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의 한글성경
  2. 오늘의 WEB성경
  3. 성경백과사전
  4. 관련서적들

-----Readed_count

-----Update

오늘 :
20,194 / 259,208
어제 :
21,124 / 306,656
전체 :
21,119,587 / 286,360,180
Mobile Bible, Bible Dictionary, Mobile iWorship, 구글Map 성경66권 사전 : -()-()--()-(,)-(,)-(,)-()--중간-(...)-

성경관련 백과사전 & Morrish Bible Dictionary

+ Blue Letter Bible/KJV + 개역한글 성경구절

성경 백과사전 테마별 (구약OT, 신약NT), 성경만화, 요리문답,
영어성경보기, 개역한글성경보기, NEWS, 어!성경
Morrish성경사전 (최신등록), WB.Study, 성경권별 지명연구(지도포함), 인물탐방 각종테마별 - 무게.길이.화폐, 12보석, 유대월력, 동물, (Birds), 식물, 나무, , Miracles(구약, 신약), 613율법Mitzvot, 이방신, 하나님, Tip: 영문장.절위로 커서를 옮기면 해당 KJV 성경 영문구절이 펼처집니다. (Gen. 1:1; Rev. 22:21;)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추천 등록일
Notice 공지 성경 속 전쟁 연대기 (The War Chronicles in the B... 파일
cyber
38112 2 2019-03-05
Notice 공지 TIDWELL BIBLE 21 연대표
jesus
71628 1 2016-12-14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NT 신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7673 1 2016-02-21
Notice 공지 Dictionary for OT 구약성경 백과사전 연구 파일
jesus
87880 1 2016-02-21
Notice 공지 성경백과사전 권별.장별[Chapter] 관련내용보기 파일
jesus
85869 1 2015-05-04
15 그렛 사람(Cherethites)
인물
jesus
2483 14 2006-12-26
▶ 그렛 사람(Cherethites) 뜻:호위병 블레셋 남부 지방에 거주한 그레데 출신의 사람들 (삼상30:14), (겔25:16), (습02:5) 다윗 시대의 용병으로 왕의 경호데 역활을 담당했다.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의 지휘 아래 다윗 군대의 중심 세력을 형성했다(삼하20:7, 23), (왕상01:38, 44). 그 후 솔로몬 시대까지 2대에 걸쳐 다윗왕가에게 충성한 집안(삼하20:7, 23), (왕상01:38, 44).
14 고멜(Gomer)
인물
jesus
3101 2 2006-12-26
▶ 고멜(Gomer) 뜻 : 마지막, 끝 [1] 노아의 손자요 야벳의 아들 (창10:2), (대상01:5-6). [2] 디볼라인의 딸 선지자 호세아의 아내로 남편을 배반 하였다 (호01:-3:). 여호와를 떠나 크게 행음하는 이스라엘을 상징함. [3] 고멜과 그 모든 떼와 북쪽 끝의 도갈마 족속과 그 모든 떼 곧 많은 백성의 무리를 너와 함께 끌어내리라 (겔38:6
13 사독(Zadok)
인물
jesus
3148 10 2006-12-27
▶ 사독(Zadok) 뜻 : 공평, 의롭다 [1] 다윗의 신하 사독. 예루살렘 대제사장 아론의 아들. 엘르아살의 후손이라고 하였으나 확실치는 않다(대상06:4-15, 50-53, (대상24:6) 그는 처음에 사울을 따른 자이었으나 아론의 집 군장관 22명과 같이 헤브론에서 다윗을 따르게 되었다(대상12:28). 다윗의 명령으로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다윗의 연락 책임을 졌다(삼하15:-17:). 참고성구(왕상01:39, (왕상04:15). [2] 대제사장 사독의 집 후손으로 아히둡의 손자이며 제사장의 한 사람(대상09:11, 느11:11, 대상06:12). [3] 유다왕 요담의 외조부(왕하15:33). [4] 바아나의 아들로서 느혜미야를 도와 예루살렘 성릉 중수. [5] 제사장 임멜의 아들로서 예루살렘 성벽의 일부 마문근처를 수리하였다. [6] 학사 에스라가 이스라엘의 부패한 풍속, 도덕, 종교의 개혁을 강조하였을 때 감동하고 계약서에 조인한 백성의 지도자의 한 사람(느10:21) [7] 느혜미야로부터 창고지기로 임명받은 사람(느13:13). [8] 마리아의 남편 요셉의 조상. 예수의 족보에 나타남(마01:14). ======== 사독 Zadok. [Za'dok] 1. Son of Ahitub, of the house of Eleazar. He was priest in the reign of David, and though Abiathar was called high priest, at times Zadok is named before him. Abiathar was set aside by Solomon, and Zadok became high priest. 2 Sam. 8:17; 2 Sam. 15:24-36; 2 Sam. 17:15; 2 Sam. 18:19-27; 2 Sam. 19:11; 2 Sam. 20:25; 1 Kings 1:8-45; 1 Kings 2:35; 1 Kings 4:2, 4; 1 Chr. 6:8, 53, etc.; Ezek. 40:46; Ezek. 43:19; Ezek. 44:15; Ezek. 48:11. (삼하08:17; (삼하15:24-36; (삼하17:15; (삼하18:19-27; (삼하19:11; (삼하20:25; (왕상01:8-45; (왕상02:35; (왕상04:2, 4; (대상06:8, 53, etc.; (겔40:46; (겔43:19; (겔44:15; (겔48:11. 2. Son of another Ahitub, a priest. 1 Chr. 6:12; Ezra 7:2. (대상06:12 (스07:2 3. Father of Jerusha, or Jerushah, wife of Uzziah king of Judah. 2 Kings 15:33; 2 Chr. 27:1. (왕하15:33 (대하27:1 4. A descendant of Levi and a man of valour who joined David at Hebron. 1 Chr. 12:28. (대상12:28 5, 6. Son of Baana, and son of Immer: they helped to repair the wall of Jerusalem. Neh. 3:4, 29. (느03:4, 29 7. One who sealed the covenant. Neh. 10:21. (느10:21 8. Son of Meraioth, a priest. 1 Chr. 9:11; Neh. 11:11. This may be the same as No. 1 or 2. (대상09:11 (느11:11 9. A scribe who was made one of the treasurers for the Lord's house. Neh. 13:13. (느13:13 --- Morrish Bible Dictionary ----------------------------------------------------------------- 사독…다윗·솔로몬 父子지킨 ‘신실한 대제사장’ ● 오직 한 집을 한 마음으로 (다윗 집에 충성한 신실한 대제사장 - 사독 ) 당장에 권력을 좇아/눈앞의 이익을 좇아/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무리들/시류(時流)에 휩쓸려/갈대처럼 이리저리 흔들리고/부초처럼 왔다갔다 춤추는/뭇 군상(群像)들의 씁쓸한 모습들 여기 사독을 보라/‘의롭다’ 이름하는 대제사장 사독은/다윗과 솔로몬 시대에/변치 않는 마음으로/흔들림 없는 굳센 신의로/다윗을 섬겼네/솔로몬을 받들었네 하나님께 버림받은 사울 왕이 죽자/하나님께 선택받은 다윗 왕을 찾아가/다윗 집에 충성을 맹세한 그날부터/압살롬이 모반할 때에도/외로이 남아 예루살렘 왕궁을 지켰던/그 다윗 왕조 말년에/아도니야가 대세를 잡고 거사를 일으켰을 때에도/아도니야를 좇지 않고/다윗 곁에서/다윗의 뜻 받들어/어린 솔로몬에게 기름을 부었네 하여,대제사장 사독은/목숨 걸고 죽을 힘 다해/다윗 집을 지키고/하나님 집을 지켰어라 오늘,배반과 변절의 캄캄한 시대 속에서/드높은 신앙의 지조로/다윗 집 지켜,하나님의 뜻 높이 받든/사독의 그 충절이 길이길이 빛나네 ●사독 ― 다윗 가문을 지키고, 대제사장 직분을 지키고 그는 누구인가 ‘사독’이라는 이름의 뜻은 ‘의롭다’이다. 그는 아론의 아들 엘르아살의 후손으로서 아히둡의 아들이다(대상 24:3,삼하 8:17). 사독은 이스라엘 통일 왕국의 기초를 굳게 다진 다윗 왕과 이스라엘의 경계를 최대로 넓힌 솔로몬 왕 시대에 이스라엘의 대제사장으로서 활약한 중요한 인물이다. 다윗 가문을 지킨 신실한 대제사장 사독은 사울이 죽은 후에 자기 집에 딸린 22명의 군장을 이끌고 헤브론에 있는 다윗을 찾아가 그에게 충성을 맹세하면서 다윗과 관련을 맺었다. 그리고 다윗의 통치 초기인 이때부터 사독은 변치 않는 신실한 마음으로 다윗가에 충성을 다했다. 사독이 다윗에게 합류했을 당시,다윗에게는 ‘아비아달’이라는 대제사장이 있었기 때문에 사독은 아비아달과 더불어 하나님의 성전을 관리하고 지켰다. 이후 압살롬이 반역을 일으켰을 때 사독은 다윗의 명을 받아 예루살렘을 지키면서 다윗의 환궁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리고 다윗 말년에 아도니야가 다윗의 뜻을 거스르고 거사를 일으켰을 때는 끝까지 다윗가에 충성하여 다윗의 정통 후계자인 솔로몬에게 기름을 부어 그를 왕으로 옹립하였다. 이로 인해서 사독은 이스라엘의 유일한 대제사장 직분을 수행하는 영광을 누리게 되었다. 사독 가문이 누린 영광 압살롬의 반역과 아도니야의 거사라는 큰 정치적인 소용돌이 속에서도 부화뇌동 않고 끝까지 다윗가에 충성한 사독에게는 영광스러운 큰 상급이 따른다. 대세를 좇아 다윗가에 대한 신의를 저버린 대제사장 아비아달 가문이 몰락한 반면 신의로써 다윗가를 끝까지 지킨 사독의 가문은 솔로몬 이후 바벨론 포로기를 거쳐 신약시대에 이르기까지 대제사장의 직분을 계속 감당할 수 있었다. 다윗가를 향한 이같은 사독의 신실한 삶의 자세는 오늘날 우리들에게 한가지 뚜렷한 교훈을 준다. 그것은 생명을 걸고서라도 주님과 주님의 몸 된 교회를 위해 끝까지 충성을 다하는 자에게는 반드시 그에 따른 상급이 주어진다는 사실이다. 그것은 후일 성령이 서머나 교회를 향해 약속하신 것과 같은 것이다. “네가 죽도록 충성하라 그리하면 내가 생명의 면류관을 네게 주리라”(계 2:10) 김영진 <성서원회장> (교훈과 적용)
12 드단(Dedan)
인물
jesus
3219   2006-12-26
▶ 드단(Dedan) 뜻:낮다 [1] 구스의 손자로 노아의 후손이며 라아마의 아들(창10:7), (대상01:9) 그 후손은 아라비아 남부에서 무역업에 종사했는데(사21:13), (겔27:15, (겔38:13) 장차 하나님에 의해 멸망될 것이 예언되었다(렘25:23). [2] 아브라함의 후처 그두라의 소생인 욕산의 아들(창25:3), (대상01:32) 이 후손의 멸망에 대해서 예언되었다(렘49:8), (겔25:13). ▶ 드단 Dedan. [Dedan'] 1. Son of Raamah, son of Cush. His descendants are supposed to have located themselves on the Persian Gulf. Gen. 10:7; 1 Chr. 1:9. (창10:7 구스의 아들은 스바와 하윌라와 삽다와 라아마와 삽드가요 라아마의 아들은 스바와 드단이며 (대상01:9 구스의 아들은 스바와 하윌라와 삽다와 라아마와 삽드가요 라아마의 아들은 스바와 드단이요 2. Descendant of Abraham and Keturah, probably inhabiting the borders of Idumaea. Gen. 25:3; 1 Chr. 1:32. (창25:3 욕산은 스바와 드단을 낳았으며 드단의 자손은 앗수르 족속과 르두시 족속과 르움미 족속이며 (대상01:32 아브라함의 첩 그두라의 낳은 아들은 시므란과 욕산과 므단과 미디안과 이스박과 수아요 욕산의 아들은 스바와 드단이요 --- Morrish Bible Dictionary
11 브나야(Benaiah)
인물
jesus
3254 8 2006-12-27
▶ 브나야(Benaiah) 뜻:여호와가 세우셨다. [1] 제사장 가족 여호야다의 아들(대상27:5). 다윗의 호위대장 용감한 무사 (삼하08:8, (삼하20:23, (삼하23:20). 모압과 애굽용사들을 이기고 다윗의 신임을 받았으나 요압과의 쟁패가 심하더니 아도니야의 실패로 브나야가 요압을 처형하고 그 자리를 차지 하여 사령관이 되었다(왕상02:28-35). [2] 30명 용사 중의 하나인 비라돈 사람(삼하23:30). [3] 시므온 방백(대상04:36). [4] 다윗 때 비파 탄 레위인 (대상15:24). [5] 법궤 앞에서 나팔을 분 제사장(대상15:24). [6] 아하시엘의 조상(대하 20:14). [7] 히스기야때 성전을 돌본 레위인(대하 31:13). [8] 불라디아의 아버지(겔 11:11-13). [9] 외국 여인과 혼인한 이스라엘 사람들 4명의 이름(스 10:25). ▶ 브나야/다윗­솔로몬 2대걸쳐 “오른팔” ◎충성심강하고 판단력 뛰어난 장군 사무엘하 23장20∼23절 브나야는 『여호와께서 세우셨다』는 뜻이다.브나야는 대제사장 여호야다의 아들이며 감수엘 출신의 용사의 손자였다.다윗의 세 군대장관으로 요압과 아비새 다음에 브나야였다.브나야는 2만4천명의 군대를 거느릴만큼 그 위세가 컸다. 또 세 군대장관 중에서도 다윗의 측근을 보호하는 시위대 장관이었으므로 그의 실력은 막강하였다.더욱이 브나야는 압살롬과 아도니야의 반역 때에도 한결같이 다윗왕을 좇고 따르는 충신이었다. 그러기에 다윗왕이 특별히 신임하는 장군이기도 하였다.브나야가 지휘하는 시위대 속에는 그렛사람과 불렛사람으로 구성된 특수부대도 있어 큰 힘이 되었다(삼하 15:18). 브나야가 이끄는 시위대는 다윗왕이 쫓겨 다니고 피란생활을 할 때에도 다윗과 생사를 같이 할 것을 결심한 가드사람 6백명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더욱 결속된 부대였다. 브나야의 관할하에 있는 시위대는 용맹 있는 사람들로 군사적인 자질이 좋아 모집되었을 뿐만 아니라 다윗왕에게 충성을 맹세한 수난의 시절부터 결속된 사람들이 많았으므로 정신적으로 단합된 부대여서 정말 믿을 수 있는 시위대였다. 브나야는 신장이 오규빗이나 되고 베틀채같은 창을 휘두르는 애굽의 장사를 막대기로 대항해 승리할만큼 유능한 장군이었다.또한 그의 충성심과 판단력은 다윗과 솔로몬을 위해 오른팔과 같이 쓰임받은 훌륭한 일꾼이었다. ▷교훈과 적용◁ 첫째,브나야는 어려운 정세의 변화속에서도 끝까지 충성한 장군이다.언제나 충성된 사람이 필요하다. 둘째,브나야는 능력도 있었고 정국에 대한 판단력도 좋아 성공했다.역사를 읽는 사람이 되자.〈이병돈 목사·은평교회〉
10 길르앗(Gilead)
인물
jesus
3259   2006-12-26
▶ 길르앗(Gilead) 뜻:강하다 [1] 므낫세의 손자, 길르앗인의 조상 (민26:29), (민27: (민36: (수17:1) (대상02: (대상07: [2] 사사 에훗의 부친 (삿11:1). [3] 갓의 자손 (대상05:14). (창31:21, (창37:25, (민32:1, (신02:36, (신03:10, (신04:43, (신34:1, (수12:2, (수13:11, (수17:1, (수20:8, (수21:38, (수22:9, (삿05:17, (삿10:4, (삿11:5, (삿12:4, (삿20:1, (삼상13:7, (삼하02:9, (삼하17:26, (삼하24:6, (왕상04:13, (왕상17:1, (왕하10:33, (왕하15:25, (대상02:22, (대상05:9, (대상06:80, (대상26:31, (대상27:21, (시060:7, (시108:8, (아04:1, (아06:5, (렘08:22, (렘22:6, (렘46:11, (렘50:19, (겔47:18, (호6:8, (호12:11, (암01:3, (미07:14, (슥10:10 ======== Gilead. [Gil'ead] 1. Son of Machir and grandson of Manasseh. Num. 26:29, 30; Num. 27:1; Num. 36:1; Joshua 17:1, 3; 1 Chr. 2:21, 23; 1 Chr. 7:14, 17. 2. Father of Jephthah. Judges 11:1, 2. 3. Son of Michael of the family of Gad. 1 Chr. 5:14. --- Morrish Bible Dictionary lt=32.042523&ln=35.724241
9 에스겔(Ezekiel)
인물
jesus
3519 4 2006-12-27
▶ 에스겔(Ezekiel) 뜻:하나님이 강하게 함 부시의 아들로서 유대인의 제사장이며 4대선지중의 한 사람으로 유대왕 여호야긴과 같이 포로가 되어 갈대아땅 그발 하수가에 거주하는중 하나님의 계시를 받아 에스겔서를 기록하 였다(겔01:1-3). 그 글에서 그의 비범한 인물 됨을 발견할 수 있고 기재를 나타냈으며 곧 목이 곧 고 마음이 강팍한 그 백성들이 우상을 숭배하고 악을 행함을 담대히 공격한 기록에서 대 선지로서 적임자임을 보여 주었고 종신토록(20년간) 선지의 직무 에 진력한 것은 일대 특색이다. 예레미야 선지는 정신적 종교가임에 반하여 에스겔은 의식적, 형식적 방면에 중대한 관 심을 보였다. 그의 예언의 요지는 예루살렘의 망할 것과 장래의 구원으로 본국이 회복될 것으로 포 로된 동포를 위로 하였다. 그의 죽은 시기는 알수 없으나 바벨론에서 같은 지도자에게 피살된 것으로 추측된다. 지금의 이락의 수도 바그닷드 근처의 한 건물을 가리켜 에스겔의 분묘라고 말하는 사 람도 있다. ▶ Ezekiel Ezekiel, the priest, one of the four greater prophets, the others are Daniel, Isaiah and Jeremiah, was among the Jewish captives taken to Babylon after the siege of Jerusalem in 598-597 B.C. His life and prophesies are described in the Book of the Prophet Ezekiel. On the fifth year of the Babylonian exile he became a prophet. First, he saw a bright chariot borne by fantastic creatures; God, sitting on the chariot, told Ezekiel the "words of lamentation and mourning and woe" which he was to deliver to the rebellious Israelites. He prophesied during the following 22 or more years. In the beginning people did not trust him, but after his prediction of the fall of Jerusalem (in 586 B.C.) and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they began to take him seriously. He was one of the great prophets and he presented his people with hope when he also predicted the return of the exiled and the rebuilding of the Temple. ====Paintings Ezekiel Ezekiel's Vision More...More... Gallery
8 잇도(Iddo/Jadau)
인물
jesus
3554 4 2006-12-28
▶ 잇도(Iddo) 뜻:사랑스러운 자 [1] 솔로몬,르호보암,아비야의 치세의 역사를 쓴 예언자 (대하09:29, (대하12:15, (대하13:22). [2] 스가랴의 조부(슥01:6,7, (겔05:1, (겔06:14). [3] 가시뱌에 있던 느디님 사람의 수령(스08:17). [4] 그 밖에 3인이 있다(왕상04:14, (대상27:21, (스10:43). ▶ 잇도 Iddo. [Id'do] 1. Father of Ahinadab one of Solomon's commissariat officers. 1 Kings 4:14. (왕상04:14 마하나임에는 잇도의 아들 아히나답이요 2. Son of Joah, a descendant of Gershom. 1 Chr. 6:21. (대상06:21 그 아들은 요아요 그 아들은 잇도요 그 아들은 세라요 그 아들은 여아드래며 3. Son of Zechariah and a ruler of Manasseh in Gilead. 1 Chr. 27:21. (대상27:21 길르앗에 있는 므낫세 반 지파의 관장은 스가랴의 아들 잇도요 베냐민의 관장은 아브넬의 아들 야아시엘이요 4. A seer who had 'visions' against Jeroboam. He wrote of Rehoboam in a book 'concerning genealogies;' and also of Abijah in his 'story' or 'commentary.' 2 Chr. 9:29; 2 Chr. 12:15; 2 Chr. 13:22. (대하09:29 이 외에 솔로몬의 시종 행적은 선지자 나단의 글과 실로 사람 아히야의 예언과 선견자 잇도의 묵시 책 곧 잇도가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에게 대하여 쓴 책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대하12:15 르호보암의 시종 행적은 선지자 스마야와 선견자 잇도의 족보책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르호보암과 여로보암 사이에 항상 전쟁이 있으니라 (대하13:22 아비야의 남은 사적과 그 행위와 그 말은 선지자 잇도의 주석 책에 기록되니라 5. Grandfather of Zechariah the prophet. Ezra 5:1; Ezra 6:14; Zech. 1:1, 7. (스05:1 선지자들 곧 선지자 학개와 잇도의 손자 스가랴가 이스라엘 하나님의 이름을 받들어 유다와 예루살렘에 거하는 유다 사람들에게 예언하였더니 (스06:14 유다 사람의 장로들이 선지자 학개와 잇도의 손자 스가랴의 권면함으로 인하여 전 건축할 일이 형통한지라 이스라엘 하나님의 명령과 바사 왕 고레스와 다리오와 아닥사스다의 조서를 좇아 전을 건축하며 필역하되 (슥01:1, 7. 1 다리오 왕 이년 팔월에 여호와의 말씀이 잇도의 손자 베레갸의 아들 선지자 스가랴에게 임하니라 가라사대 7 다리오 왕 이년 십일월 곧 스밧월 이십 사일에 잇도의 손자 베레갸의 아들 선지자 스가랴에게 여호와의 말씀이 임하여 이르시니라 6. Chief at Casiphia, to whom Ezra sent for Levites. Ezra 8:17. (스08:17 가시뱌 지방으로 보내어 그곳 족장 잇도에게 나아가게 하고 잇도와 그 형제 곧 가시뱌 지방에 거한 느디님 사람들에게 할 말을 일러주고 우리 하나님의 전을 위하여 수종들 자를 데리고 오라 하였더니 7. Priest who returned from exile. Neh. 12:4, 16. (느12:4, 16 4 잇도와 긴느도이와 아비야와 16 잇도 족속에는 스가랴요 긴느돈 족속에는 므술람이요 --- Morrish Bible Dictionary ▶ 잇도 Jadau. [Ja'dau] One who had married a strange wife. Ezra 10:43. (스10:43 느보 자손 중 여이엘과 맛디디야와 사밧과 스비내와 잇도와 요엘과 브나야더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
7 깃딤(Chittim, Kittim)
인물
jesus
3766   2006-12-26
▶ 깃딤(Chittim, Kittim) 뜻:괴롭게 한다 1) 노아의 증손. 구브로와 그 근방 해안과 섬에 사는 백성들 (창10:4), (대상01:7). 2) 발람의 마지막 예언에서 - 이 지역 사람들이 와서 앗수르를 괴롭힐 것이다. (민24:24, (단11:30 ▶ 깃딤 Chittim. [Chit'tim] Several times referred to in the O.T. in connection with its 'ships.' It points originally to Cyprus (see KITTIM); but in Jer. 2:10; Ezek. 27:6 the 'isles of Chittim' are spoken of, so it is evident that in the Prophets other islands are associated with Cyprus. Num. 24:24; Isa. 23:1, 12; Dan. 11:30. See CYPRUS. (렘02:10 너희는 깃딤 섬들에 건너가 보며 게달에도 사람을 보내어 이같은 일의 유무를 자세히 살펴보라 (겔27:6 바산 상수리나무로 네 노를 만들었었음이여 깃딤섬 황양목에 상아로 꾸며 갑판을 만들었도다 6 [Of] the oaks of Bashan have they made thine oars; the company of the Ashurites have made thy benches [of] ivory, [brought] out of the isles of Chittim. (민24:24 깃딤 해변에서 배들이 와서 앗수르를 학대하며 에벨을 괴롭게 하리라마는 그도 멸망하리로다 하고 (사23:1, 12 1 두로에 관한 경고라 다시스의 선척들아 너희는 슬피 부르짖을지어다 두로가 황무하여 집이 없고 들어 갈 곳도 없음이요 이 소식이 깃딤 땅에서부터 그들에게 전파되었음이니라 12 가라사대 너 학대 받은 처녀 딸 시돈아 네게 다시는 희락이 없으리니 일어나 깃딤으로 건너가라 거기서도 네가 평안을 얻지 못하리라 하셨느니라 (단11:30 이는 깃딤의 배들이 이르러 그를 칠 것임이라 그가 낙심하고 돌아가며 거룩한 언약을 한하고 임의로 행하며 돌아가서는 거룩한 언약을 배반하는 자를 중히 여길 것이며 --- Morrish Bible Dictionary
6 아셀(Aser/Asher) 파일
인물
jesus
4552 17 2006-12-27
▶ 아셀(Aser) 뜻:기쁨 야곱(Jacob)의 제8자로 첩 실바의 소생이다(창30:35). 야곱은 그에게 축복하기를 "나는 식물은 기름지고 그가 왕의 진수를 공궤하리라"하였다(창49:20). 애굽에서 나올 때에 그의 자손 수는 41,500명이 었는데 가나안에 들어 갈 때는 53,400 명이 되었다(민01:41, (민26:47). ▶ 아셀 Asher, Aser. [Ash'er, A'ser] Eighth son of Jacob by Zilpah, Leah's handmaid. Gen. 13. The signification of the name as in the margin is 'happy.' His posterity formed one of the twelve tribes. Its portion in the land was in the extreme north, extending northward from Mount Carmel. It was bounded on the east by Naphtali, and on the south east by Zebulon. It was doubtless intended that their west border should have been the Great Sea, but we read that they did not drive out the inhabitants of Accho, Zidon, Ahlab, Achzib, Helbah, Aphik and Rehob; but the Asherites dwelt among the Canaanites. Judges 1:31, 32. This left a tract of land on the sea coast unoccupied by Asher. (창30:9-13 실바와 소생들 (삿01:31-32 31 아셀이 악고 거민과 시돈 거민과 알랍과 악십과 헬바와 아빅과 르홉 거민을 쫓아내지 못하고 32 그 땅 거민 가나안 사람 가운데 거하였으니 이는 쫓아내지 못함이었더라 When Jacob called his sons about him to tell them what should befall them in the last days, he said of Asher, "Out of Asher his bread shall be fat, and he shall yield royal dainties." Gen. 49:20. When Moses ordained that certain of the tribes should stand on Mount Gerizim to bless the people, and certain others on Mount Ebal to curse, Asher was one of those chosen to stand on the latter. Deut. 27:13. And when Moses blessed the tribes before he died, he said of Asher, "Let Asher be blessed with children; let him be acceptable to his brethren, and let him dip his foot in oil. Thy shoes shall be iron and brass; and as thy days, so shall thy strength be." Deut. 33:24, 25. (창49:20 아셀에게서 나는 식물은 기름진 것이라 그가 왕의 진수를 공궤하리로다 (신27:13 르우벤과 갓과 아셀과 스불론과 단과 납달리는 저주하기 위하여 에발산에 서고 (신33:24-25 24 아셀에 대하여는 일렀으되 아셀은 다자한 복을 받으며 그 형제에게 기쁨이 되며 그 발이 기름에 잠길지로다 25 네 문 빗장은 철과 놋이 될 것이니 네 사는 날을 따라서 능력이 있으리로다 In Jacob's prophecy as to this tribe there is depicted the future blessing of all Israel after the salvation of the Lord has come in, announced at the close of Dan's apostasy. In Deuteronomy, what is future also as to Israel, is probably presented, but connected rather with the government of God in His hands who is King in Jeshurun. When Deborah and Barak went to the war they had to lament in their song that Asher abode by the sea coast, and came not to their aid, Judges 5:17; but when subsequently the Midianites and the Amalekites invaded the land Asher responded to the call of Gideon. Judges 6:35; Judges 7:23. At the secession of the ten tribes Asher became a part of Israel, and very little more is heard of this tribe. When Hezekiah proclaimed a solemn passover and sent invitations to the cities of Israel as well as to Judah, though many laughed the messengers to scorn, divers of Asher humbled themselves and came to Jerusalem. 2 Chr. 30:11. (삿05:17 길르앗은 요단 저편에 거하거늘 단은 배에 머무름은 어찜이뇨 아셀은 해빈에 앉고 자기 시냇가에 거하도다 (삿06:35 기드온이 또 사자를 온 므낫세에 두루 보내매 그들도 모여서 그를 좇고 또 사자를 아셀과 스불론과 납달리에 보내매 그 무리도 올라와서 그를 영접하더라 (삿07:23 이스라엘 사람들은 납달리와 아셀과 므낫세에서부터 모여서 미디안 사람을 쫓았더라 (대하30:11 그러나 아셀과 므낫세와 스불론 중에서 몇 사람이 스스로 겸비하여 예루살렘에 이르렀고 When numbered at Sinai there were 41,500 able to go forth to war, and when near the promised land they were 53,400; but when the rulers of the tribes are mentioned in the time of David, Asher is omitted. Num. 1:41; Num. 26:47; 1 Chr. 27:16-22. The tribe is twice referred to in the N.T. as ASER. In Rev. 7:6, twelve thousand of Asher will be sealed, and in Luke 2:36, Anna a prophetess, of the tribe of Asher, gave thanks in the temple at the birth of the Saviour. Asher is one of the tribes still to come into blessing, and have a portion in the land. Ezek. 48:2, 3. See THE TWELVE TRIBES (민01:41 아셀 지파의 계수함을 입은 자가 사만 일천 오백명이었더라 (민26:47 이는 아셀 자손의 종족들이니 계수함을 입은 자가 오만 삼천 사백명이었더라 (대상27:16-22 다윗의 행정 조직 (계07:6 아셀 지파 중에 일만 이천이요 납달리 지파 중에 일만 이천이요 므낫세 지파 중에 일만 이천이요 (눅02:36 또 아셀 지파 바누엘의 딸 안나라 하는 선지자가 있어 나이 매우 늙었더라 그가 출가한 후 일곱 해 동안 남편과 함께 살다가 (겔48:2-3 2 단 지계 다음으로 동편에서 서편까지는 아셀의 분깃이요 3 아셀 지계 다음으로 동편에서 서편까지는 납달리의 분깃이요 --- Morrish Bible Dictionary 이스라엘 12지파 - 르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 스불론, 잇사갈, 단, 갓, 아셀, 납달리, 요셉 (에브라임, 므낫세), 베냐민 ▶ 아셀 (Asher) 아셀은 기쁨이라는 뜻입니다. 레아의 여종 실바가 두번째 낳은 갓의 동생이며 야곱의 여덟째 아들이었습니다. 아셀은 온건하고 평화적인 종족이었으나 하나님이 허락한 지역을 다 점령하지 못한 좀 무능한 종족이기도 하였습니다. 야곱의 예언을 보면 물질의 축복을 받을 것을 소개하였고(창 49:20) 모세의 예언도 아셀지파의 축복이 다른 지파까지 기쁨이 될 만큼 대표적인 축복을 받을 것을 밝히고 있습니다. 발은 기름에 젖고 철과 놋으로 문빗장을 만들 만큼 부유한 산업의 소유자가 될 것을 말했습니다(신33:24∼25). 그러나 아셀지파의 실수는 자기들에게 기업으로 주신 땅 안에서 악고, 시돈, 알랍, 악십 헬바, 아빅, 르흡 등 이방민족을 쫓아내지 아니하고 그들과 동거한 것이 결정적인 죄가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여선지자 드보라는 아셀지파의 안이한 태도를 책망하기도 하였습니다. 결국 아셀지파는 우상을 섬기는 이방 백성과 혼합하여 생활하다가 우상숭배에 물들고 말았습니다. 아셀지파는 영적으로도 축복받은 지파였고 지리적으로도 가나안 땅의 북서편 지중해 해변가의 비옥한 지역을 물려 받았으나 그들이 받은 영적 축복이나 좋은 자연적인 조건만큼 역사에 공헌하지는 못했습니다. 축복을 관리하는데 성실치 못한 지파였습니다. (교훈과 적용) lt=32.95292&ln=35.3540039
5 멜기세댁(Melchisedec)
인물
jesus
5039 6 2006-12-26
▶ 멜기세댁(Melchisedec) 뜻:의의 왕 아브함 시대의 예루살렘 제사장(창14:18). 후대에 이상적인 왕의 전형이 되어 이러한 왕은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은 "영원한 제 사장"이라고 칭하게 되었다(시110:4). 히브리서에서 그의 특이한 지위를 묘사하여 그리스도의 우월성을 논하고 있다(히5:6-10, (히7:). -------------------------------------------------------------------------------- 멜기세덱…떡과 포도주의 아브라함 축복 구약성경의 내용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히브리’ 민족과 ‘가나안’ 민족의 전쟁사이다.하나님이 아브라함을 불러 가나안 땅으로 들어갈 것을 명하시고 그 땅을 아브라함의 자손에게 주겠다고 약속하신 것은 BC 2091년이었다. “내가 이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라”(창 12:7) 하나님이 가나안 족속을 저주의 대상으로 삼으신 것은 그들이 하나님을 엘 신이라는 우상으로 만들고 다시 아세라 여신을 만들어 엘 신과 결혼을 시키는가 하면 그 사이에서 태어난 바알 신을 일으켜 엘 신을 몰아내고 자신의 어머니격인 아세라 여신을 차지하게 하는 등 가증한 짓을 일삼았기 때문이었다.그러나 하나님은 가나안 징계의 일정을 400년이나 연기하신다고 아브라함에게 통고하셨다. “네 자손이 이방에서 객이 되어 그들을 섬기겠고 그들은 400년동안 네 자손을 괴롭게 하리니 그 섬기는 나라를 내가 징치할지며 그 후에 네 자손이 큰 재물을 이끌고 나오리라”(창15:13∼14) 가나안에게는 장자 시돈과 차남 헷,그리고 셋째 여부스와 넷째 아모리 등 11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아브라함이 가나안 땅에 들어갔을 때 아모리 족속의 두령 중 하나인 마므레의 호의로 그의 땅에서 살았다.또 그의 조카 롯이 북방 연합군에 잡혀갔을 때에도 아모리의 세 두령과 함께 적을 습격하여 롯 식구들과 약탈당한 재물을 되찾아왔다.하나님의 계획이 연기된 것은 그 아모리 족속 때문이었다. “이는 아모리 족속의 죄악이 아직 관영치 아니함이니라”(창15:16) 히브리 민족과 가나안 민족의 공통점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하나님이라는 단어를 ‘엘’로 사용한다는 사실이다.이것으로 보아 그들 두 민족이 처음에 모두 같은 하나님을 섬겼다는 것을 알 수 있다.가나안의 장자 시돈은 두로를 포함하는 페니키아 지역의 족속이었는데 그들은 본래 하나님의 사랑을 받았다고 되어 있다. “네가 하나님의 성산에 있어서 화광석 사이에 왕래하였었도다”(겔28:14) 그러나 가나안 사람들은 장사하여 부자가 되면서 마음이 교만해져서 다른 신들을 만들어내고 풍요와 번영을 기원했던 것이다. “네 큰 지혜와 장사함으로 재물을 더하고 그 재물로 인하여 네 마음이 교만하였도다”(겔28:5) 그러나 가나안 족속이 다 하나님을 버리고 다른 신들을 섬길 때 넷째인 아모리 족속은 아직 하나님을 경외하고 있었으며 하나님의 사람 아브라함에게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뿐만 아니라 살렘 즉 예루살렘 지역에 있던 여부스 족속도 마찬가지였다.아브라함이 롯의 식구들을 되찾고 개선하여 살렘을 지날 때 살렘 왕이며 하나님의 제사장인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와 그를 축복했다. “천지의 주재시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이여 아브라함에게 복을 주옵소서 너의 대적을 네 손에 붙이신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을 찬송할지로다”(창14:20) 그러자 아브라함은 그가 되찾아온 것의 십일조를 멜기세덱에게 내놓았다.신약 성경의 히브리서는 이 멜기세덱을 그리스도의 예표로 해석했다. “그리로 앞서 가신 예수께서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아 영원히 대제사장이 되어 우리를 위하여 들어가셨느니라”(히06:20) ‘살렘’이란 곧 평화라는 뜻이다.지구상에서 전쟁을 없애고 평화를 이룩할 평화의 왕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뿐이라는 것이다. “이 멜기세덱은 살렘 왕이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라 여러 임금을 쳐서 죽이고 돌아오는 아브라함을 만나 복을 빈 자라 아브라함이 일체 십분의 일을 그에게 나눠주니라 그 이름을 번역한즉 첫째 의의 왕이요 또 살렘 왕이니 곧 평강의 왕이요 아비도 없고 어미도 없고 족보도 없고 시작한 날도 없고 생명의 끝도 없어 하나님 아들과 방불하여 항상 제사장으로 있느니라”(히07:1∼3) 그 후로 아브라함의 자손들은 애굽에 내려가 400년간 고초를 겪으며 약 200만의 민족을 이루었다.모세의 인도로 애굽을 탈출한 그들은 40년의 광야생활을 거쳐 가나안 땅으로 진입했다. 다윗이 그 땅을 거의 다 점령하고 12 지파의 왕이 된 것은 BC 1004년이었으니 하나님이 가나안 박멸의 프로젝트를 시작하신지 1087년만이었다.그러나 그 땅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점점 가나안 문화에 미혹되어 그 신들을 섬기다가 남과 북으로 갈라지고 양쪽이 모두 멸망하게 된다.무력으로는 가나안을 이겼으나 문화의 전쟁에서 패배한 것이다.그들이 다 멸망한 때가 BC 586년이었으니 하나님께서 1000년을 고심하여 이루신 프로젝트는 400년을 겨우 넘기고 수포로 돌아갔다.그러나 그들의 멸망 후에 선지자 스가랴는 다시 진정한 평강의 왕이 오시리라고 예언했다. “시온의 딸아 크게 기뻐할지어다 예루살렘의 딸아 즐거이 부를지어다 보라 네 왕이 네게 임하나니 그는 공의로우며 구원을 베풀며 겸손하여서 나귀를 타나니 나귀의 작은 것 곧 나귀새끼니라”(슥 9:9) 전쟁하는 영웅은 말을 타지만 평강의 왕은 나귀새끼를 타고 오신다.선지자 스가랴가 이 말씀을 전한지 500여년이 지나서 나사렛의 예수는 나귀새끼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했다.그가 십자가에 달리기 전날 그의 제자들은 떡과 포도주를 나누어 받았다.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마26:26∼28) 김성일<한세대 교수> (교훈과 적용)
4 에브라임(Ephraim)
인물
jesus
5494 12 2006-12-27
▶ 에브라임(Ephraim) (1) 애굽에서 출생한 요셉의 차자(창41:51-52). (2) 야곱이 12지파에 참예시키기 위하여 축복할 때 그의 형 므낫세 보다 앞세우려고 오른 손을 에브라임의 머리에 왼손을 므낫세의 머리에 얹고 축복하였다(창48:13). (3) 여호수아 드보라 압돈 사무엘이 모두 에브라임의 후손들이다. - (민13:8, 16, (삿04:5, (삿12:15, (삼상01:1). ----------------------------------------------- 1. 요셉(Joseph)의 둘째 아들. 2. 에브라임의 자손들과 그들의 영토. 관련성구 (창41:52 (창46:20 (창48:1 창 48:5 창 48:13 창 48:14 창 48:17 창 48:20 (창50:23) (민01:32) 이스라엘 12지파 - 르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 스불론, 잇사갈, 단, 갓, 아셀, 납달리, 요셉 (에브라임, 므낫세), 베냐민 ======== ▶ Ephraim. [E'phraim] Second son of Joseph and Asenath. The name is also given to the tribe of which he was the head, and also to the district of Palestine that fell to his lot. When Israel blessed the two sons of Joseph he set Ephraim before his elder brother, saying he should be greater, and his seed should become a multitude (or, 'fatness') of nations. Gen. 48:17-19. Little is recorded of Ephraim personally; and of his descendants, Joshua the son of Nun is the most renowned. The tribe on the second year from the Exodus numbered in fighting men 40,500; but had decreased during the forty years to 32,500. Num. 1:33; Num. 26:37. (민01:33 (민26:37 The territory of the tribe was in the heart of Palestine, having Manasseh on the north, Benjamin on the south, and Dan on the west. It has beautiful valleys and noble mountains with many springs and streams. Its two principal towns were Shiloh and Shechem. Ephraim had the place of the first-born (Jer. 31:9), the birthright being taken from Reuben and given to Joseph. 1 Chr. 5:1, 2. Also the place of the tabernacle was in the tribe of Ephraim, hence we find in the time of the judges this tribe asserting its own importance. They were angry with Gideon for not calling them to the war sooner than he did; but a soft answer appeased their wrath. Judges 7:24; Judges 8:1-3. Again they complained to Jephthah that he had gone without them to fight the Ammonites, though Jephthah declared that he had called them, and they had not responded. They also haughtily said of the Gileadites that they were fugitives of Ephraim, implying that they were not a tribe, but belonged to Ephraim, from whence they had escaped. The conflict was sharp; the Gileadites seized the ford of the Jordan, and then by putting all who wanted to pass to the test of pronouncing Shibboleth (which the Ephraimites could only call Sibboleth) they slew 42,000 of the men of Ephraim. Judges 12:1-6. Thus was this proud and envious tribe punished for molesting their brethren, whereas they had not driven out the heathen inhabitants of the land, as they should have done. Judges 1:29. Type of many in the church who in pride contend with their brethren, but do not fight God's battles against spiritual wickedness. Later on the Lord forsook Shiloh, and chose, not the tribe of Ephraim, but that of Judah both for the place of royalty and for the sanctuary. (렘31:9 (대상05:1,2 (삿07:24; (삿08:1-3 (삿12:1-6 (삿01:29 In the kingdom under David and Solomon we read very little of Ephraim, but it is twice called in the Psalms 'the strength (or defence) of mine head.' Ps. 60:7; Ps. 108:8. At the division of the tribes Ephraim took the most prominent place; Shechem and Samaria being in their territory naturally contributed to this, and accounts for the ten tribes being constantly called 'Ephraim' by the prophets. In the same way the two tribes are called 'Judah.' Hosea 5:3, 5, 13, 14, etc. Isaiah prophesied that in sixty-five years Ephraim should be broken and should not be a people. Isa. 7:8. This was in B.C. 742, and Samaria was taken and Israel carried into captivity in B.C. 721, so that the prophecy doubtless referred to Esarhaddon planting a colony of foreigners in Samaria in B.C. 678, which fulfils the sixty-five years. This also agrees with the prophecy saying 'the head of Ephraim ' is Samaria. (시060:7; (시108:8 (호05:3, 5, 13, 14, (사07:8 In the prophecies also that refer to the future blessing of the twelve tribes Ephraim is regarded as representing the ten tribes. Ezek. 37:16-22, where the twelve tribes are to become one nation in their own land, with one king over them: a prophecy which clearly has never yet been fulfilled, but which will surely be accomplished in God's own time. (겔37:16 --- Morrish Bible Dictionary ------------------------------------ 창세기 (창 48:8∼20) 에브라임은 「풍성하다」는 뜻이다. 요셉의 차자인데 제사장 보디베라의 딸 아스낫의 소생이다. 요셉은 므낫세와 에브라임 두 아들까지 가나안 땅에서 기업을 분배받았기 때문에 다른 지파보다 두배나 기업을 얻게 되었다. 또한 야곱(Jacob)은 므낫세와 에브라임이 손자인데도 아들로 삼아 그들에게도 족장의 이름을 붙였다. 그러나 므낫세보다 에브라임이 더 창대하고 더 큰 축복을 받을 것으로 야곱의 오른손을 에브라임의 머리에 얹어 예언하였다. 요셉은 애굽에서 1백10세를 사는동안 에브라임 자손 3대를 보았다. 에브라임 지파는 세겜에 도피성을 갖게 되었고 사마리아 지역의 비옥한 땅 절반이 이 지파의 소유였다. 예루살렘의 시온산(다윗성)에 성전을 건축하기까지 성막이 실로에 있었는데 이 실로가 에브라임 땅이어서 에브라임 지파가 더 영향력 있는 지파가 되었다. 여호수아와 사사 드보라, 압돈, 제사장 사무엘이 에브라임 지파 사람으로 그 지파의 명예를 높이고 있다. 또 이렇게 훌륭한 많은 인재들이 그 지파 출신이였다는 것은 야곱이 축복한 결과였으리라. 그러나 에브라임 지파에게 병폐와도 같고 오명과 같은 사건이 있었다. 그 하나는 기드온이 미디안과 싸우고 또 입다가 암몬과 싸워 승전했을 때에 동참하지 않고 불평하다 도륙을 당한 사건이다. 또 하나는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이 이 지파 출신으로 죄인의 상징이 되었다. -------------------------------------------------------------------------------- 에브라임… 민족대표된 차남… 후손들 분열 ‘오명’ ◇장자의 축복을 받은 풍성한 자 ( 형보다 높임을 받은 아우-에브라임 ) 애굽 땅에서 총리가 된 요셉이/두 아들을 낳았다/장자의 이름은 므낫세/차자의 이름은 에브라임 야곱의 임종이 가까웠을 때/요셉과 두 아들/족장 야곱을 찾았네/언약의 축복 기도를 받기 위해서라네 그러나 어쩐 일인가/장자 므낫세의 머리 위에 올려질 야곱의 오른손이/차자 에브라임의 머리 위에 올려졌도다/이 광경에/요셉이 놀라고 당황했네 차자이면서 장자의 축복을 받은 자여/하나님의 풍성한 축복을 받았도다/그 이름 그대로/‘풍성함’의 에브라임이라 장자의 축복을 받아 누린 에브라임이여/하나님을 찬양하라/풍성한 축복에 감사하라 그러나/그대의 후손들,에브라임 지파가/언약의 유다 왕국에 대항하여/예루살렘 성전을 멀리 떠나갔도다/북방 땅에 우상의 제단을 만들어 섬겼도다 차자로서 장자의 축복을 받은 자/넘치도록 풍성한 축복을 받은 자/어이하여/하나님을 섬기지 못하고/배반과 불순종의 슬픈 길을 걸었는가/오늘까지 쓰라린 실패의 길을 걷고 있는가 ◇에브라임-복에 복을 더하여 받은 풍성한 인물 그는 누구인가? 에브라임은 요셉의 차남이다. 애굽 땅에 노예로 팔려온 요셉이 오랜 역경 후에 마침내 뜻을 이뤄 애굽의 총리가 되었을 때,요셉은 애굽의 유력한 제사장의 딸인 아스낫과 결혼하게 되는데, 그녀를 통해 장남 므낫세에 이어 두 번째로 낳은 아들이 에브라임이다(창 41:52).에브라임의 이름 뜻은 ‘풍성함’인데, 이것은 요셉이 모든 고생 끝에 애굽 땅에서 풍요로움을 얻었다는 의미에서 지은 이름이다. 이렇게 에브라임은 아버지의 고생으로 일군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난 복된 인물이다. 차자이면서 장자의 축복을 받은 인물 애굽 총리의 풍성한 집안에서 둘째 아들로 복되게 태어난 에브라임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조부(祖父)인 야곱으로부터 형 므낫세를 제치고 장자의 축복까지 받게 된다. 이어서 야곱의 아들들의 반열에까지 오르게 된다(창 48:8-20). 이것은 에브라임이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중 한 지파로서 당당하게 세워졌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더 나아가 후에 에브라임 지파는 정복한 가나안의 넓은 땅을 지파의 기업으로 분배받는다. 이처럼 에브라임은 더 이상 풍성해질 수 없을 정도로 복에 복을 더하여 받은, 이름 뜻 그대로 ‘풍성한’ 인물이 된다. 에브라임의 길, 패망의 길 그렇다면 에브라임은 하나님의 크신 축복에 감사하면서 겸손한 자세로 이웃에게 도움이 되는 삶을 살아야 했다. 받은 바 풍성함을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나눠 쓰는 봉사의 삶을 살아야 했다. 하지만 이후 에브라임 지파의 역사는 그렇지 못했다. 사사 시대에는 이방인의 침략을 받아 도움을 호소하는 다른 지파의 요청을 거절하는 배타성을 보였다. 솔로몬의 죽음 이후 왕국이 분열될 때에는, 왕권의 축복을 받은 유다 지파에 대항하여 유다와 베냐민 지파를 제외한 북쪽 지방의 열 지파를 규합하여 북왕국 이스라엘을 세워 그들의 지도적인 지파가 되었다. 이후로 에브라임 지파 중심의 북왕국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땅에 이방의 제단을 세우고 우상을 섬겼으며, 이방인들과 무분별하게 교류하는 가운데 선민의 거룩한 특성을 상실하는 등 점차적으로 하나님에게서 멀어져 갔다. 그 결과, 마침내 북왕국은 하나님의 진노를 사서 앗수르에 의해 멸망당하고 이방 나라로 뿔뿔이 흩어지는 추방과 패망의 길을 걷고 만다. 하나님이 주신 풍성함의 복을 배타적이고 이기적으로 사용하여 실패한 지파의 슬픈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김영진<성서원 회장> (교훈과 적용)
3 다니엘(Daniel)
인물
jesus
6403 6 2006-12-26
▶ 다니엘(Daniel) 뜻:하나님이 나의 재판장이심 [1] 다윗의 둘째 아들. 가멜 여자 아비가일이 헤브론에서 낳은 아들(대상03:1) ▶ 다니엘 Daniel. 1. Second son of David, by Abigail the Carmelitess. 1 Chr. 3:1. Same as CHILEAB. 2 Sam. 3:3. (대상03:1 다윗이 헤브론에서 낳은 아들들이 이러하니 맏아들은 암논이라 이스르엘 여인 아히노암의 소생이요 둘째는 다니엘이라 갈멜 여인 아비가일의 소생이요 (삼하03:3 둘째는 길르압이라 갈멜 사람 나발의 아내 되었던 아비가일의 소생이요 세째는 압살롬이라 그술 왕 달매의 딸 마아가의 아들이요 2. Descendant of Ithamar, he returned with Ezra and sealed the covenant. Ezra 8:2; Neh. 10:6. (스08:2 비느하스 자손 중에서는 게르솜이요 이다말 자손 중에서는 다니엘이요 다윗 자손 중에서는 핫두스요 (느10:6 다니엘, 긴느돈, 바룩, --- Morrish Bible Dictionary [2] 1) 하나냐 미사엘 아사랴와 함 바벨론으로 잡혀갔다. 그 나이가 어리고용모가 아름답고 머리가 영특하여 느부갓네살 왕이 시동으로 선발되어3년간 갈대아 인의 학문과 방언을 배웠으나 왕의 주는 포도주나 육식으로 신앙을 더럽히지 않았다(단01:3-16). 2) 느부갓네살왕의 잊은 꿈을 알려주고 해몽까지 하였고(단02:) 3) 두번째 꿈을 해석하였다. (단04:). 4) 그 후 벨사살 왕의 연회장 벽에 사람의 손이 나타나 글자 쓴 것을 읽어주고 그 뜻을 해석한 후 제3치리자가 됨(단05:). * 다리오 왕때에 다니엘을 제1의 위치에 올려 놓으려 하였다. 이것을 시기한120방백과 치리자 2인이 그를 모략하고자 다리오 왕외에 타인이나 타 신에게 경배하는 자는 모두 처벌한다는 명을 내렸다. 다니엘과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 등 유대의 젊은이들이 이 명을 어긴 죄로 사자굴과 풀무 불속에 던짐을 받았으나 주의 사자가 구원해 줌으로써 왕이 하나님 찬송을 드렸다. [3] 포로 되었다가 에스라와 함 돌아온 이마다의 후손(스 8:2)이며 느헤미야의권면을 받아 맹약 에 인친 자이다(느10:6). ▶ 선지자 다니엘 Daniel the Prophet. One of the tribe of Judah and of the royal family of David, he was carried to Babylon by Nebuchadnezzar. He was chosen, as one who was well favoured and without blemish, to stand before the king, and to be taught the learning and tongue of the Chaldeans; his name being changed to BELTESHAZZAR. He was to be fed with the king's meat and to drink the king's wine, but Daniel resolved not to be thus defiled; the food had probably been offered to idols. He requested that he and his companions might be allowed to live upon vegetable food and water for a few days, and God blessed this faithfulness and when tested they were found well nourished. God also gave them knowledge and skill in learning, and to Daniel He gave understanding in all visions and dreams. This was soon to be put to the proof, for the king having had a remarkable dream, which perhaps he had forgotten, he required the wise men to tell him the dream as well as its interpretation; or he may have intended it as a test. If by help of the gods they were able to give the true interpretation, the same gods could enable them to recall the dream. But they declared that this was an unheard-of demand. The magic and astrology of Chaldea was not equal to it, and Daniel and his companions were in danger of being destroyed with all the wise men; but they turned to the God of heaven and prayed to Him, and the dream was revealed to Daniel in a night vision. Daniel thanked and worshipped the God of his fathers. It was the vision of the Great Image. Its revelation had such an effect on the king that he did homage to Daniel, and said Daniel's God was the God of gods and the Lord of kings. He made Daniel ruler over the whole of Babylon and chief governor over all the wise men of Babylon. He sat in the gate of the king. Daniel was also able to interpret the dream that foretold Nebuchadnezzar's lunacy. He was next called to interpret the writing on the wall at Belshazzar's feast, and was made third ruler of the kingdom; but the city was taken and the kingdom fell into other hands. Darius in settling the government made three presidents over 120 princes or satraps, and Daniel was first of the three. This raised their jealousy and they laid a plot to destroy him, finding nothing on which to accuse him except concerning his piety. Spite of the king's decree (which they had instigated) that no one should ask a petition of God or man for thirty days except of the king, Daniel still three times a day prayed and gave thanks to his God, having his window opened towards Jerusalem: cf. 1 Kings 8:47-49. On his being accused thereof Darius was grieved, but saw no way of keeping the law and saving Daniel, so he was cast into the lions' den. Darius spent the night in fasting, and in the morning he found that Daniel's God had been able to save him from the lions. He was rescued and his enemies were cast into the den. A decree was then sent throughout the kingdom that all should fear the God of Daniel, 'for He is the living God.' "So this Daniel prospered in the reign of Darius, and in the reign of Cyrus the Persian." Dan. 6:28. (왕상08:47-49 47 저희가 사로잡혀 간 땅에서 스스로 깨닫고 그 사로잡은 자의 땅에서 돌이켜 주께 간구하기를 우리가 범죄하여 패역을 행하며 악을 지었나이다 하며 48 자기를 사로잡아 간 적국의 땅에서 온 마음과 온 뜻으로 주께 돌아와서 주께서 그 열조에게 주신 땅 곧 주의 빼신 성과 내가 주의 이름을 위하여 건축한 전 있는 편을 향하여 주께 기도하거든 49 주는 계신 곳 하늘에서 저희 기도와 간구를 들으시고 저희의 일을 돌아보옵시며 (단06:28 28 이 다니엘이 다리오 왕의 시대와 바사 사람 고레스 왕의 시대에 형통하였더라 This closes the history of Daniel in connection with the kings of Babylon and Persia. It reveals him as faithful to his God first, and then faithful to those whom he served. He was greatly concerned for the welfare of Israel, and confessed their sins as his own. God answered and blessed him, and revealed His purposes to him; gave him favour with those he served, and preserved him from the malice of his enemies. He is twice classed with Noah and Job as a faithful one. Ezek. 14:14, 20. He typifies the faithful Jewish remnant during the Gentile supremacy, in bondage yet possessing the secret of the Lord. Finally through them the Gentiles magnify their God. (겔14:14,20 14 비록 노아, 다니엘, 욥, 이 세 사람이 거기 있을지라도 그들은 자기의 의로 자기의 생명만 건지리라 나 주 여호와의 말이니라 20 비록 노아, 다니엘, 욥이 거기 있을지라도 나의 삶을 두고 맹세하노니 그들은 자녀도 건지지 못하고 자기의 의로 자기의 생명만 건지리라 나 주 여호와의 말이니라 하시니라 --- Morrish Bible Dictionary ========Paintings Daniel Daniel is one of the four greater prophets, the others are Ezekiel, Isaiah and Jeremiah. The Book of Daniel tells how a Jewish captive Daniel rose to a high position in the Babylonian court thanks to his ability to interpret dreams. Daniel is also a personification of Justice. One of the most famous episodes of his legend is that of Daniel in the lion's den (Dan. 6:2-29). Jealous of the favor Daniel enjoyed with the king, some courtiers accused him of not worshipping the king in his prayers, which was the law. Daniel worshiped only God and thus violated the king's edict. He was thrown into a den with lions. But the Lord sent an angel, who shut the lions' mouths. The king, who loved Daniel, was very glad and ordered the accusers to be put into the den, where they were immediately torn into pieces. (단06:2-29 사자 굴 속의 다니엘 Peter Paul Rubens. Daniel in the Lions' Den. 1615. Oil on canvas. The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USA ----------------------------------------------------------------- 다니엘… ‘기도의 용사’ 미래를 보았다. 예루살렘을 향하여 하루 세 번 무릎 꿇다 ( 스스로 사자 굴을 택한 신앙 절개의 인물 - 다니엘 ) 유대의 왕족으로 태어났지만/망국의 슬픈 시대를 맞아/바빌로니아 제국의 포로가 된 인물,다니엘/하지만 세상의 그 누구도/그의 신앙의 절개는 꺾을 수 없었네그는 민족 자존심을 유지한 지조의 인물이었네/이방의 술과 고기로 채워진 왕의 식탁을 거절하고/푸성귀로 자신의 몸을 고결하게 지켰네 그는 누구도 두려울 게 없는 신앙의 인물이었네/“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분벽의 글씨를 보고 벨사살 왕 앞에서/당당하게 바빌로니아의 멸망을 선언했네 그는 아무도 금지시킬 수 없는 기도의 인물이었네/왕의 금령에 따라 사자 굴에 던져질 줄 알면서도/예루살렘을 향해 하루 세 번의 기도를 멈추지 않았네 그는 미래를 본 지혜의 인물이었네/꿈과 환상을 통해 하나님의 경륜을 깨달아/열국의 장래와 메시아를 예언했어라 그리하여 다니엘/하나님의 인정을 받고/왕들의 신임을 얻고/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네 보라,다니엘의 영광을!/망국의 포로 된 자로서/왕과 왕의 총리가 되어/오래도록 백성을 올바로 다스린/그 빛나는 삶을 오늘 그대여,/자신의 처지나 환경을 탓하거나 비관하지 말라 다만 울라/다니엘처럼 신앙의 절개와 영혼의 지조를 지키지 못함을,/그리고 배우라/영혼이 저리도록 아름다운 다니엘의 그 신앙 절개의 삶을…. 다니엘 -기도하지 못 한다면 차라리 사자굴 속으로 왕의 식탁을 거절하다 망한 나라에서 왕의 친족처럼 슬픈 존재가 또 있을까? 다니엘이 그런 존재였다. 그는 유대 왕의 친족이라는 고귀한 신분으로 태어났지만 소년 시절에 나라가 망해 먼 이방 땅 바빌로니아에 포로로 잡혀간다(주전 605년). 하지만 무너진 것은 나라일 뿐,히브리 민족의 후예된 다니엘의 자긍심과 여호와 신앙의 꿋꿋한 의지는 결코 무너지지 않았다. 대표적인 예가 바빌로니아 궁중 학교에서 왕이 제공하는 음식을 거절한 사건이다. 당시 16세 가량의 소년 다니엘은 포로가 된 일개 약소국의 가련한 왕족에 불과했지만 히브리 민족의 자긍심과 여호와 신앙의 절개로 왕이 베푸는 산해진미를 당당히 거절한다. 그것은 목숨을 내건 용기였다. 대신에 그는 채소만을 먹으면서도 하나님의 은혜로 자신의 몸을 거룩하고 윤택하게 지켜나간다. 예루살렘을 향하여 창문 열고 기도하다 하나님의 은총 아래 고결한 인품과 탁월한 지혜를 소유한 다니엘은 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바빌로니아와 페르샤의 양 제국에 걸쳐 총리직에 오르게 된다. 약소국의 포로가 이처럼 출세할 때는 간신배들의 시기와 모함이 반드시 뒤따르는 법. 그들은 다니엘에게서 다른 약점을 찾지 못하고 다만 한 가지 특징을 발견한다. 그것은 어김없이 하루 세번씩 예루살렘을 향하여 기도한다는 것이다. 간신배들은 이것을 다니엘의 약점으로 잡아 다리오 왕을 충동질하여 왕 이외에는 누구에게도 기도하지 못하게 하는 금령을 만들고 이를 어기면 사자굴에 던져 넣는다는 죽음의 법을 선포한다. 하지만 다니엘은 개의치 않는다. 평소 습관대로 창문을 열고 예루살렘을 향하여 기도한다. 그 결과 다니엘은 왕의 법에 따라 사자굴에 던져진다. 그러나 천사의 도움으로 털끝 하나 다치지 않고 그 대신에 다니엘을 모함한 간신배들의 무리가 사자의 밥이 된다. 왕의 권세도,사자의 이빨도,기도의 사람 다니엘을 이길 수 없었다. 꿈과 환상을 해석하고 미래를 보다 다니엘은 하나님이 주신 성령의 지혜로 꿈과 환상을 해석했다. 느부갓네살 왕의 꿈을 해석했고 벨사살 궁전의 벽에 쓰여진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의 의미를 해석했다. 여러 환상을 통해 다니엘은 열방의 흥망성쇠와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택한 백성을 향한 구속역사(救贖歷史)의 전개과정과 멀리 메시아의 도래를 보았다. 그리고 자신이 본 하늘의 계시를 오는 세대에게 선포한 위대한 선지자가 되었다. 김영진 <성서원 대표> (교훈과 적용)
2 느부갓네살(Nebuchadnezzar)
인물
jesus
7423 11 2006-12-26
▶ 느부갓네살(Nebuchadnezzars) 뜻:느보야 그 경계를 보호하라 갈대아 왕으로(주전 605-562) 새 바벨론제국 창건자. 1) 갈그미스에서 애굽왕 느고를 파함(렘46:2). 2) 예루살렘에 침입하여 시드기야를 왕위에 세움(왕하24:1-8). 3) 시드기야가 배반함으로 주전 588년에 예루살렘을 완전히 점령하였다(왕하25:1). 4) 하나님의 진노를 받아 정신병에 걸려 야수의 생활을 함(단04:33). 5) 정신병이 회복된 후 하나님을 찬송함(단04:34). 6) 다니엘이 그의 꿈을 해석한후 다니엘을 바벨론의 치리자로 삼음(단02:)7) 그후 두라 평원에 금 우상을 경배하게 하였다. 경배하지 않는 이스라엘의 세청년을 사자굴과 풀무불에 던졌으나 머리칼 하나도 상하지 않는것을 보고 그들을 건져내 어 인격을 더욱 높여 주며 하나님을 찬양함(단03:). ========Paintings Nebuchadnezzars Statue More...More... Gallery ▶ 느부갓네살 Nebuchadnezzar, [Nebuchadnez'zar] or Nebuchadrezzar. [Nebuchadrez'zar] Son of Nabopolassar and virtually founder of the later kingdom of Babylon, the first of the four great Gentile empires. Nebuchadnezzar acted as his father's general and defeated Pharaoh-necho at Carchemish, B.C. 606. Jer. 46:2. Judah about this time became tributary to Babylon, and some captives (including Daniel) and holy vessels were carried away. 2 Chr. 36:5-7; Dan. 1:1-4. This is called 'the first captivity' of Judah. (렘46:2 애굽을 논한 것이니 곧 유다 왕 요시야의 아들 여호야김 제 사년에 유브라데 하숫가 갈그미스에서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게 패한 애굽 왕 바로느고의 군대에 대한 말씀이라 (대하36:5-7 5 여호야김이 위에 나아갈 때에 나이 이십 오세라 예루살렘에서 십 일년을 치리하며 그 하나님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더라 6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올라와서 치고 저를 쇠사슬로 결박하여 바벨론으로 잡아가고 7 느부갓네살이 또 여호와의 전 기구들을 바벨론으로 가져다가 바벨론에 있는 자기 신당에 두었더라 (단01:1-4 1 유다 왕 여호야김이 위에 있은 지 삼년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에 이르러 그것을 에워쌌더니 2 주께서 유다 왕 여호야김과 하나님의 전 기구 얼마를 그의 손에 붙이시매 그가 그것을 가지고 시날 땅 자기 신의 묘에 이르러 그 신의 보고에 두었더라 3 왕이 환관장 아스부나스에게 명하여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왕족과 귀족의 몇 사람 4 곧 흠이 없고 아름다우며 모든 재주를 통달하며 지식이 구비하며 학문에 익숙하여 왕궁에 모실만한 소년을 데려오게 하였고 그들에게 갈대아 사람의 학문과 방언을 가르치게 하였고 Three years later, Judah revolted and Nebuchadnezzar besieged Jerusalem. In B.C. 599 the king and many captives, with the treasures of the temple, were taken to Babylon: this is called 'the great captivity.' In B.C. 588 Nebuchadnezzar again besieged Jerusalem, burnt the temple, and destroyed the city. He also took Tyre, B.C. 573, after a siege of thirteen years, for which "he had no wages, nor his army" (the inhabitants having escaped with their riches by sea); but God rewarded him with the spoils of Egypt, which he conquered. 2 Kings 24, 2 Kings 25; 2 Chr. 36; Ezek. 29:18-20. (왕하24: 유다왕 여호야긴과 시드기야 (왕하25: 예루살렘 멸망. 성전 붕괴. 바벨론 포로 (대하36: 유다 왕 여호아하스, 여호야김, 여호야긴, 시드기야 (겔29:18-20 18 인자야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그 군대로 두로를 치게 할 때에 크게 수고하여 각 머리털이 무지러졌고 각 어깨가 벗어졌으나 그와 군대가 그 수고한 보수를 두로에서 얻지 못하였느니라 19 그러므로 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 내가 애굽 땅을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게 붙이리니 그가 그 무리를 옮겨가며 물건을 노략하며 빼앗아 갈 것이라 이것이 그 군대의 보수가 되리라 20 그들의 수고는 나를 위하여 함인즉 그 보수로 내가 애굽 땅을 그에게 주었느니라 나 주 여호와의 말이니라 The more personal history of Nebuchadnezzar is given by Daniel. Nebuchadnezzar had selected him, and some of his fellow captives, to fill honourable positions in the state. In the second year of Nebuchadnezzar's reign (B.C. 603) he had the remarkable dream of the Great Image, in the interpretation of which the fact was made known that he had been chosen by God as the first king of an entirely new era, the times of the Gentiles. The house of David had for the time been set aside as God's ruler on earth, and in Nebuchadnezzar the Gentiles had been entrusted with supreme authority. Daniel could say to him, "Thou, O king, art a king of kings: for the God of heaven hath given thee a kingdom, power, and strength, and glory . . . . thou art this head of gold." Nebuchadnezzar was a heathen, but he had now learned that he held his kingdom from the God of heaven, and was responsible to Him. In setting up the image of gold he denied the God of heaven, and the head of Gentile power became idolatrous; but on the occasion of his casting into the fiery furnace the three Hebrew companions of Daniel, because they would not worship the image he had set up, he was amazed to see another Person in the furnace like a son of God. He called the three out of the furnace, addressing them as 'servants of the most high God'; he blessed their God, and said that no one must speak anything against Him; but the miracle had no practical moral effect upon him. He had another dream, showing that for his pride God was going to humble him. Daniel counselled him to break off his sins by righteousness, and his iniquities by showing mercy to the poor. Twelve months were given him for repentance; but at the end of that time in his pride he said, "Is not this great Babylon, that I have built for the house of the kingdom by the might of my power, and for the honour of my majesty?" Then a voice from heaven declared that his kingdom was departed from him. (A monument of Nebuchadnezzar says, "I completely made strong the defences of Babylon, may it last for ever . . . . the city which I have glorified for ever," etc.) He was now a maniac, and was driven away from men, and ate grass as the ox. He remained thus apparently seven years, signified by 'seven times' (as a time, times, and half a time signify three and a half years in Dan. 12:7); then his reason returned, and the kingdom was restored to him. He now said, "I Nebuchadnezzar praise and extol and honour the King of heaven, all whose works are truth, and his ways judgement: and those that walk in pride he is able to abase." Dan. 2 — Dan. 4. (단12:7 내가 들은즉 그 세마포 옷을 입고 강물 위에 있는 자가 그 좌우 손을 들어 하늘을 향하여 영생하시는 자를 가리켜 맹세하여 가로되 반드시 한때 두때 반때를 지나서 성도의 권세가 다 깨어지기 까지니 그렇게 되면 이 모든 일이 다 끝나리라 하더라 (단02: 다니엘의 느부갓네살 왕의 꿈 해석 (단03: 다니엘의 세 친구를 풀무 불에 던지다 (단04: 느부갓네살의 두번째 꿈과 다니엘 해석 Thus Nebuchadnezzar learnt to honour the God who had made him the head of gold. How long he survived this is not known. Evil-merodach, his son, succeeded him in B.C. 561. There is evidence that many towns were built during his reign in his name being found on the bricks among their ruins in every direction. --- Morrish Bible Dictionary ▶ 남조 유다 멸망시킨 바벨론 왕 성경:열왕기하 24장, 다니엘 2장 느부갓네살은 「경계선을 방어하다」라는 뜻이다. 느부갓네살은 앗수르에서 바벨론의 독립을 꾀한 나보폴라살의 아들이었다. 느부갓네살은 메데왕의 딸 아므히야와 결혼하여 에월므로닥이라는 아들을 낳았다. 느부갓네살은 바벨론을 앗수르로부터 완전히 독립시킨 왕이었다. 이와 같이 느부갓네살은 왕자로 있을 때에 이미 바벨론 군대를 장악한 장군이었다. 애굽왕이 갈그미스까지 진격했으나 느부갓네살이 애굽 군대를 격파하여 이 지역을 통합한 것도 그가 왕위를 이어받는 첩경이 되기도 했다. 그는 부왕의 뒤를 이어 바벨론 제국의 왕이 됐다. 남조 유다가 이 느부갓네살에 의해 패망했으므로 성경 예레미야, 에스겔, 다니엘 등 여러 책에 느부갓네살왕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느부갓네살에 의해 예루살렘이 함락되고 성전과 도성이 불타고 많은 귀인들이 포로로 사로잡혀 가게 됐다. 느부갓네살은 수리아, 모압, 암몬 등 여러나라를 정복하여 대제국을 이루었다. 다니엘서 2장에 나오는 큰 우상에 관한 꿈과 뜬 돌에 의해 그 우상이 파괴된 예언은 다니엘시대부터 세상 종말까지 이어질 예언이었다. 이 꿈에 대한 다니엘의 해몽을 듣고 느부갓네살은 일시적이나마 하나님을 믿고 바벨론 나라가 하나님을 섬긴 때가 있었다. 그러나 그에게는 지병과 같은 정신질환이 있었다고 한다. 또한 7년동안 들에서 짐승같이 살다가 회개하기도 했다. ▷교훈과 적용◁ 첫째,역사의 장래를 꿈으로 계시받을 만큼 하나님의 은혜를 입었으나 참 신앙인이 아니었다.믿음을 갖자. 둘째,유능한 제국의 왕일지라도 양심을 등지고 하나님을 떠날 때 짐승같이 살았다. 〈이병돈·은평교회 목사〉
1 시드기야(Zedekiah)
인물
jesus
7927 12 2006-12-27
▶ 시드기야(Zedekiah) 뜻 : 여호와는 정의 이시다 [1] 요시야의 막내 아들로서 유대국의 최종 왕이다(B.C.598-587). 본명은 맛다냐이던 것을 예루살렘이 바벨론에게 멸망한 후에 느부갓네살이 왕위에 올리면서 이 이름을 고쳐 주었다(왕하24:17-20), (대하36:12-13) 즉위 초에 바벨론에 대하여 귀순할 서약을 하였으나 3년후에 이웃 왕들과 동맹하여 바벨론 배척 음모를 꾸미다가 예레미야에게 비난을 받았다(렘27:)과 (겔27:21) 비교. [2] 아합의 4백 선지중의 한 사람인데 수리아와 싸울것을 여호사밧에게 진언 하였고 미가야 선지는 그를 거짓 선지라고 면책 하였으나 아합왕은 그의 말을 용납한 까닭에 길르앗 라못 공략에 실패하였다(왕상22:5-17, 29-35). (대하18:10,23 [3] 여호야긴 시대의선지자로 마세야의 아들인데 예레미야는 예언하기를 느부갓네살이 저를 불로 살우리라 하였다(렘29:21-23). [4] 하나냐의 아들로 여호야김왕 때에 유대 방백이다(렘36:12). [5] 방백 느헤미야 후에 직접으로 언약에 날인한 자이다(느10:1). -------------------------------------------------------------------------------- [이스라엘왕과 유다왕 여호사밧이 왕복을 입고 사마리아 문어귀 광장에서 각기 보좌에 앉았고 모든 선지자가 그 앞에서 예언을 하는데 그나아나의 아들 시드기야(Zedekiah)는 철로 뿔들을 만들어 가지고 말하되 여호와의 말씀이 왕이 이것들로 아람사람들을 찔러 진멸하리라 하셨다 하고 모든 선지자도 그와 같이 예언하여 이르기를 길르앗 라못으로 올라가 승리를 거두소서 여호와께서 그 성을 왕의 손에 붙이시리이다](왕상22:10-12) 이상은 거짓선지자 시드기야가 이스라엘왕 아합과 유다왕 여호사밧에게 길르앗 라못으로 올라가서 아람군과 대전하면 반드시 승리할 것이라는 예언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선지자 미가야는 시드기야와 동료들의 예언이 여호와 하나님께서 천상회의를 개최코 거짓영을 선지자들의 마음속에 들어가게 하시어 거짓예언을 하게 한 것이므로 왕은 그 예언을 믿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러한 미가야의 바른 예언에 대하여 시드기야는 그의 뺨을 치면서 [여호와의 영이 나를 떠나 어디로 말미암아 가서 네게 말씀하더냐] (왕상22:24)하며 격분했는가 하면, 아합왕은 시드기야의 예언을 더 믿은 나머지 미가야를 옥에 가두어 예언을 못하도록 했다. [이스라엘왕이 가로되 미가야를 잡아 부윤 아몬과 왕자 요아스에게로 끌고 돌아가서 말하기를 왕의 말씀이 이놈을 옥에 가두고 내가 평안히 돌아올 때까지 고생의 떡과 고생의 물로 먹이라 하라](왕상22:26-27) 이스라엘왕과 여호사밧은 시드기야의 예언을 믿고 길르앗 못으로 올라가서 아람군과 접전했으나 패전했으며 아합왕은 한 아람병사가 우연히 쏜 화살에 맞아 전사하고 말았다. 우리는 여기에서 교훈을 찾아보게 된다. ⑴ 하나님께선 악인을 심판하시기 위하여 악령을 부리고 계신다는 것과 ⑵ 악령을 받은 거짓선지자 들도하나님의 이름으로 예언을 한다는 사실 ⑶ 영 분별의 능력이 없을때 사람 귀에 듣기 좋은 말만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사랑하는 자들아 영을 다 믿지 말고 오직 영들이 하나님께 속하였나 시험하라 거짓선지자가 세상에 나왔음이니라](요일04:1) -------------------------------------------------------------------------------- 시드기야(주전 597-586년) = (왕하24:17-(왕하25:21, (대하36:10-21, (렘21:1-10, (렘01: (렘21: (렘24: (렘27:- (렘28: (렘29:, (렘32: (렘34: (렘37: (렘38: -(렘39:. (렘44: (렘49: (렘51: (렘52: 그의 본래의 이름은 맛다니야(여호와의 선물이란 뜻)였는데 시드기야(여호와의 의란 뜻)로 개명했다. 그는 요시야의 네째 아들로서 그의 형제들과 같이 "여호와 보시기에악을행"하였다. 그는 비참한 환경을 물려받았다. 한 형제는 애굽으로 잡혀갔고 다른형제는 바벨론에 의해 나귀같이 끌려가 처형되었고 그의 전왕인 조카는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갔기 때문이다. 그 당시의 환경에 대해서는 에스겔 8장,22장에 잘 묘사되어있다. 처음 그는 모세의 율법에 순종하고 국외정책에 관해서는 예레미야의 충고를 받아들일 듯이 보였다. 이때 애굽에는 바로인 호브라(렘44:30)가 즉위하여 유다와 동맹관계를 가지고 느부갓네살에게 대항할것을 제의했다. (왕하24:20) 시드기야가 이를 수락하자 느부갓네살은 예루살렘을 포위하고 18개월만에 함락하니 500여년간 계속되어 온 왕국시대의 종막을 고하게 되었다. 이때의 예언자로서는 나훔(주전 640-630)과 스바냐(주전 640-610)와 예레미야(주전627-586)가 있었다. 이들의 예언활동의 내용은 그들의 예언서 안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먼저 나훔은 요나와 대조를 이룬다. 그는 요나가 자비와 회개를 외친 데 비 해 정의와멸망을 예언했다. 그의 이름의 뜻은 "위로자"였으나 이는 유다에 대해 위로자란 말이지니느웨에 대한 말은 아니었다. 스바냐는 "여호와께서 숨기신 자"(습02:3)란 뜻을 가진 이름이다. 그는 백성들의 죄를책망하고 심판이 임할 것을 선포한 후에 하나님의 선을 통해 회복의 날이 올 것을 말했다. 예레미야는 유다가 죄악을 계속하는 한 멸망할 것이나 다시 회복될 것이지만 유다를멸하는 바벨론은 영원히 멸망할 것을 예언한 "눈물의 선지자"였다. ======== Zedekiah. [Zedeki'ah] 1. The name given by Nebuchadnezzar to Mattaniah, son of Josiah, whom he set on the throne of Judah. Zedekiah reigned eleven years, B.C. 599-588, and was the last king of Judah. His reign was evil; he did not humble himself before the prophet Jeremiah, and profaned the name of Jehovah by breaking his oath to the king of Babylon. The chief priests and the people also transgressed greatly. On Zedekiah revolting from Nebuchadnezzar, he formed an alliance with Egypt (cf. Ezek. 17:3-20); but Egypt was defeated, and then Nebuchadnezzar pushed on the siege of Jerusalem. Zedekiah was many times warned by Jeremiah against his course, and was advised to submit to Babylon; but for this Jeremiah was persecuted by the princes of Judah. When the city was taken, Zedekiah, with his wives and children, attempted to escape, but he was captured. Two prophecies respecting him are remarkable: one that he shall speak with the king of Babylon, and "his eyes shall behold his eyes," Jer. 32:4; and the other that "he shall be brought to Babylon, yet shall he not see it, though he shall die there." Ezek. 12:13. And thus it came to pass: on being carried before Nebuchadnezzar at Riblah, his sons were slain before his face, then his eyes were put out, and he was carried to Babylon. 2 Kings 24:17, 20; 2 Kings 25:2, 7; 1 Chr. 3:15; 2 Chr. 36:10, 11; Jer. 1:3; Jer. 21:1-7; Jer. 24:8; Jer. 27:3, 12; Jer. 28:1; Jer. 29:3; Jer. 32:1-5; Jer. 34:2-21; Jer. 37 — Jer. 39; Jer. 44:30; Jer. 49:34; Jer. 51:59; Jer. 52:1-11. 2. Son of Chenaanah: he was a false prophet, and an adviser of Ahab. He arrogantly smote Micaiah in the face and asked, "Which way went the Spirit of Jehovah from me to speak unto thee?" Micaiah told him his question would be answered when he went into an inner chamber to hide himself. 1 Kings 22:11, 24; 2 Chr. 18:10, 23. 3. Son of Jeconiah, or Jehoiachin, king of Judah. 1 Chr. 3:16. (대하03: 4. Son of Maaseiah: he was a false prophet in Babylon among the captives: with Ahab he was burnt to death. Jer. 29:21, 22. 5. Son of Hananiah and a prince of Judah. Jer. 36:12. ======== Zidkijah. [Zidki'jah] Priest who sealed the covenant. Neh. 10:1. --- Morrish Bible Dictionary

.
성경연대표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14.세계선교 관련그림.지도 1.창조 2.족장 3.출애굽 4.광야 5.정복 6.사사 7.통일왕국 8.분열왕국 9.포로 10.포로귀환 11.중간 12.예수 13.초대교회 Ani
1창세기[Genesis] 2출애굽기[Exodus] 3레위기[Leviticus] 4민수기[Numbers] 5신명기[Deuteronomy] 6여호수아[Joshua] 7사사기[Judges] 8룻기[Ruth] 9사무엘상[I Samuel] 10사무엘하[II Samuel] 11열왕기상[I Kings] 12열왕기하[II Kings] 13역대상[I Chronicles] 14역대하[II Chronicles] 15에스라[Ezra] 16느헤미아[Nehemiah] 17에스더[Esther] 18욥기[Job] 19시편[Psalms] 20잠언[Proverbs] 21전도서[Ecclesiastes] 22아가[Song of Solomon] 23이사야[Isaiah] 24예레미야[Jeremiah] 5예레미아애가[Lamentations] 26에스겔[Ezekiel] 27다니엘[Daniel] 28호세아[Hosea] 29요엘[Joel] 30아모스[Amos] 31오바댜[Obadiah] 32요나[Jonah] 33미가[Micah] 34나훔[Nahum] 35하박국[Habakkuk] 36스바냐[Zephaniah] 37학개[Haggai] 38스가랴[Zechariah] 39말라기[Malachi] 40마태복음[Matthew] 41마가복음[Mark] 42누가복음[Luke] 43요한복음[John] 44사도행전[Acts] 45로마서[Romans] 46고린도전서[I Corinthians] 47고린도후서[II Corinthians] 48갈라디아서[Galatians] 49에베소서[Ephesians] 50빌립보서[Philippians] 51골로새서[Colossians] 52데살로니가전서[I Thessalonian] 53데살로니가후서[2 Thessalonian] 54디모데전서[I Timothy] 55디모데후서[II Timothy] 56디도서[Titus] 57빌레몬서[Philemon] 58히브리서[Hebrews] 59야고보서[James] 60베드로전서[I Peter] 61베드로후서[II Peter] 62요한일서[I John] 63요한이서[II John] 64요한삼서[III John] 65유다서[Jude] 66요한계시록[Rev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