 가장 막강한 왕.③아들 아합을 이세벨과 결혼하도록 주선. 7.아합(878-852 /22년) ①그의 바알 숭배가 나라에 큰 기근을 초래함.②두번이나 수리아군을 결파하도록 허락받음.③경건한 왕 여호사밧을 꼬여 두 가지 타협-결혼 동맹과 군사동맹을 맺게함.④무수한 죄로 인한 자신을 죽음을 세 예언자들로부터 들음.⑤자신의 처 이세벨의 죽음은 선지자 엘리야에 의해 예언됨.⑥일시 적이고 순간적인 회개를 함..⑦수리아와의 전투에서 전사. 8.아하시야(853-851 /2년) ①아합과 이세벨의 맏아들.②여호사밧을 설들하여 에시온게벨 에서 공동으로배를 건조하도록 하였음.③사마리아에 있는 그의 궁전에서 떨어져 병들었음.④치유를 위하여 이방 신 바알세불에게로 돌아섬.⑤이로인해 엘리야로부터 비난을 받자 그 선지자를 체포하려고 하였음. 9.요람(여호람)(852-840 /12년) ①아합과 이세벨의 막내 아들.②여호사밧을 설득하여 동맹을 맺고 수리아와 대항..③선지자 엘리사가 전쟁에서 이기도록 기적을 베품.④후에 엘리사로부터 수리아의 복병을 조심하라는 경고를 받음.⑤엘리사는 그가 초자연적 사건으로 눈이 멀게 된 수리아의 군대를 도륙하지 말도록 말림.⑥나아만이 문둥병을 낫고자 하여 왔을 때 여호람은 왕위에 있었음.⑦하나님이 네 문둥병자를 시켜 사마리아를 기근에서 구출하도록 하셨을 떄 왕위에 있었음.⑧이스르엘 골짜기에서 예후에게 피살. 10.예후(841-813 /28년) ①엘리사가 보낸 사자로부터 기름부음을 받음.②유혈행위로 유명(처형한 사람 --유다왕 아하시야와 형제42인.북왕국 여호람.이세벨.아합의 아들 70인.바알 숭배자들) 11.여호아하스(814-797 /17년) ①예후의 아들.휘하 군대가 수리아군에 의하여 거의 섬멸됨.②자신의 죄에 대하여 짧은 기간 동안 후회하였으나 진정한 회개는 하지않음. 12.요아스(798-782 /16년) ①병상에 누운 엘리사를 찾아감.②전장에서 아마샤를 패배시킴.③아마샤의 오만한 요구를 조롱하기 위한 구약성서의 우화를 말함.④예루살렘을 약탈하고 많은 인질과 재물을 가져감. 13.여로보암 2세(793-753 /41년) ①북왕국왕중 최장기 통치.가장 막강한 왕중 하나.②이스라엘이 상실한 영토중 상당 부분을 회복. 14.스가랴(753 /6개월) ①예후의 4대손.②살룸이라는 폭도에게 피살.하나님이 예후에게 내린 예언이 성취됨. 15.살룸(752 /1개월) ①므나헴이라는 잔인한 병사에게 살해됨. 16.므나헴(752-742 /10년) ①이스라엘의 지독한 독재자 중의 한 사람.②앗수르 왕 디글랏 빌레셀을 은 1천 달란트로 매수. 17.브가히야(742-740 /2년) ①므나헴의 아들.군대장관 베가에게 피살. 18.베가(740-732 /20년) ①752-740동안 므나헴과 공동섭정기간.②앗수르에 대항하여 연합할 것을 거절한 유다에 보복하기 위해 수리아와 연합하였으나 실패함.③앗수르가 이스라엘 북부와 동부의 성읍들을 함락시킨 일이 그의 치세기간에 있었음.④호세아에게 피살. 19.호세아(732-721 /9년) ①이스라엘의 마지막 왕.②앗수르에 대항하여 애굽과 연합.이로인해 앗수르에 감금당함. 3. 남왕국 유다 1) 파멸의 씨앗 - 정략결혼(왕하 8:16-24) 여호람의 정략결혼은 바알 숭배의 길을 열었습니다(북왕국 아합의 딸 아달랴와 결혼). 결국 아달랴는 왕위를 찬탈하고 자신의 손자들인 왕자들을 모두 죽이고 바알 신을 퍼뜨렸다가 대제사장 여호야다에 의해 죽임을 당하게 됩니다. 2) 파멸의 재촉 - 하나님을 버림 아하스는 미가 선지자와 이사야 선지자의 권고를 무시하고 바알을 숭배하고, 영적, 윤리적 퇴폐, 가나인 족속의 가증한 행위, 어린이 제사 등을 일삼았습니다. 3) 파멸의 보증 - 가장 악하고 반역적인 왕, 므낫세 (왕하 21 :1 -18) 므낫세는 개혁자 히스기야의 아들이었으나 극심한 우상 숭배로 유다 왕 중에서 가장 악한 왕으로 기록되었습니다. 하나님은 이제 예루살렘에 대한 심판과 포로를 예고하였습니다 (왕하 21 :12-14). 4) 유다 말기의 종교개혁 - 요시야와 예레미야 (왕하 22:1 -23:30) 요시야는 개혁자로 종교 부흥을 시도하였습니다. 남왕국 유다에서 우상을 제하고 산당들을 헐어버렸습니다. 그는 북왕국 이스라엘 지경까지 가서 정화 작업을 하였으며, 산당의 제사장들을 죽이고 우상 숭배자의 해골을 불살랐습니다. 그러나 백성들은 마음 중심에서 회개치 않았습니다. 예레미야는 북에서부터 기울어진 끊는 가마의 환상을 보았습니다. 즉 재앙이 북에서부터 이 땅의 모든 거민에게 이틀 것을 보았던 것입니다(렘 1:13-14). 남유다 왕국의 왕들 1.르호보암(931-914 /17년) ①솔로몬의 아들.우둔함과 계교결핍 떄문에 내란 발생.②아내 열 여덟명과 첩 60명을 둠.가장 아끼는 아내는 아비살롬의 사악한 딸 마아가 였음.③재위 중 애굽 왕 시삭이 수도 예루살렘을 침범함. 2.아비얌/아비야(914-911 /3년) ①북왕국의 왕 여로보암을 전장에서 패배시킴(초자연적인 간섭덕택으로).②하나님의 도우심에도 불구하고 타락하여 사악한왕이됨. 3.아사(911-870 /41년) ①최초로 구원받은 유다왕.유다를 중흥시킴.위대한 건축자.②그의 기도를 하나님께서 구스의 대규모 공격으로부터 예루살렘을 구해주시는 것으로 응답하셨음.③우상을 숭배한 마아가에게서 태후의 위를 패함.④후에 타락하여 자신의 죄를 꾸짖은 선지자를 투옥함.⑤발병으로 죽음. 그는 여호와께서 이 병을 낫게 해주기를 구하지 않음. 4.여호사밧(873-848 /25년) ①율법교사를 전국에 보내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게 함.②불경한 북왕국의 세 왕과 타협함으로써 자신의 증거를 훼손시킴.③종교관리와 민정관리를 각각 임명하여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인정.④모압 족속의 침입으로 예루살렘이 위태로왔을 때 하나님께서 그의 기도를 들으시고 초자연적으로 관여해 주심. 5.여호람(853-845 /8년) ①아합과 이세벨의 딸 아달랴와 결혼.왕위에 오른 뒤 여섯 형제 살해.②선한 아우를 죽이고 포악한 정치를 베푼 까닭에 선지자 엘리야로부터 하나님의 심판을 받으리라는 예언을 들음.③블레셋 사람들과 아라비아 사람들이 공격을 받고 패배함.④무서운 병을 얻어 죽었으며 열왕의 묘실에 묻히지 못함. 6.아하시야(841 /1년) ①여호람과 아달랴의 아들.예후에게 피살 7.아달랴(841-835 /6년) ①아들 아하시야가 죽자 숨어버린 한 사람(요아스)를 죽이고 왕위에 오름.6년간 통치후에 처형당함. 8.요아스(835-795 /40년) ①아달랴의 유혈숙청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왕족.②한때 하나님을 위하여 살았으나 나중에 가서 잔인한 독재자로 변신.③유다의 대제사장이자 왕의 죄를 백성들에게 담대하게 알린 스가랴를 돌로 쳐죽이도록 명령.④왕궁 경비병에게 쳐형당함. 9.아마샤(796-767 /29년) ①부왕 요아스의 살해자들을 처형.②에돔과 싸울 이스라엘 용병을 사들임으로써 선지자의 질책을 받음.③용병을 사들인 것을 뉘우치고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유다 자체의 군대만으로 에돔을 물리침.④어리석게도 에돔의 신들을 섬길 목적으로 그것들을 들여왔음.⑤무분별하게도 북왕국 이스라엘에 선전포고를 하였다가 무참하게 패함. 10.웃시아(792-740 /52년) ①용맹스런 용사이자 건축자.제사장직까지 침해하려 하였다가 문둥병에 걸림. 11.요담(750-736 /16년) ①성전의 윗문을 건축하고 영채와 망대를 세움.②원수들을 쳐부수고 매년 엄청난 조공을 거둬들임. 12.아하스(735-719 /16년) ①유다에서 두번째로 악한 왕.아들을 우상의 제물로 바침.②동정녀 탄생에 대해 최초로 들은 사람.③앗수르 신의 제단을 세우도록 명령하고 다글랏 빌레셀을 기쁘게 하기 위해 그것을 성전에 둠. 13.히스기야(716-687 /29년) ①유다의 두번째 선한 왕.성전보수.솔로몬 이후 가장 성대한 유월절 행사.② 치명적인 병에서 초자연적으로 치유받아 15년 더 살게됨.③어리석게도 바벨론의 사신들에게 자신의 부를 자랑하였음. 14.므낫세(697-642 /55년) ①남왕국과 북왕국 모두를 합하여 가장 오래 집권한 왕.가장 사악한 왕.원수의 감옥에서 새로운 삶을 맞음. 15.아몬(643-641 /2년) ①므낫세처럼 사악했고 회개하지 않음.신복들에게 피살. 16.요시야/요시아(641-610 /31년) ①다윗 이래 가장 경건한 왕.유다의 마지막 경건한 왕.②유다 온 땅에 율법이 읽히도록 하였음.히스기야때보다 더 성대한 유월절 행사주관.③3백년 예언 성취.애굽과의 싸움에서 전사. 17.여호아하스(609 /3개월) ①요시야의 아들.느고에 의해 패위.애굽에 잡혀가서 죽음. 18.여호야김(609-598 /11년) ①요시야의 맏아들.바로에 의해 왕위에 오름.바벨론이 애굽을 이긴 후 느부갓네살의 신하가 됨.②하나님 말씀의 일부를 불태움.죽어서 시체가 마치 나귀처럼 취급받음. 19.여호야긴(598 /3개월) ①여호야김의 아들.에스겔과 예레미야는 그가 바벨론으로 잡혀 가리라고 예언.②느부갓네살 왕이 예루살렘을 두번째로 방문시 잡혀감.바벨론에서 죽음. 20.시드기야(597-586 /11년) ①요시야의 막내 아들.애굽과 바벨론에 대항.느부갓네살에 잡혀감.②예루살렘은 남김없이 불에 타고 성전도 파괴됨. TIDWELL-Chapter XIII. The Divided Kingdom. - The division of the kingdom. Comparison of the two kingdoms. Kings of the Northern kingdom. Kings of Judah. Important events in the history of Israel. Principal events in the history of Judah. Relation between the two kingdoms. Messages of the prophets of this period. Period lessons. Topics for discussion. TIDWELL-Chapter XIV. The Kingdom of Judah. - The kings of the period. Principal events of the period. Prophets of the period and their messages. Teachings of the period. False prophets. Great religious revivals of this period. Wealth and luxury. Contemporary nations. Period lessons. Topics for discussion. 930 南 르호보암의 등극 왕상 11:43 17년간 악정 南 열 지파의 반란 왕상 12:1-19 北 여로보암의 등극 왕상 12:20 22년간 악정 926 南 애굽왕 시삭의 침공 왕상 14:25 르호보암 제5년 北 여로보암의 우상숭배 왕상 12:25 913 南 아비얌의 등극 왕상 15:2 3년간 악정 南 제 1차 남북 전쟁 왕상 15:7-19 아비얌 제1년 北 남왕국 아비얌의 침입 대하 13:2-19 여로보암 제18년 910 南 아사의 등극 41년간 선정 왕상 15:8-15 北 나답 왕 등극 왕상 15:25 2년간 악정 909 北 바아사 왕 등극 왕상 15:33 24년간 악정 北 여로보암 왕가의 몰락 왕상 15:29 바아사 제1년 901 南 구스인 세라의 침입 대하 14:9-15 아사 제10년 895 南 북왕국 바아사의 침입 왕상 15:17 北 제 2차 남북전쟁 대하 16:1 바아사 제14년 886 北 엘라의 등극 왕상 16:8 2년간 악정 885 北 시므리의 모반 왕상 16:16 7일간 악정 北 오므리 왕의 등극 왕상 16:23 12년간 악정 880 南 하나니 선지자 활동 880-? 874 北 아합왕 등극 (비-이세벨, 딸-아달랴) 왕상 16:29 22년간 악정 872 南 여호사밧의 등극 왕상22:42 25년간 선정 北 엘리야의 사역 (875년?) 왕상 17:1-24 3년간 기근. 요단앞 그릿 시냇가, 까마귀 北 갈멜산상의 대결 바알 선지자 450명, 아세라 선지자 400명 왕상18:20-46 기근의 해갈. 브엘세바 광야의 로뎀나무. 산 호렙에서 하나님 의 명령 3가지-하사엘,예후, 엘리사에 기름 부우라 856 北 아람 왕 벤하닷의 사마리아 침입 길르앗라못 정복 왕상20:1-34 아합의 승리 853 南 여호사밧과 아합의 동맹 왕상22:1-4 북 400명의 거짓 선지자와 그나아나 아들 미가야 선지자의 예언 - 아람 침입 北 아람의 한사람이 무심코 쏜 화살에 맞아 아합이 길르앗라못에서 병거에서 서서히 죽음 왕상22:37 - 회개의 시간을 주었다. 신앙은 우연이 없다. 北 아하시야의 등극 왕상22:51 2년간 악정 852 北 여호람(요람)의 등극 왕하 3:1 12년간 악정 北 엘리야의 승천 왕하 2:1-11 北 엘리사의 사역 개시(848년?) 왕하 2:2-14 850 北 모압의 배반 왕하 3:5-27 여호람 제3년 848 南 여호람의 등극(처 아달랴) 왕하8:16 8년간 악정 北 나아만 장군의 치유, 엘리사 7번, 왕하5:1-27 845 南 에돔과 립나의 배반 왕하 8:20,22 北 아람 왕 벤하닷의 침입 왕하 6:24 842 南 블레셋과 아라비아의 침입 대하 21:16 841 南 아하시야의 등극 왕하 8:25 1년간 악정 南 아달랴의 섭정 왕하 11:1-3 6년간 악정 北 예후의 등극 왕하 9:1-10 28년간 악정 北 아합 집안의 멸망 왕하 10:1-7 예후 제1년 835 南 제사장 여호야다의 의거 왕하 11:4-16 南 요아스의 등극 왕하 12:1,2 40년간 선정 北 예후의 바알 숭배자 진멸 왕하 10:18 南 요엘 선지자 활동 (835-796) 814 北 여호아하스의 등극 왕하 13:1 17년간 악정 798 北 요아스의 등극 왕하 13:10 16년간 악정 北 아람 정복 왕하 13:25 797 北 엘리사의 사역 종결 왕하 13:20 796 南 아마샤의 등극 왕하 14:1,2 29년간 선정 南 에돔인 진멸 왕하 14:7 北 여로보암 II세의 등극 왕하 14:23 41년간 악정 793 北 요나 선지자 활동 793-753 790 北 남왕국 아마샤의 침입 왕하 14:8-14 요아스 제8년 南 제 3차 남북 전쟁 왕하 14:8-14 아마샤 제 6년 南 아사랴(웃시야)의 등극 왕하 15:1,2 52년간 선정 南 아사랴의 정복 사업 대하 26:6-15 783 살만에셀 4세의 앗수르왕 즉위 772 앗술단 3세의 앗수르왕 즉위 760 北 아모스 선지자 활동 암 1:1 760-755 759 北 요나의 니느웨 전도 욘 3:1-10 754 앗술니라리 5세의 앗수르왕 즉위 753 北 스가랴의 등극 왕하 15:8,9 6개월간 악정 752 北 살룸의 등극 왕하 15:10 1개월간의 악정 北 살룸 시해, 므나헴의 등극 왕하 15:17 10년간의 악정 751 南 요담의 등극 왕하 15:34 16년간 선정 748 北 앗수르의 침입 왕하 15:19 므나헴 제5년 746 北 호세아 선지자 활동 746-724 742 北 브가히야의 등극 왕하 15:23 2년간의 악정 740 南 이사야 선지자 활동 740-680 南 미가 선지자 활동 740-680 北 베가의 등극 왕하 15:27 20년간 악정 738 南 암몬 정복 대하 27:5 요담 제14년 735 南 아하스의 등극 왕하 16:1,2 16년간의 악정 733 南 북왕국 르신과 베가의 침입 왕하 16:5-9, 사 7:1 아하스 제8년 北 앗수르 제1차 침입 왕하 15:29 北 제 4차 남북 전쟁 왕하 16:5-9 베가 제19년 732 北 앗수르의 제2차 침입 다메섹의 함락 왕하 16:9 730 北 호세아의 등극 왕하 17:1,2 9년간의 악정 728 南 히스기야 등극과 종교개혁 왕하 18:1-8, 대하 29-32장 29년간의 선정 724 北 앗수르의 제3차 침입 왕하 17:3-5 호세아 제7년 722 北 북왕국 이스라엘의 멸망 왕하 17:6 호세아 제9년 앗수르왕 살만에셀 北 미가의 예언 성취 미 1:67 715 南 블레셋 정복 왕하 18:8 714 南 앗수르 산헤립의 제1,2차 침입 왕하 18:13 - 19:37, 대하 32:1 히스기야 제14년 앗수르 랍사게 - 남유다 엘리아김, 셉나, 요아 701 南 산헤립의 예루살렘 포위 697 南 므낫세 등극 왕하 21:1-15 55년간 악정 669 앗술바나팔의 앗수르왕 즉위 663 테베의 멸망 650 南 앗수르의 제 3차 침입 대하 33:11 므낫세의 포로됨 642 南 아몬의 등극 왕하 21:19 2년간 악정 640 南 요시아의 등극 왕하 22:1,2, 대하 34:1 31년간의 선정 南 나훔 선지자의 활동 640-630 南 스바냐 선지자 활동 640-630 627 南 예레미야 선지자 활동 렘 1:1 627-586 622 南 요시아의 성전수리 및 종교 개혁 왕하 22:3- 요시아 제18년 612 南 니느웨의 함락, 앗수르의 멸망 습 2:13-15 南 나훔의 예언 성취 나 2, 3장 南 힐기야의 율법책 발견 왕하 22:8, 대하 4:14 609 제1차 갈그미스전투 애굽 느고 대 바벨론 나보폴라살 전쟁 (애굽통치) 대하 35:20-36:5 무승부 南 애굽의 침입 요시야왕의 전사 왕하 23:29 요시아의 전사 南 여호아하스의 등극 왕하 23:30 3개월간 악정 南 여호아하스 왕이 애굽으로 잡혀감 왕하 23:33,34 608 南 여호야김의 등극 (애굽 왕이 옹위시킴) 왕하 23:34,36 11년간 악정 南 하박국 선지자 활동 608-597 605 南 2차 갈그미스 전투 왕하 24:1 제2차 애굽 대 바벨론(느부갓네살) 전쟁 대하 36:6, 왕상 24:1- 애굽의 패배 南 바벨론의 제1차침입 (1차포로-다니엘) 단 1:1-6 여호야김 제3년 南 다니엘 선지자 활동 605-536 604 南 두루마리 소화 사건 렘 36:20-32 여호야김 제5년 602 南 여호야김의 바벨론 배반 왕하 24:1 601 南 애굽과의 재동맹 렘 22:13-17 597 南 여호야긴의 등극 왕하 24:5-8 3개월간 악정 南 바벨론 제2차 침입 (2차포로-에스겔) 왕하24:10-16 여호야긴 제1년 南 시드기야의 등극 왕하 24:18 11년간 악정 南 시드기야의 바벨론 배반 왕하 24:20 593 南 에스겔 선지자 활동 (바벨론에서) 593-570 589 南 바벨론의 제3차 침입 왕하 25:1-7 586 南 남왕국 유다의 멸망 왕하 25:8-21 시드기야 제11년 南 바벨론 포로가 됨 (3차포로-시드기야) 왕하 25:8, 대하 36:17 南 하박국의 예언 성취 합 1:5-11 南 스바냐의 예언 성취 습 1:8-18 南 예레미야의 사역 종결 렘 39:1-18 南 오바댜의 사역 시작? 583 南 오바댜의 사역 종결? 구약성경개관 - 08BiblePeriod

.
성경연대표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14.세계선교 관련그림.지도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Ani
1창세기[Genesis] 2출애굽기[Exodus] 3레위기[Leviticus] 4민수기[Numbers] 5신명기[Deuteronomy] 6여호수아[Joshua] 7사사기[Judges] 8룻기[Ruth] 9사무엘상[I Samuel] 10사무엘하[II Samuel] 11열왕기상[I Kings] 12열왕기하[II Kings] 13역대상[I Chronicles] 14역대하[II Chronicles] 15에스라[Ezra] 16느헤미아[Nehemiah] 17에스더[Esther] 18욥기[Job] 19시편[Psalms] 20잠언[Proverbs] 21전도서[Ecclesiastes] 22아가[Song of Solomon] 23이사야[Isaiah] 24예레미야[Jeremiah] 5예레미아애가[Lamentations] 26에스겔[Ezekiel] 27다니엘[Daniel] 28호세아[Hosea] 29요엘[Joel] 30아모스[Amos] 31오바댜[Obadiah] 32요나[Jonah] 33미가[Micah] 34나훔[Nahum] 35하박국[Habakkuk] 36스바냐[Zephaniah] 37학개[Haggai] 38스가랴[Zechariah] 39말라기[Malachi] 40마태복음[Matthew] 41마가복음[Mark] 42누가복음[Luke] 43요한복음[John] 44사도행전[Acts] 45로마서[Romans] 46고린도전서[I Corinthians] 47고린도후서[II Corinthians] 48갈라디아서[Galatians] 49에베소서[Ephesians] 50빌립보서[Philippians] 51골로새서[Colossians] 52데살로니가전서[I Thessalonian] 53데살로니가후서[2 Thessalonian] 54디모데전서[I Timothy] 55디모데후서[II Timothy] 56디도서[Titus] 57빌레몬서[Philemon] 58히브리서[Hebrews] 59야고보서[James] 60베드로전서[I Peter] 61베드로후서[II Peter] 62요한일서[I John] 63요한이서[II John] 64요한삼서[III John] 65유다서[Jude] 66요한계시록[Rev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