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군 대동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상마가산, 중마가산, 소동 면의 송정리가 병합하여 마가산의 마자와 가송리의 송자를 병합하여 가송리라 하 였는데 가(駕)자가 좋지 않다고 하여 가(桂)자로 고쳐서 가송리가 되어 풍세면에 편입되었다.

우렁바위 : 마가미 동쪽에 있는 바위인데 모양이 우렁이 같이 생겼다고 한다.
수치미고개 : 마가미에서 연기군 전의면 소정리로 넘어가는 고개. 고개 밑의 논이 장마만 지면 물에 잘 잠긴다.
마가미 : 마가산 가송리에서 가장 큰 마을. 마가산 밑이 된다.

마가산 : 고종때 이조판서를 지낸 문헌공(文獻公) 윤자덕(尹滋德)이 낙향하여 이 곳에 살았다. 마가미 뒷산으로 산모양이 말처럼 생겼다고 한다.

상마가(上馬駕) : 마가미중 윗 마을.
하마가(下馬駕) : 아래에 있는 마가미 마을
송정(松亭) : 마가미 북쪽에 있는 마을. 소나무가 많이 있었다고 한다.

동지들 : 송정 앞에 있는 큰 들.
장씨네 충의 효자 열녀정문 : 가송리 62번지에 있는 충신 장핵 효자 사일(士逸) 열녀 손부 이씨의 정문.
안송정(內松亭) : 송정 안쪽에 있는 마을.

찬샘고개 : (전설) 고개 밑에 찬샘이 있어서 찬샘고개하고 하며 부리가 낮아서 부락이 불길하다고 전하여 온다. 이곳에 장수가 나고 영웅이 난다고 하여 일인들이 철봉을 박아 놓았다고 하는 말이 지금까지 전하여 오고 있다.

정존중묘 : 정종때 이조판서를 지낸 정존중의 묘가 마가미에 있다고 한다.
삼복재 : 능선이 세 갈래로 갈라져 있다고 한다.

두멍산골 : 골이 두멍같이 깊고 오목하다고 한다.
물새집말림 : 물새가 많이 살았는데 김씨네 말림이 된다.

구억들 : 논이 좋아 흉 풍년이 없다. 날이 가물어 식량이 부족하고 아이가 밥 달라고 울면 서울 사람들은 풍세구억들 논사두었냐고 하며 야단쳤다는 일 화가 있다.

전설 : 주위에 곡교천 풍세천이 있어 타곳에서 들어 오기가 어려워 피난하기가 적당한 곳이라 하며 예부터 서울 피난민이 많이 왔었던 곳이라 한다.

서낭당 : 송종리로 가는 길목에 있었는데 아들 못낳는 사람은 이곳을 위하면 아 들을 낳는다고 하여 서낭당을 위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새마을 사업으로 없어졌다.

(전설) : 두꺼비 바위. 송정에 두꺼비같이 생긴 바위가 있다. 이 바위가 궁둥이 쪽으로 가는 부락은 부락이 길하며 흥하고, 머리 쪽으 로 가는 부락은 모두 먹어치우는 상이므로 불길하여 망한다고 한다. 인근 부락민들이 모두가 한결같이 궁둥이쪽이 자기 부락 쪽으로 오기를 원하여 밤에 타부락 모르게 장정들이 일제히 나서서 바위를 돌려놓고 가 면 머리쪽 되는 부락 사람들이 또 와서 돌려놓고 하였는데 요사이는 미신 이라고 그대로 놓아 두고 건드리는 사람이 없다고 한다.

전설 : 이 마을 송절리 앞에 숲이 있어야 마을이 좋다고 전하여 오므로 숲을 만 들어 놓았으며 마을에서 보호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