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명종(1170-1197)

자 지단(之旦). 초명 흔(昕). 이름 호(晧). 시호 광효(光孝). 인종의 셋째아들, 의종의 동생. 비(妃)는 김온(金溫)의 딸 의정왕후(義靜王后).

1148년(의종 2) 익양후(翼陽侯)에 책봉되고,

1170년 의종을 몰아낸 정중부(鄭仲夫) 등의 추대로 즉위하였다. 무신의 집권 뒤 그들의 횡포가 과거의 문신보다 더 심하여, 사회질서 혼란을 초래하고 전국 각지에서 농민반란이 자주 일어났다. 김보당(金甫當)·조위총(趙位寵) 등이 무신 제거를 위한 난을 일으켰으나, 모두 실패하였다.

1197년(명종 27) 실권자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왕위에서 쫓겨났다. 능은 지릉(知陵)이다.

【김보당의 난, 명종3년(1173)】
 
고려 시대의 문신인 김보당 (金甫當 ?∼1173)은 1173년 동북면 병마사로 있을 때 군사를 일으켜 정권을 잡은 정중부, 이의방 등을 물리치고 전왕인 의종을 왕위에 복위시키고자 군사를 일으켰다 (김보당의 난).
그러나 정중부가 보낸 이의민, 박존위에게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그는 체포된 뒤 죽으면서 "문신으로서 이 모의에 가담하지 않은 자가 없다." 고 말하여 많은 문신들이 처형당하였다. 이를 계사의 난이라고 한다.

【조위총의 난, 명종4년(1174)】

고려 중기의 문신 (趙位寵 ?∼1176). 병부 상서로 서경 유수를 겸하고 있을 때인 1170년(의종 24년)에 정중부, 이의방 등이 정변을 일으키자, 1174년(명종 4년)에 절령 이북 40여 성의 호응을 얻어 난을 일으켰다.

그러나 중앙군의 총공세로 위기에 몰리자 금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지원병을 요청했으나 실패하였고, 1176년(명종 6년) 서경이 함락된 뒤에 처형당하였다.

【망이(亡伊) 망소이난(亡所伊亂) 명학소의 난, 명종6년(1176)】

1176년 고려 명종 때 충청 남도 공주의 명학소에서 일어난 천민의 난. 천민 수공업자의 집단 거주 지역인 명학소에 살던 천민들이 망이·망소이의 주도 아래 일으킨 신분 해방 운동이다.

고려 무신 정권하에서 일어난 천민의 저항 운동 가운데 가장 규모가 컸다. 이들은 공주를 점령한 후 북진하여 1년 반 동안 청주와 아산 등 충청도 일대와 경기도 남부까지 휩쓸었다.

정세유가 이끄는 토벌군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이 난을 계기로 정부는 향·소·부곡 등 천민 거주 지역을 군현으로 승2격시키는 등 천민의 요구를 정치에 반영하게 되었다.


【최충헌 崔忠獻 (1149~1219)】
고려 무신정권기의 집권자.

본관 우봉(牛峰). 초명 난(鸞). 시호 경성(景成). 음보(蔭補)로 양온령(良令)이 되고,

1174년(명종 4) 조위총(趙位寵)의 난을 토벌, 별초도령(別抄都令)에 올랐다.

1196년 동생 충수(忠粹)와 함께 권신 이의민(李義旼)을 죽이고 정권을 장악, 폐정(弊政)의 개혁을 위한 봉사십조(封事十條)를 왕에게 올렸다. 이어 왕의 측근을 몰아내고 좌승선(左承宣)을 거쳐 어사대지사(御史臺知事)가 되었으며,

1197년 충성좌리공신(忠誠佐理功臣)에 봉해졌다. 그러나 왕이 봉사십조를 이행하지 않자 창락궁(昌樂宮)에 유폐시킨 뒤 평량공(平凉公) 민(旼:神宗)을 왕위에 앉히고 정국공신(靖國功臣) 삼한대광대중대부(三韓大匡大中大夫) 상장군주국(上將軍柱國)이 되어 최씨 무단정권을 확립했다. 같은 해 딸을 태자(太子:熙宗)의 비(妃)로 만들려는 동생 충수와 대립, 충수를 죽이고 독재정권을 더욱 강화했다.

1198년(신종 1) 사노(私奴) 만적(萬積)의 난을 토벌하고,

1199년 병부상서이부지사(兵部尙書吏部知事)가 되어 군사권·인사권을 장악했다. 같은 해 다시 김준거(金俊)의 난을 토벌하고

1202년 삼중대광(三重大匡) 수대위상주국(守大尉上柱國)이 되었다. 이어 도방(都房)을 설치, 신변을 보호케 했으며 추밀원사(樞密院使) ·이병부상서 (吏兵部尙書)·어사대부(御史大夫)로서 경주별초군(慶州別抄軍)의 반란을 진압했다.

1204년 신종을 폐하고 태자(太子:熙宗)를 옹립, 벽상삼한삼중대광 (壁上三韓 三重大匡) 개부의동삼사수태사(開府儀同三司守太師)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 상장군상주국(上將軍上柱國) 병부어대판사 (兵部御史臺判事) 태자태사(太子太師)에 올랐다.

1209년 학자 이규보(李奎報)를 발탁, 무신정권으로 피폐해진 문운(文運)을 재흥시키려고 힘썼는데, 청교역(靑郊驛)의 관리들의 자기네 부자살해 미수사건이 생기자 영은관(迎恩館)에 교정도감(敎定都監)을 설치, 실질적인 무인정권의 중앙기관으로서 국정 전반을 감독케 했다.

1211년 내시 왕준명(王濬明) 등의 음모로 죽을 고비를 넘기고 살아난 뒤, 왕을 폐하고 한남공(漢南公) 정(貞:康宗)을 즉위시켰다.

1212년 문경무위향리조안공신(文經武緯嚮理措安功臣)에 책봉되고,

1213년 강종이 죽자 고종을 즉위시켰다.

1217년(고종 4) 자신을 암살하려는 흥왕사(興王寺) 승려들의 음모를 적발, 처형한 후로는 백성들에 대한 횡포가 심해지기는 했으나 민란을 잘 진압하여 기강의 확립, 풍속의 순화, 문운의 재흥 등 치적을 많이 쌓았다. [nsgoroek19]
.


한국 Korea Tour in Subkorea.com Road, Islands, Mountains, Tour Place, Beach, Festival, University, Golf Course, Stadium, History Place, Natural Monument, Paintings, Pottery, K-jokes, UNESCO Heritage, 중국 Chin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J-Cartoons, 일본 Japan Tour in Subkorea.com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E-jokes, 인도 Indi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UNESCO Heritage, Tour Place,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Pain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