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의 한글성경
  2. 오늘의 WEB성경
  3. 성경백과사전
  4. 관련서적들

-----Readed_count

-----Update

오늘 :
14,831 / 55,024
어제 :
21,082 / 342,679
전체 :
21,342,094 / 289,999,433
Mobile Bible, Bible Dictionary, Mobile iWorship, 구글Map 성경66권 사전 : -()-()--()-(,)-(,)-(,)-()--중간-(...)-

성경관련 백과사전 & Morrish Bible Dictionary

+ Blue Letter Bible/KJV + 개역한글 성경구절

성경 백과사전 테마별 (구약OT, 신약NT), 성경만화, 요리문답,
영어성경보기, 개역한글성경보기, NEWS, 어!성경
Morrish성경사전 (최신등록), WB.Study, 성경권별 지명연구(지도포함), 인물탐방 각종테마별 - 무게.길이.화폐, 12보석, 유대월력, 동물, (Birds), 식물, 나무, , Miracles(구약, 신약), 613율법Mitzvot, 이방신, 하나님, Tip: 영문장.절위로 커서를 옮기면 해당 KJV 성경 영문구절이 펼처집니다. (Gen. 1:1; Rev. 22:21;)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추천 등록일
Notice 공지 성경 속 전쟁 연대기 (The War Chronicles in the B... 파일
cyber
39880 2 2019-03-05
Notice 공지 TIDWELL BIBLE 21 연대표
jesus
72995 1 2016-12-14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NT 신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8837 1 2016-02-21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OT 구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9492 1 2016-02-21
Notice 공지 성경백과사전 권별.장별[Chapter] 관련내용보기 파일
jesus
87038 1 2015-05-04
3 분열왕국 시대
구약
jesus
21498 158 2007-01-05
이제 하나님의 징계와 왕국의 분열이 예언되었습니다. 솔로몬은 죽고 다음 세대 가 시작되었습니다. 솔로몬의 무거운 세금 아래서 고통 받던 백성들은 그 아들 르호보암이 세금을 경감하여 선정을 베풀기를 원했습니다. 그러나 르호보암은 지혜롭지 못하게 노인들의 진언을 버리고 젊은이들의 제안을 따라 백성들을 위협합니다. 이 일로 말미암아 왕국은 남북으로 분열되었고 르호보암은 18만의 병력을 동원하여 통일왕국을 유지하려 했으나 선지자 스마야의 말을 따라서 포기합니다. 왕국분열의 이유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유다 지파가 강성해 지파 간의 연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다른 지파들이 소외됨 2) 애굽의 왕 시삭이 솔로몬의 통치에 반대하는 인사들을 후원하여 솔로몬 왕국에 반체제 세력을 강화시킴 3) 르호보암의 그릇된 야망과 백성들의 신임을 잃음 The English Bible Story 1 . 왕국 분열의 이유 솔로몬은 통일왕국을 다스린 이스라엘의 세 번째 왕이자 마지막 왕이 됩니다. 그 는 다윗과 밧세바 사이에 난 자로 하나님의 전을 건축할 약속을 받은 사람입니다. 그는 하나님께 일천번제를 드리며 기도할 때, 지혜와 더불어 부와 영광을 약속 받았던(왕상 3장) 사람입니다. 봄에 성전 공사를 시작하여 7년 만에 완성 하여 하나님께 드렸던 그는 국방에서, 명성에서, 부에서 누구도 이루지 못한 영화를 누렸던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인생의 성공과 실패는 이 땅에서의 명성과 부로써 평가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는 우상 숭배자로 타락하였으여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하고 말았습니다. 르호보암과 여로보암 2. 북왕국 이스라엘 북왕국 이스라엘은 여로보암을 통해 세워졌습니다. 여로보암은 르호보암의 그릇 된 야망으로 돌아선 백성들을 규합하여 나라를 세웠습니다. 그러나 그는 하나님의 계명과 율법을 범하였고 계속되는 경고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죄를 저질렀습니다. 그리고 북왕국 이스라엘의 역사는 조상들이 심어 놓은 파멸의 열매를 거두는 것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한 사람의 운명, 또는 한 나라의 운명은 무엇을 심든지 그대로 거두는 것이 삶의 원리입니다. 1) 여로보암의 죄(왕상 12:25 - 14:20) - 백성들의 마음이 유다로 향할 것을 두려워하여 새로운 제사법 제정. - 하나님의 경고를 무시(벧엘에서 분향하는 왕을 책망, 아들이 병들었을 때 책망하며 파멸을 예언). 2) 오므리 왕조와 아합의 통치 수도를 '디르사' 에서 '사마리아' 로 옮기고 북왕국의 번성기를 열었던 오므리 왕과 그 아들 아합도 북왕국 이스라엘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왕들입니다. 나라는 부강하게 만들었지만, 온 백성으로 하여금 이방의 우상, 특히 아합의 왕비였던 이세벨을 통해 들어온 두로와 시돈의 우상 바알과 아세라를 음란히 섬기게 한 죄가 큰 왕들입니다. 오므리 왕조 시기는 군사적․ 물질적 번영기간으로 안정을 추구하여 국제 동맹을 맺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영적 타락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아합 왕 시대가 가장 타락한 시기였다면, 동시에 구약의 가장 위대한 선지자 중의 하나인 엘리야의 활약이 가장 돋보이던 시기라 할 수 있습니다. 열왕기상 17-21장 까지는 엘리야의 활약상이 나오는데, 우리가 주목해 보아야 하는 것은 바로 '홀로 선 자의 승리' 입니다. 그는 혼자인 듯 하나 하나님이 함께 하실 때, 850명의 이방 선지자들과의 대결하여 이길 수 있었습니다. 엘리야는 하나님의 승리는 숫자에 있지 않음을 우리에게 보여 줍니다. 엘리사(왕하 1-8장)는 은총의 선지자로 기적을 통하여 개인과 나라를 도운 사람입니다. 엘리사가 활동하던 시기는 이스라엘의 요람 왕이 통치하던 시대로 이 당시 시리아의 침공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엘리사가 구해 주었지만 요람 왕은 감사하기 보다는 오히려 엘리사를 죽이려 했습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엘리사는 구약의 예언자 중에서 가장 많은 이적을 행한 사람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3) 예후 왕조 - 선지자 요나와 아모스 예후는 개혁을 시도한 왕이었지만 그의 개혁은 불완전했습니다. 그는 바알 숭배를 심판하여 이스라엘의 요람과 이세벨, 아합 왕에 속한 자, 바알의 선지자들과 유다 의 아하시야 왕을 죽였습니다. 그러나 금송아지 숭배를 계속했습니다. 성경은 그의 개혁이 종교적인 동기가 아니라 정치적인 동기에서 이루어졌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왕하 10:29). 당시에 요나는 옛 왕국의 지경이 회복될 것을 예언했으며, 여로보암 2세에 의하여 그 예언은 실현되었습니다. :그 다음 활동한 선지자는 아모스입니다. 그는 사회정의가 서지 않은 나라와 도덕성이 없는 종교에 대한 심판을 말하였습니다. 4) 말기의 왕들과 호세아 북이스라엘의 말기는 정치적으로 무정부 상태이며 혼란의 시대였습니다. 이때에 '사랑의 선지자' 라 불리는 호세아는 사마리아의 멸망이 임박했음을 예언했으며, 여호와께 돌아오면 용서하시리라는 복음을 끊임없이 선포했습니다. 북이스라엘 왕국의 왕들 1.여로보암(931-909 /22년) ①솔로몬의 대신으로 왕을 섬기다가 노여움을 사서 애굽으로 도망. ②세겜에서 열 지파의 반란을 주도. ③거짓 종교로 이스라엘을 죄짓게 함. ④그의 이교 제단은 파괴되고 그의 팔은 마비되며 그의 아들은 그의 죄로 하나님의 치심을 당함. ⑤남왕국의 2대왕 아비얌에게 전장에서 패함. ⑥하나님으로부터 재앙을 입어 사망. 2.나답(910-908 /2년) ①여로보암의 아들.②바아사라는 반란자에게 피살. 3.바아사(909-885 /24년) ①나담을 죽여 선지자 아히야의 예언을 성취.②남왕국의 제 3대왕 아사와 싸워서 예루살렘과 교역단절.③여로보암의 가문과 마찬가지로 그의 가문도 그와 똑같은 심판을 받을 것이라는 예언을 들음. 4.엘라(885-883 /2년) ①바아사의 아들.②취중에 한 병사에게 피살. 5.시므리(885 /7일) ①바아사의 후손을 멸함으로써 예언을 성취.②궁전에서 포위당해 자결함. 6.오므리(885-873 /12년) ①사마리아를 북왕국의 수도로 삼음.②이때까지의 왕 중 가장 막강한 왕.③아들 아합을 이세벨과 결혼하도록 주선. 7.아합(878-852 /22년) ①그의 바알 숭배가 나라에 큰 기근을 초래함.②두번이나 수리아군을 결파하도록 허락받음.③경건한 왕 여호사밧을 꼬여 두 가지 타협-결혼 동맹과 군사동맹을 맺게함.④무수한 죄로 인한 자신을 죽음을 세 예언자들로부터 들음.⑤자신의 처 이세벨의 죽음은 선지자 엘리야에 의해 예언됨.⑥일시 적이고 순간적인 회개를 함..⑦수리아와의 전투에서 전사. 8.아하시야(853-851 /2년) ①아합과 이세벨의 맏아들.②여호사밧을 설들하여 에시온게벨 에서 공동으로배를 건조하도록 하였음.③사마리아에 있는 그의 궁전에서 떨어져 병들었음.④치유를 위하여 이방 신 바알세불에게로 돌아섬.⑤이로인해 엘리야로부터 비난을 받자 그 선지자를 체포하려고 하였음. 9.요람(여호람)(852-840 /12년) ①아합과 이세벨의 막내 아들.②여호사밧을 설득하여 동맹을 맺고 수리아와 대항..③선지자 엘리사가 전쟁에서 이기도록 기적을 베품.④후에 엘리사로부터 수리아의 복병을 조심하라는 경고를 받음.⑤엘리사는 그가 초자연적 사건으로 눈이 멀게 된 수리아의 군대를 도륙하지 말도록 말림.⑥나아만이 문둥병을 낫고자 하여 왔을 때 여호람은 왕위에 있었음.⑦하나님이 네 문둥병자를 시켜 사마리아를 기근에서 구출하도록 하셨을 떄 왕위에 있었음.⑧이스르엘 골짜기에서 예후에게 피살. 10.예후(841-813 /28년) ①엘리사가 보낸 사자로부터 기름부음을 받음.②유혈행위로 유명(처형한 사람 --유다왕 아하시야와 형제42인.북왕국 여호람.이세벨.아합의 아들 70인.바알 숭배자들) 11.여호아하스(814-797 /17년) ①예후의 아들.휘하 군대가 수리아군에 의하여 거의 섬멸됨.②자신의 죄에 대하여 짧은 기간 동안 후회하였으나 진정한 회개는 하지않음. 12.요아스(798-782 /16년) ①병상에 누운 엘리사를 찾아감.②전장에서 아마샤를 패배시킴.③아마샤의 오만한 요구를 조롱하기 위한 구약성서의 우화를 말함.④예루살렘을 약탈하고 많은 인질과 재물을 가져감. 13.여로보암 2세(793-753 /41년) ①북왕국왕중 최장기 통치.가장 막강한 왕중 하나.②이스라엘이 상실한 영토중 상당 부분을 회복. 14.스가랴(753 /6개월) ①예후의 4대손.②살룸이라는 폭도에게 피살.하나님이 예후에게 내린 예언이 성취됨. 15.살룸(752 /1개월) ①므나헴이라는 잔인한 병사에게 살해됨. 16.므나헴(752-742 /10년) ①이스라엘의 지독한 독재자 중의 한 사람.②앗수르 왕 디글랏 빌레셀을 은 1천 달란트로 매수. 17.브가히야(742-740 /2년) ①므나헴의 아들.군대장관 베가에게 피살. 18.베가(740-732 /20년) ①752-740동안 므나헴과 공동섭정기간.②앗수르에 대항하여 연합할 것을 거절한 유다에 보복하기 위해 수리아와 연합하였으나 실패함.③앗수르가 이스라엘 북부와 동부의 성읍들을 함락시킨 일이 그의 치세기간에 있었음.④호세아에게 피살. 19.호세아(732-721 /9년) ①이스라엘의 마지막 왕.②앗수르에 대항하여 애굽과 연합.이로인해 앗수르에 감금당함. 3. 남왕국 유다 1) 파멸의 씨앗 - 정략결혼(왕하 8:16-24) 여호람의 정략결혼은 바알 숭배의 길을 열었습니다(북왕국 아합의 딸 아달랴와 결혼). 결국 아달랴는 왕위를 찬탈하고 자신의 손자들인 왕자들을 모두 죽이고 바알 신을 퍼뜨렸다가 대제사장 여호야다에 의해 죽임을 당하게 됩니다. 2) 파멸의 재촉 - 하나님을 버림 아하스는 미가 선지자와 이사야 선지자의 권고를 무시하고 바알을 숭배하고, 영적, 윤리적 퇴폐, 가나인 족속의 가증한 행위, 어린이 제사 등을 일삼았습니다. 3) 파멸의 보증 - 가장 악하고 반역적인 왕, 므낫세 (왕하 21 :1 -18) 므낫세는 개혁자 히스기야의 아들이었으나 극심한 우상 숭배로 유다 왕 중에서 가장 악한 왕으로 기록되었습니다. 하나님은 이제 예루살렘에 대한 심판과 포로를 예고하였습니다 (왕하 21 :12-14). 4) 유다 말기의 종교개혁 - 요시야와 예레미야 (왕하 22:1 -23:30) 요시야는 개혁자로 종교 부흥을 시도하였습니다. 남왕국 유다에서 우상을 제하고 산당들을 헐어버렸습니다. 그는 북왕국 이스라엘 지경까지 가서 정화 작업을 하였으며, 산당의 제사장들을 죽이고 우상 숭배자의 해골을 불살랐습니다. 그러나 백성들은 마음 중심에서 회개치 않았습니다. 예레미야는 북에서부터 기울어진 끊는 가마의 환상을 보았습니다. 즉 재앙이 북에서부터 이 땅의 모든 거민에게 이틀 것을 보았던 것입니다(렘 1:13-14). 남유다 왕국의 왕들 1.르호보암(931-914 /17년) ①솔로몬의 아들.우둔함과 계교결핍 떄문에 내란 발생.②아내 열 여덟명과 첩 60명을 둠.가장 아끼는 아내는 아비살롬의 사악한 딸 마아가 였음.③재위 중 애굽 왕 시삭이 수도 예루살렘을 침범함. 2.아비얌/아비야(914-911 /3년) ①북왕국의 왕 여로보암을 전장에서 패배시킴(초자연적인 간섭덕택으로).②하나님의 도우심에도 불구하고 타락하여 사악한왕이됨. 3.아사(911-870 /41년) ①최초로 구원받은 유다왕.유다를 중흥시킴.위대한 건축자.②그의 기도를 하나님께서 구스의 대규모 공격으로부터 예루살렘을 구해주시는 것으로 응답하셨음.③우상을 숭배한 마아가에게서 태후의 위를 패함.④후에 타락하여 자신의 죄를 꾸짖은 선지자를 투옥함.⑤발병으로 죽음. 그는 여호와께서 이 병을 낫게 해주기를 구하지 않음. 4.여호사밧(873-848 /25년) ①율법교사를 전국에 보내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게 함.②불경한 북왕국의 세 왕과 타협함으로써 자신의 증거를 훼손시킴.③종교관리와 민정관리를 각각 임명하여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인정.④모압 족속의 침입으로 예루살렘이 위태로왔을 때 하나님께서 그의 기도를 들으시고 초자연적으로 관여해 주심. 5.여호람(853-845 /8년) ①아합과 이세벨의 딸 아달랴와 결혼.왕위에 오른 뒤 여섯 형제 살해.②선한 아우를 죽이고 포악한 정치를 베푼 까닭에 선지자 엘리야로부터 하나님의 심판을 받으리라는 예언을 들음.③블레셋 사람들과 아라비아 사람들이 공격을 받고 패배함.④무서운 병을 얻어 죽었으며 열왕의 묘실에 묻히지 못함. 6.아하시야(841 /1년) ①여호람과 아달랴의 아들.예후에게 피살 7.아달랴(841-835 /6년) ①아들 아하시야가 죽자 숨어버린 한 사람(요아스)를 죽이고 왕위에 오름.6년간 통치후에 처형당함. 8.요아스(835-795 /40년) ①아달랴의 유혈숙청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왕족.②한때 하나님을 위하여 살았으나 나중에 가서 잔인한 독재자로 변신.③유다의 대제사장이자 왕의 죄를 백성들에게 담대하게 알린 스가랴를 돌로 쳐죽이도록 명령.④왕궁 경비병에게 쳐형당함. 9.아마샤(796-767 /29년) ①부왕 요아스의 살해자들을 처형.②에돔과 싸울 이스라엘 용병을 사들임으로써 선지자의 질책을 받음.③용병을 사들인 것을 뉘우치고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유다 자체의 군대만으로 에돔을 물리침.④어리석게도 에돔의 신들을 섬길 목적으로 그것들을 들여왔음.⑤무분별하게도 북왕국 이스라엘에 선전포고를 하였다가 무참하게 패함. 10.웃시아(792-740 /52년) ①용맹스런 용사이자 건축자.제사장직까지 침해하려 하였다가 문둥병에 걸림. 11.요담(750-736 /16년) ①성전의 윗문을 건축하고 영채와 망대를 세움.②원수들을 쳐부수고 매년 엄청난 조공을 거둬들임. 12.아하스(735-719 /16년) ①유다에서 두번째로 악한 왕.아들을 우상의 제물로 바침.②동정녀 탄생에 대해 최초로 들은 사람.③앗수르 신의 제단을 세우도록 명령하고 다글랏 빌레셀을 기쁘게 하기 위해 그것을 성전에 둠. 13.히스기야(716-687 /29년) ①유다의 두번째 선한 왕.성전보수.솔로몬 이후 가장 성대한 유월절 행사.② 치명적인 병에서 초자연적으로 치유받아 15년 더 살게됨.③어리석게도 바벨론의 사신들에게 자신의 부를 자랑하였음. 14.므낫세(697-642 /55년) ①남왕국과 북왕국 모두를 합하여 가장 오래 집권한 왕.가장 사악한 왕.원수의 감옥에서 새로운 삶을 맞음. 15.아몬(643-641 /2년) ①므낫세처럼 사악했고 회개하지 않음.신복들에게 피살. 16.요시야/요시아(641-610 /31년) ①다윗 이래 가장 경건한 왕.유다의 마지막 경건한 왕.②유다 온 땅에 율법이 읽히도록 하였음.히스기야때보다 더 성대한 유월절 행사주관.③3백년 예언 성취.애굽과의 싸움에서 전사. 17.여호아하스(609 /3개월) ①요시야의 아들.느고에 의해 패위.애굽에 잡혀가서 죽음. 18.여호야김(609-598 /11년) ①요시야의 맏아들.바로에 의해 왕위에 오름.바벨론이 애굽을 이긴 후 느부갓네살의 신하가 됨.②하나님 말씀의 일부를 불태움.죽어서 시체가 마치 나귀처럼 취급받음. 19.여호야긴(598 /3개월) ①여호야김의 아들.에스겔과 예레미야는 그가 바벨론으로 잡혀 가리라고 예언.②느부갓네살 왕이 예루살렘을 두번째로 방문시 잡혀감.바벨론에서 죽음. 20.시드기야(597-586 /11년) ①요시야의 막내 아들.애굽과 바벨론에 대항.느부갓네살에 잡혀감.②예루살렘은 남김없이 불에 타고 성전도 파괴됨. TIDWELL-Chapter XIII. The Divided Kingdom. - The division of the kingdom. Comparison of the two kingdoms. Kings of the Northern kingdom. Kings of Judah. Important events in the history of Israel. Principal events in the history of Judah. Relation between the two kingdoms. Messages of the prophets of this period. Period lessons. Topics for discussion. TIDWELL-Chapter XIV. The Kingdom of Judah. - The kings of the period. Principal events of the period. Prophets of the period and their messages. Teachings of the period. False prophets. Great religious revivals of this period. Wealth and luxury. Contemporary nations. Period lessons. Topics for discussion. 930 南 르호보암의 등극 왕상 11:43 17년간 악정 南 열 지파의 반란 왕상 12:1-19 北 여로보암의 등극 왕상 12:20 22년간 악정 926 南 애굽왕 시삭의 침공 왕상 14:25 르호보암 제5년 北 여로보암의 우상숭배 왕상 12:25 913 南 아비얌의 등극 왕상 15:2 3년간 악정 南 제 1차 남북 전쟁 왕상 15:7-19 아비얌 제1년 北 남왕국 아비얌의 침입 대하 13:2-19 여로보암 제18년 910 南 아사의 등극 41년간 선정 왕상 15:8-15 北 나답 왕 등극 왕상 15:25 2년간 악정 909 北 바아사 왕 등극 왕상 15:33 24년간 악정 北 여로보암 왕가의 몰락 왕상 15:29 바아사 제1년 901 南 구스인 세라의 침입 대하 14:9-15 아사 제10년 895 南 북왕국 바아사의 침입 왕상 15:17 北 제 2차 남북전쟁 대하 16:1 바아사 제14년 886 北 엘라의 등극 왕상 16:8 2년간 악정 885 北 시므리의 모반 왕상 16:16 7일간 악정 北 오므리 왕의 등극 왕상 16:23 12년간 악정 880 南 하나니 선지자 활동 880-? 874 北 아합왕 등극 (비-이세벨, 딸-아달랴) 왕상 16:29 22년간 악정 872 南 여호사밧의 등극 왕상22:42 25년간 선정 北 엘리야의 사역 (875년?) 왕상 17:1-24 3년간 기근. 요단앞 그릿 시냇가, 까마귀 北 갈멜산상의 대결 바알 선지자 450명, 아세라 선지자 400명 왕상18:20-46 기근의 해갈. 브엘세바 광야의 로뎀나무. 산 호렙에서 하나님 의 명령 3가지-하사엘,예후, 엘리사에 기름 부우라 856 北 아람 왕 벤하닷의 사마리아 침입 길르앗라못 정복 왕상20:1-34 아합의 승리 853 南 여호사밧과 아합의 동맹 왕상22:1-4 북 400명의 거짓 선지자와 그나아나 아들 미가야 선지자의 예언 - 아람 침입 北 아람의 한사람이 무심코 쏜 화살에 맞아 아합이 길르앗라못에서 병거에서 서서히 죽음 왕상22:37 - 회개의 시간을 주었다. 신앙은 우연이 없다. 北 아하시야의 등극 왕상22:51 2년간 악정 852 北 여호람(요람)의 등극 왕하 3:1 12년간 악정 北 엘리야의 승천 왕하 2:1-11 北 엘리사의 사역 개시(848년?) 왕하 2:2-14 850 北 모압의 배반 왕하 3:5-27 여호람 제3년 848 南 여호람의 등극(처 아달랴) 왕하8:16 8년간 악정 北 나아만 장군의 치유, 엘리사 7번, 왕하5:1-27 845 南 에돔과 립나의 배반 왕하 8:20,22 北 아람 왕 벤하닷의 침입 왕하 6:24 842 南 블레셋과 아라비아의 침입 대하 21:16 841 南 아하시야의 등극 왕하 8:25 1년간 악정 南 아달랴의 섭정 왕하 11:1-3 6년간 악정 北 예후의 등극 왕하 9:1-10 28년간 악정 北 아합 집안의 멸망 왕하 10:1-7 예후 제1년 835 南 제사장 여호야다의 의거 왕하 11:4-16 南 요아스의 등극 왕하 12:1,2 40년간 선정 北 예후의 바알 숭배자 진멸 왕하 10:18 南 요엘 선지자 활동 (835-796) 814 北 여호아하스의 등극 왕하 13:1 17년간 악정 798 北 요아스의 등극 왕하 13:10 16년간 악정 北 아람 정복 왕하 13:25 797 北 엘리사의 사역 종결 왕하 13:20 796 南 아마샤의 등극 왕하 14:1,2 29년간 선정 南 에돔인 진멸 왕하 14:7 北 여로보암 II세의 등극 왕하 14:23 41년간 악정 793 北 요나 선지자 활동 793-753 790 北 남왕국 아마샤의 침입 왕하 14:8-14 요아스 제8년 南 제 3차 남북 전쟁 왕하 14:8-14 아마샤 제 6년 南 아사랴(웃시야)의 등극 왕하 15:1,2 52년간 선정 南 아사랴의 정복 사업 대하 26:6-15 783 살만에셀 4세의 앗수르왕 즉위 772 앗술단 3세의 앗수르왕 즉위 760 北 아모스 선지자 활동 암 1:1 760-755 759 北 요나의 니느웨 전도 욘 3:1-10 754 앗술니라리 5세의 앗수르왕 즉위 753 北 스가랴의 등극 왕하 15:8,9 6개월간 악정 752 北 살룸의 등극 왕하 15:10 1개월간의 악정 北 살룸 시해, 므나헴의 등극 왕하 15:17 10년간의 악정 751 南 요담의 등극 왕하 15:34 16년간 선정 748 北 앗수르의 침입 왕하 15:19 므나헴 제5년 746 北 호세아 선지자 활동 746-724 742 北 브가히야의 등극 왕하 15:23 2년간의 악정 740 南 이사야 선지자 활동 740-680 南 미가 선지자 활동 740-680 北 베가의 등극 왕하 15:27 20년간 악정 738 南 암몬 정복 대하 27:5 요담 제14년 735 南 아하스의 등극 왕하 16:1,2 16년간의 악정 733 南 북왕국 르신과 베가의 침입 왕하 16:5-9, 사 7:1 아하스 제8년 北 앗수르 제1차 침입 왕하 15:29 北 제 4차 남북 전쟁 왕하 16:5-9 베가 제19년 732 北 앗수르의 제2차 침입 다메섹의 함락 왕하 16:9 730 北 호세아의 등극 왕하 17:1,2 9년간의 악정 728 南 히스기야 등극과 종교개혁 왕하 18:1-8, 대하 29-32장 29년간의 선정 724 北 앗수르의 제3차 침입 왕하 17:3-5 호세아 제7년 722 北 북왕국 이스라엘의 멸망 왕하 17:6 호세아 제9년 앗수르왕 살만에셀 北 미가의 예언 성취 미 1:67 715 南 블레셋 정복 왕하 18:8 714 南 앗수르 산헤립의 제1,2차 침입 왕하 18:13 - 19:37, 대하 32:1 히스기야 제14년 앗수르 랍사게 - 남유다 엘리아김, 셉나, 요아 701 南 산헤립의 예루살렘 포위 697 南 므낫세 등극 왕하 21:1-15 55년간 악정 669 앗술바나팔의 앗수르왕 즉위 663 테베의 멸망 650 南 앗수르의 제 3차 침입 대하 33:11 므낫세의 포로됨 642 南 아몬의 등극 왕하 21:19 2년간 악정 640 南 요시아의 등극 왕하 22:1,2, 대하 34:1 31년간의 선정 南 나훔 선지자의 활동 640-630 南 스바냐 선지자 활동 640-630 627 南 예레미야 선지자 활동 렘 1:1 627-586 622 南 요시아의 성전수리 및 종교 개혁 왕하 22:3- 요시아 제18년 612 南 니느웨의 함락, 앗수르의 멸망 습 2:13-15 南 나훔의 예언 성취 나 2, 3장 南 힐기야의 율법책 발견 왕하 22:8, 대하 4:14 609 제1차 갈그미스전투 애굽 느고 대 바벨론 나보폴라살 전쟁 (애굽통치) 대하 35:20-36:5 무승부 南 애굽의 침입 요시야왕의 전사 왕하 23:29 요시아의 전사 南 여호아하스의 등극 왕하 23:30 3개월간 악정 南 여호아하스 왕이 애굽으로 잡혀감 왕하 23:33,34 608 南 여호야김의 등극 (애굽 왕이 옹위시킴) 왕하 23:34,36 11년간 악정 南 하박국 선지자 활동 608-597 605 南 2차 갈그미스 전투 왕하 24:1 제2차 애굽 대 바벨론(느부갓네살) 전쟁 대하 36:6, 왕상 24:1- 애굽의 패배 南 바벨론의 제1차침입 (1차포로-다니엘) 단 1:1-6 여호야김 제3년 南 다니엘 선지자 활동 605-536 604 南 두루마리 소화 사건 렘 36:20-32 여호야김 제5년 602 南 여호야김의 바벨론 배반 왕하 24:1 601 南 애굽과의 재동맹 렘 22:13-17 597 南 여호야긴의 등극 왕하 24:5-8 3개월간 악정 南 바벨론 제2차 침입 (2차포로-에스겔) 왕하24:10-16 여호야긴 제1년 南 시드기야의 등극 왕하 24:18 11년간 악정 南 시드기야의 바벨론 배반 왕하 24:20 593 南 에스겔 선지자 활동 (바벨론에서) 593-570 589 南 바벨론의 제3차 침입 왕하 25:1-7 586 南 남왕국 유다의 멸망 왕하 25:8-21 시드기야 제11년 南 바벨론 포로가 됨 (3차포로-시드기야) 왕하 25:8, 대하 36:17 南 하박국의 예언 성취 합 1:5-11 南 스바냐의 예언 성취 습 1:8-18 南 예레미야의 사역 종결 렘 39:1-18 南 오바댜의 사역 시작? 583 南 오바댜의 사역 종결? 구약성경개관 - 08BiblePeriod
2 족장시대
구약
jesus
18880 181 2007-01-05
성경에서 이 부분은 주요한 네 인물을 중심으로 한 족장시대로,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고난을 이겨낸 믿음의 사람들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1. 아브라함: 믿음으로 선택받고 언약의 기초가 된 믿음의 조상 (창 12-23장) 2. 이삭: 순종함으로 언약의 계보를 이어감 (창 24-26장) 3. 야곱: 하나님을 향한 특심함으로 약점을 극복하고 복을 받음(창 27-36장) 4. 요셉: 섭리 가운데 준비하선 하나님의 연단을 이겨냄으로 언약에 따라 이스라엘을 거대한 민족으로 일궈낸 지도자 (창 37-50장) * 언약이란? '언약' 이라는 단어는 성경 전체에 흐르고 있는 중요한 주제이다. 언약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계약이 아니다. 계약은 두 사람 사이 혹은 집단 사이의 합의 사항이다. 그러나 언약은 하나님과 그의 백성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하나님이 그 언약관계를 주도하시고 규정하신다. 백성․들은 다른 조건이나 계획을 제시할 수 없고, 단지 받아들이느냐 거절하느냐의 선택권이 있다. 하나님의 축복은 인간의 신뢰와 순종에서 온다. '언약- 이란 단어는 성경에서 약 296번 사용되었다. 구약에서는 언약이라는 단어가 쎄리트라고 발음 되는데 그것은 '서약' , '계약' . '쪼개놓은 짐승의 조각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만들어진 맹약, 동맹, 연맹' 을 의미한다. The English Bible Story 1 . 아브라함 - 하나님의 ( 선택 )과 아브라함의 ( 순종 ) (창 12-23)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역사를 시작하시기 위해서 누군가를 택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당시 75세였던 아브라함을 택하셨고. 그의 삶의 근거였던 땅을 떠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면서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세 가지 언약을 주셨습니다. 첫째, '너로 큰 민족을 이루고 복을 주어 네 이름을 창대케 하겠다' 둘째, '내가 이 땅(가나안)을 네 자손에게 주리라' 셋째, '땅의 모든 족속이 너로 인하여 복을 얻는 복의 근원이 되게 하겠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이러한 약속을 믿고 하란을 떠났지만 당장 눈앞에 보이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민족을 이룬다는 약속을 받았지만 칠십오세가 되었어도 아들 하나 없었고. 주신다는 땅을 가보았지만 심한 기근으로 결국 애굽으로 내려가야만 했습니다. 자신으로 인해 다른 사람들이 복을 받는다는 것은 생각지도 못했습니다. 그러나 아브라함을 실현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약속을 믿었고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삶을 살고자 노력했습니다. 결국 하나님께서는 언약의 시초가 되는 이삭을 주셨고. 약속을 이뤄가게 됩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선택하셨을 뿐만 아니라, 그의 순종이 진심인지 알고 싶으셨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시험하셨습니다.. "시련" (test) 과 "시험" (temptation) 아브라함이 당했던 시험을 영어로는 'test' 라고 할 수 있다. 성경에는 또 다른 시험이 나온다. 그것은 예수님이 당하셨던 시험으로 영어로는 'temptation' 이라고 한다. 이것은 시험하는 자의 의도 자체에 '불순' 이라는 의미 가 내포되어 있다.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다보면 이 두 가지의 시험을 모두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현재 당하는 시험이 어떤 종류에 속하는 시험인지를 지혜롭게 분별해야 한다. 그리고 이것이 나를 'test' 하는 것이라면 감사함으로 받고 이겨야 할 것이다. 그러나 나를 유혹하는 'temptation' 이라면 하나님의 말씀과 믿음으로 물리쳐야 할 것이다 2. 이삭 - 순종으로 이어진 언약의 계보(창24-26장) 쌍둥이 두 아들을 낳고 차자인 야곱에게 장자의 축복을 주었습니다. (창 27:18-29) 이삭은 평생을 조용히 살아간 인물입니다. 족장시대의 네 인물 가운데 이삭처럼 무난하면서도 조용한 삶을 살다간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나 이삭은 어린 시절 인간 제물의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철저히 하나님과 아버지의 언약을 믿고 순종한 사람이었습니다. 또한 그는 하나님의 언약을 순종으로 이어간 사람이었습니다. 이삭은 모리아 산의 제사 경험을 통하여 다시 한 번 그의 이름의 의미를 되새기게 된다. 자기의 생명 대신에 예비하신 한 마리의 양으로 인하여 다사 살아나게 된 생명, 그는 이러한 은혜의 체험으로 인하여 다시 한껏 기뻐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이 은혜가 동기가 되어 가는 곳마다 하나님께 제단을 쌓고 이상적 가정의 장막을 차며 자신과 이웃의 번영을 위하여 우물을 파는 자가 되었다 이러한 이삭의 모습에서 우리는 참 신자상을 찾아볼 수 있다. 3. 야곱 - 약점을 이겨낸 하나님께 대한 특심 (창 27-36장) 야곱은 이스라엘의 조상 아브라함의 손자이며, 아버지 이삭과 어머니 리브가 사이에서 태어난 에서의 쌍둥이 동생입니다. 그의 이름은 '발꿈치를 잡았다' 는 뜻으로 경쟁적이며 투쟁적인 성품의 소유자임을 발해 줍니다. 야곱은 태어날 때부터 그리고 축복을 받기 위해 끈질긴 투쟁을 벌임으로 그의 삶은 투쟁의 삶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의 삶의 여정이 복잡했던 만큼이나 이동 지역 또한 넓었고, 생의 마지막을 애굽에서 맞은 그런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다른 이름인 '이스라엘' (하나님과 겨루어 이김)을 통해 비열함과 투쟁성과는 다른 하나님을 향한 특심한 마음이 그에게 있었음을 보게됩니다. 인간적인 약점에도 불구하고 그는 하나님을 향한 열정으로 살았고 그 모습을 보시고 하나님께서는 야곱에게 다음과 같은 엄청난 축복을 약속하셨습니다. "나는 여호와니 너의 조부 아브라함의 하나님이요 이삭의 하나님이라 너 누운 땅을 내가 너와 네 자손에게 주리니 네 자손이 땅의 티끌같이 되어서 동서남북에 편만할지며 땅의 모든 족속이 너와 네 자손을 인하여 복을 얻으리라' (창 28:13-14). 이스라엘은 비로소 그의 아들들을 통하여 열두 지파를 이루게 되었습니다. 이제 창세기 30:1-13에 등장하는 아곱의 열두 아들의 이름을 찾아봅시다. 1.르우벤 2.시므온 3.레위 4.유다 5.단 6.납달리 7.갓 8.아셀 9.잇사갈 10.스불론 11.요셉 12.베냐민 ※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는 야곱의 열두 아들에서 나온다. 그러나 가족에서 지파로 형성되는 과정 중에 약간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먼저 레위는 제 사장의 직무를 담당하기 때문에 지파에서 빠지게 된다. 그리고 요셉의 두 아들 므낫세와 에브라임이 열두 지파에 포함되게 된다. 에브라임은 차자였지만 야곱의 축복에 의해 므낫세보다 더 강한 지파가 된다. 그래서 열두 지파는 야곱의 열두 아들 중 레위와 요셉이 빠지고 므낫세와 에브라임이 포함되게 된다. 4. 요셉 - 연단을 거쳐 하나님의 언약을 구체화한 완벽한 지도자 (창 37장-50장) 요셉이라는 이름은 '그는 더하실 것' 이라는 뜻입니다. 요셉은 라헬의 첫 번째 아들이며, 야곱의 열한 번째 아들입니다. 그는 성품이 온유하고 의로운 사람이었으며 매우 총명한 사람이었습니다. 요셉은 야곱이 사랑하는 아내 라헬을 통해 늦게 얻은 아들이었기에 아버지의 총애를 받으며 자랐습니다. 그러나 해와 달과 볕들이 자기에게 절하고, 열한 단의 곡식단이 자기에게 절하는 꿈을 형들에게 말함으로 미움과 시기를 받았습니다(창 37:3-11). 요셉은 그 형들이 도단에서 양을 칠 때 그들의 안부를 알기 위해 형들의 목장을 찾아갔습니다. 이때 형들은 요셉을 죽이기로 결의하였고 르우벤의 제의에 따라 구덩이에 넣었으며, 다시 유다의 제의로 미디안 상인들에게 은 20을 받고 팔았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진행되는 모든 과정에 하나님의 놀라운 섭리가 포함되어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그 후 요셉은 애굽의 장관 보디발의 집에 종으로 들어가게 되었으나 보디발의 아내의 끈질긴 유혹을 거절하여 누명을 쓰고 옥에 갇히게 됩니다. 결국 이렇게 반복된 고통은 애굽의 총리가 되는 첩경이 되었습니다. 총리가 된 후 그는 자신의 가족들을 애굽 고센 땅에 이주시키는데 성공하였고, 아버지 야곱의 장례식을 애굽의 국장과 같이 치릅니다. 요셉 또한 110세에 이르러 세상을 떠났으나 모세가 그의 유골을 들고 나와 세겜에 안장하였습니다. 이처럼 요셉은 하나님의 섭리 속에서 수많은 연단을 거친 후에 정금 같이 나온 인물로. 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을 구체화한 지도자였습니다. 이제 아브라함의 후손은 애굽의 고센 땅에서 씨족의 모습에서 벗어나 이스라엘 민족으로 거듭날 수 있는 모든 조건을 갖추었고, 하나님께서 정하신 때에 약속의 가나안 땅으로 들어가게 될 것입니다. 요셉은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들 가운데 사람은 물론 하나님 보시기에도 가장 완벽한 인물이었습니다. 그의 초반 삶은 가족의 배신과 억울한 옥살이 등으로 고통 받았지만 총리가 되어 가뭄에서 가족과 세상을 구원했고 출애굽이라는 구약 제일의 사건에 기틀을 닦은 인물로 남았습니다. TIDWELL-Chapter IV. From Abraham to Egypt. - Events of the period. Purpose of the narrative. Conditions of the times. Confirmations of Biblical records. Experiences of Abraham. The character of Abraham. The character and career of Isaac. Stories about Jacob. Stories about Joseph. Death of Jacob and Joseph. Social and religious conditions of the times. The book of Job. Lessons of the period. Topics for discussion. 2166년 아브라함의 출생 창11:26 초기 청동기시대 말기 2110 노아 죽음 (아브람 56세때) 아브라함의 우르에서 하란 이주 창11:31 아브라함의 아버지 데라의 사망 창11:32 아브라함의 소명과 1차 언약 창12:1-3 우르 제3왕조 (B.C.2113 - 2006) 시대 2091 아브라함의 하란출발 창12:4 아브라함의 나이 75세 아브라함의 가나안 도착 창12:5 아브라함이 세겜에서 단을 쌓음 창12:6-7 벧엘과 아이 사이에서 단을 쌓음 창12:8 아브라함의 애굽이주 실수 창12:10-20 아브라함의 가나안 땅 귀환 창13:1-4 롯이 아브라함을 떠남 창13:5-13 2차 아브라함 언약 창13:14-18 2082 가나안 남북전쟁 창14:1-12 아브라함의 롯 구출 창14:13-16 아브라함에 대한 멜기세덱의 축복 창14:18-20 3차 아브라함 언약 창15:1-5 아브라함의 칭의 창15:6 믿음으로 의롭다 함 받은 최초의 언약 3차 횃불 언약 체결 창15:7-21 2080 이스마엘 출생 창16:1-16 4차 아브라함 언약 창17:1-8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언약 관계 약속 ? 욥이 고난 받음 욥1:12-19, 2:7-11 엘리바스, 빌닷, 소발, 엘리후 ? 욥이 축복받음 욥42:10-15 ? 욥의 죽음 욥42:17 2067 할레 언약 체결 창17:9-14 이삭의 출생 예언 창17:15-22 아브라함의 할례 수행 창17:23-27 아브라함의 세 천사 대접 창18:1:15 소돔에 대한 아브라함의 중보기도 창18:22-33 소돔과 고모라의 심판 창19:1-28 모압과 암몬족속의 기원 창19:30-38 아브라함의 블레셋 이주 실수 창20:1-18 2066 이삭의 출생 창21:1-7 이스마엘이 이삭을 희롱 함 창21:8-9 하갈과 이스마엘의 추방 창21:10-21 아브라함과 아비멜렉의 동맹 창21:22-34 이삭 희생 제사와 5차 언약 창22:1-19 2029 사라의 장례와 막벨라 땅 매입 창23:1-20 2026 이삭의 결혼 창24:1-67 믿음으로 의롭다 함 받은 최초의 2006 에서와 야곱의 출생 창25:21-26 1991 아브라함의 죽음 창25:7-11 에서가 장자의 명분을 팜 창25:27-34 이삭의 블레셋 이주 실수 창26:1-11 블레셋인들과 우물 분쟁 창26:12-22 브엘세바에서 제단을 쌓음 창26:23-25 이삭과 아비멜렉의 동맹 창26:26-33 야곱이 이삭의 축복을 훔침 창27:1-29 1929 야곱의 하란 도피 창28:1-7 벧엘의 사닥다리 꿈 창28:10-22 야곱이 밧단 아람에 도착함 창29:1-14 1922 야곱의 결혼 창29:15-30 야곱이 라헬과 결혼하기 위해 14년을 봉사함 1918 유다의 출생 창 29:35 1915 요셉의 출생 창 30:24 1909 야곱 일가의 가나안 귀향 창31:17-20 야곱이 밧단 아람에서 총 20년간을 체류함 (창29:20, 30, 31:38, 41) 라반의 추적 창31:21-42 라반과 야곱의 언약 창31:43-55 얍복강가(브니엘)에서 천사와 씨름함 창32:24-32 에서와 야곱의 상봉 창33:1-17 디나 강간과 세겜 학살 사건 창34:1-31 야곱의 벧엘 제사 창35:1-15 베냐민의 출생과 라헬의 죽음 창35:16-20 야곱이 기럇아르바(헤브론)에 저항 창35:27 야곱의 요셉 편애 창37:1-4 요셉의 두가지 꿈 창37:5-11 1898 요셉이 애굽으로 팔려감 창37:12:36 요셉의 나이 17세 애굽의 중왕국(약 B.C. 2133-1786) 시대로 추정됨 보디발 가의 총무가 됨 창39:1-6 1888 보디발 처의 요셉 모함 창39:7-23 1887 바로의 두 관원장들의 꿈과 그 해석 창40:1-23 요셉은 최소한 3년 이상을 옥에 갇힘 (창41:1) 1886 이삭의 죽음 창35:28-29 1885 바로의 꿈과 해석 창41:1-36 요셉의 애굽총리 등극 창41:37-46 요셉의 나이 30세 1884 7년의 풍년 창41:47-53 1877 7년의 흉년 창41:54-47:28 야곱의 아들들의 1차 재회 창42:1-38 1876 야곱의 아들들의 2차 재회 창43:1-45:20 이스라엘 가문의 애굽 이주 창46:1-7 야곱의 나이 130세 야곱 가족의 고센 땅 거주 창47:1-12 1859 야곱의 죽음 창47:27-31, 창49:33 야곱의 나이 147세 애굽에서 17년을 거함 1805 요셉의 죽음 창50:26 요셉의 나이 110세 구약성경개관 - 02BiblePeriod
1 정복시대
구약
jesus
17734 169 2007-01-05
정복시대 - 소유와 율법 출애굽 사건은 약속된 땅 가나안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노예였던 히브리 백성, 땅이 없어 광야를 떠돌던 백성이 이제 자신들의 땅을 소유하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들에게 땅을 주셨을 뿐만 아니라 율법도 함께 주셨습니다. 이제 이들은 새로운 땅에서 거룩하신 하나님께 나아가는 법과 함께 살아가는 법 을 알아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이 필요를 충족시키시려고 장막 가운데서 모세를 부르시고 그의 백성이 장막 가운데 계시는 하나님께 나아가는 법과 하나님과 동행하는 법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이러한 법을 가르쳐 주심은 그분이 백성의 진중에 거하시면서 그들에게 계속하여 복을 주시기 위함이었습니다. 중요한 사실은 하나님께서 이들에게 땅을 주시기 전에 거룩한 백성이 되는 법을 먼저 알려 주셨다는 것입니다. 성경은 '소유와 율법' 이 동일선상에 있음을 분명하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The English Bible Story 하나님께 나아가는 법 세가지 (레위기 1-17장) - 제사, 대제사장, 결례 하나님께서 주시는 법 중에 전제하는 것이 있습니다. ․ 하나님은 거룩하시다 (레 20:3, 7, 26). ․ 사람은 죄인이며 하나님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레 5:3). ․ 자비하신 하나님께서 사람이 그에게 나아가는 길을 주셨다 ․ 하나님께서는 그의 백성에게 요구하시는 삶의 수준이 있다. 1. 제사를 통하여 (레위기 1 - 17) ① 번제(레 l:5-l7. 6:8-13) ․ 제사의 상징: 완전한 헌신 ․ 번제물: 소. 양, 염소(흠 없는 수컷). 새(집, 산비둘기 새끼) ․ 제사방법: 가죽을 벗기고 각을 뜨고 단 위에서 모두 태운다. ② 소제(레 2:1-16, 6:14-23) ․ 제사의 상징 : 단 하나의 피 없는 제사로 하나님께 감사함으로 봉사한다. ․ 번제물: 땅의 소산 ․ 제사방법: 곡식의 구운 가루를 기름과 유향과 소금을 쳐서 화제로 드리며 꿀이나 누룩을 섞을 수 없다. ③ 화목제(레 34-17, 7:1-34) - 로마서 (롬 5:1)을 읽어보십시오. ․ 제사의 상징: 하나님과의 교제 ․ 번제물 : 소 , 양 (흠없는 수컷), 염소 ․ 제사방법: 드려진 죄인의 제물을 이웃과 나누어 먹을 수 있는 제사 ④ 속죄제(레 4:1-5:13, 6:24-30) ․ 제사의 상징: 하나님 앞에 지은 죄를 대속. 고범죄는 해당되지 않는다. ․ 번제물: 제사장과 온 회중은 흠 없는 수송아지 , 족장은 수염소, 평민은 암염소, 어린 양의 암컷, 산 집 비둘기 새끼 , 고운 가루 ․ 제사방법: 피를 성소장 앞에 7번 뿌리고 향단 뿔에 바르고 남은 피 전부를 번제단 밑에 쏟는다. ⑤ 속건제 (레 5:14-6:7, 7:1-7) ․ 제사의 상징: 성물에 대한 죄나 인간 대 인간의 죄를 속함 ․ 번제물 : 흠 없는 수양 ․ 제사방법: 사람에 대한 피해 보상을 하는 것이 속건 제물을 드리는 전제 조건 ** 제사 5가지- 번제, 소제 ,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 2. 대제사장을 통하여(레 8 - 10장) 대제사장은 하나님과 죄인 사이의 중보자입니다. 그러므로 이스라엘의 대제사장 은 더 나은 중보자 되신 그리스도에 대한 예표입니다. 3. 성결케 함으로(레 11-17장) ① 육체적인 정결(레 11-15장): 회막에 계시는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몸을 정결하고 거룩하게 지켜야 했다. 이로 인하여 하나님께서는 먹을 수 있는 음식, 질병, 출산, 죽은 시체 등에 대한 규정을 하셨다. 이렇게 육체적으로 깨끗함을 유지함으로 하나님께 나아가 예배를 드릴 수 있었다. ② 영적인 정결(레 16-17장) - 속죄일 하나님의 자비와 은총이 가장 강하게 표현되는 날 대제사장이 지성소에 들어가는 일 년 중 단 하루의 날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가 사함은 받는 날 히브리 예배의 세 요소 - 기억, 속죄, 감사 이스라엘의 7대 절기 --- 유무초 오나속초 1 . 유월절(레 23:4-5) (고전 5:7) 히브리어로는 '넘어가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니산월(아빕월, 1월) 14일 해질 무렵, 나흘 전에 준비한 수양을 구워 무교병과 쓴 나물과 함께 먹고 그 피를 문설주에 바르고 아침까지 남은 것은 불에 태워 버린 다. 애굽이 하나님의 진노로 장자를 잃는 열 번째 재앙을 당할 때 구원받은 것과 해방을 기념하는 날이다. 2. 무교절(레 23:6-8) (고전 5:7,8) 히브리어로는 맛차로. 니산월(아빕월, 1월) 15일부터 7일 동안(21일 까지) 누룩이 없는 무교병을 먹는다. 절기의 이름도 이 누룩 없는 떡을 먹는다하여 무교절이라 불리웠다. 무교절이 시작되는 첫 날과 마지막 날은 '성회' 로 백성이 모이고 노동을 하지 못했으며 매일 하나님께 화제를 드렸다 3. 초실절(레 23:9-14) (고전 15:20) 초실절은 히브리어로 바쿠림이라 불리며 무교절 기간 중에 있는 절기로, 유월절 후 첫 안식일 다음 날이다. 추수 전에 곡식의 첫 이삭 한 단을 하나님께 드리는 절기로써 양식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하는 날이다. 초실절 예물을 하나님께 드리기 전에는 떡이나 볶은 곡식, 생 이삭이라도 먹지 않았다. 4. 오순절(=칠칠절=맥추절) (레 23:15-21) (행 2:1-47) (고전 12:13) (엡 2:11-22) 히브리어로는 솨부아 '맹세하다' 라는 뜻으로 밀을 수확할 수 있도록 복 주신 하나님께 감사하는 날이다. 칠칠절은 초실절로부터 50일째에 해당하는 날로써 보통 시완월(3월) 6일경이 된다. 이 날은 하루만 절기로 지키는데 성회를 공포하고 노동이 금지되며 하나님께 번제를 드렸고 수염소 한 마리를 속죄제로 드렸다. 특이한 것은 모든 절기에는 누룩이 없는 무교병을 쓰지만 칠칠절만은 누룩을 넣은 유교병을 소제로 사용한다. 5. 나팔절(레 23:23-25) 나팔절은 티쉬리월(7 월) 1일로 유대 민간력으로는 1월에 해당하는 새해 첫날이다. 이 날은 나팔을 하루 종일 일정한 간격으로 불었으며 성회가 선포되고 노동을 금했다. 그리고 속죄제로 수염소 한 마리를 드렸다. 6. 속죄일(레 23:26-32) (히 9:25, 26) 이 날은 성회가 선포되고 노동을 금하며 마음을 괴롭게 하는 날로 티쉬리월( 7월) 10일이다. 특별히 연중 이 날만 대제사장이 지성소에 들어갔다. 그리고 하나님을 위한 수염소와 아사셀을 위한 수염소를 드렸다. 7. 초막절(레 23:33-34) 수장절, 장막절이라고도 불린다. 티리쉬월(7월) 15일부터 8일 동안 행해진다. 초막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을 나와 광야에 머물었던 것을 기념하는 동시에 풍성한 수확을 허락하신 하나님께 감사하는 절기이다. 첫날과 여덟째 날에는 성회로 모이고 노동이 금지되었으며 각 날마다 그에 상응 하는 제사를 드렸다. 믿음과 순종을 통한 약속의 실현 - 땅의 소유 1 . 땅의 진입 - 믿음과 순종에 의한 진입(수 I -4장) 하나님께서는 여호수아에게 모든 백성과 더불어 요단강을 건너라고 명령하셨을 뿐만 아니라 약속의 말씀을 주셨습니다(수 1:1-9) 이스라엘은 믿음과 순종으로 요단강을 건너갑니다(수 3:1-5:1). - 시기적으로는 물이 언덕까지 넘치는 때 - 제사장들이 언약궤를 매고 요단강에 들어가라는 명령 - 언약궤는 하나님의 임재 - 백성들은 믿음과 순종으로 도강 (물이 끊어진 후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2. 땅의 정복 - 믿음과 순종을 통한 정복 (수 5―12장)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을 정복하기 전에 하나님께서는 두 가지를 요구하셨습니다. '할례'를 받을 것과 '유월절' 을 지키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에서도 동일하게 믿음 과 순종' 이라는 도식이 성립됩니다. ․ 믿음 - 할례와 관계된 하나님의 언약(땅의 소유)을 믿을 것입니다(창 17:1-14) ․ 순종 - 적을 앞에 두고 도강 후 배수진을 치고서 며칠 동안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육체적 수술을 단행한 것입니다. ․ 여리고 성의 점령은 믿음과 순종에 의한 승리입니다(수 6:3-9; 히 11:30). ․ 반면 아이 성의 패전은 하나님의 은혜를 잊은 자만심(수 7:3)과 하나님의 언약 을 어긴 아간의 죄(수 7:10-12, 20-21) 때문이었습니다. 3. 땅의 분배 - 믿음과 순종을 통한 소유(수 13 -22장) '땅의 완전한 소유" 역시 믿음과 순종이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4. 여호수아 생애의 종결 - 믿음과 순종을 다짐함(수 23-24장) 여호수아는 생의 마지막 순간에 세겜에서 언약을 새롭게 다짐합니다. 세겜은 아브라함에게 가나안 땅을 처음으로 약속한 장소(창 12:6-7)요, 야곱이 단을 세운 곳(창 33:20)이기도 합니다. 여호수아는 전쟁을 통한 삶의 질곡 속에서도 확신하는 것이 있었는데 그것은 하나님은 분명하게 믿음을 가지고 순종하는 자들을 실망시키지 않았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제 삶을 마감하는 순간에 여호수아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권고합니다. 하나님께 나아가는 것은 유월절 어린양으로 우리를 대속하여 주신 예수그리스도의 보혈의 피의 공로를 입어야만 가능합니다. 그리고 의롭게 된 백성들도 주님의 구원하여 주심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매일 매일의 삶이 필요하며 시기를 따라 주님께 나아가는 특별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말씀을 따라서 거룩한 삶을 살고 믿음으로 이 모든 것에 순종하고 나갈 때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형통케 하시며 우리가 짓지 않은 집을 주시고 우리가 심지 않은 것을 먹게 하실 것입니다. TIDWELL-Chapter VIII. Joshua's Conquest. - The facts of history recorded. The story in three parts. The land of Canaan. Crossing Jordan and fall of Jericho. The complete conquest of Canaan. Cruelty to the Canaanites. Character and work of Joshua. Period lessons. Topics for discussion. 1405 여호수아에 대한 권고와 요단강 도하 준비 수 1:1-18 여리고 정탐과 기생 라합의 도움 수 2:1-24 여호수아의 이적으로 인한 요단강 도하 수 3:1-17 1월 11일 길갈에 진을 침 수 4:19-24 전민족의 할례 의식과 유월절 준수 수 5:2-12 1월 14일(유월절 이행) 여리고 성 정복 수 6:1-21 1차 아이성 정복 실패 수 7:1-26 아간의 범죄와 처형 아이성 정복과 축복, 저주의 율법 선포 수 8:1-35 에발산에서 단을 쌓음 남부 지역 왕들의 동맹 수 9:1,2 기브온과의 화친 조약 수 9:3-27 남방 왕들의 기브온 침입과 이스라엘의 원군 수 10:1-27 태양을 멈춘 여호수아의 기도 여호수아의 남방 지역 점령 달성 수 10:28-43 북부 지역 왕들의 동맹 수 11:1-5 여호수아의 북부지역 점령 수 11:6-15 메롬 물가 전투 아낙 사람들을 진멸함 수 11:21-23 1400 가나안 땅(요단 서편땅)의 분배 수 14:1-19:51 갈렙의 영토(기업) 요구 수 14:6-15 갈렙의 나이 85세, 가데스 바네아 실로에 성막을 세움 수 18:1 정탐꾼 파견 이후 45년 요단 서편 도피성 설치 수 20:1-9 요단 동편 이미 설치되어 있었음 (민35:6) 레위인들의 48개 성읍 배정 수 21:1-40 요단 동편 지파들의 제단 건축 수 22:10-34 1390 여호수아의 유언 설교와 죽음 수 24:1-31 향년 110세 구약성경개관 - 05BiblePeriod

.
성경연대표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14.세계선교 관련그림.지도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Ani
1창세기[Genesis] 2출애굽기[Exodus] 3레위기[Leviticus] 4민수기[Numbers] 5신명기[Deuteronomy] 6여호수아[Joshua] 7사사기[Judges] 8룻기[Ruth] 9사무엘상[I Samuel] 10사무엘하[II Samuel] 11열왕기상[I Kings] 12열왕기하[II Kings] 13역대상[I Chronicles] 14역대하[II Chronicles] 15에스라[Ezra] 16느헤미아[Nehemiah] 17에스더[Esther] 18욥기[Job] 19시편[Psalms] 20잠언[Proverbs] 21전도서[Ecclesiastes] 22아가[Song of Solomon] 23이사야[Isaiah] 24예레미야[Jeremiah] 5예레미아애가[Lamentations] 26에스겔[Ezekiel] 27다니엘[Daniel] 28호세아[Hosea] 29요엘[Joel] 30아모스[Amos] 31오바댜[Obadiah] 32요나[Jonah] 33미가[Micah] 34나훔[Nahum] 35하박국[Habakkuk] 36스바냐[Zephaniah] 37학개[Haggai] 38스가랴[Zechariah] 39말라기[Malachi] 40마태복음[Matthew] 41마가복음[Mark] 42누가복음[Luke] 43요한복음[John] 44사도행전[Acts] 45로마서[Romans] 46고린도전서[I Corinthians] 47고린도후서[II Corinthians] 48갈라디아서[Galatians] 49에베소서[Ephesians] 50빌립보서[Philippians] 51골로새서[Colossians] 52데살로니가전서[I Thessalonian] 53데살로니가후서[2 Thessalonian] 54디모데전서[I Timothy] 55디모데후서[II Timothy] 56디도서[Titus] 57빌레몬서[Philemon] 58히브리서[Hebrews] 59야고보서[James] 60베드로전서[I Peter] 61베드로후서[II Peter] 62요한일서[I John] 63요한이서[II John] 64요한삼서[III John] 65유다서[Jude] 66요한계시록[Rev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