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의 한글성경
  2. 오늘의 WEB성경
  3. 성경백과사전
  4. 관련서적들

-----Readed_count

-----Update

오늘 :
13,302 / 53,565
어제 :
20,501 / 234,147
전체 :
21,071,055 / 285,587,660
Mobile Bible, Bible Dictionary, Mobile iWorship, 구글Map 성경66권 사전 : -()-()--()-(,)-(,)-(,)-()--중간-(...)-

성경관련 백과사전 & Morrish Bible Dictionary

+ Blue Letter Bible/KJV + 개역한글 성경구절

성경 백과사전 테마별 (구약OT, 신약NT), 성경만화, 요리문답,
영어성경보기, 개역한글성경보기, NEWS, 어!성경
Morrish성경사전 (최신등록), WB.Study, 성경권별 지명연구(지도포함), 인물탐방 각종테마별 - 무게.길이.화폐, 12보석, 유대월력, 동물, (Birds), 식물, 나무, , Miracles(구약, 신약), 613율법Mitzvot, 이방신, 하나님, Tip: 영문장.절위로 커서를 옮기면 해당 KJV 성경 영문구절이 펼처집니다. (Gen. 1:1; Rev. 22:21;)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추천 등록일
Notice 공지 성경 속 전쟁 연대기 (The War Chronicles in the B... 파일
cyber
37718 2 2019-03-05
Notice 공지 TIDWELL BIBLE 21 연대표
jesus
71202 1 2016-12-14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NT 신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7208 1 2016-02-21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OT 구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7461 1 2016-02-21
Notice 공지 성경백과사전 권별.장별[Chapter] 관련내용보기 파일
jesus
85441 1 2015-05-04
3 영원무궁(Eternal.)
기타
jesus
1453   2016-02-09
▶ 영원무궁(Eternal.) Three Hebrew words are translated 'eternal.' 1. ad: very often translated 'for ever,' and with another word, olam, 'for ever and ever.' "The Lord shall reign for ever and ever." Ex. 15:18. "The Lord is king for ever and ever." Ps. 10:16: cf. also Ps. 45:6; Ps. 48:14; Ps. 52:8. Micah 4:5. Ad is also translated 'everlasting:' "the everlasting Father," or "Father of the everlasting age." Isa. 9:6. Also 'eternity;' "the high and lofty One that inhabiteth eternity." Isa. 57:15. (출15:18. 영원무궁 (시010:16 (시045:6; 영영 (시048:14; (시052:8. (미04:5. 영원히 (사09:6 영존하시는 (사57:15 영원히 2. olam, signifying 'everlasting,' 'never ending.' It is often translated 'for ever:' "his mercy endureth for ever," 1 Chr. 16:41; and 'everlasting:' "the everlasting God." Gen. 21:33; Ps. 90:2; Ps. 93:2; Ps. 103:17. "I will make thee an eternal excellency." Isa. 60:15. (대상16:41 영원함 (창21:33; 영생하시는 (시090:2; 영원부터 영원까지 (시093:2; 영원부터 (시103:17. 영원부터 영원까지 (사60:15. 영영한 3. qedem, 'ancient, that which is before.' "The eternal God is thy refuge." Deut. 33:27. "Art thou not from everlasting?" Hab. 1:12. "God is my King of old." Ps. 74:12. (신33:27. 영원하신 (합01:12 만세 전부터 (시074:12. 예로부터 4. In the N.T., ἀΐδιος, 'perpetual:' occurs only in Rom. 1:20, "his eternal power and Godhead;" and Jude 6, "reserved in everlasting chains." (롬01:20 영원하신 (유01:6 영원한 5. αἰών, 'age, duration, ever.' With a preposition 'unto the ages' is often translated 'for ever;' and, when repeated, 'for ever and ever.' "He that eateth of this bread shall live for ever." John 6:58. "Christ abideth for ever." John 12:34. "To whom be glory for ever and ever." Gal. 1:5. "According to the eternal purpose." Eph. 3:11. "Now unto the king eternal . . . . be honour and glory for ever and ever." 1 Tim. 1:17. This word is often translated 'world,' but may at times be better rendered 'age,' as "be not conformed to this age," Rom. 12:2; and 'for ever and ever' may be translated 'to the ages of ages,' though the meaning would be the same. (요06:58. 영원히 (요12:34. (갈01:5 세세토록 (엡03:11 영원부터 (딤전01:17 세세토록 (롬12:2 이 세대를 6. αἰώνιος, from αἰών, signifying 'ever enduring.' It is always translated 'eternal' or 'everlasting,' except in Rom. 16:25, "since the world began," or "in the times of the ages." 2 Tim. 1:9; Titus 1:2, "before the world began," or, "before the ages of time;" and Philemon 15, "for ever." This word is applied to God Himself as "the everlasting God." Rom. 16:26; to the Holy Spirit. Heb. 9:14; to redemption. Heb. 9:12; inheritance. Heb. 9:15; salvation. Heb. 5:9; glory. 1 Peter 5:10; and constantly to life. John 3:15, 16, 36. On the other hand it is applied to punishment, Matt. 25:46; damnation, Mark 3:29; destruction, 2 Thess. 1:9; and fire, Jude 7: cf. Isa. 33:14. (롬16:25 영세전부터 (딤후01:9 영원한 때 전부터 (딛01:2 영원한 때 전부터 (몬01:15 영원히 (롬16:26 영원하신 (히09:14 영원하신 (히05:9 영원한 (벧전05:10 (요03:15, 16, 36 영생을 (마25:46 (막03:29 영원 (살후01:9 영원한 (유01:7 (사33:14 영영히 The above passages show that the same word is used for the existence of God Himself; for the salvation and blessedness of the saved; and for the punishment of the wicked. --- Morrish Bible Dictionary
2 시온, 시온산(Zion, Sion, Mount Zion) 파일
지명
jesus
3826 28 2006-12-30
▶ 시온, 시온산(Zion, Mount Zion) 뜻:봉오리 나사렛 동쪽 다볼산 남동쪽 약 25km 지점, 또는 아윤 에쉬 샤인(Ayun esh-Shain), 혹은 시린(Sirin)으로 추정한다. 예루살렘 남서쪽 해발 765m 의 언덕을 가리킨다. 시온은 처음에 기드론-두로베온 골짜기 사이에 솟은 절벽으로 된 남쪽 봉우리 였다. 후에는 예루살렘 동쪽 능선 전부를 시온이라 부르다 그 후에는 예루살렘 전부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1) 본래 예루살렘의 기드론과 두로뵈온 두 골짜기 사이에 솟은 절벽으로 된 남쪽 봉우리이다. 그 후에는 동쪽 등성이를 시온이라 불렀고 예루살렘을 찬칭하여 시온 성이라 불렀다(시126:1, (사01:26, (사10:24). (2) 옛날 다윗이 이곳을 쳐서 수도로 삼고 정치적 중심지를 만들었다(삼하05: 6-9, (왕상08:1, (대상11:5, (대하05:2). (3) 그리고 법궤를 이곳으로 옮겨 종교적 중심지를 삼았다(삼하06:12-18). (4) 다윗은 산등성이에 있는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을 사서 제단을 쌓았고, 후일에 솔로몬이 그곳에 성전을 세웠다(삼하24:18, (왕상08:1). (5) 시온은 "거룩한 산" "여호와의 산으로 불렀고" 시적인 표현으로 흔히 사용하였다. (시002:6, (시009:11, (시024:3, (시132:13, (시048:2, (시069:35, (시076:2, (시087:2, (시133:3, (사02:3, (사03:16, (사04:3, (사52:1, (사60:14). (6) "시온의 딸이란 말은 예루살렘 주민의 시적인 표현이다(시009:14, (사01:8, (사37:32, (아03:11, (슥02:10). (7) 신약 성서에는 하늘에 있는 하나님의 도성의 상징작인 용어로도 사용되었다(히12:22, (계14:1). (8) Zion's 로 표현되어 있음. (사33:6, (사62:1 ▶ 시온산 (Mt. Zion) 예루살렘 남서쪽 해발 765 m 의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시온산은 사방 어디에서 보아도 잘 보이고 있는 아름다운 곳이다. 히브리어 'Zion'의 어원에 관하여는 우리가 잘 알지 못한다. 다만 유사 파생어로 '바위'(rock), '산성' (stronghold, Zaion), 혹은 '건조한 곳'(dry place) 등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처음 사용되는 곳은 예루살렘의 가나안 원주민이었던 여브스족이 머물던 "시온산성을 다윗이 빼앗았으니 이는 '다윗성'이라 " (City of David, 삼하 5:7, 왕상 8:1) 일컬어졌다. 지형적인 의미에서 '시온'과 예루살렘, 그리고 성전의 산이 각각 구별되기도 하였다 (미03:12) 그러나 시온은 넓은 의미에서 예루살렘 전체를 지칭하기도 하였으며 (사02:3, (사33:14, (요엘03:5), '시온의 딸' (사01:8, (사30:16, (아01:5), '시온에 거한 나의 백성' (사10:24, (사51:11), '유대백성' (사51:16, (사59:20), '성전산','시온에 거하는 하나님' (요04:17, 시20:3) 등 많은 파생어를 낳고 있다. 그런 점에서 '시온산'은 이스라엘의 신앙의 상징이라 말할 수 있다. 이스라엘 역사에서의 이룩된 대전환점은 다윗왕 때로써 왕권의 형성과 성전의 건축으로 인한 종교제도의 확립을 통해서 이룩한 변화를 지적할 수 있다. 이때 계약의 내용으로 허락한 것이 땅과 집이다. 이 계약이 행해진 곳이 곧 예루살렘, 시온성이었다. 다윗의 무덤과 역대 왕들의 무덤이 바로 이곳에 묻혀 있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왕상02:10, (느03:16, (행02:29) 제1차 성전이 멸망한 이후 바벨론 포로기 때에 'Zion' 은 넓은 의미로 그들이 잃어 버린 조국의 땅 전체를 의미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이 된 그 거룩한 땅 (The Holy Land) 에로의 귀향을 의미하는 가장 강력한 표현은 바로 '시온'이라는 말이 된 것이다. '우리가 바벨론의 여러 강변 거기 앉아서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도다"(시137:1) ======== Zion, Sion, Mount Zion. This was in reality a part of Jerusalem, being one of the mountains on which Jerusalem was built. Zion is often called 'the city of David,' it was where he dwelt. 2 Sam. 5:7; 1 Chr. 11:5; Micah 3:10, 12. Which part of Jerusalem was thus designated is now a disputed point: some few contend for the north-west; but most believe it to have been on the south-west, and to have extended farther south than the present wall of the city. It would in this case have been in proximity to the temple on the south-east, which could have been reached by a bridge over the Tyropoeon valley. 2 Chr. 5:2. In Ps. 48:2, occur the words "the joy of the whole earth is mount Zion, on the sides of the north, the city of the great King." This has been thought to mean that mount Zion was in the north of the city; but may it not signify that on the north side of Zion is the city of the great King, that is, Jerusalem? The psalm is clearly millennial. Zion, having failed as a part of Jerusalem, was to be ploughed as a field. Micah 3:12. The term Zion has constantly in scripture a metaphorical sense. It represents the intervention of sovereign grace in the person of God's elect king, when Israel were utterly helpless, and the ark had been given into the hands of the enemy. The ark was brought by David to the city of David, and this may have led to Zion being regarded as the centre of blessing, and as a source from whence blessing proceeded, as it often is in the Psalms. Ps. 87:2; Ps. 149:2; etc. The favoured people of God are often spoken of as DAUGHTERS OF ZION, Israel are constantly thus addressed in the Prophets, whether to be blamed for their waywardness and punished; or to be cheered with the prospect of future prosperity. And in these prophecies of their coming exaltation, Zion is referred to as the seat of the Messiah's royal power on earth, as in Isa. 52:1-8; Isa. 60:14; Heb. 12:22. In scripture Zion never means the church: it always signifies blessing on earth, and is specially in connection with Israel, when the ultimate blessing of the nations will be through Israel; nevertheless Christians now enter into its spiritual import as being under the reign of grace while here on earth. --- Morrish Bible Dictionary (삼하05:7, (왕상08:1, (왕하19:21, 대상(11:5, 대하(05:2, (시002:6, (시009:11,14, (시014:7, (시020:2, (시048:12, (시050:2, (시051:18, (시053:6, (시065:1, (시069:35, (시074:2, (시076:2, (시78:68, (시084:5,7, (시087:2,5, (시097:8, (시099:2, (시102:13,16,21, (시110:2, (시125:1, (시126:1, (시128:5, (시129:5, (시132:13, (시133:3, (시134:3, (시135:21, (시137:1,3, (시146:10, (시147:12, (시149:2, (아03:11, (사01:8, (사02:3, (사03:16, (사04:3, (사08:18, (사10:24, (사12:6, (사14:32, (사16:1, (사18:7, (사24:23, (사28:16, (사29:8, (사30:19, (사31:9, (사33:5, (사34:8, (사35:10, (사37:22, (사40:9, (사41:27, (사46:13, (사49:14, (사51:3, (사52:2, (사59:20, (사60:14, (사61:3, (사62:11, (사64:10, (사66:8, (렘03:14, (렘04:6, (렘06:2, (렘08:19, (렘09:19, (렘14:19, (렘26:18, (렘30:17, (렘31:6, (렘50:5, (렘51:10, (애01:4, (애02:1, (애04:2, (애05:11, (욜02:1,15,23, (욜03:16,17,21, (옵01:17, (옵01:21, (암01:2, (암06:1, (미01:13, (미03:10, (미04:2, (습03:14, (슥01:14, (슥02:7, (슥08:2, (슥09:9, (마21:5, (요12:15, (롬09:33, (롬11:26, (벧전02:6, (히12:22, (계14:1 lt=31.7774&ln=35.2349
1 다시스(Tarshish)
지명
jesus
3936 19 2006-12-29
▶ 다시스(Tarshish) 서바나 남방 지중해 연안에 있는 중요한 무역 시장으로 달시스(Tarshish)라고도 부른다. 그러나 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다. (1) 욥바 항에서 자주 선편이 있었다(사23:1-14). (2) 요나 선지자가 여호와의 명령을 거역하고 다시스로 도망하려다가 고기 배속에 들어가 3일간 있다가 나왔다(욘01:3, (욘04:2). (3) 여호사밧왕이 이스라엘의 아하시야 왕과 배를 지어 다시스로 보내려 하였으나 여호와가 그 배를 파선케 하시니 가지 못하였다(왕상22:48, (대하20 :35-36). (4) 옛날에는 다시스를 서단으로 생각하여 다시스의 배라 하면 먼 나라를 여행하는 배를 의미하였다(사66:19, (시072:10). ▶ 다시스로 가는 길(욘01:3) 니느웨로 가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라는 하나님의 말씀에 요나는 그러나로 반응을 했습니다. (왕하14:25에 보면 요나는 이스라엘이 크게 번성할 것이라는 것을 예언했던 선지자였습니다. 이스라엘이 크게 번성하게 될 것이라는 하나님의 말씀은 요나에게 달았고 요나는 그것을 신이나게 전했었습니다. 그리고 요나가 예언했던 대로 이스라엘은 아주 번성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주신 말씀은 이해를 할 수가 없었습니다. 니느웨는 자기들을 괴롭히는 원수의 나라 앗수르의 수도였기 때문입니다. 이해할 수도 없었지만 그대로 순종하기가 싫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이지만 자기의 생각과 너무 달랐기 때문에 이유를 달았습니다. 그러나 여러분, 하나님은 완전하신 분이시고,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은 다 완전하십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말씀은 절대적입니다. )고후1;20에 보면 '하나님의 약속은 얼마든지 그리스도 안에서 예가 되니 그런즉 그로 말미암아 우리가 아멘 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되느니라'고 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말씀 앞에는 아멘만 있어야지 그러나가 있어서는 안됩니다. 지난 주일에 말씀 드렸던 것처럼, 하나님께서는 정국의 불안과 6,7년이나 계속된 전염병과 또 대낮에 태양이 안보이게 되는 완전일식 등 여러가지를 통해 니느웨 사람들이 요나의 선포를 받아들일 준비를 해 두고 계셨었습니다. 그런데 요나는 자기 머리로만 생각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외쳐도 안되는 일인데 니느웨 사람들이 듣겠느냐는 것이었습니다. 도저히 될 수 없는 일 같았습니다. 다른 곳은 몰라도 니느웨는 결코 아닐 것이라고 하는 자기 생각과 자기 확신의 벽을 쌓아 놓았습니다. 그리고는 그것 때문에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하고 '그러나의 길'을 걸었던 것입니다. 아무리 불가능해 보인다고 하더라도 하나님의 말씀이 그렇다고 하면 되는 줄 믿어야 하고, 아무리 좋아 보여도 하나님의 뜻이 아니라면 포기해야 하는 것이 믿음입니다. 하나님의 말씀 앞에서는 자신의 모든 것을 버리고 포기해야 하는 것입니다. 양심적으로 살 것을 명하시는 하나님의 말씀 앞에서 '그러나 세상이 다 이렇게 악한데 어떻게 나 혼자만 그러 수가 있습니까? 그래 가지고야 어떻게 살 수 있겠습니까?'라고 해서는 안됩니다. 하나님 말씀에는 아멘이 있어야 할 뿐입니다. '그러나'의 조건부 신앙은 하나님의 길에서 벗어나게 합니다.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은 자신의 모든 것을 십자가에 못 박는 것입니다. 사도바울은 (갈02:20에서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산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신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몸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특별히 세례를 받는다는 것은 자기를 십자가에 못 박고 오직 주님을 나의 주인으로 모시고 살겠노라고 하나님 앞과 여러 증인들 앞에서 서약을 하고 선언을 하는 것입니다. (롬06:3이하에 보면 이렇게 말했습니다. '무릇 그리스도 예수와 합하여 세례를 받은 우리는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세례받은 줄을 알지 못하느뇨 그러므로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세례를 받음으로 그와 함께 장사되었나니 ...... 우리가 알거니와 우리 옛 사람이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것은 죄의 몸이 멸하여 다시는 우리가 죄에게 종노릇하지 아니하려 함이니' 했습니다. 성도는 옛날의 자신은 죽고, 하나님의 사람으로 다시 태어난 사람들입니다. 그러므로 옛날의 나는 없어진 것입니다. 여러분, 여러분의 주인은 누구이십니까? 하나님이십니까? 아니면 여러분 자신입니까? 또 하나님의 말씀을 그대로 다 아멘으로 받고 있으십니까? 아니면 가려서 들으십니까? 요나는 자기 철학과 자기 경험과 자기 생각과 자기 확신의 벽을 쌓아 놓고는 그것 때문에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했습니다. 결국은 큰 낭패를 당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성경은 (히02:1에서 '우리가 모든 들은 것을 더욱 간절히 삼갈지니 혹 흘려 떠내려 갈까 하노라'고 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 주시는 귀한 말씀을 보배처럼 받으시고, 말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마음속에 깊이 간직하시는 지혜로운 사람들이 되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2. 순조로운 길(3중-) (왕상10:22에 보면 '솔로몬 왕이 바다에 다시스의 배들을 두어 히람의 배와 함께 있게 하고, 그 다시스의 배로 삼년에 일차씩 금과 은과 상아와 잔나비와 공작을 실어 왔다'고 했고 (왕상22:48에 보면 '여호사밧왕이 다시스의 선척을 제조하고 오빌로 금을 취하려 보내려 했었다'고 했습니다. 또 (겔27:12에 보면 '다시스는 각종 보화가 풍부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다시스는 금은 보화 등 자원이 풍부한 곳이었습니다. 자원이 풍부하고 해운이 발달한 곳이라 거기에 따르는 죄악도 많았습니다. 시간이 없어서 성경을 일일이 찾아 읽어 드리지 못합니다만 주보에 인쇄해 드린 성경구절들을 보면 다시스는 늘 하나님의 심판의 대상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죄가 관영했던 곳이 확실할 것 같습니다. 오늘 본문인 욘1:3을 보면 한 절 말씀에 다시스란 이름이 세 번이나 언급되었습니다(3절-). 하나님의 니느웨가 싫어지면 세상의 다시스가 더 매력스럽게 생각되어 집니다. 요나가 니느웨로 가라는 하나님의 말씀을 들었을 때 곧 바로 다시스로 가기 위해 욥바항으로 내려 간 것을 보면, 요나는 이미 다시스에 대해 많은 것을 들어 다시스에 대해 상당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평소에도 다시스에 대해 들어왔었지만 그냥 지나쳤었습니다. 그런데 니느웨가 싫어지니까 요나의 기억 속에 숨어 있던 다시스에 대한 이야기가 꿈틀거리며 머리를 내밀었던 것입니다. 바로 죄라는 것이 그렇습니다. 우리 속에 잠재해 있다가 언제든지 기회가 오면 밖으로 삐치고 나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니느웨가 싫어지지 않도록 우리 자신을 잘 다스려 나가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에 꼭 매여 있어야만 하고, 늘 주님을 바짝 따라 가려고 애를 써야만 합니다. 요나가 다시스로 가려고 욥바항에 도책했을 때 그는 마침 다시스로 가는 배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요나의 이야기는 적어도 지금부터 2700년 전의 이야기입니다. 그러니까 당시에는 다시스로 가는 배들이 그렇게 자주 있지 않았습니다. 아까 보았던 (왕상10:22 말씀을 보면 솔로몬은 3년에 한번씩 그 곳에서 여러 가지 보화들을 실어 왔다고 했습니다. 그러니 다시스로 가는 배가 그렇게 자주 있지는 않았던 것이 분명합니다. 또 혹 정기적으로 운항하던 배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옛날에 그렇게 제 때에 맞추어 운항하는 것은 어려웠을 것입니다. 그런데 요나가 욥바항에 도착하니 때 마침 다시스로 출발하려는 배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 이것을 조심해야 합니다. (잠05:3에 보면 '음녀의 입술은 꿀을 떨어 뜨리며, 그 입은 기름보다 미끄럽다'고 했습니다. 하나님과 반대편으로 가는 죄의 길은 처음에는 그저 달콤하게만 느껴지고 만사가 형통하는 것처럼 생각되어 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잠언서를 계속해서 보면 꿀이 떨어지는 것 같고, 기름보다 미끄러운 것 같지만, '나중은 쑥 같이 쓰고 두 날 가진 칼 같이 날카롭게 된다'고 했습니다. 요나도 그랬습니다. 하나님의 명령과 반대로 가는 길이 마치 기계에 윤활유가 잘 쳐진 것처럼 순조롭게 되어 가는 것 같았습니다. 그러므로 여러분들도 불순종의 항구에서 '마침' 만나게 되는 배를 조심하셔야 합니다. 잠20:21 말씀에 보면 '처음에 속히 잡은 재물을 조심하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속히 잡은 재물이란 정당한 노력에 의해서 얻은 재산이 아니라 부정한 방법과 남을 속여서 얻은 재물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잠13:11에서는 망령되이 얻은 재물이라고 했습니다. 결국에는 그것이 그 사람에게 복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탐 하지 말라고 한 것입니다. 그 재물은 결국 그 사람의 인격을 파괴하고, 가정을 파괴하고, 근심을 가져올 뿐이기 때문입니다. 요나가 그랬습니다. 웬일로 일이 이렇게 척척 잘 되어가나 하고 좋아했을지 모릅니다. 사탄이 운행하는 배가 그렇습니다. 사람들이 다 탈때가지는 아주 공손합니다. 그러나 일단 내릴 수 없이 육지를 떠나 출항하고 나면 반드시 본색을 드러냅니다. 예수님께서 요10:10에서 '도적이 오는 것은 도적질하고 죽이고 멸망히키려는 것 뿐'라고 하셨습니다. 요나가 다시스로 가는 배의 선가를 주고 그 배를 탓다고 했습니다만 요나가 치른 선가는 그것이 다가 아니었습니다. 떠나기 전에는 적당히 받습니다. 그러나 그 불순종의 값이 얼마나 큰지는 그 배를 타고 바다 가운데 갔을 때에야 뼈가 저리게알게 되었습니다. 함께 / 하나님께 반대해 가는 길에는 함께 가는 사람도 많아 보여서 처음에는 안심도 심어 줍니다. 혹시 하나님의 뜻을 거역하는 길을 가고 있는데도 이 세상 사람들이 이렇게 다 가는데 뭘 두려워 하느냐고 여러분을 유혹하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다 그렇게 산다는 것 때문에 판단이 흐려져서는 안된다는 교훈입니다. 창세기에 보면 하나님께 범죄한 가인이 '여호와 앞을 떠나 에덴 동편 놋 땅에 거하였다'고 했습니다. 이 말은 에덴 동편에 놋이라고 불리우는 곳이 있었다는 말이 아니라 하나님을 떠나간 가인이 자기가 새로이 정착해 살곳의 이름을 놋이라고 지었다는 말입니다. 우리 성경에 설명을 해 준대로 '놋'이라는 말의 뜻은 유리방랑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이 말은 하나님의 간섭하시는 것에 불만을 품은 가인이 하나님 앞을 떠나가 살면서 이제는 하나님의 간섭을 받지 않고 벌 나비처럼 마음껏, 자유롭게 한번 멋있게 살겠노라고 한 가인의 인생철학을 말한 것입니다. 하나님 앞을 떠난 가인은 멋있게 살 것 같았습니다. 그러나 여러분 하나님 앞을 떠난 가인과 그 후손들의 삶이 어떻게 되었습니까? 참으로 불행하게만 되어져 갔습니다. 요나도 처음에는 모든 것이 순조롭게 되는 듯이 보였습니다. 다시스에 가면 어떻게 살 것인가, 어떻게 한 번 멋있게 살아볼까 하는 생각을 했을 것입니다. 또 모든 것이 풍부한 곳이니까 그곳에서 몇 년 동안 열심히 일하고 모으면 한 밑천을 크게 잡아 돌아올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꿈에 마음이 들떠 있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요나는 비싼 뱃삯만 낭비했습니다. (사66:19등을 참조해 보면 다시스는 당시로서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갈 수 있는 가장 먼 곳이었습니다. 그러니 모르긴 몰라도 뱃삯도 만만치는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요나는 뱃삯만 낭비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죽을 고생을 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에 반대로 가는 길은 아무리 순조로운 듯이 보여도 그 길은 결국에는 재물이 낭비되는 길이며, 시간이 낭비되는 길이며, 무엇보다도 한번밖에 살 수 없는 이 귀중한 인생이 낭비되는 길이다 하는 것을 꼭 명심하셔야만 합니다. 3. 내려가는 길(3하-) 불순종의 심리가 작용할 때 제일 먼저 나타나는 현상은 하나님낯을 피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오늘 본문 말씀인 3절에 보면 한 절에 '여호와의 낯을 피하려고'하는 말이 두 번이나 반복해서 나왔습니다. 요나는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것이 싫어서 가라고 하신 니느웨와 정반대인 다시스로 가기 위해 욥바로 내려 갔습니다. 여기 내려 갔다는 말은 지리적이거나 위치적인 표현만이 아니라 영적인 교훈이 담겨져 있습니다. 성도들은 독수리의 날개치며 올라감 같이 올라가야 하는데 내려 갔습니다. 요나는 다시스로 가기 위해 욥바로 내려가서 배로 내려 갔습니다. 우리말 성경에는 '다시스로 가려고 선가를 주고 배에 올랐더라'고, 올랐다고 번역이 되어 있습니다만 원문에는 욥바로 내려 갔다고할 때 쓴 말과 똑같은 단어가 사용되었습니다. (??? ) 영어로도 Went down to Joppa, Went down into ship라고 똑같이 Went down 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5절 말씀을 보면 요나는 다시 그 배 밑층으로 내려갔습니다. 그리고 2:6에 보면 결국은 바다 및 산의 뿌리가지 내려가게 되고 말았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하는 길은 혹 처음에는 잘나가는 것처럼 보일지 몰라도 결국에는 내려가는 길임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나를 떠나서는 너희가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하셨습니다. (양정중앙교회/손병인목사) 니느웨 / 욥바 참고 (왕상10:22, (왕상22:48, (대하09:21, (대하20:36, (대하20:37, (시048:7, (시072:10, (사02:16, (사23:1, (사23:6, (사23:10, (사23:14, (사60:9, (사66:19, (렘10:9, (겔27:12, (겔27:25, (겔38:13, (욘01:3, (욘04:2 lt=36.952995&ln=-6.3793402

.
성경연대표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14.세계선교 관련그림.지도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Ani
1창세기[Genesis] 2출애굽기[Exodus] 3레위기[Leviticus] 4민수기[Numbers] 5신명기[Deuteronomy] 6여호수아[Joshua] 7사사기[Judges] 8룻기[Ruth] 9사무엘상[I Samuel] 10사무엘하[II Samuel] 11열왕기상[I Kings] 12열왕기하[II Kings] 13역대상[I Chronicles] 14역대하[II Chronicles] 15에스라[Ezra] 16느헤미아[Nehemiah] 17에스더[Esther] 18욥기[Job] 19시편[Psalms] 20잠언[Proverbs] 21전도서[Ecclesiastes] 22아가[Song of Solomon] 23이사야[Isaiah] 24예레미야[Jeremiah] 5예레미아애가[Lamentations] 26에스겔[Ezekiel] 27다니엘[Daniel] 28호세아[Hosea] 29요엘[Joel] 30아모스[Amos] 31오바댜[Obadiah] 32요나[Jonah] 33미가[Micah] 34나훔[Nahum] 35하박국[Habakkuk] 36스바냐[Zephaniah] 37학개[Haggai] 38스가랴[Zechariah] 39말라기[Malachi] 40마태복음[Matthew] 41마가복음[Mark] 42누가복음[Luke] 43요한복음[John] 44사도행전[Acts] 45로마서[Romans] 46고린도전서[I Corinthians] 47고린도후서[II Corinthians] 48갈라디아서[Galatians] 49에베소서[Ephesians] 50빌립보서[Philippians] 51골로새서[Colossians] 52데살로니가전서[I Thessalonian] 53데살로니가후서[2 Thessalonian] 54디모데전서[I Timothy] 55디모데후서[II Timothy] 56디도서[Titus] 57빌레몬서[Philemon] 58히브리서[Hebrews] 59야고보서[James] 60베드로전서[I Peter] 61베드로후서[II Peter] 62요한일서[I John] 63요한이서[II John] 64요한삼서[III John] 65유다서[Jude] 66요한계시록[Rev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