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1330_2.jpg
1330 선조어서사송언신밀찰첩및송언신영정 보물 941호 경기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경기도박물관 (상갈동) 조선시대 bomulskmhjkyungki
 
조선 제14대 선조가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송언신(1542∼1612)에게 보낸 친필어찰첩 1첩, 정조 18년(1794) 정조 어제의 선조어서밀찰발 1첩, 선조 18년(1585)에 발급된 만력 13년 예조입안 1건이다. 

선조어서사송언신밀찰첩은 선조가 임진전란기인 계사년(1593)에서 기해년(1599)까지 6년간에 걸쳐 당시 함경도관찰사인 송언신에게 내린 어서밀찰 7건이며, 정조어제선조어서밀찰발은 정조가 즉위 18년 되던 해인 1794년에 송언신 후손가에 소장된 선조어서밀찰을 연신(延伸)을 통하여 어람(御覽)하고 나서 그 소감을 적은 발문이다. 그리고 만력 13년 예조입안은 송언신이 자식이 없어서 십촌 형의 둘째 아들 준(駿)을 입양할 것을 예조에서 허가한 문서이다. 

이들 자료는 당시의 전황, 북변의 방어 등 국방과 군신간의 내왕, 그리고 조선 전기의 가족제도 연구 및 송언신의 가계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송언신영정은 오사모에 단령을 입고 의자에 앉아 있는 전신좌상이다. 가슴에는 모란과 운안(雲雁) 문양을 한 흉배가 부착되어 있으며, 삽금대를 두르고 있어 1603∼14년에 정이품의 대사헌과 이조판서를 지낸 송언신의 당시 품계와 정확히 일치한다. 안면은 좌안 7분면이며 몸체는 8분면 정도이다. 공수자세를 취한 단령 사이로 흰 창의의 소매가 보이며, 의자의 손잡이는 인물의 양 편으로 뻗어 있는데, 이러한 표현형식은 이중로영정 등 정사(靖社) 공신상 보다는 앞선 형식이다. 17세기 초의 공신상(功臣像)으로 이 시기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 2004년 5월 7일 보물 제941호 선조어서사송언신밀찰첩(부)정조어제선조어서밀찰발외에서 선조어서사송언신밀찰첩및송언신영정으로 명칭 변경됨.


lt=37.267973&ln=127.108651




역사년표Map BC -AD 1 -600 -1000 -1500 -1800 -1900 -1950 -1980-현재 (1945년이후 10대뉴스)
한국 Korea Tour in Subkorea.com Road, Islands, Mountains, Tour Place, Beach, Festival, University, Golf Course, Stadium, History Place, Natural Monument, Paintings, Pottery, K-jokes, UNESCO Heritage, 중국 Chin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J-Cartoons, 일본 Japan Tour in Subkorea.com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E-jokes, 인도 Indi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UNESCO Heritage, Tour Place,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Paintings,