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의 한글성경
  2. 오늘의 WEB성경
  3. 성경백과사전
  4. 관련서적들

-----Readed_count

-----Update

오늘 :
11,336 / 43,514
어제 :
20,066 / 256,139
전체 :
21,048,588 / 285,343,462
Mobile Bible, Bible Dictionary, Mobile iWorship, 구글Map 성경66권 사전 : -()-()--()-(,)-(,)-(,)-()--중간-(...)-

성경관련 백과사전 & Morrish Bible Dictionary

+ Blue Letter Bible/KJV + 개역한글 성경구절

성경 백과사전 테마별 (구약OT, 신약NT), 성경만화, 요리문답,
영어성경보기, 개역한글성경보기, NEWS, 어!성경
Morrish성경사전 (최신등록), WB.Study, 성경권별 지명연구(지도포함), 인물탐방 각종테마별 - 무게.길이.화폐, 12보석, 유대월력, 동물, (Birds), 식물, 나무, , Miracles(구약, 신약), 613율법Mitzvot, 이방신, 하나님, Tip: 영문장.절위로 커서를 옮기면 해당 KJV 성경 영문구절이 펼처집니다. (Gen. 1:1; Rev. 22:21;)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추천 등록일
Notice 공지 성경 속 전쟁 연대기 (The War Chronicles in the B... 파일
cyber
36939 2 2019-03-05
Notice 공지 TIDWELL BIBLE 21 연대표
jesus
70414 1 2016-12-14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NT 신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6382 1 2016-02-21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OT 구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6719 1 2016-02-21
Notice 공지 성경백과사전 권별.장별[Chapter] 관련내용보기 파일
jesus
84627 1 2015-05-04
12 호밥(Hobab)
인물
jesus
1807 22 2006-12-28
▶ 호밥(Hobab) 뜻: 사랑하는 자 (1) 미디안 인으로 모세의 처남이다. 모세가 동행하면 후대하겠다고 하였으나 불응하고 고향으로 갔다(민10:2-30). (2) 그를 모세의 장인이라고도 하였다(삿04:11). ▶ 호밥 Hobab. [Ho'bab] This name occurs only in Num. 10:29 and Judges 4:11. He was apparently the father-in-law of Moses, and if so he is the same as Jethro. See JETHRO. (민10:29 모세가 그 장인 미디안 사람 르우엘의 아들 호밥에게 이르되 여호와께서 주마 하신 곳으로 우리가 진행하나니 우리와 동행하자 그리하면 선대하리라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복을 내리리라 하셨느니라 (삿04:11 모세의 장인 호밥의 자손 중 겐 사람 헤벨이 자기 족속을 떠나 게데스에 가까운 사아난님 상수리나무 곁에 이르러 장막을 쳤더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11 헤벨, 에벨(Heber)
인물
jesus
1913 4 2006-12-28
▶ 헤벨(Heber) 뜻: 협력 [1] 마셀사람(창46:17, (민26:45, (대상07:31). [2] 겐사람. 야엘의 남편(삿04:17, (삿05:24). 그는 유다 남쪽의 유목인 대장장이 족속을 떠나 갈릴리 바다 서쪽 게데스 가까운 지방에 살았다. [3] 유다 사람(대상04:18). [4] 베냐민 사람(대상08:17). ========▶ Heber. [He'ber] 1. Son of Beriah, a son of Asher, and head of the family of the HEBERITES, Gen. 46:17; Num. 26:45; 1 Chr. 7:31, 32. (창46:17; 아셀의 아들 곧 임나와 이스와와 이스위와 브리아와 그들의 누이 세라며 또 브리아의 아들 곧 헤벨과 말기엘이니 (민26:45; 브리아의 자손 중 헤벨에게서 난 헤벨 가족과 말기엘에게서 난 말기엘 가족이며 (대상07:31, 32. 브리아의 아들들은 헤벨과 말기엘이니 말기엘은 비르사잇의 아비며 헤벨은 야블렛과 소멜과 호담과 저희의 매제 수아를 낳았으며 2. A Kenite, of the family of Hobab: he was husband of Jael who killed Sisera. Judges 4:11, 17, 21; Judges 5:24. (삿04:11, 17, 21; 11모세의 장인 호밥의 자손 중 겐 사람 헤벨이 자기 족속을 떠나 게데스에 가까운 사아난님 상수리나무 곁에 이르러 장막을 쳤더라, 17시스라가 도보로 도망하여 겐 사람 헤벨의 아내 야엘의 장막에 이르렀으니 하솔 왕 야빈은 겐 사람 헤벨의 집과 화평이 있음이라, 21그가 곤비하여 깊이 잠든지라 헤벨의 아내 야엘이 장막 말뚝을 취하고 손에 방망이를 들고 그에게로 가만히 가서 말뚝을 그 살쩍에 박으매 말뚝이 꿰뚫고 땅에 박히니 시스라가 기절하여 죽으니라; (삿05:24. 겐 사람 헤벨의 아내 야엘은 다른 여인보다 복을 받을 것이니 장막에 거한 여인보다 더욱 복을 받을 것이로다 3. Son of Jehudijah, of the tribe of Judah. 1 Chr. 4:18. (대상04:18.이는 메렛의 취한 바로의 딸 비디아의 아들들이며 또 그 아내 여후디야는 그돌의 조상 예렛과 소고의 조상 헤벨과 사노아의 조상 여구디엘을 낳았으며 4. Head of a family in the tribe of Gad. 1 Chr. 5:13. (대상05:13. 그 족속 형제에는 미가엘과 므술람과 세바와 요래와 야간과 시아와 에벨 일곱명이니 5. Son of Elpaal, a Benjamite. 1 Chr. 8:17. (대상08:17. 스바댜와 므술람과 히스기와 헤벨과 6. Son of Shashak, a Benjamite. 1 Chr. 8:22. (대상08:22-25. 이스반과 에벨과 엘리엘과 압돈과 시그리와 하난과 하나냐와 엘람과 안도디야와 이브드야와 브누엘은 다 사삭의 아들들이요 7. Son of Sala in the genealogy of the Lord Jesus. Luke 3:35. Called EBER in Gen. 10:24; 1 Chr. 1:18; etc. (눅03:35. 그 이상은 스룩이요 그 이상은 르우요 그 이상은 벨렉이요 그 이상은 헤버요 그 이상은 살라요 (창10:24; 아르박삿은 셀라를 낳고 셀라는 에벨을 낳았으며 (대상01:18; 아르박삿은 셀라를 낳고 셀라는 에벨을 낳고 --- Morrish Bible Dictionary
10 이드로(Jethro)
인물
jesus
2779 9 2006-12-28
▶ 이드로(Jethro) 뜻: 유명하다 (1) 시내반도 동편 아가바만 서안에 거주하는 미디안의 제사장으로서 모세의 장인이다 (출03:1, (출04:18, (출18:1). (2) 르우엘 혹은 호밥이다(출02:18, (삿04:11). (3) 그는 여호와 신을 섬기는 제사장이었다(출18:12) ▶ 이드로는 「탁월하다」「유명하다」는 뜻입니다. 아랍부족의 추장이며 시내반도 동편 아카바만 서쪽 해안의 미디안의 제사장이었습니다. 별명은 르우엘(출2:18 하나님의 벗)과 호밥(삿4:11)이었고 모세의 장인이었습니다. 이방나라의 제사장으로 원래 종교심이 많고 덕망있는 사람이었습니다. 신앙은 달라도 선견지명이 있어 모세를 사위로 맞아들였고 모세를 통해 영적감화를 받기도 하였습니다. 모세가 이방 제사장의 집에 동거하였는데도 영적으로나 신앙면에서 마찰이 없었던 것을 보면 열등한 이방종교 생활을 정리하고 개종의 결단을 갖은 것 같습니다. 모세를 직접 간접으로 수없이 지원하였고 협력하였습니다.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출애굽 했을 때 모세의 자녀들을 데리고 모세를 방문하게 됩니다. 이 때에 이드로는 여호와 하나님께 번제물과 희생 제물로 제사를 드리게 됩니다(출18:12). 이는 이드로의 영적변화를 확인시켜준 장면입니다. 또한 통치와 재판을 위해 율법과 법도를 가르치고 재덕이 겸전하며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자로 천부장과 백부장과 오십부장, 십부장 제도를 제안했습니다. 율법을 아는 자와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자로 일꾼을 삼으라고 한 것은 이드로의 신앙을 대변합니다. 교훈과 적용 첫째 이드로와 같이 새로운 종교적인 결단이 필요할 때는 자신을 뛰어 넘는 선택의 용기를 가져야 합니다. (교훈과 적용)
9 에브라임(Ephraim)
인물
jesus
5491 12 2006-12-27
▶ 에브라임(Ephraim) (1) 애굽에서 출생한 요셉의 차자(창41:51-52). (2) 야곱이 12지파에 참예시키기 위하여 축복할 때 그의 형 므낫세 보다 앞세우려고 오른 손을 에브라임의 머리에 왼손을 므낫세의 머리에 얹고 축복하였다(창48:13). (3) 여호수아 드보라 압돈 사무엘이 모두 에브라임의 후손들이다. - (민13:8, 16, (삿04:5, (삿12:15, (삼상01:1). ----------------------------------------------- 1. 요셉(Joseph)의 둘째 아들. 2. 에브라임의 자손들과 그들의 영토. 관련성구 (창41:52 (창46:20 (창48:1 창 48:5 창 48:13 창 48:14 창 48:17 창 48:20 (창50:23) (민01:32) 이스라엘 12지파 - 르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 스불론, 잇사갈, 단, 갓, 아셀, 납달리, 요셉 (에브라임, 므낫세), 베냐민 ======== ▶ Ephraim. [E'phraim] Second son of Joseph and Asenath. The name is also given to the tribe of which he was the head, and also to the district of Palestine that fell to his lot. When Israel blessed the two sons of Joseph he set Ephraim before his elder brother, saying he should be greater, and his seed should become a multitude (or, 'fatness') of nations. Gen. 48:17-19. Little is recorded of Ephraim personally; and of his descendants, Joshua the son of Nun is the most renowned. The tribe on the second year from the Exodus numbered in fighting men 40,500; but had decreased during the forty years to 32,500. Num. 1:33; Num. 26:37. (민01:33 (민26:37 The territory of the tribe was in the heart of Palestine, having Manasseh on the north, Benjamin on the south, and Dan on the west. It has beautiful valleys and noble mountains with many springs and streams. Its two principal towns were Shiloh and Shechem. Ephraim had the place of the first-born (Jer. 31:9), the birthright being taken from Reuben and given to Joseph. 1 Chr. 5:1, 2. Also the place of the tabernacle was in the tribe of Ephraim, hence we find in the time of the judges this tribe asserting its own importance. They were angry with Gideon for not calling them to the war sooner than he did; but a soft answer appeased their wrath. Judges 7:24; Judges 8:1-3. Again they complained to Jephthah that he had gone without them to fight the Ammonites, though Jephthah declared that he had called them, and they had not responded. They also haughtily said of the Gileadites that they were fugitives of Ephraim, implying that they were not a tribe, but belonged to Ephraim, from whence they had escaped. The conflict was sharp; the Gileadites seized the ford of the Jordan, and then by putting all who wanted to pass to the test of pronouncing Shibboleth (which the Ephraimites could only call Sibboleth) they slew 42,000 of the men of Ephraim. Judges 12:1-6. Thus was this proud and envious tribe punished for molesting their brethren, whereas they had not driven out the heathen inhabitants of the land, as they should have done. Judges 1:29. Type of many in the church who in pride contend with their brethren, but do not fight God's battles against spiritual wickedness. Later on the Lord forsook Shiloh, and chose, not the tribe of Ephraim, but that of Judah both for the place of royalty and for the sanctuary. (렘31:9 (대상05:1,2 (삿07:24; (삿08:1-3 (삿12:1-6 (삿01:29 In the kingdom under David and Solomon we read very little of Ephraim, but it is twice called in the Psalms 'the strength (or defence) of mine head.' Ps. 60:7; Ps. 108:8. At the division of the tribes Ephraim took the most prominent place; Shechem and Samaria being in their territory naturally contributed to this, and accounts for the ten tribes being constantly called 'Ephraim' by the prophets. In the same way the two tribes are called 'Judah.' Hosea 5:3, 5, 13, 14, etc. Isaiah prophesied that in sixty-five years Ephraim should be broken and should not be a people. Isa. 7:8. This was in B.C. 742, and Samaria was taken and Israel carried into captivity in B.C. 721, so that the prophecy doubtless referred to Esarhaddon planting a colony of foreigners in Samaria in B.C. 678, which fulfils the sixty-five years. This also agrees with the prophecy saying 'the head of Ephraim ' is Samaria. (시060:7; (시108:8 (호05:3, 5, 13, 14, (사07:8 In the prophecies also that refer to the future blessing of the twelve tribes Ephraim is regarded as representing the ten tribes. Ezek. 37:16-22, where the twelve tribes are to become one nation in their own land, with one king over them: a prophecy which clearly has never yet been fulfilled, but which will surely be accomplished in God's own time. (겔37:16 --- Morrish Bible Dictionary ------------------------------------ 창세기 (창 48:8∼20) 에브라임은 「풍성하다」는 뜻이다. 요셉의 차자인데 제사장 보디베라의 딸 아스낫의 소생이다. 요셉은 므낫세와 에브라임 두 아들까지 가나안 땅에서 기업을 분배받았기 때문에 다른 지파보다 두배나 기업을 얻게 되었다. 또한 야곱(Jacob)은 므낫세와 에브라임이 손자인데도 아들로 삼아 그들에게도 족장의 이름을 붙였다. 그러나 므낫세보다 에브라임이 더 창대하고 더 큰 축복을 받을 것으로 야곱의 오른손을 에브라임의 머리에 얹어 예언하였다. 요셉은 애굽에서 1백10세를 사는동안 에브라임 자손 3대를 보았다. 에브라임 지파는 세겜에 도피성을 갖게 되었고 사마리아 지역의 비옥한 땅 절반이 이 지파의 소유였다. 예루살렘의 시온산(다윗성)에 성전을 건축하기까지 성막이 실로에 있었는데 이 실로가 에브라임 땅이어서 에브라임 지파가 더 영향력 있는 지파가 되었다. 여호수아와 사사 드보라, 압돈, 제사장 사무엘이 에브라임 지파 사람으로 그 지파의 명예를 높이고 있다. 또 이렇게 훌륭한 많은 인재들이 그 지파 출신이였다는 것은 야곱이 축복한 결과였으리라. 그러나 에브라임 지파에게 병폐와도 같고 오명과 같은 사건이 있었다. 그 하나는 기드온이 미디안과 싸우고 또 입다가 암몬과 싸워 승전했을 때에 동참하지 않고 불평하다 도륙을 당한 사건이다. 또 하나는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이 이 지파 출신으로 죄인의 상징이 되었다. -------------------------------------------------------------------------------- 에브라임… 민족대표된 차남… 후손들 분열 ‘오명’ ◇장자의 축복을 받은 풍성한 자 ( 형보다 높임을 받은 아우-에브라임 ) 애굽 땅에서 총리가 된 요셉이/두 아들을 낳았다/장자의 이름은 므낫세/차자의 이름은 에브라임 야곱의 임종이 가까웠을 때/요셉과 두 아들/족장 야곱을 찾았네/언약의 축복 기도를 받기 위해서라네 그러나 어쩐 일인가/장자 므낫세의 머리 위에 올려질 야곱의 오른손이/차자 에브라임의 머리 위에 올려졌도다/이 광경에/요셉이 놀라고 당황했네 차자이면서 장자의 축복을 받은 자여/하나님의 풍성한 축복을 받았도다/그 이름 그대로/‘풍성함’의 에브라임이라 장자의 축복을 받아 누린 에브라임이여/하나님을 찬양하라/풍성한 축복에 감사하라 그러나/그대의 후손들,에브라임 지파가/언약의 유다 왕국에 대항하여/예루살렘 성전을 멀리 떠나갔도다/북방 땅에 우상의 제단을 만들어 섬겼도다 차자로서 장자의 축복을 받은 자/넘치도록 풍성한 축복을 받은 자/어이하여/하나님을 섬기지 못하고/배반과 불순종의 슬픈 길을 걸었는가/오늘까지 쓰라린 실패의 길을 걷고 있는가 ◇에브라임-복에 복을 더하여 받은 풍성한 인물 그는 누구인가? 에브라임은 요셉의 차남이다. 애굽 땅에 노예로 팔려온 요셉이 오랜 역경 후에 마침내 뜻을 이뤄 애굽의 총리가 되었을 때,요셉은 애굽의 유력한 제사장의 딸인 아스낫과 결혼하게 되는데, 그녀를 통해 장남 므낫세에 이어 두 번째로 낳은 아들이 에브라임이다(창 41:52).에브라임의 이름 뜻은 ‘풍성함’인데, 이것은 요셉이 모든 고생 끝에 애굽 땅에서 풍요로움을 얻었다는 의미에서 지은 이름이다. 이렇게 에브라임은 아버지의 고생으로 일군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난 복된 인물이다. 차자이면서 장자의 축복을 받은 인물 애굽 총리의 풍성한 집안에서 둘째 아들로 복되게 태어난 에브라임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조부(祖父)인 야곱으로부터 형 므낫세를 제치고 장자의 축복까지 받게 된다. 이어서 야곱의 아들들의 반열에까지 오르게 된다(창 48:8-20). 이것은 에브라임이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중 한 지파로서 당당하게 세워졌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더 나아가 후에 에브라임 지파는 정복한 가나안의 넓은 땅을 지파의 기업으로 분배받는다. 이처럼 에브라임은 더 이상 풍성해질 수 없을 정도로 복에 복을 더하여 받은, 이름 뜻 그대로 ‘풍성한’ 인물이 된다. 에브라임의 길, 패망의 길 그렇다면 에브라임은 하나님의 크신 축복에 감사하면서 겸손한 자세로 이웃에게 도움이 되는 삶을 살아야 했다. 받은 바 풍성함을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나눠 쓰는 봉사의 삶을 살아야 했다. 하지만 이후 에브라임 지파의 역사는 그렇지 못했다. 사사 시대에는 이방인의 침략을 받아 도움을 호소하는 다른 지파의 요청을 거절하는 배타성을 보였다. 솔로몬의 죽음 이후 왕국이 분열될 때에는, 왕권의 축복을 받은 유다 지파에 대항하여 유다와 베냐민 지파를 제외한 북쪽 지방의 열 지파를 규합하여 북왕국 이스라엘을 세워 그들의 지도적인 지파가 되었다. 이후로 에브라임 지파 중심의 북왕국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땅에 이방의 제단을 세우고 우상을 섬겼으며, 이방인들과 무분별하게 교류하는 가운데 선민의 거룩한 특성을 상실하는 등 점차적으로 하나님에게서 멀어져 갔다. 그 결과, 마침내 북왕국은 하나님의 진노를 사서 앗수르에 의해 멸망당하고 이방 나라로 뿔뿔이 흩어지는 추방과 패망의 길을 걷고 만다. 하나님이 주신 풍성함의 복을 배타적이고 이기적으로 사용하여 실패한 지파의 슬픈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김영진<성서원 회장> (교훈과 적용)
8 야엘(Jael)
인물
jesus
1448   2006-12-27
▶ 야엘(Jael) 뜻:산양 겐 사람 헤벨의 처(삿04:17). 이스라엘과의 전쟁에서 패주하여온 시스라를 자기 장막 중에서 죽임으로 이스라엘측의 칭찬을 받았다(삿 5:24). 그 전말은 산문과 운문으로 기록되어 있다(삿04:17-22, (삿05:24-27). ▶ 야엘 Jael. [Ja'el] Wife of Heber the Kenite, a descendant of Jethro, father-in-law of Moses, who was head of an Arab clan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north of Palestine. When Sisera's army was defeated by Barak and Deborah, he left his chariot and fled on foot to the tent of Jael, whose husband was at peace with Jabin. Jael invited him into her tent, and bade him not to fear, gave him milk to drink, and covered him up. Being weary he fell asleep, and Jael with a hammer drove a tent-peg through his temples till it entered the ground. Judges 4:17-22; Judges 5:6, 24. (삿04:17-22 시스라의 죽음 (삿05:06 아낫의 아들 삼갈의 날에 또는 야엘의 날에는 대로가 비었고 행인들은 소로로 다녔도다 (삿05:24 겐 사람 헤벨의 아내 야엘은 다른 여인보다 복을 받을 것이니 장막에 거한 여인보다 더욱 복을 받을 것이로다 Great indignation has been expressed at this act of Jael, and even Christians have blamed her severely; but it was foretold that Jehovah would "sell Sisera into the hand of a woman;" and immediately after the deed, it is added, "So God subdued on that day Jabin the king of Canaan before the children of Israel." And Deborah, in her song of praise, pronounced Jael to be "blessed above women." It is clear from this song that Sisera was an enemy not only of God's people, but of the Lord Himself, for she prophetically utters the words, "So let all thine enemies perish, O Lord." Compare Num. 10:35. Hence God empowered Jael to take his life — as He had led Joshua in some instances to destroy the women and children of the places conquered by him. Where an act is clearly the execution of God's righteous judgement, it rises altogether above what would be justifiable under ordinary circumstances of hospitality or of warfare. Of course in some instances the thing accomplished may be according to the will of God, but not the way in which it is effected. (민10:35 궤가 떠날 때에는 모세가 가로되 여호와여 일어나사 주의 대적들을 흩으시고 주를 미워하는 자로 주의 앞에서 도망하게 하소서 하였고 --- Morrish Bible Dictionary
7 야빈(Jabin)
인물
jesus
6531 4 2006-12-27
▶ 야빈(Jabin) 뜻:깊이 생각함 [1] 가나안의 하솔 왕인데 에돔 강 부근에서 여호수아에게 패하는 동시에 살 해를 당하였다(수11:1-15). [2] 역시 하솔 왕으로 그가 20년간 이스라엘을 압제하다가 바락과 드보라의 사사와 다볼산 아래서 그 대장 시스라가 싸우다가 대패하였다 (삿04:2-24). ▶ 야빈 Jabin. [Ja'bin] 1. King of Hazor in the north, who, with confederate kings, raised an enormous army 'as the sand that is upon the sea shore,' but was signally defeated by Joshua, after he had overthrown the confederacy in the south. Joshua 11:1-11. Thus early in the history of Israel the kings of the south and the north appear on the scene, and perish. (수11:1-11 메롬 물가에서 가나안 북부 지방을 격퇴하다 2. Another king of Hazor, who oppressed Israel twenty years; he was defeated by Deborah and Barak. Judges 4:2-24. Ps. 83:9 calls upon God to do to the great northern confederacy in the last days as was done to this king. (삿04:2-24 사사 드보라와 발락 (시083:9 주는 미디안인에게 행하신 것같이, 기손 시내에서 시스라와 야빈에게 행하신 것같이 저희에게도 행하소서 --- Morrish Bible Dictionary
6 아비노암(Abinoam)
인물
jesus
1307 4 2006-12-27
▶ 아비노암(Abinoam) 사사 바락의 부친이다(삿04:6). ======== Abinoam. [Abin'oam] Father of Barak. Judges 4:6, 12; Judges 5:1, 12 --- Morrish Bible Dictionary
5 시스라(Sisera)
인물
jesus
1820 11 2006-12-27
▶ 시스라(Sisera) 뜻:전장을 배열함 [1] 하솔 왕 야빈의 군대장관(삿04:2). 드보라와 바락의 군사에게 패하여 달아나다가 야엘에게 암살되었다(삿 4:12-24). 그러나 다른 곳에는 시스라 자신이 독립한 왕인것 처럼 되어 있다(삿05: 28, 30), (삼상12:9). [2] 스룹바벨의 인솔하에 귀국한 느디님 사람의 일가의 이름(스02:53), (느07:55) ▶ 사사기 4∼5장 시스라는 「전장을 배열한다」는 뜻이다. 그는 여호수아의 생전에 점령하지 못한 가나안의 왕 야빈의 군대장관이었다. 가나안은 부족국가로서는 큰 힘을 과시하는 위협적인 나라였다. 하솔에 도성을 정하고 철병거 9백승을 소유할 만큼 큰 병력을 가진 나라로 자주 이스라엘을 괴롭혔다. 그러나 우상숭배등 종교적인 타락과 도덕의 부패로 하나님이 야빈과 시스라의 하솔왕국을 심판하게 되었다. 하나님이 세운 여사사 드보라와 바락에 의해 기손강변에서 이스라엘에 완패했다. 이때에 시스라가 병거에서 내려 도보로 도주하다가 겐 사람 헤벨의 집에 피신하였는데 반갑게 영접했던 헤벨의 아내 야엘에 의해 말뚝에 찍혀 비참하게 죽었다. 이는 사사기 4장9절에 예언된 예언의 성취였다. 하솔왕과 헤벨은 화친한 사람으로 우의가 깊었는데 그들 사이에 이렇게 끔찍한 사건이 벌어진 것은 인간은 상황과 분위기와 위치에 따라 자기에게 유익한 대로 무섭게 변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사사 드보라가 야엘의 행위에 대해 크게 칭찬하고 축복한 것을 보면 야엘은 하나님께 쓰임받은 하나님편에 선 지헤로운 사람이었다. 사람이 세상을 사는데 있어 올바른 판단력과 처세에 대한 정확한 선택이 얼마나 필요한 것인가를 깨닫게 된다. 야엘이 선택한 위험한 결단은 그 가정의 축복의 조건이 되었다. (교훈과 적용)
4 스불론(Zebulon)
인물
jesus
2329 13 2006-12-27
▶ 스불론(Zebulon) 뜻:후한 선물 야곱(Jacob)의 열째 아들이지만 레아의 몸에서 난 아들로서는 여섯째가 된다 (창32:20, (창35:23), (출01:3). 스불론 지파의 조상이다(민01:9), (신27:13, (신33:18). 이스라엘 12지파 - 르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 스불론, 잇사갈, 단, 갓, 아셀, 납달리, 요셉 (에브라임, 므낫세), 베냐민 ======== 스불론 Zebulun. [Zeb'ulun] Zabulon. [Za'bulon] - The tenth son of Jacob and the youngest son of Leah: father of the tribe bearing his name. He entered Egypt with his three sons, but of himself personally nothing is recorded. At the Exodus those numbered of the tribe were 57,400, and at the entrance into the land there were 60,500. Jacob, when he foretold what should befall his sons in the last days, said, "Zebulun shall dwell at the haven of the sea, and he shall be for an haven of ships, and his border shall be unto Zidon," Gen. 49:13; Zebulun is thus representative of Israel having intercourse with the Gentiles for profit. Moses blessed the tribes thus, "Rejoice, Zebulun, in thy going out"; and then, classing him with Issachar, said, "They shall call the people unto the mountain; there they shall offer sacrifices of righteousness: for they shall suck of the abundance of the seas, and of treasures hid in the sand." Deut. 33:18, 19. (창49:13 (신33:18, 19 This tribe, like others, did not drive out all the old inhabitants from their possession, but made them tributary. Judges 1:30. In Barak's conflict with Sisera they fought bravely and 'jeoparded their lives.' Elon the judge was of this tribe. Judges 4:6; Judges 5:18; Judges 12:11, 12. Of those who rallied round David on the death of Saul were 50,000 of this tribe, expert in war, who could keep rank, not of double heart. 1 Chr. 12:33. And when Hezekiah invited all the tribes to come to Jerusalem to keep the Passover, 'divers' of Zebulun humbled themselves and responded to the call. 2 Chr. 30:11. (삿01:30 (삿04:6 (삿05:18 (삿12:11, 12 (대상12:33 (대하30:11 Their lot fell towards the north, its centre being about 32 45' N, 35 20' E[?]; and though it did not extend either to the Mediterranean or the Sea of Galilee, they may have pushed forward to both seas. Jacob spoke of their reaching unto Zidon, and the Evangelist says, "Capernaum, which is upon the sea coast [Sea of Galilee], in the borders of Zabulon and Nephthalim." Called ZABULON in Matt. 4:13, 15; Rev. 7:8. (마04:13 (계07:8 - Border city of Asher. Joshua 19:27. Identified by some with Neby Sebelan, 33 1' N, 35 20' E. (수19:27 --- Morrish Bible Dictionary ▶ 창세기 30장20∼21절 (창30: 스불론은 후한 선물, 거함이라는 뜻입니다. 레아의 여섯째 소생이며 야곱의 열째 아들이었습니다. 야곱의 예언대로 스불론은 해변에 거하였고 헤브론에서 시돈까지 비옥한 지역의 소유주였습니다(창49:13). 스불론은 세렛과 엘론과 얄르엘의 세 자녀들을 두었는데 그들로부터 많은 종족이 일어났습니다. 이와같이 스불론은 곡창지대의 소유주로 풍성한 재물을 얻은 지파였습니다. 스불론과 그 지파는 비교적 온건하며 자기 책임과 의무를 성실히 감당했습니다. 그리심산과 에발산에서 축복과 저주에 대한 화답을 맡을 때에는 에발산에서 저주에 대한 화답을 맡는 역할을 감당했습니다. 이는 이스라엘 백성이 불신앙 불순종 우상숭배와 같은 종교적인 죄를 범했을 때에는 징계나 형벌이나 심판도 달게 받겠다는 하나님께 대한 서약이 섞인 화답이었습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스불론지파에 대해 메시야시대의 축복을 약속했고(사09:1∼2) 요한계시록에도 스불론 지파의 축복이 나옵니다(계07:8).
3 바락(Barak)
인물
jesus
3423 14 2006-12-27
▶ 바락(Barak) 뜻:번개 납달리 지파 아비나움의 아들(삼상12:11), (대상07:17). 여사사 드보라와 이 이스라엘의 사사가 되어 가나안을 격멸하고 드보라와 같이 노래 를 지어 하나님을 찬송 하였다. 그들의 치하에서 이스라엘은 40년간 태평을 누리었다(삿04:5), (히11:32). ▶ 바락 Barak. [Ba'rak] Son of Abinoam, of Naphtali. He was called by Deborah the prophetess (who judged Israel at that time) to collect from the tribes of Naphtali and Zebulon 10,000 men that God might deliver into his hand Sisera, the captain of the army of Jabin, king of Canaan, who had 900 chariots of iron, and who had mightily oppressed the children of Israel twenty years. It required great faith to attack so strong an enemy with such a small force; and Barak had not this strong faith in God; he said he would not go unless Deborah would go with him. Deborah consented to go, but told Barak that it would not be to his honour; Sisera would fall by the hand of a woman. When the armies were face to face it was still Deborah that had to tell Barak when to arise to the attack. Jehovah discomfited Sisera and his chariots and his host, by the swords of the Israelites, and apparently the overthrow was completed by a severe storm and the overflowing of the river Kishon. Judges 4:6-17; Judges 5:20, 21. The Canaanites being smitten, Sisera left his chariot and fled for refuge to the house of Heber the Kenite, where he was killed by Jael, Heber's wife. Judges 4:18-24. Judges 5: gives the song of Deborah and Barak over the victory. Barak's faith is like that of many who can follow if another will lead, though they cannot take a first place; it is very gracious of God to mention Barak in Heb. 11:32 as one in the cloud of witnesses who had become victorious by their faith. (삿04: (삿05: 사사 드보라 (삿05:20, 21. 별들이 하늘에서부터 싸우되 그 다니는 길에서 시스라와 싸웠도다 기손강은 그 무리를 표류시켰으니 이 기손강은 옛강이라 내 영혼아 네가 힘 있는 자를 밟았도다 (히11:32 내가 무슨 말을 더 하리요 기드온, 바락, 삼손, 입다와 다윗과 사무엘과 및 선지자들의 일을 말하려면 내게 시간이 부족하리로다 --- Morrish Bible Dictionary
2 랍비돗(Lappidoth)
인물
jesus
2107 1 2006-12-26
▶ 랍비돗(Lappidoth) 뜻:번개 드보라의 남편(삿04:4).
1 드보라(Deborah)
인물
jesus
6358 35 2006-12-26
▶ 드보라(Deborah) 뜻 : 벌 [1] 야곱의 처 리브가의 유모(창35:8). [2] 랍비돗의 아내이며 여선지이다. 군대 장관 시스라가 이스라엘을 학대하고 침략했을때 드보라는 바락을 격려하며 그와 함께 싸워서가나안 군사를 물리쳤다. 이 승리가 "드보라의 노래"라는 아름다운시의 제목이 되었다(삿05:). 12사사 - 1 옷니엘, 2 에훗, 3 삼갈, 4 드보라, 5기드온, 6 돌라, 7 야일, 8 입다, 9 입산, 10 엘론, 11 압돈, 12 삼손 ▶ 드보라 Deborah. [Deb'orah] 1. Rebekah's nurse: she accompanied her mistress when she left Padan-aram and remained with her till her death; she was buried under the 'oak of weeping.' Gen. 24:59; Gen. 35:8. (창24:59 그들이 그 누이 리브가와 그의 유모와 아브라함의 종과 종자들을 보내며 (창35:8 리브가의 유모 드보라가 죽으매 그를 벧엘 아래 상수리나무 밑에 장사하고 그 나무 이름을 알론바굿이라 불렀더라 2. Wife of Lapidoth: she became a 'mother in Israel,' and was a prophetess and 'judged Israel;' it was she who incited Barak to attack Jabin, who had oppressed Israel twenty years. This led to the defeat of their enemies, the death of Sisera by the hand of Jael, and the destruction of Jabin. A remarkable song of triumph by Deborah over the enemies of God followed the victory. Judges 4 and 5. Deborah is a beautiful instance of how, under God, the faith of a single person may be the means of arousing those under deep depression into activity and thence to victory. (삿04: 야빈의 압제, 드보라와 발락 (삿05: 드보라와 바락의 노래 --- Morrish Bible Dictionary -------------------------------------------------------------------------------- 드보라/이삭가문의 유모… 3대걸쳐 헌신적 봉사 창세기 24장59절, 35장8절 (창24:59) 드보라는 "벌"이라는 뜻이다. 오늘 소개하는 드보라는 여사사 드보라가 아니라 라반의 딸 리브가가 이삭과 결혼할 때 따라온 유모 드보라이다. 드보라는 이삭의 가문에 들어온 아람여자이며 단순한 유모 이상의 가족으로 인정받을 만큼 충성되고 성실한 여자였다. 몇년동안 시한부로 유모생활을 한 것이 아니라 리브가를 양육할 때부터 라반의 가정을 거쳐 이삭의 가문에 이르기까지 두 가정의 인척이나 가족같이 합류된 가족을 돌보는 어머니와 같았다. 그러므로 그를 부르는 가장 좋은 호칭이 젊어서나 늙어서나 유모였다. 리브가를 양육한 유모요,에서와 야곱의 양육을 도운 유모요, 나중에는 야곱의 열두 아들과 딸 디나까지 모든 양육을 보살핀 유모였다. 리브가를 위해서는 젖을 먹인 유모였으나 에서와 야곱을 돕고 야곱의 많은 자녀를 양육할 때에는 돌보아주는 유모였다. 야곱이 메소보다미아의 밧단아람(하란)에서 벧엘에 돌아왔을 때에도 그와 함께 하였었다. 유모는 종과는 달랐지만 주인과 친분이 생기고 서로 신뢰의 대상이되었다. 평생 그 집을 떠나지 않고 그 가정의 자손 몇대를 거느리며 유모와 양모와 어머니 역할을 담당하였다. 드보라가 1백55세에 세상을 뜨자 벧엘 상수리 나무 아래 장사하고 그 나무 이름을 알론바굿이라 불러 기념했는데 "곡하는 나무"라는 뜻으로 야곱이 드보라를 잊지 못하는 표가 됐다. ▷교훈과적용◁ 첫째, 사람을 사로잡는 방법은 법이나 돈이 아니라 사랑의 힘이다. 둘째, 충성된 헌신과 봉사는 혈통과 가족의 조건을 뛰어넘는 더 좋은 가족의 인연이 된다. <이병돈목사·은평교회> -------------------------------------------------------------------------------- 사사 드보라 드보라는 "벌"이라는 뜻이다. 드보라는 드보라의 딸(아버지와 이름이 같음)로 랍비돗의 아내이며 사사와 선지자의 사명을 겸한 이스라엘의 네번째 사사이다. 여자였지만 통찰력과 판단력이 예민하며 정확하였고 하나님의 영감 이 풍성하여 백성들의 어려운 문제를 재판하였다. 이스라엘 민족의 풍속과 통념속에는 많은 사회생활에서 여자들의 발언권이나 권위가 경시되었는데 드보라가 한 시대의 통치자였다는 것은 그의 인품과 능력을 가히 짐작할 수 있다. 또한 하나님은 족장시대나 사사시대를 막론하고 여자의 권익을 보장하고 사회적인 지위를 인정하고 있다. 드보라가 하나님의 소명을 받던 때는 가나안 왕 야빈이 군대장관 시스라와 함께 이스라엘 백성을 심히 학대하던 때였다. 이때에도 전과같이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 부르짖음으로 하나님이 드보라를 일으켜 용사 바락과 함께 스불론과 납달리 지파에서 뽑은 1만명의 군대로 야빈과 시스라와 가나안 군대를 섬멸시켰다. 시스라는 전쟁에 쫓겨 야엘의 집에 피신하였으나 야엘이 말뚝을 살쩍에 박아 죽게 함으로 이날의 승리는 아주 위협적이었다. 이것이 드보라와 함께하시는 하나님의 승리였다. 그후 사사기 5장에 드보라와 바락이 하나님을 노래하여 기록한 시는 히브리인의 산문 시중에 유명한 시가 되었다. 하나님이 택하신 종에게는 능력도 준비하신다. ▷교훈과 적용◁ 첫째, 여성이라는 성문제로 인해 자기 능력이나 자기개발을 제한하지 말자. 둘째, 여자와 아내와 어머니의 사명과 함께 국정을 맡은 드보라를 보자. 자기 봉사의 대상을 개발하자. * 드보라의 노래 그런데 이 드보라의 사건은, 드보라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은 우리로 하여금 여러 가지 생각케 하는 것들이 있다. 얼핏 보면 별 이야기가 아닌 것 같은데, 여선지자의 출현 그녀가 또한 이스라엘의 사사로 있었던 것, 그런데 단순히 여사사가 다스렸다고 끝나지 않고 전쟁을 수행하는데 남자 사사라고 할 수 있는 바락을 일으키셨는데 바락은 또 하나님께서 사명을 부여하셨다는 말씀을 듣고도 달갑게 순종하지 않는 비겁한 모습들 등 대개 이 정도만 눈에 띄는데 그러나 자세히 볼려고 하는 사람에게는 뭔가 있다고 하는 느낌을 주게된다. 즉 이런 간단한 서술이 무엇을 배경으로 하는가? 이 간단한 서술의 배경을 설명하는 것이 그 다음에 나오는 드보라의 노래라는 것이다. 노래라고 하면 대개 별내용은 없고 그냥 노래다 싶어서 슬쩍 지나가는데 그러나 그 속에는 드보라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 그것이 어떤 시대적 영적상황을 배경으로 되어진 일인가를 우리에게 알게 해 주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 드보라…가나안 호령한 ‘사사시대 우먼파워’ 구약의 사사시대를 신정통치시대라고 일컫는다. 하나님이 세우신 모든 지도자는 다 하나님이 선택하셨다. 그러나 사사시대는 하나님의 의지가 더 크게 표현된 시대로 본다. 어느 시대나 영적인 사람이 하나님의 사역자로 선택받았다. 하지만 사사시대만큼 하나님의 철저한 검증을 거친 때가 없었던 것 같다. 하나님은 그 개인의 영성이나 충성심이 인정될 때 그를 택하시고 들어 사용하셨다. 또한 적어도 주변 사람들에게만큼은 드러나는 신앙의 위인들이 사사가 되었다. 우리 개인의 신앙도 인정받는 신앙이 되어야 한다. 가장 가까운 가족에게 먼저 인정을 받자. 또한 주변 사람과 교회에서 인정을 받아야 한다. 그뿐 아니라 자기가 소속된 직장이나 생업을 통해서도 신앙인으로서 부끄러운 사람이 되어서는 안되겠다. 칭찬받는 사람이 되자. 더욱이 자기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아야 한다. 그리스도인이라도 완전할 수는 없지만 하나님 앞에서 최선의 삶을 살아야 한다. 얼마 전에 청문회가 있었다. 곤혹스러울 만큼 질문은 개인의 신상에 집중되었다. 그러므로 정책적인 청문회가 되지 못했다는 혹평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그에 못지 않게 청문회를 거치는 당사자에 대해서도 아쉬운 점이 있었다. 한 나라의 지도자가 되려면 자기 잘못을 시인하고 책임져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중적인 질문의 대상이 되었던 몇 가지 내용에 대해 책임을 회피하고 잘못을 모두 타인에게 떠넘기는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 때문에 점수를 잃은 것 같다.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는 삶 자체가 이 시대와 하나님과 가까운 사람들에게 검증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자기 개인의 인격이나 삶이나 자기 사역에 대해 부끄러움이 없는 사람이 되었으면 한다. 드보라는 하나님의 검증을 통과한 사람이었다. 사사는 통치자와 선지자와 군대장관을 겸임하는 성직이었다. 이러한 힘든 사역에 랍비돗의 아내 드보라가 선택됐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갖게 된다. 한 가정의 주부요 자녀들의 어머니였던 여자의 몸으로 사사가 됐다는 사실이다. 여자들이 대접받지 못하고 발언권이나 위상이 높지 못했던 구약시대에 나라의 통치자가 됐다는 사실은 참으로 드문 일이 아닐 수 없다. 하나님은 성을 차별하지 않으신다는 분명한 의지를 우리에게 보여주신 실례라 하겠다. 나라를 다스리는 일인자로 여성을 택했다는 사실은 단순히 성차별이 없었다는 것에 한하지 않는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역사의 초기에 여자를 들어 큰 뜻을 성취하셨다. 그리고 하나님의 큰 영광을 거두셨다. 적어도 하나님 편에서는 사람을 등용하는 데 성별로 인해 개인이 피해를 보는 일이 없게 하셨다. 하나님은 그 개인의 영적인 자질보다 성별을 앞세우지 않으신다. 개인이 능력만 갖추고 하나님께 신임 받는 사람만 되면 하나님은 그 사람을 들어 쓰시고 그를 통해 영광을 거두신다. 자랑할 만한 가문이 못되거나 천성적인 자질에 자신감이 없다고 위축되거나 소심한 사람이 되어서는 안 된다. 지나치게 자만해도 안 되지만 지나치게 자기를 업신여겨도 하나님을 거역하는 것이 된다. 하나님의 은혜가 함께 하는 신앙의 사람만 되면 그리스도인들은 자기가 생각하는 자신보다 몇 갑절 유능한 사람인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드보라도 “하나님의 사람 드보라” 할 때 많은 가능성이 허락되었다. 하지만 하나님을 뺀 드보라는 한 남편의 아내로 한 가정의 어머니로 끝나고 만다. 우리 자신도 “하나님의 사람 아무개”로 평생 쓰임 받는 소중한 일꾼이 되자. 얼마나 크고 많은 일을 하느냐보다 하나님이 원하는 사람으로 하나님이 맡기시는 일에 아주 필요하고 소중하게 쓰임받는 것이 중요하다. 드보라를 통해 배워야 하겠다. 드보라는 이스라엘 군대를 지휘하는 전법에도 익숙한 지도자였다. 가나안 왕 야빈이 군대장관 시스라와 함께 이스라엘을 괴롭히자 1만명의 군대를 이끌고 바락과 함께 전쟁에 나가 가나안군대를 섬멸시켰다. 이 때에 적장 시스라가 야엘의 집에 피신하였다가 살쩍이 말뚝에 박혀 죽게 된 사건은 유명한 이야기이다(삿04:21). 전쟁의 승패는 하나님께 있다. 그러나 전쟁을 이끄는 일은 사람의 몫이었다. 전력을 구비하는 일이나 군대를 통솔하는 일,장교들을 지휘하는 문제는 다 드보라의 일이었다. 그 위에 전술이 필요했고 전략도 필요했다. 한 전쟁을 치르는 일은 하나님이 함께 하시지만 사람이 해야 할 일이 많았던 것을 헤아려보자. 이런 드보라를 단순한 가정주부로 생각할 수 있겠는가. 하나님의 영감이 함께 하고 하나님의 사람으로 서기 위한 기름을 짜는 것 같은 간절한 기도와 보이지 않는 영적인 숨은 노력을 짐작할 수 있다. 결국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정직하게 힘쓰는 사람에게 하나님의 보상이 언제나 같이한다. 하나님은 공평하신 하나님이시다. 이는 영감에 차등이 없다는 말씀이다. 하나님의 영감은 모든 사람에게 골고루 역사하신다. 그러나 그 영감을 수용하는 깊이는 각양각색이다. 드보라는 하나님의 사람으로 선택되고 자기 사명을 감당하는 데 하나님의 영감을 고스란히 받은 사람이다. 영감을 선별하지 말자. 하나님의 영감을 부분적으로 수용하지 말자. 순수하게 전폭적으로 영감에 순종하는 사람이 되자. 하나님의 영감에 대한 반응이 순수해야 한다. 그런 사람은 드보라와 같이 유능한 통치자도 되고,선지자의 사역도 잘 감당할 수 있으며 전쟁도 승리로 이끌 수 있는 다양한 은사의 소유자가 될 수 있다. 자신의 장래를 위해 자신이 노력하는 것보다 하나님의 도움을 구하며 하나님의 인도를 받는 것이 훨씬 지혜로운 방법이다. 자기 욕심이나 부정적인 생각으로 하나님의 영감을 제한하지 말자. 사사기 5장에 나오는 드보라의 시는 히브리인의 명시가 되었다. 이는 전쟁의 승리가 하나님의 은혜였다는 고백을 통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노래이다. “이 전쟁을 도우려고 내려오신 하나님”이라고 소개하였고 “하나님이 주의 대적을 멸망시켰으며 내가 힘있는 자를 밟았고 이스라엘의 어미가 되었다”고 노래하고 있다. 이 본문을 보면 드보라는 훌륭한 시인이기도 하다. 정치를 할 때에는 냉정하고 공의로웠으며 재판을 할 때에는 공정한 사사였고 전쟁을 통솔할 때에는 단호하고 엄격한 장군이었다. 거기에 부드럽고 여성미가 넘치는 시인을 겸하고 있다. 하나님의 은혜는 한 개인을 통해 이렇게 다양하게 역사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자. 믿지 않는 사람들은 제멋대로 살다가 심판을 받는다. 그러나 하나님의 사람들은 하나님의 도움을 구하고 하나님과 의논하며 살아가는 생활이 다른 점이다. 로저스 베이컨은 신앙을 잃으면 모든 것을 다 잃고 신앙에 서면 모든 것을 다 얻는다고 하였다. 드보라와 같이 신앙에 서는 사람이 되자. ◇드보라를 통해 얻는 교훈 하나님은 여성이라는 이유로 그 사람의 능력이나 가능성을 과소평가 하지 않으신다. 하나님이 사용한 드보라를 통해 배워야 하겠다. 또한 드보라가 하나님의 은혜로 감당한 엄청난 사역들을 묵상해 보자. 우리는 우리 스스로 우리의 사역과 사명을 포기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아야 한다. 과욕은 잘못이지만 하나님께 대한 믿음은 넘치는 법이 없다. 드보라는 40년동안 국정을 담당한 이스라엘의 사사였다. 참으로 긴 세월 성공적인 삶을 살다간 사람이다. 이는 그녀의 신앙을 대변하는 대목이다. 사람이 성공할 때 넘어지는 것은 교만이나 불신앙 때문이다. 그러나 40년을 하루같이 하나님의 뜻을 따른 드보라의 삶은 우리 모두에게 본보기가 된다. 성공적인 하루는 드보라의 40년 성공에 밑거름이 되었다. 이러한 삶에 도전을 받아야 하겠다. 이병돈(은평성결교회 담임목사)

.
성경연대표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14.세계선교 관련그림.지도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Ani
1창세기[Genesis] 2출애굽기[Exodus] 3레위기[Leviticus] 4민수기[Numbers] 5신명기[Deuteronomy] 6여호수아[Joshua] 7사사기[Judges] 8룻기[Ruth] 9사무엘상[I Samuel] 10사무엘하[II Samuel] 11열왕기상[I Kings] 12열왕기하[II Kings] 13역대상[I Chronicles] 14역대하[II Chronicles] 15에스라[Ezra] 16느헤미아[Nehemiah] 17에스더[Esther] 18욥기[Job] 19시편[Psalms] 20잠언[Proverbs] 21전도서[Ecclesiastes] 22아가[Song of Solomon] 23이사야[Isaiah] 24예레미야[Jeremiah] 5예레미아애가[Lamentations] 26에스겔[Ezekiel] 27다니엘[Daniel] 28호세아[Hosea] 29요엘[Joel] 30아모스[Amos] 31오바댜[Obadiah] 32요나[Jonah] 33미가[Micah] 34나훔[Nahum] 35하박국[Habakkuk] 36스바냐[Zephaniah] 37학개[Haggai] 38스가랴[Zechariah] 39말라기[Malachi] 40마태복음[Matthew] 41마가복음[Mark] 42누가복음[Luke] 43요한복음[John] 44사도행전[Acts] 45로마서[Romans] 46고린도전서[I Corinthians] 47고린도후서[II Corinthians] 48갈라디아서[Galatians] 49에베소서[Ephesians] 50빌립보서[Philippians] 51골로새서[Colossians] 52데살로니가전서[I Thessalonian] 53데살로니가후서[2 Thessalonian] 54디모데전서[I Timothy] 55디모데후서[II Timothy] 56디도서[Titus] 57빌레몬서[Philemon] 58히브리서[Hebrews] 59야고보서[James] 60베드로전서[I Peter] 61베드로후서[II Peter] 62요한일서[I John] 63요한이서[II John] 64요한삼서[III John] 65유다서[Jude] 66요한계시록[Rev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