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한민국 文化財
  2. 지역별文化財
  3. 국보
  4. 보물
  5. 사적지
  6. 천연기념물
  7. 名畵
  8. 名陶 (청자.백자)
  9. 북한문화재

-----Update_order

-----Readed_count

오늘 :
19,992 / 147,825
어제 :
20,419 / 206,036
전체 :
20,877,788 / 283,699,569
Korea History & Cultural Properties. Mobile Menu, Mobile K-History, Cyber World Tour, 대한민국 名所 -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남 충북 대전 전남 전북 광주 제주 경남 경북 대구 울산 부산 내고장, 文化財 -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남 충북 대전 전남 전북 광주 제주 경남 경북 대구 울산 부산 내고장,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名所, 북한문화재/명소 : 시대별, 지역별, 천연기념, 고전명화, 도자기, 한국역사부도, 세계역사부도, 역사년표
번호 제목 닉네임 등록일 조회 추천
Notice 공지 독도 이름의 변천사 / 안용복 파일
cyber
2004-09-04 173876 15
Notice 공지 만주도 우리 땅 입증 유럽 古지도 대량 발견 파일
cyber
2005-02-20 193273 15
Notice 공지 한국사의 시대구분 <국사문제 추가/한국역사부도의 목차>
cyber
2004-08-29 180948 8
Notice 공지 대마도는 우리 땅 파일
cyber
2008-07-26 152882 17
247 통일신라 국보312호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파일
cyber
2009-12-29 1869 4
246 고려시대 국보308호 대흥사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 파일
cyber
2009-12-29 2325 4
245 삼국시대 국보307호 태안마애삼존불 파일
cyber
2009-12-29 5663 4
244 조선중기 국보303호 승정원일기 파일
cyber
2009-12-29 2156 4
243 백제시대 국보295호 나주신촌리고분출토금동관 파일
cyber
2009-12-29 7012 4
242 삼국시대 국보293호 금동관세음보살입상 파일
cyber
2009-12-29 4159 4
241 조선초기 국보292호 오대산상원사중창권선문 파일
cyber
2009-12-29 2715 4
240 조선중기 국보290호 통도사대웅전및금강계단 파일
cyber
2009-12-29 2079 4
239 고려시대 국보284호 초조본대반야바라밀다경 <권제162,170,463> 파일
cyber
2009-12-29 2339 4
238 통일신라 국보282호 흑석사목조아미타불좌상병복장유물 파일
cyber
2009-12-29 3032 4
237 고려시대 국보280호 성거산천흥사명동종 파일
cyber
2009-12-29 2572 4
236 고려시대 국보276호 초조본유가사지론<권제53> 파일
cyber
2009-12-29 2152 4
235 고려시대 국보272호 초조본유가사지론<권제32> 파일
cyber
2009-12-29 1897 4
234 고려시대 국보269호 초조본불설최상근본대락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권제6> 파일
cyber
2009-12-29 1835 4
233 선사공통 국보255-4호 간두령 파일
cyber
2009-12-29 3599 4
232 조선초기 국보250호 개국원종공신록권 파일
cyber
2009-12-26 2141 4
231 조선중기 국보249호 동궐도 파일
cyber
2009-12-26 2855 4
230 백제시대 국보247호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 파일
cyber
2009-12-26 5683 4
229 고려시대 국보246호 초조본 대보적경<권59> 파일
cyber
2009-12-26 2168 4
228 고려시대 국보245호 초조본 신찬일체경원품차록<권20> 파일
cyber
2009-12-26 1860 4
subkorea.com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 국립청주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국립순천박물관, 국립나주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