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록만 5개 세운 쾌거! 거가대교(가거대교)

경남 거제시 장목면 유호리와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를 연결하는 길이 8.2km(사장교 3.5, 침매터널 3.7, 육상터널 1)의 거가대교

한반도 남쪽 끝에 세계의 시선이 모이고 있다. 대한민국 수출의 전진기지 부산항과 남해의 아름다운 섬 거제도 8.2km가 해상과 해저로 이어진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건설되는 3주탑 사장교는 아름다운 한려수도의 비경과 어우러지며 남해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 잡는다. 해저에 건설되는 침매터널은 한국 토목공사 사상 5개의 세계기록을 세우며 토목공학도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시공사인 대우건설 구임식 단장은 거가대교 침매터널 공법이 다섯개의 세계기록을 세웠다고 말한다.

"첫째, 조립식 터널블록 한 개의 길이가 180m로 세계에서 가장 깁니다.
둘째는 건설구간의 수심이 48m로 침매터널 공사 중 가장 깊는 것입니다.
셋째는 갯벌처럼 매우 약한 해저기반 위에 건설되는 최초의 침매터널입니다.
넷째는 내해가 아니라 풍랑이 거센 외해에 설치되는 최초의 침매터널입니다.
다섯째는 터널 연결이 이중으로 돼 있어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터널이라고 자신합니다."

2010년 개통을 목표로 한 부산~거제간 연결도로는 1일 현재 65%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으며 침매터널은 7개의 함체가 연결돼 총 연장 3.7km 중 1.2km가 완성됐다.

구 단장은 "이번 침매터널 공사로 세계 최고 수준의 해저터널 시공 노하우를 축적하게됐다" 며 향후 이 침매터널이 공법이 한·중, 한·일 해저터널에 적용될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kyungnam, pusan, bridge)

▶ 침매(沈埋) 공법

- 터널 구조물(침매함·沈埋函)을 육지에서 만든 다음 예인선으로 끌고 간다. 침매함 안에 물을 채워 하나씩 가라앉힌다. 침매함은 내부의 물을 뽑아낼 때 생기는 진공 압착력 때문에 서로 밀착되며, 접합부에는 고무 개스킷(gasket)을 사용한다. 접합 부위를 연결장치로 붙인 다음 내부 벽을 트면 긴 터널이 된다. 물을 빼낸 다음에는 중량이 너무 가벼워지지 않도록 구조물 안쪽 바닥에 콘크리트를 덧바른다.

터널을 앉힐 자리에 미리 파놓은 부분과 침매함 사이를 모래·돌 등으로 덮어 공사를 마무리한다. 이렇게 구조물을 가라앉히므로 침(沈), 주변을 메우므로 매(埋)란 글자를 조합했다. 침매함은 대개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며, 원통형과 직사각형 방식이 있다. 원통형은 주로 미국, 직사각형은 유럽에서 많이 쓴다. 거가대교에는 유럽식 직사각형 침매함을 사용한다.

- 침매터널은 일반적으로 바다 밑 단단한 지반을 뚫어 만드는 굴착 해저터널과는 다르다. 육상에서 제작한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바다에 가라앉혀 수압 차를 이용해 연결한 뒤 수중에 묻는 첨단 신공법이다. 난공사다. 현장 수심이 48m. 잠수부도 없다. 오로지 GPS에 의존해 길이 180미터, 무게 4만 5천톤의 거대한 콘크리트 터널 박스가 바닷속에서 연결된다. 허용오차는 2cm다. 기후조건도 변수다. 파고가 0.4m 이하여야 공사가 가능하다.


역사년표Map (1945년이후 10대뉴스)
BC -AD 1 -600 -1000 -1500 -1800 -1900 -1950 -1980-현재

한국 Korea Tour in Subkorea.com Road, Islands, Mountains, Tour Place, Beach, Festival, University, Golf Course, Stadium, History Place, Natural Monument, Paintings, Pottery, K-jokes, UNESCO Heritage, 중국 Chin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J-Cartoons, 일본 Japan Tour in Subkorea.com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E-jokes, 인도 Indi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UNESCO Heritage, Tour Place,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Pain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