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의 한글성경
  2. 오늘의 WEB성경
  3. 성경백과사전
  4. 관련서적들

-----Readed_count

-----Update

오늘 :
17,393 / 78,488
어제 :
20,607 / 190,032
전체 :
20,814,395 / 283,007,813
Mobile Bible, Bible Dictionary, Mobile iWorship, 구글Map 성경66권 사전 : -()-()--()-(,)-(,)-(,)-()--중간-(...)-

성경관련 백과사전 & Morrish Bible Dictionary

+ Blue Letter Bible/KJV + 개역한글 성경구절

성경 백과사전 테마별 (구약OT, 신약NT), 성경만화, 요리문답,
영어성경보기, 개역한글성경보기, NEWS, 어!성경
Morrish성경사전 (최신등록), WB.Study, 성경권별 지명연구(지도포함), 인물탐방 각종테마별 - 무게.길이.화폐, 12보석, 유대월력, 동물, (Birds), 식물, 나무, , Miracles(구약, 신약), 613율법Mitzvot, 이방신, 하나님, Tip: 영문장.절위로 커서를 옮기면 해당 KJV 성경 영문구절이 펼처집니다. (Gen. 1:1; Rev. 22:21;)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추천 등록일
Notice 공지 성경 속 전쟁 연대기 (The War Chronicles in the B... 파일
cyber
36261 2 2019-03-05
Notice 공지 TIDWELL BIBLE 21 연대표
jesus
69682 1 2016-12-14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NT 신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5669 1 2016-02-21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OT 구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5967 1 2016-02-21
Notice 공지 성경백과사전 권별.장별[Chapter] 관련내용보기 파일
jesus
83847 1 2015-05-04
7 유월절, 부활절(Passover, The.)
기타
jesus
858   2015-04-25
유월절 Passover, The. cf.부활절 This was instituted when the Israelites were in Egypt. Jehovah being about to cut off all the firstborn of Egypt, the Israelites were ordered to sprinkle the blood of a lamb, taken for each house, on the lintel and two side posts of their houses, and the promise was given, "The Lord will pass over the door, and will not suffer the destroyer to come in unto your houses to smite you." The Israelites obeyed, and in perfect safety fed upon the lamb, under shelter of the blood. When they should come to the promised land they were enjoined to keep the Passover, as one of their yearly feasts. Ex. 12:3-28; Lev. 23:4-8. See FEASTS. (출12:3-28; 유월절 (레23:4-8. 유월절과 무교절 - 기한에 미쳐 너희가 공포하여 성회로 삼을 여호와의 절기는 이러하니라 정월 십사일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요 이 달 십오일은 여호와의 무교절이니 칠일 동안 너희는 무교병을 먹을 것이요 그 첫날에는 너희가 성회로 모이고 아무 노동도 하지 말찌며 너희는 칠일 동안 여호와께 화제를 드릴 것이요 제 칠일에도 성회로 모이고 아무 노동도 하지 말찌니라 The Passover sets forth typically the offering of Christ as that in which the righteousness of God in regard of sin has been declared. The blood was a witness of death, that is, of the removal from under the eye of God of the man, or order of man, that had sinned against God. This removal was brought to pass vicariously in the person of the righteous One who gave Himself a ransom for all. In the eating of the lamb roast with fire the people were to enter into the solemnity of what had been effected. The Lord Jesus greatly desired to eat the last passover with His disciples, forming, as they did, a unique 'family' circle. It was about to be fulfilled in the kingdom of God, and the Lord takes the place of separation from the earth until the kingdom of God should come. Luke 22:15-18. (눅22:15-18. 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 유월절이 하나님의 나라에서 이루기까지 다시 먹지 아니하리라 하시고 이에 잔을 받으사 사례하시고 가라사대 이것을 갖다가 너희끼리 나누라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가 이제부터 하나님의 나라가 임할 때까지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다시 마시지 아니하리라 하시고 The Jewish authorities state the manner of eating the Passover at the time of the Lord to have been as follows: 1. When all were seated, the head of the feast gave thanks, and they drank the first cup of wine mingled with water. 2. All washed their hands. 3. The table was spread with the paschal lamb, unleavened bread, bitter herbs, and a dish of thick sauce (said to signify the mortar with which they made bricks in Egypt). 4. They all dipped a portion of the bitter herbs into the sauce, and ate it. 5. All the dishes were removed from the table, and the children or proselytes were instructed in the meaning of the Passover. 6. The dishes were then brought back, and the president said, "This is the passover which we eat, because the Lord passed over the houses of our fathers in Egypt." And holding up the bitter herbs he said, "These are the bitter herbs that we eat in remembrance that the Egyptians made the lives of our fathers bitter in Egypt." He then spoke of the unleavened bread, and repeated Ps. 113 and Ps. 114, concluding with a prayer. They all drank the second cup of wine. (시113: 여호와의 이름 찬양 (시114: 열조에게 나타내신 하나님의 능력 7. The governor broke one of the cakes of unleavened bread, and gave thanks. 8. They then all partook of the paschal lamb. 9. As an ending of the supper they all took a piece of bread and some of the bitter herbs, dipped them in the sauce, and ate them. 10. They then drank the third cup of wine, called 'the cup of blessing.' 11. The governor rehearsed Ps. 115, Ps.116, Ps.117, and Ps.118, and a fourth cup of wine concluded the whole. Connected with the Passover is the FEAST OF UNLEAVENED BREAD. It was kept for seven days, during which all leaven had to be put away. The first day and the seventh day were holy convocations, on which no servile work was to be done. This feast was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Passover: "Christ our passover is sacrificed for us: therefore let us keep the feast, not with old leaven, neither with the leaven of malice and wickedness: but with the unleavened bread of sincerity and truth." The unleavened bread sets forth that sense of grace, through faith, in the Christian, in which, apart from influences of the flesh and old associations, he can be habitually in the appreciation of, and in communion with the sacrifice of Christ, so that his whole life is consistent therewith. It appears evident that the term 'passover' was also applied to the Feast of Unleavened Bread, as in Deut. 16:2: "Thou shalt therefore sacrifice the passover unto the Lord thy God, of the flock and the herd." The 'herd' here must refer to the seven days' feast; and this may account for the Jews refusing to go into the judgement hall "lest they should be defiled, but that they might eat the passover," John 18:28, though they had eaten the paschal lamb the night before. (신16:2 여호와께서 그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곳에서 우양으로 네 하나님 여호와께 유월절 제사를 드리되 (요18:28 저희가 예수를 가야바에게서 관정으로 끌고 가니 새벽이라 저희는 더럽힘을 받지 아니하고 유월절 잔치를 먹고자 하여 관정에 들어가지 아니하더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6 에브라임(Ephraim) 파일
지명
jesus
1549 5 2007-01-02
▶ 에브라임(Ephraim) 뜻: 풍성함 에브라임 산지로 바알 하솔 남쪽, 예루살렘 북쪽 20km 지점. 대제사장인 가야바와 바리새인들이 예수를 죽이려고 모의를 할 때, 예수님이 제자들과 함께 이 곳에 머무셨다. (요11:54 ======== Ephraim. [E'phraim] 1. Town near to Absalom's sheep-farm, where Amnon was killed. 2 Sam. 13:23. (삼하13:23. 2. City near to the wilderness, to which the Lord and His disciples withdrew from the threatened violence of the leaders of the Jews at Jerusalem. John 11:54. Identified with et Taiyibeh.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1.953789&ln=35.299135
5 안나스(Annas)
인물
jesus
2779 2 2006-12-27
▶ 안나스(Annas) 뜻:은사 주후 7-33년까지 유대 제사장으로 있던 자인데 (눅03:2에는 그 사위 가야바와 같이 대제 사장이 된듯하다. 예수님이 잡히시던 밤엔 먼저 안나스에게 가셨다(요18:13, 24). 사도들이 관원과 장로와 서기관 앞에서 심문당할때에 안나스도 거기 참여 하였다(행04:5-6). ======== Annas. [An'nas] High priest, appointed in A.D. 7 by Cyrenius, or Quirinus, governor of Syria. In the reign of Tiberius he was deposed, and was followed at short intervals by Ismael, Eleasar son of Ananus or Annas, Simon, and Joseph Caiaphas, son-in-law of Annas. Luke 3:2; John 18:13, 24; Acts 4:6. It is supposed that Annas was called high priest by courtesy, having once held the office: the Lord was taken to him first, perhaps as being the father-in-law of Caiaphas. Josephus relates that the five sons of Annas became high priests, and under the last, also named Annas, James the Lord's brother was martyred. Ant. xx. 9, 1. --- Morrish Bible Dictionary
4 가야바(Caiaphas)
인물
jesus
5296 9 2006-12-26
▶ 가야바(Caiaphas) 뜻 : 오목하다, 비어있다. 주후 18-37년 까지 유대의 대제사장으로 안나스의 사위요 사두개 교인이다. 예수생애에 대적하다 마침내 심문하고 무리한 판결로 죽일 죄인으로 몰아붙여(마26:66) 로마 총독 빌라도에게 보냈다. 예수를 십자가에 못박히게 한 사람중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예수께서 승천하신 후에도 남아잇던 사도들을 핍박하였다 (행04:6-7). 1) 예수님을 빌라도에게 넘겨줌 (마26:66) 2) 주님 승천후 사도들을 핍박 (행04:6-7))
3 예수시대
신약
jesus
7483   2015-04-29
예수시대 The English Bible Story 4 (대)헤롯 사망 - 아들 3명에게 분봉왕으로 임명 헤롯 안티파스 - 갈릴리와 베레아 지역 헤롯 빌립 - 갈릴리 북동부 (데가볼리) 지역 헤롯 아켈라오 - 유다, 사마리아, 이두메(에돔) 지역 예수님 탄생 아켈라오 로마소환 후 유대지역에 총독 임명 코포니우스 - 마르쿠스 얌비불루스 - 아니우스 루푸스 - 발레리우스 그라투스 - 폰티우스 필라투스 (본디오 빌라도, 5대 AD. 26-36) 사두개파 - 대제사장파(서기관,랍비) 바리새파 - 성경연구(에스라계:유대교) 열심당 - 무기로 정복하는 메시야도래 에센파 - 수도원운동(세속은 싫다) 1. 사생애 BC4-AD26 마(유대인-왕),막(로마인-종),눅(헬라인-인간),요(모든사람-하나님아들) 마리아와 요셉 나사렛거주(수태고지-Michael), 엘리사벳 방문, 천사의 요셉방문, 예수탄생(베들레헴, 동방박사와 목자) 어린시절(헤롯의 유아살해, 예수의 세례-시므온과 안나, 애굽피신, 대헤롯의 죽음으로 나사렛귀향), 예루살렘 성전방문 2. 공생애 AD27-30 세계화 세례요한, 40일광야금식기도, 5제자, 가나혼인잔치①, 가버나움방문, 유월절1, 예루살렘(8개월)-성전청결(기존세력에 대항, 예수가 누구냐?), 니고데모, 유대사역, 사마리아여인, 갈릴리(4개월)- 나사렛회당설교, 신하아들 원격치유②, 가버나움이사, 말씀선포, 4제자Call, 귀신, 베드로장모, 병자치유, 순회전도, 마태소명, 유월절2, 예-안식일 베데스다연못가 38년병자치유, 갈(민중대상)-12제자확정, 순회전도, 산상수훈, 백부장하인, 세례요한질문, 파도, 혈루증여인, 야이로, 12제자파견, 세례요한참수(헤롯안티파스), 유월절3, 벳세다 오병이어, 바다위, 수로보니게여인딸, 칠병이어, (집중제자훈련)-북방 갈릴리사역, 베드로신앙고백, 변화산, 성전세, 제자-누가크냐?, 초막절(10월) 예(3개월)- 간음여인, 70인전도단파송, 마르다, 주기도문, 초막절설교, 수전절 논쟁.도피 베레아사역(3개월) 탕자, 부자와나사로, 삭개오 예-금(베다니귀향), 토(시몬의집, 대제사장들모의), 일(호산나입성), 월(무화과나무저주, 성전숙정), 화(청문회-각종가르침, 가룟유다변심, 감람산강설), 수(x), 목(최후의 만찬, 세족식, 겟세마네 기도, 잡히심), 금(베드로부인, 안나스.가야바, 유대인의 왕, 빌라도-헤롯안티파스-빌라도심문, 로마병정들 모욕, 골고다, 십자가 처형, 장사되심) 유월절4 3. 부활.승천 부활한 예수와 마리아, 파수꾼들보고, 엠마오, 12제자와 도마의 확인, 153마리, 지상명령, 승천 TIDWELL-Chapter XVIII. From the birth to the Ascension of Jesus. - The story of the period. The childhood and youth of Jesus. The beginnings of Christ's Ministry. Early Judean ministry. Galilean Ministry. Perean Ministry. Final Ministry in Jerusalem. The forty days. Teaching of the period. Topics for discussion. 탄생이전 (BC) ======== 37 헤롯의 유다왕 즉위 제2위 성자의 초월적 존재 예수의 족보 누가의 서론 7 요한의 탄생예고 6 예수 탄생예고, 나사렛 5 마리아의 엘리사벳 방문, 유대 산지 마리아의 송가 세레 요한의 출생 천사의 요셉방문 유년시절 ======== BC5~4 아기예수 탄생, 베들레헴 천사들의 탄생 공포 베들레헴 들녘 목자들의 경배 베들레헴 예수의 할례 베들레헴 시므온과 안나의 증언 B.C 4 예루살렘 동방박사의 경배 베들레헴 애굽 피신 애굽 헤롯의 유아살해와 헤롯의 죽음 나사렛 귀향 나사렛 예수의 유년시절 나사렛 7~8 예루살렘 방문 유년 및 성장기 나사렛 12 디베료 가이사의 로마황제 즉위 사역준비기간 ============ 25~27 세례 요한의 증거, 유대광야 본디오 빌라도의 유다 총독 부임 27 세례 받으심, 요단강 시험 받으심 (40일 금식기도 -유대광야) 요한의 증거와 처음 세 제자 (안드레, 요한, 시몬 베드로) - 요단 건너 빌립과 나다나엘 제자삼음 (5명) 갈릴리 가나 혼인잔치 (첫 이적) 가버나움 방문 27 초기유대사역 (약 8개월) ========================== 유월절(1) 4월 (유대지역) 1차 성전숙정 (청결작업) - 예루살렘 니고데모와의 대화(전도) 세례 요한과 동역하심 -세례요한 : 심판 메세지 -예수 : 구원과 영생 메세지 유대지역 전도 (세례 요한 지지층이 예수에게로 이동) 갈릴리로 떠나심 사마리아 여인 만남 (전도사역) 27-1차 갈릴리 사역 (약 4개월) ============================= 갈릴리사역 개시 (회당설교) 12월경 신하의 아들 치유 (원격사역) 가나 고향(나사렛)에서 배척되심 가버나움으로 이사 (사역중심지) 네 제자를 Full Time 사역자로 다시 부르심 (베드로, 안드레, 야고보, 요한) 회당 축사 사건 가버나움 베드로 장모 치유 병자 치유 대사역 1차 갈릴리 순회전도 개시 문둥병자 치유 중풍병자 치유 가버나움 첫번째 향유사건 눅07:36-50 (1/3) 세리 마태의 소명 금식 논쟁 28 2차 유월절 예루살렘 방문 (유대지역) 유월절(2) - 이후 대중사역 4월 안식일 38년된 병자치유 (베데스다연못) - 자증설교 예루살렘 안식일 밀 이삭 사건 안식일 손 마른자 치유 (갈릴리) 각색병자 치유 12제자 임명 가버나움 근처 산상수훈 2차 갈릴리 사역 =============== 28 백부장의 하인 치유 (가버나움 - 갈릴리) 나인성 과부의 아들 소생 나인 세례 요한의 물음 갈릴리 시몬의 집 도유사건 (옥합) 가버나움 2차 갈릴리 순회 전도 갈릴리 바리새인을 향한 책망 가버나움 모친, 친척의 방문 예수의 비유설교 갈릴리 파도가 잔잔케 됨 가다라 축사 사건 레위 마태의 잔치 혈루증 여인 치유 회당장 야이로의 딸 소생 두 소경의 치유 벙어리 치유 두번째 고향에서 배척 당하심 나사렛 3차 갈릴리 사역 =============== 28년 12제자를 파견하심, 갈릴리 세례요한의 처형 유월절(3) - 이후 집중제자훈련(AD29) 오병이어의 기적 벳세다들판 바다 위로 걸어 가심 게네사렛 병자 치유 생명의 떡 설교 가버나움 바리새인들과 결례논쟁 수로보니게 여인의 딸을 치유 두로 귀먹고 어눌한 자 치유 칠병이어의 기적 데가볼리 표적논쟁 (바리새인) 바리새인들의 누룩 경고 소경치유 베드로의 신앙고백 가이사랴 첫 수난 예고 빌립보 변화산 사건 익명의산 간질병자 치유 거듭된 수난예고 갈릴리 성전세 납부 사건 가버나움 제자들의 자리다툼 겸손, 용서의 설교 (제자훈련) 현제들의 배척 갈릴리 후기유대사역 ============ 사마리아인의 배척 AD29 제자의 도 설교 초막절에 예루살렘 상경 간음한 여인 사건 바리새인들과의 논쟁 70인 전도단 파송 사마리아인의 비유 나면서 소경된 자의 치유 마리아와 마르다의 봉사 베다니 기도에 대한 설교 (주기도문) 유대 바리새인을 책망하심 환난에 대한 교훈 욕심과 염려에 대한 설교 청지기의 교훈 예수로 인한 분쟁 시대의 징조 설교 회개의 촉구 열매없는 무화과 비유 안식일에 등 굽은 여인 치유 구원 얻을 자의 정체 베레아 초막절 설교 선한 목자의 비유 수전절의 논쟁과 도피 예루살렘 베레아사역 ========== 베레아로 가심 AD29 겨울 헤롯의 핍박 안식일의 고창병자 치유 잔치를 통한 교훈과 비유 제자의 조건 잃은 양의 비유 드라크마의 비유 탕자의 비유 불의한 청지기의 비유 부자와 나사로의 비유 단기유대사역 ============ 나사로의 병듬 AD29 베다니 베다니 도착 베다니 죽은 나사로를 살리심 베다니 가야바의 예언 산헤드린의 음모 예수의 도피 AD30 에브라임 최후순회전도 ============ 열 문둥병자 치유 AD30 하나님 나라에 대한 가르침 재림에 대한 설교 끈기있는 과부의 비유 바리새인과 세리의 비유 이혼에 대한 설교 어린이 축복 베레아 부자 청년의 대화 포도원 품꾼 비유 3차 수난 예고 요단근처 야고보와 요한의 욕심 바디매오 치유 여리고 삭개오의 집에 유하심 열 므나의 비유 성고난주간 전후 =============== 1. 금요일 AD30 봄 베다니 귀향 2. 토요일 두번째 문둥이 시몬집 도유사건 요12:1-8 (베다니 마리아가 향유를 부음), 대제사장들의 모의 3. 일요일 승리의 호산나 입성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 입성), 헬라인들과의 대화 4. 월요일 무화과 나무 저주, 2차 성전 숙정, 병자 치유 사역 5. 화요일 AD30 봄 마른 무화과 나무 및 교훈 베다니 예수의 권위시험 - 요한 세례 예루살렘 포도원주인의 두 아들의 비유 악한 농부 비유 혼인 잔치 비유 바리새파 세금 논쟁 사두개파 부활 논쟁 (계대결혼) 바리새파 첫째 계명 논쟁 (사랑) 메시야의 신분 논쟁 (다윗후손) 바리새인에 대한 저주 유대인의 불신 과부의 헌금 종말론 설교 감람산 참된 종의 비유 도적의 비유 청지기 비유 열 처녀 비유 달란트 비유 양과 염소 비유 예수의 활동 요약 유대인들의 모의 가롯 유다의 변심 6. 수요일 A.D. 30 봄 기록내용없슴 -> 1) 유대인들의 공모 2) 세 번째 향유 붓는 사건 마26:6-13, 막14:1-2 [근거] 3) 가룟 유다가 대제사장들을 만나서 은30을 약조금으로 수령함 7. 목요일 유월절(4) 예비 최후의 성만찬 제자들의 발을 씻어 주심 배신자 유다의 행동개시 성찬식의 규레를 주심 베드로의 세 번 부인 예고 제자들을 위한 위로 포도나무 비유 전우주적 중보기도 겟세마네 기도 감람산 8. 금요일 A.D. 30 봄 주께서 잡히심 안나스의 심문 예루살렘 가야바의 심문 베드로의 세번 부인 공회의 심문 가롯 유다의 자살 빌라도의 1차 재판 헤롯의 심문 빌라도의 2차 재판 로마 병정들의 모욕 골고다로 끌려 가심 십자가 처형 갈보리 처음 3시간 나중 3시간 백부장의 고백 창에 찔리심 장사되심 부활 및 승천 ============ 파수꾼이 무덤을 지킴 AD30 봄 여인들의 무덤 방문 무덤의 지진 천사의 부활 증언 베드로와 요한의 확인 예수와 마리아의 만남 예수와 여인들의 만남 파수꾼들의 보고 엠마오 도상 사건 열 제자와 예수의 만남 예루살렘 도마의 부활 확인 (8일후) 갈릴리에서 제자를 찾으심 153마리 고기잡음 베드로에 3번의 명령 갈릴리 디베랴바다 500문도의 확인 지상 명령을 주심 승천 감람산 12BiblePeriod
2 베드로(Peter Simon)
인물
jesus
8100 38 2006-12-27
▶ 베드로(Peter Simon) 뜻 : 반석 (1) 신분 벳세다인 요나의 아들. 안드레의 형제인데 본명은 시몬이다. 수리아어로 게바라고 예수님이 개칭하셨다. 게바를 번역하면 베드로다. 즉 반석이라는 뜻이다. 갈릴리 바다에서 어업을 하다가 주님의 부르심을 받고 가족과 생업을 버리 고 주를 따라 12제자중 수위를 차지했고 야고보와 요한으로 더불어 친근 하였으며 그의 행적과 공로가 지대하다(요01:41-44), (마10:2, 마17:1), (막05:37, 막14:33). (2) 인간상 그 성격은 정열적, 충동적이고 화고한 결심과 순간적인 주저와의 중간에서 동요로 인한 많은 실패가 전해지고 있다. 주님을 배반하지 않는다고 선두에서 맹세하고도 주님을 세번씩이나 부인한 것이 그 예이다(막16:50, 72-77), (마16:22), (갈02:12). 바다위를 걸어 주님에게 가다가 풍랑을 보고 무서워함(마14:29-30). 타인보다 먼저 주님을 메시야라고 말하고 베드로라는 이름을 얻음(마16:16-18). 주님이 십자가에 달리실 것을 예언하실 때 그런 일을 하지 말라고간하다가 책망을 받음(마16:22) 변화산에 올라가서 장막 셋을 지어 하나는 주님에게 하나는 모세를 위하여 하나는 엘리야를 주고 내려가지 말고 여기서 그대로 살자고 하였다 (마17:4). (3) 교훈 순수한 일신론을 주장하고 유대인과 이방인을 다 책하였으며 그리스도가 이방인을 교화 시키라는 명령을 내리셨다고 하였다. 사도중 대표적인 발언자로 성령의 역사를 받으라고 하였다. (4) 선교상황 예수님이 십자가에 죽으셨다가 부활후 40일간에 11차 나타나시는 중 베드로는 7차 만났다. 마가의 다락방에 모여 기도하는 중 가롯유다 후임을 택하는 일을 주장했고 오순절에 성령을 받은 후 전도하기시작 했다. 하루 삼천 신자를 얻고 기사와 이적을 많이 나타내고 신도들이 유무상통하여 성전에 모이기를 힘쓰고 떡을 떼고 하나님을 찬송하였다(행01:12-2:). 성전 미문에 나서면서 앉은 뱅이 된 자를 고침(행03:1-7). ▶ 첫번째 교황이며 십이 사도들의 지도자. 갈릴리에서 어부 요나의 아들로 태어나 아우 안드레아와 함께 어부 생활을 하던 중 예수의 제자가 되었다. 그의 원 이름은 시몬이었으나 예수가 그에게 베드로 또는 아람어로 게파(Cephas)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는데 (요01:42) 베드로나 게파는 둘 다 '바위'라는 뜻이다. 이러한 이름은 그의 강한 성격에도 어울리지만 후에 그리스도가 "너는 베드로이다.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울 터인즉 죽음의 힘도 감히 그것을 누르지 못할 것이다"(마16:18)라고 하심으로써 그의 이름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셨다. 다른 많은 성도들 가운데서 복받은 제자인 베드로는 죽음을 선고받아 십자가에서 처형당했다. 제롬은 베드로의 죽음에 관하여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베드로는 머리가 땅으로, 다리가 위를 향하는 자세로, 즉 거꾸로 십자가에 못박혔다. 그는 이렇게 주님과 같은 자세로 죽을 만큼 자신이 고귀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하였다고 전해진다. " ======== Peter. The son of Jonas and one of the twelve apostles. His name was originally Simon, and apparently at his first interview with the Lord he received from Him the surname CEPHAS. This is an Aramaic word, the same as Peter in Greek, both signifying 'a stone.' John 1:42. (In Acts 10:5 he is called "Simon, whose surname is Peter.") The next notice of Peter is in Luke 5 when he was called to the apostleship. Overpowered at the draught of fishes, he exclaimed, "Depart from me; for I am a sinful man, O Lord;" but at the bidding of Christ he forsook all and followed Him. Matt. 4:18; Mark 1:16, 17; Luke 5:3-11. He had a sort of prominence among the apostles: when a few of them were selected for any special occasion, Peter was always one of them, and is named first. The three names 'Peter, James, and John' occur often together, still we do not read of Peter having any authority over the others: cf. Matt. 20:25-28. Peter was in character energetic and impulsive: he wanted to walk on the water to go to Christ, and his strong affection for the Lord led him to oppose when the Lord spoke of His coming sufferings, for which he was rebuked as presenting Satan's mind. His self-confidence led him into a path of temptation, in which he thrice denied his Lord. But the Lord had prayed for him that his faith should not fail, and his repentance was real and instant. He was fully restored by the Lord, who significantly demanded thrice if he loved Him, and then committed to him the care of His sheep and His lambs. John 21. When Peter confessed to Jesus, "Thou art the Christ, the Son of the living God," the Lord said that He would build His church upon that foundation, and added, "I will give unto thee the keys of the kingdom of heaven," with assurance that what he bound or loosed on earth would be ratified in heaven. Matt. 16. On the day of Pentecost we find Peter accordingly using these keys, and opening to three thousand Jews the doors of the kingdom. He afterwards admitted Gentiles in the person of Cornelius and those that were gathered with him. Peter was the apostle of the circumcision, as Paul was of the Gentiles, and was a long time getting entirely clear of Jewish prejudices. Paul had to withstand him to the face at Antioch, for refusing under Jewish influence to continue eating with Gentiles. On the other hand, Peter, while confessing that in some of Paul's writings there were things hard to be understood, recognises them as scripture. In the beginning of the Acts Peter's boldness in testimony is conspicuous. He was leaning on One stronger than himself and was carried on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He was miraculously delivered out of prison. The Lord had intimated to him that he would die the death of a martyr (John 21:19), and historians relate that he was crucified, and with his head downward by his own request: they also state that his wife died with him. He was the writer of the two epistles bearing his name. --- Morrish Bible Dictionary -------------------------------------------------------------------------------- 베드로 교훈 사람이 세상에 태어 날 때 타고난 성격이 아니면 자라나면서 형성된 성격은 그 자신의 삶에 한 평생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그 성격이 자신의 살메 좋은 영향을 주는 면이 있고 그 성격이 자신의 삶에 나쁜 영향을 주는 면도 있는 것이다. 그런면에서 볼 때 베드로 처럼 그 자신의 성격이 극명하게 드러난 사람은 극히 드물것이다. 그리고 베드로의 그 성격은 좋은 면으로 나타날때는 최대의 장점이 될 수 있었고 나쁜 면으로 나타 날때는 최대의 약점이 되기도 했던 것이다. 우선 베드로는 대단히 급한 성격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그 급한 성격으로 인하여 좋은 일에는 앞장을 선 경우도 있었고 실수 할 때는 또한 여지 없이 넘어졌던 것을 볼 수 있다. 그 급한 성격이 그의 신앙생활에서 장점으로 나타난 경우를 우선 성경을 통해서 많이 볼 수 있다. 예컨대 마 14장에 갈릴리 바다위에서 한 밤중에 다른 제자들과 노를 젓고 있을 때 물위로 걸어 오시는 예수님을 보고 모두들 유령이라고 벌벌 떨고 있는데 예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내니 두려워 말라고 하셨다. 이때 베드로는 만일 주시거던 저도 바다위로 걸어 가게 해 달라고 부탁을 했다. 예수님께서 물위를 걸어 오라 하실 때 그는 서슴없이 물위에 발을 내밀어 물위를 걸었던 놀라운 은혜를 체험했던 것이다. 그 배에는 다른 제자들도 많이 있었으나 물위로 걸었던 제자는 오직 베드로 뿐이었던 것이다. 또 마 16장에 가이사랴 빌립보 지방에서 예수님이 제자들과 함께 앉아 조용히 묻기를 사람들이 나를 누구라고 하더냐고 했을 때 어떤 사람은 엘리야라고 하더이다, 혹은 세례요한이 다시 살아났다고 하더이다고 했다. 그때 그러면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생각하느냐 하는 물음에 베드로는 다른 제자들 앞서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십니다고 대답을 했다. 이때 주님은 베드로의 대답을 들으시고 바요나 시몬아 복이 있도다 너를 베드로라 즉 반석이라 부를 것이요 그 위에 교회를 세울 것이요 천국 열쇄를 주리니 땅에서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요 땅에서 풀면 하늘에서도 풀릴 것이라고 하셨다. 또 성경에 베드로가 밤이 맞도록 고기를 잡기 위해서 그물을 던졌지만 그날 따라 한 마리도 잡지 못한채 그물을 거두려고 하는 새벽에 예수님이 바닷가에 오셔서 그물을 깊은데로 가서 던져라고 했을 때 그가 답하기를 내가 밤이 맞도록 수고하여도 얻은 것이 없지만 말씀에 순종하여 그물을 내리리이다고 하고 순종했다가 거물에 가득차게 고기를 잡은 적도 있는 것이다. 정말 베드로의 성격이 순종하고 헌신할 때는 장점이 되어 주님을 위해서 봉사하는 일에 늘 앞장서는 자가 되었고 주님의 칭찬을 받고 은혜를 깊이 체험하는 축복의 통로가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의 성격이 단점으로 나타날 때는 그의 조급한 성격은 늘 사탄의 이용물이 되었던 것을 성경에서 볼 수 있다. 예컨대 주님의 칭찬을 받고 난 뒤에 예수님을 붙잡고 십자가를 지지 마시도록 간하다가 사탄아 내뒤로 물러가라 네가 나를 넘어 지게 하는 자로다 네가 어찌하나남의 일은 생각지 않고 사람의 일만 생각하느냐고 책망을 들었던 것이다. 또 성만찬 석상에서 예수님이 대야에 물을 담아 가지고 오셔서 제자들의 발을 씻어 주실 때에 베드로 차례가 되자 주여 절대로 내 발을 씻기지 못하리이다 고 말을 한다. 예수님이 내가 너희 발을 씻기지 아니하면 너와 내가 아무 상관이 없다고 말씀하시니 금새 그의 말이 바꾸어 져서 내 발 뿐 아니라 내 온몸도 씻어 주소서 라고 했다. 또 주님께서 성만찬의 자리에서 오늘 밤 너희들이 다 나를 버리고 도망할 것이라고 말씀하셨을 때 베드로는 다른 사람들은 다 주님을 버릴찌라도 나는 주님을 버리지 않겠나이다고 했다. 그때 주님은 새벽닭이 울기 전에 나를 새번 부인할 것이라고 했을때 그는 죽는 한이 있어도 주님을 버리지 않겠다고 다짐했으나 결국 그는 세번이나 주님을 모른다고 부인했던 것이다. 그래서 주님은 베드로에게 사탄이 밀을 까불듯이 너를 시험할 것인데 나는 너를 위해 시험에 들지 않기를 기도하겠다고 하셨다. 정말 베드로가 신앙이 없을 때는 사탄의 손안에서 조롱당하는 자가 되었던 것이다. 그렇다 어떤 성품이든지 주님을 위해서 헌신하게 될 때 그 성격은 자신의 장점으로 나타난다. 반대로 어떤 성품이든지 자신을 위한 성품이 되면 그 성격은 분명히 자신의 단점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 우리는 본문에 베드로를 통해서 교훈을 얻어야 할 것이다. 1. 자신을 과신하면 안된다는 것을 배워야 한다. 베드로는 자신을 다른 사람과는 다른 존재로 생각하는 우월감을 가졌을 때가 많았음을 성경을 통해서 볼 수 있이다. 그래서 다 주님을 버릴찌라도 나는 주님을 버리지 않을 것입니다. 베드로의 이야기 중에 등장하는 말 중에 [나] 라고 하는 말이 문제이다. 다른 사람에 비해서 자신은 다르다는 생각이다. 이러한 자세는 영적으로 볼 때 가장 사탄이 이용하기 쉬운 자리에 자신을 노출시키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바래새인들의 자세에서도 바로 그러한 생각때문에 결국 예수님을 받아 드리지 못했던 것이다. 그들의 기도에도 나는 저 세리들과 같지 아니합니다. 자신을 특별한 존재로 드러내기를 좋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자세는 하나님의 은혜를 많이 받은 것 같으나 실제로는 은혜를 잃어 가는 것이다. 가상 임신이라는 것이 있다고 한다. 아니면서도 꼭 같은 증상을 동반한다는 것이다. 오늘 가상 충성자들이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충성자 같은데 주님앞에 설 때에는 아무것도 없는 성도인 것이다. 베드로가 다른 제자들 보다 낳다고 생각했을 때는 실제로 다른 제자들보다 나은 것이 전혀 없었을 때 였다. 시험이란 대체로 여기서 부터 출발한다. 다른 사람들 보다 내가 더 낳다는 생각이 아주 잘못된 생각이다. 성경은 다른 사람이 죄를 지을 때 나도 그러한 죄를 지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더 조심하고 경성해야 한다고 했다. 성경속에는 자신을 믿고 있을 때가 항상 넘어짐의 시기였음을 보여 주고 있다. 2. 시험은 환경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에서 시작된다. 베드로가 주님을 모른다고 한 환경은 이러한 것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우선 베드로는 빌라도의 법정이 아닌 가야바의 집에서 주님을 모른다고 했던 것이다. 가야바의 법정은 사형을 집행하는 곳이 아니다. 재판은 결국 빌라도의 법정에서 최후의 판결이 나게 되어 있다. 즉 베드로는 이미 마음에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가야바의 집에서 주님을 부인했던 것이다. 또 칼을 든 군인이 베드로를 붙잡고 위협을 했더라면 베드로가 본능적으로 두려워서 예수님을 모른다고 할 수도 있음을 어느 정도는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베드로에게 질문한 사람은 계집아이였다. 그런데 베드로는 맹세하고 심지어 저주까지 하면서 예수님을 모른다고 했던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베드로는 이미 마음으로 주님을 모른채 하기로 생각하고 그 가야바의 집에 들어 갔던 것이다. 이것은 그후 그가 변화를 받아 공회 앞에 서서 내가 너희말 듣는 것이 옳은 가 하나님 말씀 듣는 것이 옳은가 결단하라 우리가 보고 들은 것을 말하지 아니할 수 없노라 한 것을 비교하여 보면 얼마나 큰 차이가 나느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베드로는 헤롯에게 체포되어 다음날 사형에 처해 질찌도 모르는 그 밤에 옥중에서 수족이 결박되고 보초들이 지키는 가운데서도 깊이 잠들어서 천사가 옆구리를 칠때 비로써 깨어 났던 그 담대성과 비교되는 것이다. 베드로는 주님을 위해 죽을 것도 각오 할 때에 환경은 문제가 아니었다. 성경에 많은 신앙인들이 넘어지는 것은 것은 환경 때문이 아니었고 신앙이 없었기 때문이며 신앙 승리의 모든 요소도 환경이 문제가 아니라 그 믿음이 승리케 한 것이다. (교훈과 적용)
1 중간 시대 개관 [1]
중간
jesus
8152   2015-04-29
중간시대 BC400-4 바벨론 시대 (B.C.586-539) - 포로시대. 나보니두스 (벨사살) 페르시아(바샤) 시대 (B.C.538-) - 포로귀환시대. 고레스, 다리오1세, 아하수에로, 아닥사스다1세, 다리오2세, 아닥사스다2세 The English Bible Story 페르시아 시대 (B.C.404-331). 336 알렉산더 대제의 등장 유대인들의 율법 이행 허용, 조공과 세금의 면제(안식년), 헬라인들의 특권을 유대인들에게도 동일시 적용함 333 이수스 전투에서 페르시아 패배 331 알렉산더 대제에 의한 페르시아 (다리오3세) 멸망. - 유대인들이 종교활동에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았음. 대제사장에 의한 유다 식민 통치 팔레스틴, 애굽을 비롯한 정복사업, 헬라 시대 - 프톨레미 왕조 (BC301-201) 헬라 시대 - 프톨레미 왕조 (B.C.301-201) - (BC 320-198) 헬라 시대 - 알렉산더 (B.C.336-323) 336 알렉산더 대제의 등장 - 유대인들의 율법 이행 허용. 조공과 세금의 면제(안식년). 헬라인들의 특권을 유대인들에게도 동일시 적용함 331 팔레스틴, 애굽을 비롯한 정복사업 헬라 시대 - 프톨레미 왕조 (B.C.301-201) 301 알렉산더 사후 4장군에 의한 제국 분할 통치 카산드로스 - 아가지역 루시마코스 - 소아시아, 갈라디아지역 프톨레미 - 이집트 지역 셀레우코스 - 바벨론 지역 282 프톨레미 II세의 등극 히브리어 성경이 헬라어 성경(70인역)으로 번역 1지파 당 6명 총72명이번역 헬라 시대 - 셀류크스 왕조 (B.C.198-167) 198 앗수르 바벨론 통치자 셀레우코스 왕조 헬라 잔존세력간의 권력다툼 끝에 셀류크스 왕조의 안티오쿠스 III세가 팔레스틴을 차지함 167 안티오쿠스 IV세의 유대인 탄압 성전 모독, 약탈 독립유대시대 - 마카비 혁명 (B.C.166-143) 166 제사장 맛다디아의 반란. 헬라화 정책 반대 투쟁, 마카비 혁명의 시초 맛다디아의 아들 유다(마카비)에 의해 혁명의 본격화 165 예루살렘 성전 청결작업 기념 - 수전절 독립유대시대 - 하스몬(하스모니안) 왕조 (B.C.142-67) 142 로마의 유대 돕립권 인정 134 하스모니안 왕조가 에돔정복 103 알렉산더 얀네우스의 등극 다윗시대의 영토회복 94 바리새인의 대 반란 에돔 총독에 안티파스 임명 헤롯 왕조 - 마카비 왕조에 반역 바리새인 6천명 학살로 인함 헤롯(대헤롯 마2:1-12)의 조부 로마세력을 바탕으로 로마시대 (B.C.63-4) 63 로마 장군 폼페이의 예루살렘 점령 (마카비의 힐카누스 2세 항복후 대제사장으로 임명됨) 로마의 통치는 A.D. 70년 예루살렘 함락, A.D. 130년경의 전 유대인 강제 추방 정책 실시 후 제국 말기까지 계속됨 안티파터를 유대지역 집정관으로 임명 안티파스의 子, (대)헤롯의 父 가이샤(시저)가 폼페이를 이집트에서 죽이고 패권 차지 힐카누스2세 - 지역의 총독 안티파터 - 유대의 행정관 (소)헤롯 - 갈릴리 총독으로 임명 59 해모수 북부여 건국 57 신라 혁거세 거서간 즉위 44 가이샤가 부루투스에 의해 살해됨 37 (대)헤롯의 유대 통치 이두매(에돔) 출신으로 BC. 4년 까지 통치 37 주몽 고구려 건국 (대)헤롯의 유대 통치 -이두매(에돔) 출신으로 BC4년 까지 통치 20 헤롯의 예루살렘 성전 건축 옥타비아누스가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 연합군 격퇴후 1대 황제가 됨 황제=아우구스투스=아구스도=가이샤 4 (대)헤롯 사망 - 아들 3명에게 분봉왕으로 임명 헤롯 안티파스 - 갈릴리와 베레아 지역 헤롯 빌립 - 갈릴리 북동부 (데가볼리) 지역 헤롯 아켈라오 - 유다, 사마리아, 이두메(에돔) 지역 예수님 탄생 아켈라오 로마소환 후 유대지역에 총독 임명 코포니우스 - 마르쿠스 얌비불루스 - 아니우스 루푸스 - 발레리우스 그라투스 - 폰티우스 필라투스 (본디오 빌라도, 5대 AD. 26-36) - 대제사장을 임명직으로 (뇌물수수) - 안나스(재물장사 - 실권) 와 가야바 (안나스사위 - 법적) 2명의 대제사장 산헤드린 공의회 : 유대인 자치기구 의결기관, 종교재판소, 71인으로 구성 (대제사장, 서기관, 장로 등) 사두개파 - 대제사장파(서기관,랍비) 바리새파 - 성경연구(에스라계:유대교) 열심당 - 무기로 정복하는 메시야도래 에센파 - 수도원운동(세속은 싫다) TIDWELL-Chapter XVII. From Malachi to the Birth of Christ. - The close of Old Testament History. Persian period. Under the rule of Greek kings. Period of independence. The Roman period. Entire period. End of the Period. Topics for discussion. 11BiblePeriod ====== 구약성경개관 중간시대 예수시대 초대교회시대 세계선교시대

.
성경연대표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14.세계선교 관련그림.지도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Ani
1창세기[Genesis] 2출애굽기[Exodus] 3레위기[Leviticus] 4민수기[Numbers] 5신명기[Deuteronomy] 6여호수아[Joshua] 7사사기[Judges] 8룻기[Ruth] 9사무엘상[I Samuel] 10사무엘하[II Samuel] 11열왕기상[I Kings] 12열왕기하[II Kings] 13역대상[I Chronicles] 14역대하[II Chronicles] 15에스라[Ezra] 16느헤미아[Nehemiah] 17에스더[Esther] 18욥기[Job] 19시편[Psalms] 20잠언[Proverbs] 21전도서[Ecclesiastes] 22아가[Song of Solomon] 23이사야[Isaiah] 24예레미야[Jeremiah] 5예레미아애가[Lamentations] 26에스겔[Ezekiel] 27다니엘[Daniel] 28호세아[Hosea] 29요엘[Joel] 30아모스[Amos] 31오바댜[Obadiah] 32요나[Jonah] 33미가[Micah] 34나훔[Nahum] 35하박국[Habakkuk] 36스바냐[Zephaniah] 37학개[Haggai] 38스가랴[Zechariah] 39말라기[Malachi] 40마태복음[Matthew] 41마가복음[Mark] 42누가복음[Luke] 43요한복음[John] 44사도행전[Acts] 45로마서[Romans] 46고린도전서[I Corinthians] 47고린도후서[II Corinthians] 48갈라디아서[Galatians] 49에베소서[Ephesians] 50빌립보서[Philippians] 51골로새서[Colossians] 52데살로니가전서[I Thessalonian] 53데살로니가후서[2 Thessalonian] 54디모데전서[I Timothy] 55디모데후서[II Timothy] 56디도서[Titus] 57빌레몬서[Philemon] 58히브리서[Hebrews] 59야고보서[James] 60베드로전서[I Peter] 61베드로후서[II Peter] 62요한일서[I John] 63요한이서[II John] 64요한삼서[III John] 65유다서[Jude] 66요한계시록[Rev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