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군 원이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상쌍령리, 원대리, 전의군 의 대서면 가덕리, 내삼천리, 외삼천리가 병합하여 원대리의 원자와 가덕리의 덕 자를 따서 원덕리라 하고 광덕면에 편입되었다.

쇠내골 : 금내곡(金內谷), 삼천리(三川里) 원터동남쪽 긴 골짜 기에 있는 마을. 소와 금이 많이 났다고 한다.
새터말 : 강변말 아래에 새로 된 마을.

밤나무골 : 상쌍령, 율목동, 위쌍령이라고도 하며 원터 서쪽 깊은 골짜기에 있 는 마을. 무학리 쌍령이고개 밑이 되며 밤나무가 많이 있다고 한다.

새너말 : 주막 뜸 남쪽에 있는 마을.
두루봉 : 중뜸 동쪽에 있는 산 봉우리가 둥그스럼 하다.
바같쇠내 : 외삼천(外三川) 쇠내골 바깥쪽의 마을.

되재고개 : 원터에서 공주군 정안면 되재로 넘어가는 고개.
더덕골 : 다덕동, 가덕이(加德), 원터 동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더덕이 많이 난다.
김옥균(金玉均) 성장지 : 강변말에 있는 개화당의 선구자 김옥균의 피난터인데 성장지라고도 한다.
강변말 : 중뜸 냇가에 있는 마을.

차령(車嶺) : 원터 남쪽에 있는 큰 고개. 천안과 공주로 통하는 고개. 고려 태조의 훈요십조(訓要十條)에 차령남쪽 공주강(公州江/금강) 밖의 산세가 모두 북쪽을 등지고 달아나서 인심이 변란이 많으니 그쪽 사람들 은 비록 양민이라도 조정에 기용치 말라 하였다.

중뜸 : 원터 중앙에 있는 마을. 중리라고도 한다.
주막뜸 : 중뜸 옆에 있는 마을. 주막이 있었다.
장고개 : 더덕골에서 연기군 전의장으로 가는 고개.

인주원고개 : 원터에서 공주군 정안면 인주원으로 넘어가는 고개.
율모독 : 밤나무 골.
원터(院垈里) : 원덕리에서 가장 큰 마을. 조선조때 원집이 있었다.

전설 : 강감찬 장군이 이곳에서 하룻밤을 묵는데 모기가 달려 들므로 잡아 혀를 빼놓아 이곳의 모기가 물지를 못한다고 한다.

안쇠내 : 쇠내골 안쪽에 있는 마을.
외삼천(外三川) : 바깥 쇠내라도고 하며 쇠내골 바깥쪽의 마을.
영계둠벙 : 어떤 사람이 이 곳에서 목욕하다가 죽었으므로 영 갔다고 하여 영계 둠벙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